KR200484395Y1 - 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 Google Patents

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95Y1
KR200484395Y1 KR2020160006156U KR20160006156U KR200484395Y1 KR 200484395 Y1 KR200484395 Y1 KR 200484395Y1 KR 2020160006156 U KR2020160006156 U KR 2020160006156U KR 20160006156 U KR20160006156 U KR 20160006156U KR 200484395 Y1 KR200484395 Y1 KR 200484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emperature
unit
light
len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장
임경순
신형철
Original Assignee
(주)메가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가메디칼 filed Critical (주)메가메디칼
Priority to KR2020160006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9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wavelength con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는, 색온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색온도 변환부; 및 상기 색온도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상체에 공급되는 광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 일면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부가 결합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nlight comprising a light source configured to allow a user of a color temperature to catch a light and to irradiate a light to a target object; A color temperature converter for adjusting a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lor temperature of light supplied to the object by controlling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unit, wherein a lens unit for cond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andle, And is attachable / detachable from the handle portion.

Description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펜라이트{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본 고안은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light capable of controlling a color temperature.

현재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펜라이트는 빛을 조사하여 환자의 상태를 의사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펜라이트는 의사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환자의 환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돕는다. Penlight, which is currently used in various medical fields, is a device that irradiates light and makes it easy for the doctor to visually confirm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se penlights help the physician to carry around and observe the patient's lesion.

그러나, 종래의 펜라이트의 경우, 광원의 고유 색온도에 따라 환자의 환부에 비춰지는 색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의사의 오진 발생 우려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enlight, the color reflected on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changes according to the intrinsic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source,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doctor may be misdiagnosed.

따라서, 진료 부위에 따라 색온도를 변경 가능한 펜라이트가 필요하다. Therefore, penlight is needed to change the color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treatment.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381호(고안의 명칭: 펜라이트)는 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에 내장되는 충전지와; 상기 후방케이스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케이스와; 상기 전방케이스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 스위치수단에 의해 온?오프되어지는 고휘도LED와; 상기 렌즈를 통한 고휘도 LED의 조사광의 포커스가 맞추어지도록 선단에 렌즈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클립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케이스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보호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펜라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In this regar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8381 (design name: Penlight) has a rear case; A rechargeable battery contained in the rear case; A front case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rear case; A high-brightness LED installed in the front case and turned on / off by switch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first protective cap which is provided with a lens at its tip end so as to focus the irradiated light of the high-intensity LED through the lens, and a cli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case. Writing is starte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41702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41702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펜라이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penlight capable of adjusting a color temperatur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describ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는, 색온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색온도 변환부; 및 상기 색온도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상체에 공급되는 광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 일면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부가 결합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n light comprising: a light source configured to allow a user of a color temperature to hold the light source; A color temperature converter for adjusting a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lor temperature of light supplied to the object by controlling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unit, wherein a lens unit for cond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andle, And is attachable / detachable from the handle portion.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펜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rtable penlight capable of adjusting the color temperature.

따라서, 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관찰시에, 광원의 고유 색온도로 인하여 발생가능한 오진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doctor observes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ossible errors caused by the intrinsic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source.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at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at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를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의 색온도변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의 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삽입 가능한 내시경 삽입부가 결합된 펜라이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시경으로서 기능하는 펜라이트의 각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시경 삽입부 및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펜라이트를 도시하고 있다.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lor temperature converting unit of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nlight to which a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insertable into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of a penlight functioning as an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llustrates a penlight with a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nd a display coup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or the device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the device instead.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o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를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의 색온도변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lor temperature converter of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의 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는 광원부(100), 색온도 변환부(200), 렌즈부(300), 사용자 조작부(41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00, a color temperature converting unit 200, a lens unit 300, a user operating unit 410, and a control unit 600.

광원부(100)는 광원을 포함하며, 대상체에 광을 조사한다. 이때, 광원은 파장의 광범위 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할로겐 램프 또는 백색 계열의 레이저다이오드(LED)와 같은 백색광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light source unit 100 includes a light source, and irradiates light to the object.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may be a white light source such as a halogen lamp or a white-based laser diode (LED) having a wide spectrum of wavelength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색온도 변환부(200)는 광원부(100)에서 공급된 광의 색온도를 조절한다. The color temperature converter 200 adjusts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100.

이때, 색온도 변환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12)를 포함하는 구동부(210), 및 복수의 색온도 변환필터(22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2, the color temperature converting unit 200 includes a driving unit 210 including a driving motor 212, and a plurality of color temperature converting filters 2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as needed.

색온도 변환부(200)의 구동모터(212)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복수의 색온도 필터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킨다. The driving motor 212 of the color temperature converter 200 selectively varies a plurality of color temperature filter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렌즈부(300)는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고, 색온도 변환부(200)에 의해 색온도가 조절된 광을 대상체로 집광시켜, 사용자가 대상체를 관찰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lens unit 300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condenses the light whose color temperature is adjusted by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unit 200 as a target object,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observe the target object.

사용자 조작부(410)는 색온도 변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410)의 색온도 변환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부(410)는 방향키,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 포함하여,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operation unit 410 may include a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button, and the user can adjust the color temperature by operating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button of the user operation unit 410. [ Further, the user operation unit 410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key,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to adjust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0), 및 색온도변환부(200)는 사용자가 펜라이트를 사용할 때 손으로 잡는 부분인 손잡이부(4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렌즈부(300)는 손잡이부(4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렌즈부(300)는 손잡이부(400)의 상단으로부터 탈부착 될 수 있다. 3,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unit 200 may include a handgrip 400 (i.e., a handgrip) to be held by a user when the user uses the penlight, And the lens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unit 400. [ That is, the lens unit 300 can be detached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le 400.

또한, 손잡이부(400)의 내부에는 광원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500) 및 제어부(600)가 내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a rechargeable battery 500 and a control unit 6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be incorporated in the handle 400.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4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 조작부(410)를 및 전원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4, a user operation unit 410 and a power unit 420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었을 때, 그립감을 줄 수 있도록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grip portion 40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give a grip feeling when the user grasps the grip.

제어부(600)는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사용자 조작부(410)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색온도 변환부(200)의 구동모터(212)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색온도 변환필터(220)를 가변시킴으로써, 광원(100)을 통해 조사되는 광의 색온도를 조절한다. The controller 600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so that the light intensity is adjusted.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driving motor 212 of the color temperature converter 2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rough the user's operation unit 410 to vary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filter 220, Thereby controlling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to be irradiated.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는 펜라이트의 렌즈부(300)를 탈착하고, 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렌즈가 포함된 내시경 삽입부 및 접안부를 결합하여 내시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en ligh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as an endoscope by attaching the eyepiece insertion portion and the eyepiece portion including the le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by detaching the lens portion 300 of the penlight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시경으로 기능하는 펜라이트의 일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 example of a penlight functioning as an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삽입 가능한 내시경 삽입부가 결합된 펜라이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nlight to which a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insertable into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시경으로서 기능하는 펜라이트의 각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of a penlight functioning as an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는 손잡이부(400)로부터 렌즈부(300)가 탈부착 가능하다. 따라서 도 5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300)가 탈착된 손잡이부(400)에는 인체 삽입가능한 렌즈를 포함하는 내시경 삽입부(700) 및 접안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시경 삽입부(700) 및 접안부(800) 서로 분리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enligh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able / detachable from the handle portion 400 to the lens portion 300. Therefor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700 and the eyepiece portion 800 including a le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can be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400 where the lens portion 300 is detached. At this time, the endoscope insertion portion 700 and the eyepiece portion 80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때, 내시경 삽입부(700)는 인체 내부로 삽입 가능한 렌즈를 포함하며, 렌즈에는 대상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줌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oscope insertion unit 700 includes a le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a zoom function can be installed on the lens so that the subject can be enlarged or reduced.

여기서, 렌즈는 대상체를 선명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렌즈는 대물렌즈배열(Object-side arrangement), 중간렌즈(middle lens)배열 또는 컨버터측 렌즈(converter-side lens) 배열들로 이루어져 상체의 영상을 선명하게 전달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내시경의 렌즈배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lens is for transmitting the object clearly. Therefore, the lens is made up of an object-side arrangement, an intermediate lens arrangement, or a converter-side lens array, and transmits the image of the upper body clearly, Can be selected and used.

접안부(800)는 사용자가 눈을 대고 대상물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eyepiece portion 800 is a portion where a user can directly observe an object with his / her eyes closed.

접안부(800)는 고무로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400) 및 내시경 삽입부(70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접안부(800)가 분리된 경우, 접안부(800)에는, 디스플레이(90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eyepiece unit 800 may be structured to block the light by the rubber, and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andle unit 400 and the endoscope insertion unit 700. In addition, when the eyepiece portion 800 is detached, the display portion 900 can be coupled to the eyepiece portion 800. [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시경 삽입부 및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펜라이트를 도시하고 있다. FIG. 7 illustrates a penlight with a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nd a display coup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라이트에는 접안부(800)대신 디스플레이부(900)가 내시경 삽입부(7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눈을 가까이 대지 않고 대상체를 관찰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대상체를 관찰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900 may be coupled to the endoscope insertion unit 700 instead of the eyepiece unit 800 in the pe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object can be observed without approaching the eyes, The subject can be observed.

이때, 디스플레이(9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9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삽입부(700)는 대상체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촬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부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endoscope insertion unit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ing unit that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so that the image of the objec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or the monitor. Therefore,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image pickup unit can be output through a display or a monitor.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손잡이부(400)에는 외부의 모니터와 연결되기 위한 유선 연결부가 장착될 수 있고 유선 연결부는 손잡이부(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선 연결부(400)의 단자는 고품질의 영상을 위해HDMI 또는 범용성을 위해 mini USB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mini USB 타입은 내시경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고, 광학상의 촬영된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handle 400 may be provided with a wired connection for connection to an external monitor, and the wired connection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400. Terminals of the wired connection unit 400 may be HDMI for high quality video or mini USB type for general purpose. The mini USB type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charging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endoscope, and can transmit photographed information on the optical microscope.

한편, 손잡이부(400) 외측의 일 영역에는 전원 커낵터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커낵터는 손잡이부(400)를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하여, 손잡이부(400) 내부의 충전용 베터리(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a power connector may be formed in one area outside the handle 400. The power connector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500 inside the handle 400 by connecting the handle 400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또한, 전원 커낵터의 단부는 상용화된 규격과 동일한 USB 포트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USB포트를 이용하여 어디서나 충전용 배터리(500)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end of the power connector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USB port as the commercialized standard. Therefore, the rechargeable battery 500 can be charged anywhere using the USB por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performs predetermined roles. However, 'componen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Thus, by way of example, an element may compris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또한,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량 산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traffic volume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nd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computer network,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a code readable in a distributed manner.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광원부
200: 색온도 변환부
300: 렌즈부
400: 손잡이부
500: 충전용 배터리
600: 제어부
700: 내시경 삽입부
800: 접안부
900: 디스플레이
100:
200: Color temperature converter
300:
400: Handle portion
500: rechargeable battery
600:
700: endoscope insertion portion
800: Eyepiece
900: Display

Claims (10)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색온도 변환부;
상기 색온도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상체에 공급되는 광의 색온도 및 상기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색온도 변환버튼 및 상기 광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향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 상기 색온도 변환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 일면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부가 결합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색온도 변환부는 구동모터 및 복수의 색온도 변환필터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색온도 변환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색온도 변환필터를 선택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광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라이트.
Configured to be held by the user,
A light source unit for emitting light to the object;
A color temperature converter for adjusting a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 grip unit configured to surrou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lor temperature of light supplied to the object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by controlling the color temperature converter; And
And a user operation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unit, the user operation unit including a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button and a direction key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The light source unit, the color temperature converter, and the control unit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andle, and a lens unit for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Wherein the lens unit is detachable from the handle,
Wherein the color temperature converter includes a driving motor and a plurality of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filters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in response to the user operating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button to selectively change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filter to adjust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Pen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펜라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And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Penligh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면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되도록 하는 전원 커낵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펜라이트.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charging batter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Further comprising a powe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rechargeable battery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렌즈부가 분리된 위치에
인체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대상체의 광학상을 취득하는 렌즈 및
상기 광원에서 공급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가 취득한 광학상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접안부가 결합되는 것인,
펜라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lens unit is separated,
The lens unit
A lens which is insertable into a human body and acquires an optical image of the object;
And an eyepiece for observing the optical image acquired by the lens with the naked eye using the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Penligh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를 조절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공급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펜라이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lens so as to enlarge or reduce the object and to adjust the intensity of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대상체로 조사된 광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획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촬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펜라이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ens further comprises an imaging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acquired by colle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irradiated to the object into a digital signal.
Penligh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접안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접안부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접안부가 분리된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것인, 펜라이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s and the eyepiece
Respectively,
When the eyepiece portion is detached,
Wherein the display is coupled to the disengaged position of the eyepiece.
KR2020160006156U 2016-10-24 2016-10-24 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KR2004843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6U KR200484395Y1 (en) 2016-10-24 2016-10-24 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6U KR200484395Y1 (en) 2016-10-24 2016-10-24 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395Y1 true KR200484395Y1 (en) 2017-09-01

Family

ID=6057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56U KR200484395Y1 (en) 2016-10-24 2016-10-24 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95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702A (en) 2001-10-16 2004-05-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best serving sector in a cdm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47258A (en) * 2002-11-29 2004-06-05 아람휴비스(주) Multipurpose Multi-Scope and Use Method Thereof
KR20050040356A (en)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메드썬 Pen light
JP4133319B2 (en) * 2000-07-14 2008-08-13 ノバダック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ompact fluorescent endoscope imaging system
KR20150110936A (en) * 2014-03-21 2015-10-05 (주)메가메디칼 Foldable Endosco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3319B2 (en) * 2000-07-14 2008-08-13 ノバダック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ompact fluorescent endoscope imaging system
KR20040041702A (en) 2001-10-16 2004-05-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best serving sector in a cdm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47258A (en) * 2002-11-29 2004-06-05 아람휴비스(주) Multipurpose Multi-Scope and Use Method Thereof
KR20050040356A (en)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메드썬 Pen light
KR20150110936A (en) * 2014-03-21 2015-10-05 (주)메가메디칼 Foldable Endosco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226B2 (en) Portable eye viewing device enabled for enhanced field of view
US6908307B2 (en) Dental camera utilizing multiple lenses
US9942452B2 (en) Optoelectronic module and an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11045079B2 (en) Endoscope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60161048A1 (en) Flexible video scope extension and methods
JP2003260025A (en) Capsule endoscope
US10264948B2 (en) Endoscope device
JP2009522052A (en) Module visualization stylet device and method of use
JP3197418U (en) Ultra close-up photography device
US20190094662A1 (en) Imaging device and optical unit
US20220273165A1 (en) Portable and ergonomic endoscope with disposable cannula
WO202302385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imaging and measurement
US11931010B2 (en) Endoscopes and methods of treatment
KR200484395Y1 (en) Penlight capable adjusting color temperature
JP2017202140A (en) Endoscope apparatus
US10512398B2 (en) Portable retinography device
US9271649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a lens rotatably connected to a front cover
KR102014529B1 (en) Fundus photography system using infrared pre-illumination
CN103099600B (en) Somascope at the bottom of a kind of visual eye
CN103110402A (en) Visible anterior segment inspection tester
RU162570U1 (en) DEVICE FOR ANTIBACTERIAL PHOTODYNAMIC THERAPY OF PERIODONTANE WITH SIMULTANEOUS VISUALIZATION OF PHOTOSENSIBILIZER FLUORESCENCE
US7577344B2 (en) Light-shielding device for oral photography
KR101191455B1 (en) Portable Otoscope
CN202960460U (en) Visual fundus inspection instrument
KR102530132B1 (en) A alligator forceps equipped with electronic endoscope and lighting modules allowing bluetooth-connected image data transmission and its us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