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94Y1 - 콘센트용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용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94Y1
KR200483194Y1 KR2020160003018U KR20160003018U KR200483194Y1 KR 200483194 Y1 KR200483194 Y1 KR 200483194Y1 KR 2020160003018 U KR2020160003018 U KR 2020160003018U KR 20160003018 U KR20160003018 U KR 20160003018U KR 200483194 Y1 KR200483194 Y1 KR 200483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receptacle
present
cover
safet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리
Original Assignee
최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리 filed Critical 최유리
Priority to KR2020160003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콘센트용 안전커버는, 콘센트가 수용되는 콘센트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전면을 제외한 측면과 후면이 차폐되는 커버 하우징; 및 상기 커버 하우징 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콘센트가 안착되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센트용 안전커버{Concent safety cover}
본 고안은,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concent)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lug)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전기장치의 총칭이다.
가정에서 텔레비전이나 냉장고를 사용할 때에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여러 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꽂을 수 있게 만든 콘센트인 멀티탭의 경우, 전기 회로의 연결 방법 중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을 모두 사용하는 혼합 연결에 해당한다. 즉 멀티탭의 각 콘센트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나 각 콘센트로 갈라지기 전의 스위치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멀티탭은 가정이나 직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가정이나 회사에서 컴퓨터를 연결할 때, 멀티탭의 활용이 잦다.
한편, 기존의 멀티탭은 플러그를 꽂는 홀(hole)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특히, 가정 내 아이들의 감전사고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안전커버를 보유하고 있는 멀티탭이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멀티탭의 안전커버는 분리될 수 없는 일체형이기 때문에 다른 멀티탭에 공용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은 단지 커버의 역할 외에 다른 기능, 예컨대 위험을 알리는 기능 등이 탑재되지 않아서 기능면에서 다소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신개념의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7211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5-00014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670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9994호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콘센트용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콘센트가 수용되는 콘센트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전면을 제외한 측면과 후면이 차폐되는 커버 하우징; 및 상기 커버 하우징 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콘센트가 안착되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측면 하단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장식용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의 개수에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부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미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게 상기 커버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려한 형상을 갖는 커버 하우징이 콘센트의 외부에 씌워짐으로써 외부에서는 커버 하우징만 보이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100)는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미도시)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커버 하우징(110)과,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잇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100)가 사용되는 콘센트(10)는 플러그 단자(11)의 개수가 3개라서 소위, 3구라 불리는 콘센트(10), 즉 멀티탭이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1구나 2구, 혹은 4구 이상의 콘센트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럴 경우에는 커버 하우징(110)의 사이즈가 그 콘센트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면 그뿐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하우징(110)은 외관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물론, 커버 하우징(110)의 군데군데에 절연을 위한 절연테이프가 부착되거나 절연페인트가 도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하우징(110)은 대략 자동차 트럭의 형상을 갖는다. 이는 외관의 미를 위한 것으로, 커버 하우징(110)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이러한 커버 하우징(110)이 콘센트(10) 외부에 씌워짐으로써 외부에서는 커버 하우징(110)만 노출될 것이므로 커버 하우징(110)을 통해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커버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가 수용되는 콘센트 수용공간(11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하우징(110)은 콘센트(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콘센트(10)에 접근이 잘 되지 않도록 전면을 제외한 측면(111)과 후면(112)이 차폐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 하우징(110)의 전면으로 콘센트(10)를 수용시킬 수 있다.
커버 하우징(110)의 측면(111) 하단부에는 다수의 장식용 바퀴(140)가 마련된다. 장식용 바퀴(140)는 고정형이거가 회전형 모두가 가능한데, 장식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는 커버 하우징(110) 내의 하부에 마련되며, 콘센트(10)가 안착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는 별도로 제작되어 커버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커버 하우징(11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후자의 방식을 취한다.
한편, 커버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부 플레이트(130)가 마련된다. 상부 플레이트(130)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의 상부에서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0)는 콘센트(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되 커버 하우징(110)의 상면을 이루는데,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30)에는 콘센트(10)의 플러그 단자(11)의 개수에 대응되게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구 콘센트(10)가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30)의 관통홀(131) 역시, 3개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200) 역시, 측면(111)과 후면(112)이 차폐되는 커버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버 하우징(210)에는 전술한 장식용 바퀴(140, 도 1 참조)가 마련되지 않고 있는데, 본 실시예처럼 장식용 바퀴(140, 도 1 참조)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기능상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300) 역시, 측면(111)과 후면(112)이 차폐되는 커버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버 하우징(310)의 상면은 개방된 개구(330)를 이룬다. 이처럼 커버 하우징(310)의 상면은 개방된 개구(330)를 이루더라도 내부에 안착된 콘센트(10, 도 4 참조)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400)는 커버 하우징(110)과,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더미 덮개(450)가 더 마련된다. 더미 덮개(450)는 커버 하우징(110)의 상부 플레이트(130)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커버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더미 덮개(450)는 내장되어 있는 콘센트(10, 도 4 참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커버 하우징(110)의 상부 플레이트(130)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데, 상부 플레이트(130)의 관통홀(131)을 차폐하면 먼지 등이 콘센트(10, 도 4 참조)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안전한 커버링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500) 역시, 측면(111)과 후면(112)이 차폐되는 커버 하우징(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500)에는 관통홀(131)에 대응되게 커버 하우징(5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홀(131)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550)가 마련된다.
슬라이딩 도어(550)는 관통홀(131)의 개수만큼 관통홀(131)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550)에는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551)가 마련된다.
이처럼 관통홀(131)들에 슬라이딩 도어(550)를 배치하여 관통홀(131)들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경우, 먼지 등이 콘센트(10, 도 4 참조)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안전한 커버링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600) 역시, 커버 하우징(610), 콘센트(10)가 안착되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 그리고 관통홀(131)을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부 플레이트(130)에는 상하로 업/다운(up/down) 동작되는 업/다운 액추에이터(660)가 마련될 수 있다.
업/다운 액추에이터(660)는 수동식이거나 전동식일 수 있는데, 도면처럼 콘센트(10)가 내장된 후, 다운(down)되어 콘센트(10)를 지지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콘센트(10)가 빠지는 현상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700) 역시, 커버 하우징(710), 콘센트(10)가 안착되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 그리고 관통홀(131)을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버 하우징(710) 내에는 콘센트(10)의 센터링 위치, 즉 콘센트(10)의 플러그 단자(11)와 관통홀(131) 간의 축선이 동일하도록 콘센트(10)의 센터링 위치를 잡아주는 센터링용 스토퍼(770)가 마련된다. 이럴 경우, 콘센트(10)를 정확한 위치에 수용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800) 역시, 커버 하우징(810), 콘센트(10)가 안착되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 그리고 관통홀(131)을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버 하우징(810)의 콘센트 수용공간(110a)에는 콘센트 수용공간(110a)에 배치되는 콘센트(1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습제(880)가 마련된다. 흡습제(880)는 교체식으로써 포켓(88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에 대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안전커버(900) 역시, 커버 하우징(910), 콘센트(10)가 안착되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120), 그리고 관통홀(131)을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각 관통홀(131)들의 주변에는 플러그의 유무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981)가 마련되며, 커버 하우징(910)에는 콘센트(10)의 사용여부를 출력하는 램프(983)가 마련된다. 감지부(981)는 관통홀(131)들마다 하나씩 마련될 수 있고, 램프(983)는 관통홀(131)들의 개수만큼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컨트롤을 위해 컨트롤러(990)가 마련된다. 컨트롤러(990)는 감지부(981)의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98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컨트롤러(990)는 중앙처리장치(991, CPU), 메모리(9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9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991)는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981)의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983)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9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991)과 연결된다. 메모리(9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9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9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99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990)는 감지부(981)의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98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990)가 감지부(981)의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983)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9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9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여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콘센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또한 여러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콘센트 11 : 플러그 단자
100 : 콘센트용 안전커버 110 : 커버 하우징
110a : 콘센트 수용공간 111 : 측면
112 : 후면 120 :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
130 : 상부 플레이트 131 : 관통홀
140 : 장식용 바퀴

Claims (5)

  1. 콘센트가 수용되는 콘센트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전면을 제외한 측면과 후면이 차폐되는 커버 하우징; 및
    상기 커버 하우징 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콘센트가 안착되는 콘센트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의 개수에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 내에는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 단자와 관통홀 간의 축선이 동일하도록 상기 콘센트의 센터링 위치를 잡아주는 센터링용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관통홀 각각의 주변에는 플러그의 유무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상기 콘센트의 사용여부를 출력하는 램프가 상기 관통홀의 개수만큼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부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미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안전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측면 하단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장식용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안전커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게 상기 커버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안전커버.
KR2020160003018U 2016-06-02 2016-06-02 콘센트용 안전커버 KR200483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18U KR200483194Y1 (ko) 2016-06-02 2016-06-02 콘센트용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18U KR200483194Y1 (ko) 2016-06-02 2016-06-02 콘센트용 안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94Y1 true KR200483194Y1 (ko) 2017-04-19

Family

ID=5866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018U KR200483194Y1 (ko) 2016-06-02 2016-06-02 콘센트용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94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03A (ko) 1993-06-15 1995-01-03 니시모토 간이치 용지 매거진
KR200299252Y1 (ko) * 2002-09-16 2003-01-03 이창영 콘센트 보호용 커버
KR20040029994A (ko) 2001-05-14 2004-04-08 유니레버 엔.브이. 축축한 세정 와이프
JP2005317427A (ja) * 2004-04-30 2005-11-10 Mamoru Kobayashi 埋込型電気コンセント装置
KR100576679B1 (ko) * 2002-12-30 2006-05-04 박종윤 멀티탭 콘센트
KR20100042174A (ko) * 2008-10-15 2010-04-23 고대선 유에스비 포트를 구비한 탁상용 멀티탭
KR20130072119A (ko) 2011-12-21 2013-07-01 더 보잉 컴파니 판옵틱 가시화 도큐먼트 레이아웃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03A (ko) 1993-06-15 1995-01-03 니시모토 간이치 용지 매거진
KR20040029994A (ko) 2001-05-14 2004-04-08 유니레버 엔.브이. 축축한 세정 와이프
KR200299252Y1 (ko) * 2002-09-16 2003-01-03 이창영 콘센트 보호용 커버
KR100576679B1 (ko) * 2002-12-30 2006-05-04 박종윤 멀티탭 콘센트
JP2005317427A (ja) * 2004-04-30 2005-11-10 Mamoru Kobayashi 埋込型電気コンセント装置
KR20100042174A (ko) * 2008-10-15 2010-04-23 고대선 유에스비 포트를 구비한 탁상용 멀티탭
KR20130072119A (ko) 2011-12-21 2013-07-01 더 보잉 컴파니 판옵틱 가시화 도큐먼트 레이아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64615U (zh) 一种防水插座模块及组合式墙体开关插座
US20140134860A1 (en) Power socket and safety gate mechanism thereof
KR200483194Y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CN206004048U (zh) 一种新型的墙插
KR101487393B1 (ko) 멀티탭용 케이스
CN207834661U (zh) 一种安全型家电插座
KR20110044570A (ko) 양방향 멀티탭
CN216085447U (zh) 插座
CN202949066U (zh) 一种插座保护器
KR200472130Y1 (ko) 매립형 전원콘센트
KR101382698B1 (ko) 자동 개폐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CN103606475A (zh) 一种新型的墙面触摸开关
CN207692238U (zh) 一种有利于级联和接线的伺服驱动器
CN206650268U (zh) 一种防触电高安全性的弹性插座
CN105140699A (zh) 一种带有插拔式插座模块的墙壁插座
CN106602333A (zh) 插头保护装置
CN202513363U (zh) 张合式a型usb插座
CN205355597U (zh) 一种三相配电箱
CN203660136U (zh) 一种带盖板的插线板
CN204651373U (zh) 一种电池机柜及具有所述电池机柜的组合电池柜
CN205488776U (zh) 地面插座
CN203911078U (zh) 安全插座
CN103500895A (zh) 用于机柜测试的内凹式测试接口组件
KR20180009620A (ko) 플러그의 선간간섭을 방지하는 멀티탭 연결구조
CN203942085U (zh) 插头保护的环保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