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96Y1 - Necklace type earset - Google Patents

Necklace type ear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96Y1
KR200480696Y1 KR2020140009162U KR20140009162U KR200480696Y1 KR 200480696 Y1 KR200480696 Y1 KR 200480696Y1 KR 2020140009162 U KR2020140009162 U KR 2020140009162U KR 20140009162 U KR20140009162 U KR 20140009162U KR 200480696 Y1 KR200480696 Y1 KR 200480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cable
lower housing
housing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1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2131U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모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96Y1/en
Publication of KR20160002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3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9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격한 활동시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이어셋의 비사용시 그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목걸이형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착탈 수단;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일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간의 교차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대향하며 배치되어 상기 착탈 수단에 의해 상호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3 케이블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lace-type earset capable of preventing an earset from deviating from a wearer's body during a violent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ensuring storage or carrying convenience when the earset is not used.
A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consisting of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Detachment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o each other; A first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A second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earphone; And a third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disposed such that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detachment means by the cross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So as to form a shape.

Description

목걸이형 이어셋{NECKLACE TYPE EARSET}Necklace type earset {NECKLACE TYPE EARSET}

본 고안은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목걸이 형태로 착용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arset capable of receiv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from an electronic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worn in the form of a necklace.

멀티미디어가 휴대 전자 단말기의 주요 기능으로 내장됨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단말기를 통하여 여러 가지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전자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시도하고자 할 경우 이어셋 내지 헤드셋(이하, '이어셋'으로 통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Since the multimedia is embedded as a main fun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various contents can be appreciated through an electronic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 particular, when listening to music or trying to make a call while carrying an electronic terminal, A headset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earset) is generally used.

이어셋은 전선의 도중에 음성입력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바디가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는 전자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잭이 구비되며, 상기 잭에서 분기된 전선의 타측에는 이어폰 한 쌍이 구비되는 유선 이어셋 형태가 있고, 상기 잭을 대체하여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채용하여 잭을 전자 단말기에 연결할 필요없이 무선으로 음악 감상 및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무선 이어셋 형태가 있다.The earset includes a body for inputting a voice input or a control command in the middle of a wire, a jack for connecting to an electronic terminal at one end, and a wired earset having a pair of earphones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branched from the jack There is a wireless earset type in which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is substituted for the jack to implement a music listening and calling function wirelessly without having to connect a jack to an electronic terminal.

특히, 최근에는 스포츠와 같은 격한 활동시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어셋의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C자 형상의 넥밴드 형태(선행특허 1 참조)로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event the earse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wearer during severe activities such as sports, a technique of forming a neckband of a C-shaped shape (see the prior patent 1) .

또는, 이어셋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가방이나 핸드백에 보관하지 않고 목에 걸어 전선이 엉키지 않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이어폰 측에 한 쌍의 착탈수단(예컨대, 한 쌍의 영구자석)을 장착한 형태로(선행특허 1,2 참조)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lternatively, a pair of attaching and detaching means (for example, a pair of permanent magnets) may be mounted on the earphone side so that the earphone can be carried without being tangled to the neck without being stored in a bag or a handbag when the earphone is not in use (Refer to the prior patents 1 and 2).

그러나, C자 형상의 넥밴드 형태의 이어셋은 사용자의 목에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제품의 부피가 커지고, 특히 C자 형상의 넥밴드는 형태가 가변되지 못하고 고정되어 접거나 말수 없기 때문에 해당 제품의 비사용시 가방이나 핸드백에 보관이 불편하여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shaped neckband-type earse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tably worn on the user's neck, but the volume of the product is in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C-shaped neckband can not be folded or fix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port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inconvenience of storing in bags or handbags when the product is not used.

한편, 선행특허 2와 같이 이어폰 측에 한 쌍의 착탈수단을 마련한 이어셋의 경우, 제품의 비사용시 그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격한 활동시 이어폰이 귀에서 쉽게 이탈하여 분실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arset provided with a pair of attaching / detaching means on the earphone side as in the prior patent 2, it is easy to store the earphone when the product is not used. However, there was.

선행특허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4590호 (2014.05.28)Prior Pat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64590 (Apr. 선행특허 2.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186호 (2013.04.08)Prior Patent 2.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3-0002186 (Apr. 201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격한 활동시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이어셋의 비사용시 그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목걸이형 이어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earset from deviating from the wearer's body at the time of intense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A necklace-type earset that can be folded and fol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착탈 수단;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일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cklace-type earset including a body including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Detachment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o each other; A first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A second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earphone; And a third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간의 교차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대향하며 배치되어 상기 착탈 수단에 의해 상호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3 케이블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disposed such that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detachment means by the cross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So as to form a shape.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에 의하면, 스포츠와 같은 격한 활동시에도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분실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불어 이어셋의 비사용시에는 케이블을 감거나 말아 최소의 부피로 수납할 수 있어 그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ve necklace-type ears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arse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of the wearer even in a severe activity such as sports, so that the risk of loss can be minimized, and when the earset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torage or carrying convenie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하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과정에서 수반되는 교차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완료시 형성되는 목걸이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wearing a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sectional view of an upper housing of a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lower housing of the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necklace shape formed when the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ig. 5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아래 또는 종단부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above or above "means to be located above, below, or at the end of the object portion, and means necessarily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no.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when a section of an area,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above another section ", this applies not only to the case where the other section is "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하부 하우징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housing of a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lower housing of a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셋은 바디(10), 케이블 (30) 및 한 쌍의 이어폰(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necklace-type ear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 a cable 30 and a pair of earphones 20.

특히, 바디(10)는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되고, 착탈 수단(40)을 구비하며, 케이블(30)은 제1 케이블(31), 제2 케이블(32) 및 제3 케이블(33)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body 10 is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3, and has a detachable means 40, and the cable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31, the second cable 32, And a third cable (33).

그리고,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셋은 바디(10)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PCB)(5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 마이크(53), 접속포트(57), 발광부(미도시) 및 배터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ecklace-type ear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5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a microphone 53, a connection port 57,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battery 60, as shown in Fig.

본 고안의 바디(10)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15) 또는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53)이 장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어 명령'이란 음량조절 명령, 음악재생 명령, 통화의 연결 또는 종료 명령 등과 같이 이어셋과 통신 연결된 전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지칭한다.Th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means (15)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or means (53) for inputting a voice are mounted. Here, the 'control command' refers to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the electronic terminal connected to the earset such as a volume control command, a music playback command, a connection or termination command of a call, and the like.

그리고, 이러한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은 버튼 또는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전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그에 상응하는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 참고로, 도 1의 실시예는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을 버튼 형태로 구성하였다.The control command input means 15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or a touch panel, and the control command input thereto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to realize a corresponding function. 1, the control command input means 15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그리고, 음성 입력 수단(53)은 전화 통화 또는 녹음 기능 같이 이어셋을 통해 전자 단말의 음성 관련 기능을 진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입력 수단(53)은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을 통해 전자 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Then, the voice input means 53 can be used to carry out the voice related function of the electronic terminal through the earset such as a telephone call or a recording function. The voice input means 53 may be micro-structured, and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thereby realizing a corresponding function.

이러한 바디(10)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되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은 착탈 수단(40)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body 10 is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3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by the attaching / do.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11)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5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 음성 입력 수단(53), 접속포트(57), 및 영구 자석(40)이 구비되고, 일 영역에는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upper housing 11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receiving space is provid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5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voice input means 53 A connection port 57 and a permanent magnet 40. The control command input means 15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one region.

한편, 마이크는 인쇄회로기판(50)에 실장되어 바디(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마이크에 수직 상부에 대응하는 바디(10)의 일 위치에는 음성이 해당 마이크 측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음성홀(5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 so that voice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10 at one position of the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microphone. The hole 55 can be formed through.

하부 하우징(13)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배터리(60)가 장착된다.The lower housing 13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battery 6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본 고안의 케이블은 전자 단말기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각 이어폰(20)으로 전송하기 위한 도체선으로서, 세부적으로는 접속 대상 내지 연결 위치를 기준으로 제1 케이블(31), 제2 케이블(32) 및 제3 케이블(33)로 구분될 수 있다.The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or wire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received by an electronic terminal to each earphone 20. Specifically, the cable includes a first cable 31, a second cable 32, And a third cable (33).

제1 케이블(31)은 본 고안의 케이블의 전체 영역 중 상부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 및 연장되어 제1 이어폰(21)과 연결되는 케이블 영역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1 케이블(31)은 그 일단부는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21)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cable 31 refers to a cable area which is extended from the upper housing 11 of the entire area of the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21. Thus, the first cable 31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21.

제2 케이블(32)은 본 고안의 케이블(30)의 전체 영역 중 하부 하우징(13)으로부터 인출 및 연장되어 제2 이어폰(22)과 연결되는 케이블 영역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2 케이블(32)은 그 일단부는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22)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The second cable 32 refers to a cable area that extends from the lower housing 13 out of the entire area of the cab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earphone 22. Thus, the second cable 32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1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earphone 22.

제3 케이블(33)은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사이에 개재되는 케이블 영역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3 케이블(33)은 그 일단부는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The third cable 33 refers to a cable area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 Thus, the third cable 33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13.

한편, 제3 케이블(33)은 후술할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 그리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간의 부착 동작에 의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 구성에 해당한다.Meanwhile, the third cable 33 forms a necklace shape by a crossing operation between a first cable 31 and a second cable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n attachment operation between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

본 고안의 이어폰(20)은 제1 이어폰(21) 및 제2 이어폰(22)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제1 이어폰(21)은 제1 케이블(31)을 통해 상부 하우징(11)과 연결되고, 제2 이어폰(22)은 제2 케이블(32)을 통해 하부 하우징(13)과 연결된다.The earphon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pair of a first earphone 21 and a second earphone 22. The first earphone 21 is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11 through a first cable 31 And the second earphone 22 is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13 through the second cable 32.

그리고,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어폰(22)은 각각 사용자의 귀에 삽입 착용되고, 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그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earphone 21 and the second earphone 22 ar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respectively, and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a cable connected thereto and output to the outside.

본 고안의 착탈 수단(40)은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 후,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을 상호 결합시켜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능 한다.The detachment means 4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to each other. Specifically, after the cross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able 31 and the second cable 32, And functions to form a necklace shape by coupling the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togethe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 수단(40)은 영구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상부 하우징(11) 내부의 하면 측에 제1 영구자석(41)이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도 2(b)와 같이 하부 하우징(13) 내부의 상면 측에 제1 영구자석(41)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영구자석(43)이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attaching / detaching means 40 can be constituted by a permanent magnet. That is, as shown in FIG. 2 (a), the first permanent magnet 41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4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lower housing 13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3 having the opposite polarity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41 may be attached and fixed.

상기 경우, 상부 하우징(11)은 제1 영구자석(41)이 부착되어 있는 일면이 제2 영구자석(43)이 부착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13)의 일면과 대향하며 밀착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pper housing 1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ermanent magnet 41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3,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housing, to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3 is attached .

한편, 도 2 실시예의 경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모두 영구 자석(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부 하우징(11)에는 영구 자석을 장착하고 하부 하우징(13)에는 금속재를 장착하거나, 또는 그 반대 경우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ermanent magnets 40 are provided in both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permanent magnets are mounted on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permanent magnets are mounted on the lower housing 13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ame object can be achieved by mounting a metallic material or by reversing the cas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 수단(40)은 끼움 돌기와 끼움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부 하우징(11)의 일 외면 상에는 돌기 형상의 끼움 돌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하부 하우징(13)의 일 외면 상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억지 끼움될 수 있는 구조의 끼움홈을 끼움 돌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ttaching / detaching means 40 can be constituted by a fitting projection and a fitting groove. That is, at least one protrusion-shaped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3, the same number of protrusions as the fitting protrusions, .

상기 경우, 상부 하우징(11)은 끼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일면이 끼움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13)의 일면과 대향하며 밀착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In this case, one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 o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is opposed to one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3 formed with the fitting grooves, and is tightly coupled.

본 고안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은 이어셋이 전자 단말기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은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기술 표준이다. 주로 10m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무선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기 때문에 이어셋과 전자 단말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생략할 수 있고, 일정 거리 떨어지더라도 신호를 받을 수 있다.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n electronic terminal of an earset, and preferabl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may comprise a Bluetooth module.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standard. It is used when a low-power wireless connection is needed in the shortest distance of about 10m mainly. Since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able for directly connecting the earset and the electronic terminal can be omitted, and the signal can be received even when the distance is short.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51)은 전자 단말기와 커플링되어 전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을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 또는 음성 입력 수단(53)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전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Bluetooth module 51 may be coupl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to receive an audio signal from the electronic terminal and output sound through the earphone or may be input through the control command input unit 15 or the voice input unit 53 Signal to the electronic terminal.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51)은 인쇄회로기판(50)에 실장되어 상부 하우징(11) 내부에 격납될 수 있다.The Bluetooth module 51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stored in the upper housing 11.

본 고안의 접속포트(57)는 바람직하게는 USB 포트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USB 포트(57)에는 전력선이 접속되어 하부 하우징(13)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60)의 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 57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USB port, and a power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USB port 57 to be used for charging the battery 60 built in the lower housing 13 have.

본 고안의 발광부는 점멸 동작, 또는 발광색의 선택을 통해 이어셋 내지 전자 단말기의 현재 동작 내지 상태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음악 재생 중에는 녹색 빛을 점등하고, 충전 중에는 붉은 빛을 점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발광부는 LED 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the current operation or state of the earset or the electronic terminal through a blink operation or a selection of a light emission color. For example, green light may be turned on during music playback, and red light may be turned on during charging. On the other hand, such a light emitting por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LED chip.

본 고안의 배터리(60)는 하부 하우징(13) 내부에 구비되어 이어셋의 각 부품이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6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분리형 또는 내장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battery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housing 13 to supply power to operate each component of the earset. The battery 60 may b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of a separate type or built-in type.

이하에서는,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 그리고 상기 교차 동작에 따른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간의 부착 동작, 그리고 상기 부착 동작에 따른 목걸이 형태 형성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ross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able 31 and the second cable 32, an attaching operation between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in accordance with the crossing operation, and a necklace shaping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과정에서 수반되는 교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완료시 형성되는 목걸이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necklace formed when the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전에는 도 1과 같이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이 상호 교차됨 없이 나란히 배열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기준으로 제1 이어폰(21)과 제1 케이블(31)은 왼쪽에 위치하고, 제2 이어폰(22)와 제2 케이블(32)은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제한다.Before the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he first cable 31 and the second cable 32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out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Here,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earphone 21 and the first cable 31 are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earphone 22 and the second cable 32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FIG.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셋을 착용하기 위한 중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1과 같이 왼쪽에 위치한 제1 이어폰(21)을 오른쪽 방향(R1)으로 당기고, 오른쪽에 위치한 제2 이어폰(22)을 왼쪽 방향(L1)으로 당기면, 이에 수반하여 제1 이어폰(21)에 연결된 제1 케이블(31)은 오른쪽 방향(R1)으로 향하게 되고, 제2 이어폰(22)에 연결된 제2 케이블(32)은 왼쪽 방향(L1)을 향하게 된다.1, the first earphone 21 located on the left side is pulled in the right direction R1 and the second earphone 22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is pulled in the right direction R1. The first cable 31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21 is directed to the right direction R1 and the second cable 32 connected to the second earphone 22 is pulled in the left direction L1. Is directed to the left direction (L1).

그리고, 이러한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어폰(22)의 좌우 방향 당김 동작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도 3과 같이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이 상호 교차하게 되는 교차 동작이 시작된다.When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first earphone 21 and the second earphone 22 in the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first and second cables 31 and 32 cross each other as shown in FIG. Lt; / RTI >

상기와 같은 교차 동작의 시작 후,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어폰(22)을 각각 좌우 방향 더 당기게 되면, 교차 지점(C1)은 점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측으로 근접하게 되고, 종국에는 도 4와 같이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상호 대향하며 배치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When the first earphone 21 and the second earphone 22 are further pu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fter the start of the above-mentioned crossover operation, the intersection point C1 gradually becomes closer to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ide,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상호 대향하는 배치 상태에 이르게 되면, 착탈 수단(40)에 의해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상호 부착됨으로써 도 4와 같이 제3 케이블(33)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When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come to a mutually opposed arrangement state,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attaching / detaching means 40, 3 cable 33 form a necklace shap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1 상태의 제3 케이블(33)을 목에 걸친 상태에서 도 3과 같은 교차 동작을 실시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제3 케이블(33)이 목걸이 형태로 사용자의 목(5)을 감고 있게 되는 착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케이블(33)의 총 길이는 사용자의 적어도 목 둘레보다 더 큰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the necklace-typ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performs a cross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3 while the third cable 33 is in the state of FIG. 1, the third cable 33 is connected to the user Thereby forming a wear structure in which the neck 5 of the wearer 1 is wound. Thus, the total length of the third cable 33 should be greater than at least the neckline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이폰을 사용자의 양측 귀 (1,3)에 각각 삽입하면 본 고안의 이어셋의 착용이 완료되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first earphone 21 and the second earphone are inserted into the user's both ears 1 and 3 respectively, wearing of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셋은 스포츠와 같은 격한 활동시에도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이어셋의 비사용시에는 케이블을 감거나 말아 최소의 부피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휴대성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necklace-type ear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arse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of the wearer even in a severe activity such as sports, and when the earset is not u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convenient portability.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bed terminology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the technical scope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상부 하우징 13: 하부 하우징
15: 제어 명령 입력 수단 21: 제1 이어폰
22: 제2 이어폰 31: 제1 케이블
32: 제2 케이블 33: 제3 케이블
40: 착탈수단 41: 제1 영구자석
43: 제2 영구자석 50: 인쇄회로기판
51: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53: 음성 입력 수단
57: 접속포트 60: 배터리
11: upper housing 13: lower housing
15: control command input means 21: first earphone
22: second earphone 31: first cable
32: second cable 33: third cable
40: detachment means 41: first permanent magnet
43: second permanent magnet 50: printed circuit board
51: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3: voice input means
57: connection port 60: battery

Claims (7)

제어 명령 또는 음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바디; 및 음향을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이하, '제1 이어폰 및 제2 이어폰'이라 함)을 포함하는 이어셋에 있어서,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으로 이루어진 상기 바디;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착탈 수단(40);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 (21)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31); 일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22)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32);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3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상기 하부 하우징(13)은,
상기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대향하며 배치되어 상기 착탈 수단(40)에 의해 상호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3 케이블(33)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A body having a control command or voice input means; And a pair of earphones for outputting s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earphone and a second earphone'),
The body comprising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3) which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Detachment means (40)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to each other; A first cable 3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21; A second cable (3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1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earphone (22); And a third cable (3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13)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the cross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able 31 and the second cable 32 and are mutually attached by the detachment means 40, 3 cable (33) is configured to form a necklace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4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구비되는 제1 영구자석(41); 및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구비되는 제2 영구자석(43)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은 자력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achment means (40) includes a first permanent magnet (41) provided in the upper housing (11);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43) provided on the lower housing (13), wherein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4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구비되는 끼움 돌기; 및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구비되는 끼움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은 상기 끼움 돌기와 끼움홈 간의 억지 끼움 동작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achment means (40)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3)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y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fitting projections and the fitting groo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housing (11)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케이블(33)의 길이는 상기 이어셋의 사용자의 적어도 목 둘레보다 더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ength of the third cable (3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at least the neckline of the user of the ears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 및 상기 하부 하우징(13)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provided inside the upper housing 11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electronic terminal; And a battery (60) provided inside the lower housing (13) to supply electric pow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의 입력 수단은 버튼 또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음성의 입력 수단은 마이크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means of the control command is constituted by a button or a touch panel, and the voice input means is micro-structured and mounted to the upper housing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0) 및 접속포트(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a connection port (57) provided in the upper housing (11).
KR2020140009162U 2014-12-11 2014-12-11 Necklace type earset KR2004806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62U KR200480696Y1 (en) 2014-12-11 2014-12-11 Necklace type ear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62U KR200480696Y1 (en) 2014-12-11 2014-12-11 Necklace type ear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31U KR20160002131U (en) 2016-06-21
KR200480696Y1 true KR200480696Y1 (en) 2016-06-28

Family

ID=5634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162U KR200480696Y1 (en) 2014-12-11 2014-12-11 Necklace type ear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96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55B1 (en) * 2017-07-11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CN107820153A (en) * 2017-10-26 2018-03-20 深圳市乐伟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arphone
KR101986935B1 (en) * 2018-01-25 2019-09-30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Neck band-type sound output apparatus
KR200489863Y1 (en) * 2018-02-09 2019-08-21 전병률 handsfree earphones
KR200495618Y1 (en) * 2020-06-26 2022-07-08 김종성 Portable mask neckl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303Y1 (en) 2005-05-20 2005-08-01 크레신 주식회사 Earphone modifiable necklace type
KR200424249Y1 (en) 2006-05-16 2006-08-17 크레신 주식회사 Necklace/general type earpho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386U (en) * 1996-12-03 1998-09-05 최태규 Portable earphone
KR20100012009A (en) * 2008-07-27 2010-02-04 이진명 Necklace style bluetooth earphone
KR20130002186U (en)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아이지일렉콤 ear phone
KR101498087B1 (en)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Bluetooth heads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303Y1 (en) 2005-05-20 2005-08-01 크레신 주식회사 Earphone modifiable necklace type
KR200424249Y1 (en) 2006-05-16 2006-08-17 크레신 주식회사 Necklace/general type ea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31U (en)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US10104463B2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10237642B2 (en) Wireless earphones and earphones charging case
KR200480696Y1 (en) Necklace type earset
EP3393137B1 (en) Pair of wireless headphones
CN102804741B (en) An earphone system comprising an earphone and a portable holding device
TWI364887B (en) Connectors designed for ease of use
KR101755320B1 (en) Modifiable bluetooth headset
KR101718325B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JP2015515787A (en) Integrated detachable earphone device for wireless phone
KR101542598B1 (en) Bluetooth Earphone Equipped with Changeable Tension Bar
CN103763647A (en)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US9414146B2 (en)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CN210629797U (en) Bluetooth earphone set
CN210042126U (en) True wireless earphone
US20180041826A1 (en) Wearable device for listening to sound
KR101373899B1 (en) Bluetooth earphone
CN107708019A (en) One kind wears In-Ear integral earphone
US11290580B2 (en) Attachment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a mobile device
KR20170011549A (en) Wireless earset
KR200483250Y1 (en) Necklace type wireless earphone apparatus
CN212013028U (en) TWS earphone independent power supply circuit and charging box
WO2017141581A1 (en) Device for detachably coupling portable telephone and headset
CN210007871U (en) magnetic suction type Bluetooth earphone
KR20160116555A (en) Speaker mounted by headset and headset assembly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