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49Y1 - The giga mike - Google Patents

The giga mi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49Y1
KR200480649Y1 KR2020150002211U KR20150002211U KR200480649Y1 KR 200480649 Y1 KR200480649 Y1 KR 200480649Y1 KR 2020150002211 U KR2020150002211 U KR 2020150002211U KR 20150002211 U KR20150002211 U KR 20150002211U KR 200480649 Y1 KR200480649 Y1 KR 200480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coupling portion
cap
us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2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대
Original Assignee
김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대 filed Critical 김주대
Priority to KR2020150002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4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4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가 마이크는 사용자의 목에 걸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내부마이크가 포함되되 일정한 무게와 부피로 이루어진 내부마이크부, 상기 걸이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며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되 일정한 무게와 부피로 이루어진 마이크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목에 걸수 있는 걸이부의 양측으로 내부마이크가 형성된 내부마이크부와 음성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고개를 어느 일측방향으로 돌리더라도 어느 한 곳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 목소리를 외부로 송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얼마든지 몸을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소리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giga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portion formed to be hooked on a user's neck, an internal microphone portion including an internal microphon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ok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volume, and an interfac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ok portion It consists of a microphone connection with constant weight and volum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microphone portion formed with the inner microphone and the microphon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voice devic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that can be hooked to the user's neck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lace the microphone The voice can be sent out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ke a sound while moving his or her body.

Description

기가 마이크{The giga mike}The giga mike

본 고안은 기가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의 일측으로 내장형의 마이크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면서 잭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외장형의 음성장치를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고개를 돌리더라도 사용자의 음성을 용이하게 출력시킬 수 있는 기가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ga micro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nal microphone that can be connected to a microphone through a jack while adjusting a microphone at a different angle to the oth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ga microphone capable of easily outputting a user's voice even if the user turns his / her head at various angles.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35680호와 같이 목에 걸수 있는 넥고정부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성대의 울림을 확인할 수 있는 넥마이크를 설치하고, 타측으로 사용자의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는 음성장치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른 2가지의 방식으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The microphone which is generally used is provided with a neck microphone for confirming the sound of the user's vocal cords to the side of the neck nose which can be put on the neck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5680, And a voice unit is formed so that voice can be output in two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하지만, 상기와 같이 2가지의 종류의 마이크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음성장치의 각도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의복에 직접 설치하거나 집게 등을 통해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wo types of microphones are used as described above, the angles of the audio apparatuses can not be properly adjus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installed directly on the wearer's clothing or fixed through the pincers.

본 고안의 기가 마이크는 사용자의 목에 걸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내부마이크가 포함되되 일정한 무게와 부피로 이루어진 내부마이크부, 상기 걸이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며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되 일정한 무게와 부피로 이루어진 마이크연결부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걸이부의 양측으로 내부마이크가 형성된 내부마이크부와 음성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고개를 어느 일측방향으로 돌리더라도 어느 한 곳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 목소리를 외부로 송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얼마든지 몸을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걸이부의 양측으로 형성된 내부마이크부와 마이크연결부가 일정한 부피와 무게를 가지고 있어, 마이크가 쉽게 흔들리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의 일정한 지점에 자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마이크의 움직임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걸이부에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도록 토르말린이 함유되어 있어,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giga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portion formed to be hooked on a user's neck, an internal microphone portion including an internal microphon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ok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volume, and an interfac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ok portion An inner microphone unit having an inner microphon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that can be hooked to a user's neck and a microphone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voice uni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end out a voice to the outside through a microphone in any one place so that a user can easily make a sound while moving his or her body and the inner microphone portion and the microphone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are constant It has volume and weigh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ser's body without being easily shaken and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microphone and to contain tourmaline so as to emit negative ions to the hook portion, And to provide a health-friendly ingredient to the user.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목에 걸수 있는 걸이부의 양측으로 내부마이크가 형성된 내부마이크부와 음성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고개를 어느 일측방향으로 돌리더라도 어느 한 곳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 목소리를 외부로 송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얼마든지 몸을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소리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microphone portion formed with the inner microphone and the microphon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voice devic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which can be hooked to the user's neck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lace the microphone The voice can be sent out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ke a sound while moving his or her body.

그리고, 상기 걸이부의 양측으로 형성된 내부마이크부와 마이크연결부가 일정한 부피와 무게를 가지고 있어, 마이크가 쉽게 흔들리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의 일정한 지점에 자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마이크의 움직임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ner microphone portion and the microphone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have a certain volume and weight, the microphone can be easily held and can be kep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ser's body, and the inconvenient problem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microphone can be solv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또한, 상기 걸이부에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도록 토르말린이 함유되어 있어,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ourmaline is contained in the hook so as to release an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ealth-friendly ingredient can be provided to a user using the microphone.

도 1과 2는 본 고안인 기가 마이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와 4는 본 고안인 기가 마이크의 내부마이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와 6은 본 고안인 기가 마이크의 마이크연결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Figs.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iga microphone as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ner microphone portion of the giga microphone as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icrophone connection portion of the Giga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기가 마이크(5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0), 내부마이크부(20), 마이크연결부(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giga microphon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10, an internal microphone 20, and a microphone connector 30.

먼저, 상기 걸이부(10)는 목걸이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그 형상이나 재질 등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hooking portion 10 is formed to be able to hang on a user's neck like a necklace, an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hooking portion 10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예를 들어, 'c'자 형태나 'o'자 형태 또는 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을 말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플레시블관과 같이 걸이부(10)의 형상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꺾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c' shape or an 'o' shape or a string,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flexible tub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It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걸이부(10)에는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토르말린을 추가로 함유시켜 걸이부(10)를 착용하는 사용자에 건강증진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hook 10 may further contain tourmaline for releasing negative ions so that a user wearing the hook 10 can provide a beneficial effect on health promotion.

한편, 상기 내부마이크부(2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송출할 수 있는 내부마이크(21)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10)의 일측으로 연결되되 걸이부(10)의 일부가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스토퍼(22)와 상기 제1스토퍼(22)의 일측방향으로 제1상부캡(23)과 상기 제1상부캡(23)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제1하부캡(24)으로 형성되어 있다.3 to 4, the internal microphone unit 20 includes an internal microphone 21 capable of transmitting a user's voice. The internal microphone unit 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ok unit 10, A first stopper 22 to which a part of the first stopper 10 is coupled inward and a second stopper 22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upper cap 23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stopper 22. [ 1 lower cap 24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제1상부캡(23)은 제1스토퍼(22)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나 또는 홈형태로 형성되는 제1상부결합부(23a)와 제1보조상부결합부(23b)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upper cap 2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opper 22 and has a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and a first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23a, 23b are formed.

또한, 상기 제1하부캡(24)은 일측은 상기 제1스토퍼(22)에 결합되며 제1상부캡(23)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제1상부캡(23)과 결합되도록 제1상부캡(23)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부(23a) 및 제1보조상부결합부(23b)와 대응되도록 제1상부결합부(23a), 제1보조상부결합부(23b)와는 다른 형태인 제1하부결합부(24a)와 제1보조하부결합부(24b)로 형성되어 있다.One end of the first lower cap 24 is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22 and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upper cap 23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cap 23 23b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and the first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23b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and the first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23b formed on the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And is formed of a coupling portion 24a and a first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24b.

여기서, 상기 제1상부캡(23)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부(23a)와 제1보조상부결합부(23b)가 돌출된 형태일 경우 제1하부캡(24)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부(24a)와 제1보조하부결합부(24b)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과 홈부분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말하며, 상술한 바와 반대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When the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and the first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23b formed on the first upper cap 23 are protruded, the first lower coupling portion 23a formed on the first lower cap 24, The first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24a and the first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24b are formed in a groove shape so that the projected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can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에 더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제1상부캡(23)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부(23a)와 제1보조상부결합부(23b) 및 제1하부캡(24)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부(24a)와 제1보조하부결합부(24b)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formed on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auxiliary coupling portion 23b formed on the first lower coupling portion 23b and the first lower coupling portion 23b formed on the first upper cap 23, (Not shown in the drawing) such as bolts or an adhesive member (not shown in the drawing) such as an adhesive may be additionally us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first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24b and the first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24b.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내부마이크(21)는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목소리를 내부마이크(21)로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제1상부캡(23)이나 제1하부캡(24)에 다수의 타공홀(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inner microphone 21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The inner microphone 21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not shown in the figure) are formed on the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내부마이크부(20)에는 내부마이크(21)로 인입된 사용자의 목소리를 임의의 거리만큼 이격된 스피커(도면에 미도시) 등을 통해 출력시킬 수 있도록 음성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장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internal microphone 2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voice data through a speaker (not shown)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voice input by the internal microphone 21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form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 하로 결합되는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이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1케이스(25)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are coupled with each other so as to enclose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so that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The first case 25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25)에 제1상부캡(23) 및 제1하부캡(24)이 결합될 때,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나 끼움돌기나 끼움홈 등을 통해 고정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when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are coupled to the first case 25,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bolt or an adhesive, a fitting protrusion, It is self-explanatory, and detailed explanation is omitted.

이에 더해, 상기 내부마이크부(20)는 제1상부캡(23), 제1하부캡(24), 제1케이스(25)의 형상에 의해 일정한 무게와 부피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microphone unit 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eight and volume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first upper cap 23, the first lower cap 24, and the first case 25, And is formed so as to easi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다시 말해, 사용자의 신체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보다 높은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넓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내부에 무게추(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shape can be formed in a wide shape so as to provide a higher adhesion force so as to be adhered smoothly to the user's body, and a weight weight (not shown in the drawings) .

한편, 상기 마이크연결부(3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10)의 타측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31) 및 제2스토퍼(32), 제2상부캡(33), 제2하부캡(34)으로 형성되어 있다.5 to 6, the microphone connecting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oking portion 10 and includes an interface 31 and a second stopper 32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2 upper cap 33, and a second lower cap 34 as shown in Fig.

상기 인터페이스(31)는 현재 일반적으로 다양한 전기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usb형태나 일반적인 잭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t is obvious that the interface 31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usb type or a general jack type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devices at pres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2스토퍼(32)는 걸이부(10)의 타측 일부가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stopper 32 is formed such that the other part of the hook 10 is coupled inward.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22)와 제2스토퍼(32)는 동일한 작동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그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이부(10)가 내부마이크부(20)가 마이크연결부(3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The first stopper 22 and the second stopper 32 are formed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The shape of the first stopper 22 and the second stopper 32 can be variously shaped and sha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So that the inner microphone portion 20 can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icrophone connecting portion 30.

또한, 상기 제2상부캡(33)은 임의의 지점에 인터페이스(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제2스토퍼(32)에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나 홈형태의 제2상부결합부(33a)와 제2보조상부결합부(33b)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upper cap 33 has an interface 31 at an arbitrary point and a second upper coupling portion 33a which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inward and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32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auxiliary upper joint portion 33b are formed.

다시 말해, 상기 제2상부캡(33)은 인터페이스(31)를 제외하고 제1상부캡(23)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second upper cap 33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pper cap 23 except for the interface 31.

그리고, 상기 제2하부캡(34)은 일측은 상기 제2스토퍼(32)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상부캡(33)의 하측으로 결합되되 제2상부캡(33)에 형성된 제2상부결합부(33a)와 제2보조상부결합부(33b)와 대응되는 제2하부결합부(34a)와 제2보조하부결합부(34b)가 형성되어 있다.One end of the second lower cap 3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32 and the second upper cap 3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cap 33, The second lower coupling portion 34a and the second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34b corresponding to the first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33a and the second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33b are formed.

다시 말해, 상기 제2상부결합부(33a)와 제2보조상부결합부(33b)가 돌출된 형태일 경우 제2하부결합부(34a)와 제2보조하부결합부(34b)는 홈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하며, 이와 반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upper coupling portion 33a and the second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33b are protruded, the second lower coupling portion 34a and the second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34b are formed in a groove shape And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form.

또한, 상기 제2상부캡(33)과 제2하부캡(34)을 감싸는 형태인 제2케이스(35)가 형성되어 있다.A second case 35 is formed to enclose the second upper cap 33 and the second lower cap 34.

다시 말해, 상기 내부마이크부(20)와 마이크연결부(30)는 그 형태가 유사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연결부(30)도 내부마이크부(20)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와 부피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inner microphone unit 20 and the microphone connection unit 30 are formed in a similar shape and shape, and the microphone connection unit 30 is also smoothly connected to the user's body like the inner microphone unit 20 And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volum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마이크연결부(30)에 형성된 인터페이스(31)에 별도의 음성장치(40)를 연결할 수 있는데, 상기 음성장치(40)는 음성을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는 마이크, 스피커, 컴퓨터, mp3, 휴대폰 등과 같이 어떠한 장치(도면에 미도시)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A separate audio device 4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31 formed in the microphone connector 30. The audio device 40 may be a microphone, a speaker, a computer, an MP3 player, It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y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bile phone.

본 고안에서는 음성장치(40)를 마이크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 주변으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플레시블관이나 주름관 또는 다양하게 각도를 꺾을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40 is formed as a microphone, and the microphone may be formed as a flexible tube, a corrugated tube, or any other type capable of being bent at various angles so that the microphone can be easily positioned around the mouth of the user It is possible.

이에 더해, 상기 마이크연결부(30)에 음성장치(40)가 연결되어 사용될 경우 내부마이크부(20)와 같이 마이크연결부(30)에도 음성장치(40)를 통해 인입되는 소리를 임의의 거리만큼 이격된 스피커에서도 용이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통신장치 등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dio device 4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connection unit 30, the sound input through the audio device 40 is separated from the microphone connection unit 30 by an arbitrary distance like the internal microphone unit 20 A communication device or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formed so that the speaker can easily be output from the speaker.

또한, 상기 마이크연결부(3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나 접착부재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urther, it is obvious that a coupling member or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bolt can be additionally used for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microphone connecting portion 3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다양한 형상으로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걸이부(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걸이부(10)의 일측을 내부마이크부(20)의 제1스토퍼(21)의 내측으로 집어 넣은 후, 걸이부(10)의 일측 끝부분을 제1하부캡(24)의 내측으로 위치시키도록 한다.First, after positioning the hook 10 to be hooked on the user's neck in various shapes, one side of the hook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per 21 of the inner microphone 20 , And one end portion of the hook portion (10)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lower cap (24).

그런 후, 상기 제1하부캡(24)의 상측으로 제1상부캡(23)을 위치시키면서 상기 제1상부캡(23)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부(23a)와 제1보조상부결합부(23b)에 제1하부켑(24)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부(24a)와 제1보조하부결합부(24b)를 각각 대응시키면서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을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의 일측은 제1스토퍼(21)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제1스토퍼(21), 제1상부캡(23), 제1하부캡(24)을 결합시키도록 한다.Then,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upper upper coupling part 23a formed on the first upper cap 23 are positioned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wer cap 24,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wer coupling portion 24a and the first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24b formed in the first lower coupling 24,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ar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stopper 21 and the first stopper 21 and the first upper cap 23, , And the first lower cap (24).

그리고, 상기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의 외측으로 제1케이스(25)를 결합하도록 한다.The first case 25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여기서, 상기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의 내측으로 내부마이크(21) 및 내부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등이 설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inner microphone 21 and the device for operating the inner microphone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upper cap 23 and the first lower cap 24,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걸이부(10)의 타측으로 내부마이크(20)와 같은 방법으로 마이크연결부(30)를 결합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microphone connect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oking portion 10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microphone 20.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이부(10)의 타측 끝부분을 제2스토퍼(32)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서 제2상부캡(33)과 제2하부캡(34)의 사이로 위치시킨다.To put it in detail, the other end of the hook 10 is pushed into the second stopper 32 an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upper cap 33 and the second lower cap 34.

그런 후, 상기 제2상부캡(33)과 제2하부캡(34)을 서로 상하로 위치시키면서 결합시키도록 하는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결합부재나 접착부재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n, the second upper cap 33 and the second lower cap 34 are coupled with each other while vertically aligning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joining member or an adhesive member may be further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제2상부캡(33)과 제2하부캡(34)을 감싸는 제2케이스(35)를 고정시키도록 하는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결합부재나 접착부재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second case 35 surrounding the second upper cap 33 and the second lower cap 34 may be fixed. In addition, a coupling member or an adhesive member may be further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user.

상기와 같이 걸이부(10)의 양측으로 내부마이크부(20)와 마이크연결부(30)를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목에 걸이부(10)를 걸게 된다.The inner microphone unit 20 and the microphone connection unit 30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hooking unit 10 and the hooking unit 10 is hooked on the user's neck.

그러면, 상기 내부마이크부(20)와 마이크연결부(30)가 사용자의 목이나 가슴부분에 그 형상이나 부피 또는 무게 등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Then, the inner microphone 20 and the microphone connector 30 are tightly adhered to the user's neck or chest by their shape, volume, weight,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내부마이크부(20)에 형성된 내부마이크(21)만을 사용하게 될 경우 사용자가 내부마이크(21)가 없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고개를 돌리게 되면 사용자의 목소리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마이크(20)와 반대방향에 있는 마이크연결부(30)에 형성된 인터페이스(31)에 다양한 각도로 꺾을 수 있는 음성장치(40)를 연결하도록 한다.Here, when only the internal microphone 21 formed in the internal microphone unit 20 is used, if the user turns his / her hea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nal microphone 21 is not present, the voice of the user may not be output properly. The audio device 40 that can be folded at various angles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31 formed in the microphone connection portion 3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ternal microphone 20.

그런 후, 상기 음성장치(4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입 주변에 위치시켜 음성장치(40)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Then, the angle of the audio device 40 is adjusted to be positioned around the mouth of the user to use the audio device 40.

그러면, 사용자가 고개를 어느 방향으로 꺾더라도 내부마이크(21) 및 음성장치(40)를 통해 사용자의 목소리를 출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the user can output the voice of the user through the internal microphone 21 and the voice device 40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hits the head.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걸이부
20 : 내부마이크부
21 : 내부마이크
30 : 마이크연결부
31 : 인터페이스
40 : 음성장치
50 : 기가 마이크
10:
20: Internal microphone section
21: Internal microphone
30: Microphone connection
31: Interface
40: audio device
50: Giga Mike

Claims (5)

사용자의 목에 걸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부(10), 상기 걸이부(10)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내부마이크(21)와, 걸이부(10)의 일측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1스토퍼(22)와, 내측으로 내부마이크(21)와 돌출된 형태 또는 홈형태의 제1상부결합부(23a)와 제1보조상부결합부(23b)가 포함되되 일측이 제1스토퍼(22)에 결합되는 제1상부캡(23)과, 상기 제1상부캡(23)의 하측으로 결합되며 제1상부결합부(23a)와 제1보조상부결합부(23b)에 대응되는 제1하부결합부(24a)와 제1보조하부결합부(24b)가 포함되되 일측이 제1스토퍼(22)에 결합되는 제1하부캡(24)과, 상기 제1상부캡(23)과 제1하부캡(24)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케이스(25)를 포함하며, 일정한 무게와 부피로 이루어진 내부마이크부(20), 상기 걸이부(10)의 타측으로 연결되며 인터페이스(31)가 포함되되 일정한 무게와 부피로 이루어진 마이크연결부(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기가 마이크.
A hook 10 formed to be hooked on a neck of a user, an internal microphone 2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ok 10, and a first stopper (not shown) A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and a first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23b protruding from the inner microphone 21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groove and having one side engaged with the first stopper 22 A first upper cap 23 coupled to the first upper cap 23 and a first lower coupling portion 23a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upper cap 23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23a and the first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23b, A first lower cap 24 including a first upper lower cap 24a and a first auxiliary lower engaging portion 24b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22; An inner microphone 20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volume and an interface 31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ok 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Wow Group microphones, which is characterized in comprising; microphone connector 30 is made of fatig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0)에는 토르말린이 함유되어 걸이부(10)에서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기가 마이크.
2. The microphon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ortion (10) is formed so as to contain tourmaline and emit negative ions from the hook portion (1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연결부(30)는 걸이부(10)의 타측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2스토퍼(32)와, 표면으로 인터페이스(31)가 노출되고 돌출된 형태나 또는 홈형태의 제2상부결합부(33a)와 제2보조상부결합부(33b)가 포함되되 일측이 제2스토퍼(32)에 결합되는 제2상부캡(33)과, 상기 제2상부캡(33)의 하측으로 결합되며 제2상부결합부(33a)와 제2보조상부결합부(33b)에 대응되는 제2하부결합부(34a)와 제2보조하부결합부(34b)가 포함되되 일측이 제2스토퍼(32)에 결합되는 제2하부캡(34)과, 상기 제2상부캡(33)과 제2하부캡(34)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케이스(35)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가 마이크.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connection part (30) comprises a second stopper (3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oking part (10) A second upper cap 33 including a second upper coupling portion 33a and a second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33b and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32; And includes a second lower coupling portion 34a and a second auxiliary lower coupling portion 34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coupling portion 33a and the second auxiliary upper coupling portion 33b, A second lower cap 34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32 and a second case 35 formed to enclose the second upper cap 33 and the second lower cap 34 Giga microphone with featur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연결부(30)에 형성된 인터페이스(31)에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음성장치(4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가 마이크.The giga microphon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n audio device (40) capable of outputting or inputting a voice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31) formed in the microphone connection part (30).
KR2020150002211U 2015-04-08 2015-04-08 The giga mike KR2004806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11U KR200480649Y1 (en) 2015-04-08 2015-04-08 The giga mi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11U KR200480649Y1 (en) 2015-04-08 2015-04-08 The giga mi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49Y1 true KR200480649Y1 (en) 2016-06-20

Family

ID=5634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211U KR200480649Y1 (en) 2015-04-08 2015-04-08 The giga mi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4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322A (en) * 2022-07-25 2024-02-01 김정규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and public address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59Y1 (en) * 2001-04-24 2001-10-12 파르컴 주식회사 Head phone
KR20140064590A (en) * 2013-02-21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Bluetooth headset
KR101438361B1 (en) * 2014-06-19 2014-09-05 주식회사 블루콤 The neck-band type earphone that can generate negative 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59Y1 (en) * 2001-04-24 2001-10-12 파르컴 주식회사 Head phone
KR20140064590A (en) * 2013-02-21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Bluetooth headset
KR101438361B1 (en) * 2014-06-19 2014-09-05 주식회사 블루콤 The neck-band type earphone that can generate negative 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322A (en) * 2022-07-25 2024-02-01 김정규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and public address system using the same
KR102654072B1 (en) * 2022-07-25 2024-04-03 김정규 Public address system using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861B2 (en) Wireless earphone
US20160309250A1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US20150020815A1 (en) Protective Mask with Imbedded Functionality
JP2018531637A5 (en)
KR101542598B1 (en) Bluetooth Earphone Equipped with Changeable Tension Bar
US9414146B2 (en)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US20180077479A1 (en) Wireless earbud lanyard
EP2854419A1 (en) Headphone device
KR200480649Y1 (en) The giga mike
TWM317130U (en) Personal audio listening device
US9896301B2 (en) Cord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US20160074760A1 (en) Interactive Animal Communications Apparatus Accessory Device
CN210469716U (en) External putting equipment is worn to neck
KR20150069178A (en) Earphone Prevention Device
USD774179S1 (en) Positive airway pressure sound reduction device
JP3212932U (en) Folding cane structure
KR200456288Y1 (en) Stand for mobile device
CN210840019U (en) Bluetooth earphone
US9247035B1 (en) Twisted case
EP2693309A3 (en) Input device with wireless headset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US20170162211A1 (en) Device for hearing own voice
KR20190107018A (en) Sound output device
CN110213687A (en) Bluetooth headset and earplug
CN208572399U (en) A kind of portable loudspeaker box
EP3288281A3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