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958Y1 -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 Google Patents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958Y1
KR200477958Y1 KR2020130010734U KR20130010734U KR200477958Y1 KR 200477958 Y1 KR200477958 Y1 KR 200477958Y1 KR 2020130010734 U KR2020130010734 U KR 2020130010734U KR 20130010734 U KR20130010734 U KR 20130010734U KR 200477958 Y1 KR200477958 Y1 KR 200477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diary
cover
case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7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2587U (en
Inventor
박지훈
서평일
Original Assignee
서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일 filed Critical 서평일
Priority to KR2020130010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958Y1/en
Publication of KR20150002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95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8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 A45C2001/083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combined with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로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갑 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로써 기존의 지갑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현금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개시한다.
상기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스마트폰케이스와, 상기 스마트폰케이스 일측으로 연결되고, 내부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외부로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다이어리로 구성되어, 오랜 사용에도 손상되지 않고, 스마트폰다이어리의 상부보호덮개 상단으로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날씨 및 시각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확인창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다이어리를 열지 않고도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날씨 및 시각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지폐수납공간에는 여닫을 수 있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의 덮개와 스마트폰다이어리는 탈부착이 가능한 스냅버튼 또는 자석 등을 설치하여 지폐수납공간 내의 지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Discloses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cash storage unit is formed on the outside, and a wallet-shaped smartphone case is formed to accommodate cards therein. The smartphone case can be used in place of the existing wallet and is easy to store and use.
The smartphone case includes a smartphone case using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a spa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martphone cas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card therein,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bank notes, It is composed of a smart phone diary that is not damaged even after long use, and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for checking the weather and the visu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 phon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of the smart phone diary, And the weather and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without opening it.
Further,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is provided in the lid storage space, and the lid and the smart phone diary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snap button or magnet, thereby effectively protecting the bill in the bill storage space.

Description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with an external cash storage unit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로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갑 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로써 기존의 지갑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현금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more specifically, a smartphone case in the form of a wallet, which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cash storage portion and accommodates cards therein, and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a conventional wallet, And a smartphone case that is easy to store and use.

핸드폰, PDA, 전자사전,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 기기들은 그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하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Portable termin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smart phones are commonly used because they are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by users and have strong performance.

하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 기기들은 휴대성을 올리기 위하여 작은 크기로 제작되며, 이로 인하여 떨어뜨림 등으로 인한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을 필연적으로 가지게 된다. 특히 근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 기기인 스마트폰은 성능이 데스크탑 컴퓨터와 비견될 정도로 성능이 강력하나, 이로 인하여 내부의 전자회로가 초소형화, 밀집화되어 민감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가 기타 휴대 단말기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타 휴대 단말 기기등에 비하여 충격에 훨씬 취약하게 된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 devices ar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in order to increase the portability, and thus they have a disadvantage that they are vulnerable to impact due to falling or the like. Especially, smartphone, which is the most popular portable terminal device in recent years, has a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a desktop computer. However, since the internal electronic circuit is miniaturized and densified to be sensitive, It is much more vulnerable to impact than other portable terminal devices.

따라서, 상기의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떨어뜨림 등의 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크게 측면을 보호하는 범퍼케이스, 측면과 후면을 보호하는 하드케이스, 신용카드 등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다이어리케이스 등으로 구분된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smartphone generally protects the smartphone from shocks such as dropping by mounting the smartphone case on the outside. The smartphone case is divided into a bumper case for protecting the side surface, a hard case for protecting the side and rear surfaces, and a diary case for easily storing a credit card.

이중 다이어리케이스는 가죽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여닫을 수 있는 상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카드나 쿠폰 등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로써, 일반적인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The diary diary case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or the like, and is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housing part capable of easily accommodating a card or a coupon or the like is easi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an openable upper case.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다이어리케이스(10)는 스마트폰(P)의 상단을 덮는 상부케이스(11)와 측면부 및 하부를 보호하는 측면부 및 하부케이스(14)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1)를 스마트폰(P)의 상단에 덮도록 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1)가 스마트폰(P)의 상단에 덮어진 상태에서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하부케이스(14)의 타측면에 연결되고, 상기의 상부케이스(11)와 고정부(13)에는 상호간에 자석이나 핀 등의 탈부착 가능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상부케이스(11)와 고정부(13)를 연결 또는 연결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1, the general diary case 10 includes an upper case 11 for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smartphone P, a side portion for protecting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 upper case 11 is cover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martphone P so that the upper case 11 is cover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martphone P, The lower case 14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14 and the upper case 11 and the fixing part 13 are provided with detachable means such as a magnet or a pin. 11 and the fixing part 13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의 내부면으로는 카드나 쿠폰 등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 시 상부케이스(11)를 열어 수납부(12)에 수납된 카드나 쿠폰 등을 이용하고 재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다이어리케이스(10)가 제한적인 지갑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upper case 11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2 which can easily receive a card or a coupon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upper case 11, It is general that the diary case 1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limited purse together by making it possible to reuse the card or coupon.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다이어리케이스(10)는,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지갑의 기능 중 일부를 대체할 수 있기는 하지만, 현금이나 수표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는 않음으로써 통상의 지갑 기능을 완전하게 대체하기는 힘들다. 물론 지폐 등을 접어서 수납부(12)에 꽂아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며, 얇은 종이로 형성되는 지폐의 특성상 수납부(12)에서 빠져나와 분실될 위험이 있다.However, although the general diary cas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so as to accommodate cards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replace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purse, bu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space for conveniently storing cash or check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place the normal wallet function. Of course, the banknote may be folded and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12,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banknote formed by the thin paper will escape from the storage unit 12 and be lost.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어리케이스(10)에 현금을 수납할 수 있는 현금수납부를 형성한 다이어리케이스를 제작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형태가 등록실용신안 20-0263614호와 공개실용신안 20-2013-0007075호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produce a diary case in which a cash storage portion capable of storing cash is formed in the diary case 10, and most typical forms are disclosed in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63614, Shin-A 20-2013-0007075.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3등분된 장지갑의 형태로써, 일측부에 핸드폰을 결합시키고, 중앙부와 타측부에 신용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으며, 핸드폰 케이스의 상단면을 겹치도록 하여 사이로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3등분된 지갑 본체를 접어서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is a form of a long pocket divided into three halves, and a mobile phone can be coupled to one side portion and a credit card or the like can be stor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So as to be able to fold and fold the three-parted wallet body.

하지만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지갑의 기능을 하는 지갑 본체가 너무 길게 형성되며, 세 겹으로 지갑 본체를 접어서 휴대하여야 하므로 접혀진 상태의 지갑 본체가 너무 두껍게 되어 휴대에 불편함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접이식 폴더폰에 작용되는 폰케이스 구성을 가지고 있어, 스마트폰 전용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과는 구성과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이한 고안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urse body which functions as a purse is formed too long, and the purse body is folded in three folds, so that the folded purse body becomes too thick and inconvenient to carry. Further,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has a phone case structure that acts on a folding folder phone, and is a different design from the present invention used for a smart phone in its configuration and usage method.

그리고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지갑겸용 스마트폰 케이스로써, 스마트폰이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부가 구비된 하드한 합성수지 재질의 스마트폰 수납케이스의 외측에 가로방향으로 길계 가죽, 합성수지, 직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지폐수납부를 구비한 지갑 겸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public utility model is a smartphone case for a wallet. The smartphone case is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ather, synthetic resin, and woven fabric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of a hard synthetic resin housing case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case for a purse-wallet having a bill storage portion.

하지만 상기의 공개실용신안에서 지폐수납부를 제공하는 방식은 상술한 재질로 제작된 'V'자 형태의 지폐수납부를 케이스본체에 별도로 부착 등의 방식으로 연결하여 구비되는 방식으로써, 제작에 추가적인 재료가 들어 비경제적이고, 지속된 사용으로 인하여 지폐수납부와 케이스본체의 연결 부위가 닳아 약해짐으로써 내부의 지폐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ublic utility model, a method of providing a bank note storage portion is a method in which a 'V' shaped bank note storage portion made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case body by a separate attachment method or the like, The bills may not be effectively protected due to wear and tear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bill compartment and the case body due to the uneconomical and continuous use.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공개실용신안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지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보호덮개 위쪽으로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시각 및 날씨, 알림메시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확인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등록실용신안보다 개량된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bills from being separated more effectively than the public utility model described above, and can display a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for confirming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weather and notification messages provided by the smartphone above the upper protective cover So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smartphone, thereby providing a smartphone diary case improved over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described abov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스마트폰케이스와, 상기 스마트폰케이스 일측으로 연결되고, 내부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외부로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다이어리로 구성되는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case us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a spa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martphone case and accommodating a card therein, And a smartphone diary which is formed as a one-piece spac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스마트폰케이스와 스마트폰다이어리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의 카메라 및 스피커를 노출시키는 카메라노출부; 후면스피커노출부; 측면의 음량조절버튼 및 이어폰삽입공, DMB안테나를 노출시키는 음량조절노출부; 이어폰노출부; DMB노출부; 그리고 전원노출부가 형성되며,A diary type smartphone case comprising a smartphone case and a smartphone diary, wherein the smartphone case includes a camera exposure unit that exposes a camera and a speaker on a rear side of the smartphone; Rear speaker exposed portion; A side volume control button, an earphone insertion hole, and a volume control exposure unit for exposing the DMB antenna; Earphone exposed part; DMB exposure section; And a power exposure unit is formed,

상기의 스마트폰다이어리는 스마트폰의 상부과 맞닿는 상부보호덮개; 스마트폰의 하부과 맞닿는 하부보호덮개; 스마트폰의 양 측면부와 맞닿는 제1측면보호덮개와 제2측면보호덮개로 구분되어, 상기 하부보호덮개 또는 제2측면보호덮개가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와 부착 연결되고, 상기 상부보호덮개에는 정보확인창이, 하부보호덮개에는 카메라노출부와 후면스피커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호덮개와 제1측면보호덮개, 하부보호덮개의 앞면으로 상기한 덮개를 가로질러 길게 현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현금수납부가 형성된 상부보호덮개 또는 하부보호덮개의 앞면에 상기 현금수납부를 덮도록 수납부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부덮개와 스마트폰다이어리가 스냅버튼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smartphone diary may include an upper protective cover that contacts the top of the smartphone; A lower protective cover that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is divided into a first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and a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ap which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 portions of the smart phone, and the lower protection cover or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is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ase, And the lower protective cover is formed with a camera-exposed portion and a rear speaker-exposed portion, and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the first side surface protective cover, and the lower protective cover forms a long cash storage section across the cover, Wherein the storage cover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or the lower protective cover so as to cover the cash storage unit, and the storage cover and the smartphone diary are detachably connected by a snap button. Thereby providing a smartphone case with a built-in portion.

상기에서, 상부보호덮개 및 하부보호덮개의 뒷면으로 하나 이상의 카드수납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one or more card receivers may further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and the lower protective cover

상기에서, 상부보호덮개 및 하부보호덮개의 뒷면으로 기타수납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upper side protective cover and the lower side protective cove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other receiving parts on the back side.

상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의 전원노출부가 형성된 일측면이 스마트폰다이어리의 제2측면덮개와 부착 연결되고, 상기 제2측면덮개와 전원노출부가 맞닿아 있는 제2측면덮개의 앞면으로 전원버튼이 형성되도록 하여 스마트폰케이스와 스마트폰다이어리를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smartphone case, on which the power-exposed portion is formed, is attached and connected to a second side cover of the smartphone diary, and a power button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ide cover, So that the smartphone case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diary.

상기에서, 스마트폰다이어리의 제2측면보호덮개와 하부보호덮개를 일치시켜 제2측면보호덮개를 생략시키고, 스마트폰케이스의 후면부가 스마트폰다이어리의 하부보호덮개와 부착 연결되어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ve cover may be omitted by matching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ve cover and the lower side protective cover of the smartphone diary, and the rear surface portion of the smartphone case may be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protective cover of the smartphone diary.

본 고안에 따르면, 카드수납공간과 지폐수납공간이 스마트폰다이어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도 손상되지 않고, 스마트폰다이어리의 상부보호덮개 상단으로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날씨 및 시각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확인창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다이어리를 열지 않고도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날씨 및 시각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d storage space and the bill storage space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martphone diary, they are not damaged by long-term us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visu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The user can confirm the weather and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without opening the smartphone diary.

또한 상기의 지폐수납공간에는 여닫을 수 있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의 덮개와 스마트폰다이어리는 탈부착이 가능한 스냅버튼 또는 자석 등을 설치하여 지폐수납공간 내의 지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is provided in the lid storage space, and the lid and the smart phone diary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snap button or magnet, thereby effectively protecting the bill in the bill storage space.

도 1은 종래의 다이어리케이스의 구조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채 다이어리케이스를 접어 놓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에 지폐를 수납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조도.
1 is a structural view of a conventional diary case;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smartphone diary case having a cash stora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ary case folded with the smartphone combined with the smartphone diar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ll is stored in a smartphone diar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100)의 사시도이다.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smartphone diary case 100 formed with a cash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직접 거치되는 스마트폰케이스(110)와, 상기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케이스(110)를 감싸서 보호하게 되는 스마트폰다이어리(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martphone diary case 100 includes a smartphone case 110 in which a user's smartphone is directly mounted, and a case 110 in which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case 110 are wrapped and protected And a smart phone diary (200).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케이스(110)의 하단을 덮어서 보호하는 하부보호덮개(210)와 스마트폰케이스(110) 및 거치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덮어서 보호하는 상부보호덮개(220),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케이스(110)의 양 측면을 보호하는 제1측면보호덮개(230)와 제2측면보호덮개(240)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하부보호덮개(210) 및 상부보호덮개(220)는 스마트폰의 보호 효과를 높이고, 내부수납공간을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판을 형태에 맞게 형성하여 가죽 또는 직물 등으로 구성되는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외피에 고정 삽입한 후 박음질 등으로 마감하도록 하고, 제1측면보호덮개(230) 및 제2측면보호덮개(240)는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죽 또는 직물 등의 외피만으로 형성하여 마감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의 다이어리형 스마트폰케이스와 유사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2 and 3, the smartphone diary 200 includes a lower protective cover 210 covering and protecting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ase 110, a smartphone case 110, And a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240 for protecting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case 110. The first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23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240 cover the upper surface protective cover 22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240, The lower protective lid 210 and the upper protective lid 220 are formed in a shape of a thin plat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in order to enhance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smart phone and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he internal storage space The first side surface protective lid 23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ve lid 240 are fixed to the smart phone diary 200 and the smart phone diary 200. [ In order to ensure the flexibility of the diary type smartphone case, it is formed with only the outer skin of leather or fabric and closed.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케이스(11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제2측면보호덮개(240) 뒷면에 부착 연결된다. 여기서 도 2는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뒷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앞면을 도시한 것이다.The smartphone case 1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ve cover 240 of the smartphone diary 200. 2 is a rear view of the smartphone diary 200,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martphone diary 200. FIG.

상기의 스마트폰케이스(110)는 종래의 하드케이스형 스마트폰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후면부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노출부(111) 및 후면부 스피커를 노출시키는 후면스피커노출부(112), 측면부의 음량조절버튼을 노출시키는 음량조절노출부(113), 이어폰 삽입공을 노출시키는 이어폰노출부(114), DMB안테나를 노출시키는 DMB노출부(115) 등이 형성되어 스마트폰 외부에 형성된 각종 버튼 및 장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smartphone case 110 may include a camera-exposed portion 111 and a rear-speaker-exposing portion, which expose the rear-side speaker so that the rear-side camera of the mounted smartphon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 volume control exposing unit 113 for exposing a volume control button of the side portion, an earphone exposing unit 114 for exposing the earphone inserting hole, and a DMB exposure unit 115 for exposing the DMB antenna. The user can easily use various buttons and devices formed on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케이스(110)와 스마트폰다이어리(220)가 부착 연결되는 스마트폰케이스(110)의 측면으로 스마트폰의 전원이 노출되는 전원노출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는데, 상기 전원노출부(도시되지 않음) 부분은 스마트폰다이어리(220)의 제2측면보호덮개(240)에 의해 부착되어 가려지게 되므로, 상기 제2측면보호덮개(240) 상에 상기 전원노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노출된 스마트폰의 전원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는 전원버튼(116)을 상기 전원노출부(도시되지 않음)와 맞닿아 있는 제2측면보호덮개(240) 상에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Here, a power exposing unit (not shown) in which the power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martphone case 110 to which the smartphone case 110 and the smartphone diary 220 are attached and connected, (Not shown) is attached and hidden by the second side protection cover 240 of the smartphone diary 220, so that the power side of the second side protection lid 240 A power button 116 for easily pressing the power of the smartphone exposed through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ve cover 240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ve cover 240 in contact with the power exposed portion (not shown) .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폰다이어리(200)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데, 우선 도 2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뒷면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뒷면으로는 상기한 스마트폰케이스(110)의 카메라노출부(111)와 맞닿는 곳에 카메라노출부(211)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스마트폰케이스(11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후면부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부 스피커 역시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후면스피커노출부(112)와 맞닿는 부분에 후면스피커노출부(212)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The smart phone diary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back side components of the smartphone diary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amera-exposed portion 211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amera-exposed portion 111 of the smartphone case 110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ear-side camera of the smartphone, which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case 110, And the rear speaker of the smartphone is also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rear speaker exposing portion 21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rear speaker exposing portion 112 in contact with the rear speaker exposing portion 112.

또한 상기의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뒷면으로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드수납부(213)가 주머니의 형태로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재질 내부에 일체형으로 내장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카드수납부(213)는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하부보호덮개(210) 및 상부보호덮개(220) 중 어느 하나의 뒷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뒷면으로 영수증 등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기타수납부(2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기타수납부(221)는 스마트폰다이어리(200) 중 카드수납부(213)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뒷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카드수납부(213)가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하부보호덮개(210) 뒷면에 형성되고, 기타수납부(221)가 상부보호덮개(220)의 뒷면에 형성된 것을 제1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martphone diary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card storage unit 213 that can store a card or the lik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material of the smartphone diary 200 in the form of a pocket. The card housing part 213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any one of the lower protective cover 210 and the upper protective cover 220 of the smartphone diary 200. In addition, the smartphone diary 200 may have a backside of the smartphone diary 200 and may include other receivers 221 for easily receiving receipts. The other receivers 221 may be provided in the smartphone diary 200, (213) is not formed. 2, at least one card storage portion 213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ower protective cover 210 of the smartphone diary 200 and the other storage portion 22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220 As a first example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카메라노출부(211) 및 후면스피커노출부(212)가 형성된 하부보호덮개(210)의 뒷면에 스마트폰케이스(110)의 뒷면이 부착된 채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카드수납부(213) 및 기타수납부(221)를 형성하고자 할 때, 상기 상부보호덮개(220) 뒷면에 형성하도록 한다.The back side of the smartphone case 110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lower protective cover 210 on which the camera exposed portion 211 and the rear speaker exposed portion 212 of the smartphone diary 200 are formed In this case, it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220 when the card storage portion 213 and the other storage portion 221 are to be formed.

그리고 상기 상부보호덮개(220)의 상단으로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시각 또는 날씨등의 정보 및 알림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확인창(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보확인창(222) 상단으로 스마트폰의 정면스피커와 맞닿는 부분에 정면스피커노출부(223)를 형성할 수도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220, a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222 for confirming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or weather provided by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and a notification display is formed. Also, a front speaker exposing unit 223 may be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222 at a portion contacting the front speaker of the smartphone.

이상은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뒷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며,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앞면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The above is a component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smartphone diary 200. The components of the front side of the smartphone diary 2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앞면으로는 하부보호덮개(210)와 제1측면보호덮개(230), 상부보호덮개(220)에 걸쳐서 길게 현금수납부(231)가 상술한 카드수납부(213)와 동일한 방식으로 주머니의 형태로써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200)에 일체형으로 내장 형성된다. 3, the smartphone diary 200 includes a cash storage unit 231 extending over the lower protective lid 210, the first side lid 230, and the upper protective lid 22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martphone diary 200 in the form of a bag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mentioned card storage portion 213. [

그리고 상기의 현금수납부(231) 내부에 수납되는 지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보호덮개(210) 또는 상부보호덮개(220) 중 어느 하나의 앞면에 상기 현금수납부(23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수납부덮개(232)가 설치되며, 상기의 수납부덮개(232)가 스마트폰다이어리(200)에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납부덮개(232)와 스마트폰다이어리(200)의 마주보는 면상에 탈부착 가능한 스냅버튼(233)을 설치하여, 상기 수납부덮개(232)가 현금수납부(231)를 덮은 채 고정되어 내부에 수납된 지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A portion of the cash receiving portion 23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either the lower protective cover 210 or the upper protective cover 220 to prevent the banknotes stored in the cash storage portion 231 from being separated. The cover part 232 of the smartphone diary 200 and the cover part 232 of the smartphone diary 200 ar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diary 200 so that the cover part 232 of the smartphone diary 200 can be kept closed. A snap button 233 detachably mountable on the opposite surface is provided to cover the cash storage unit 231 and effectively protect the bill stored therein.

상기의 수납부덮개(2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보호덮개(210) 또는 상부보호덮개(220) 중 어느 하나의 앞면에 설치하게 되나, 미관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보호덮개(22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상부보호덮개(220)에 수납부덮개(232)가 설치된 형태를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storage cover 232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rotective cover 210 or the upper protective cover 220 as described above. However, considering the appearance and user's conveni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rotective lid 220 is installed in the upper protective lid 22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upper protective lid 220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lid 232. [

도 4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100)에 스마트폰(P)이 결합된 채 다이어리케이스(100)를 접어 놓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에서, A는 스마트폰(P)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사시도이며, B는 상기 스마트폰(P) 하부의 사시도이다.FIG. 4 shows a diary case 100 folded with the smartphone P coupled to the smartphone diary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ortion of the smartphone (P), and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martphone (P).

도 4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100)는 정보확인창(2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스마트폰(P)을 통하여 날짜나 시간, 날씨 등을 알고 싶거나 상기 스마트폰(P)에 새로운 알림이 있는지를 다이어리케이스(100)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smartphone diary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222, so that it is possible to simply know the date, time, weather, etc. through the smartphone P, The diary case 100 can be easily confirmed whether or not there is a new notification in the smartphone P even if the diary case 100 is not opened.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100)에 지폐를 수납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다이어리케이스(100)에 지폐(M)를 수납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다이어리(200)를 일자형으로 펼친 뒤, 수납부덮개(232)를 고정시키는 스냅버튼(233)을 탈착하여 수납부덮개(232)를 개방시킨 뒤, 현금수납부(231) 내의 지폐(M)를 수납하거나 인출하고, 상기 수납 또는 인출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수납부덮개(232)의 스냅버튼(233)을 부착하여 수납부덮개(232)가 현금수납부(231)를 덮음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지폐(M)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5 shows a state in which a bill is stored in the smartphone diary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tore or withdraw the bill M in the diary case 100, the user unfolds the smartphone diary 200 in a straight shape and then removes the snap button 233 for fixing the storage cover 232 The banknote M in the cash receiving section 231 is received or taken out after the banknote lid 232 is opened and the snap button 233 of the receiving lid 232 is again received, So that the banknote M housed therein can be protected by covering the cash storage section 231 with the storage section cover 232.

100 :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 110 : 스마트폰케이스. 111, 211 : 카메라노출부.
112, 212 : 후면스피커노출부. 113 : 음량조절노출부. 114 : 이어폰노출부.
115 : DMB노출부. 116 : 전원버튼. 200 : 스마트폰다이어리. 210 : 하부보호덮개.
220 : 상부보호덮개. 221 : 기타수납부. 222 : 정보확인창.
223 : 정면스피커노출부. 230 : 제1측면보호덮개. 231 : 현금수납부.
232 : 수납부덮개. 233 : 스냅버튼. 240 : 제2측면보호덮개.
100: Smartphone diary case. 110: Smartphone case. 111, 211: Camera exposure part.
112, 212: Rear speaker exposed section. 113: Volume control exposure section. 114: earphone exposed part.
115: DMB exposure section. 116: Power button. 200: Smartphone diary. 210: Lower protective cover.
220: Top protection cover. 221: Other collection. 222: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223: front speaker exposed section. 230: first side face shield. 231: Cash Collection Section.
232: compartment cover. 233: Snap button. 240: Second side face shield.

Claims (5)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스마트폰케이스와 스마트폰다이어리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의 카메라 및 스피커를 노출시키는 카메라노출부; 후면스피커노출부; 측면의 음량조절버튼 및 이어폰삽입공, DMB안테나를 노출시키는 음량조절노출부; 이어폰노출부; DMB노출부; 그리고 전원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스마트폰다이어리는 스마트폰의 상부과 맞닿는 상부보호덮개; 스마트폰의 하부과 맞닿는 하부보호덮개; 스마트폰의 양 측면부와 맞닿는 제1측면보호덮개와 제2측면보호덮개로 구분되어, 상기 하부보호덮개 또는 제2측면보호덮개가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와 부착 연결되고, 상기 상부보호덮개에는 정보확인창이, 하부보호덮개에는 카메라노출부와 후면스피커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호덮개와 제1측면보호덮개, 하부보호덮개의 앞면으로 상기한 덮개를 가로질러 길게 현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현금수납부가 형성된 상부보호덮개 또는 하부보호덮개의 앞면에 상기 현금수납부를 덮도록 수납부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부덮개와 스마트폰다이어리가 스냅버튼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상부보호덮개 및 하부보호덮개의 뒷면으로 기타수납부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케이스.
A diary type smartphone case comprising a smartphone case and a smartphone diary, wherein the smartphone case includes a camera exposure unit that exposes a camera and a speaker on a rear side of the smartphone; Rear speaker exposed portion; A side volume control button, an earphone insertion hole, and a volume control exposure unit for exposing the DMB antenna; Earphone exposed part; DMB exposure section; And a power exposure unit is formed,
The smartphone diary may include an upper protective cover that contacts the top of the smartphone; A lower protective cover that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is divided into a first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and a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ap which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 portions of the smart phone, and the lower protection cover or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is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ase, And the lower protective cover is formed with a camera-exposed portion and a rear speaker-exposed portion, and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the first side surface protective cover, and the lower protective cover forms a long cash storage section across the cover, A storage cover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or the lower protective cover so as to cover the cash storage unit, the storage cover and the smartphone diary are detachably connected by a snap button, and the upper protection cover and the lower protection And the other housing part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호덮개 및 하부보호덮개의 뒷면으로 하나 이상의 카드수납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케이스.The smartphone cas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cardhold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ve cover and the lower protective cov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의 전원노출부가 형성된 일측면이 스마트폰다이어리의 제2측면덮개와 부착 연결되고, 상기 제2측면덮개와 전원노출부가 맞닿아 있는 제2측면덮개의 앞면으로 전원버튼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케이스.[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smartphone case with a power exposed portion is attached and connected to a second side cover of the smartphone diary, an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ide cover where the second side cover and the power- And a power butt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다이어리의 제2측면보호덮개와 하부보호덮개를 일치시켜 제2측면보호덮개를 생략시키고, 스마트폰케이스의 후면부가 스마트폰다이어리의 하부보호덮개와 부착 연결되어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케이스.The smartphone dia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ide surface protection cover and the lower side protection cover of the smartphone diary are matched to each other, and the rear side of the smartphone case is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protective cover of the smartphone diary And the cash storage cas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KR2020130010734U 2013-12-24 2013-12-24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KR2004779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734U KR200477958Y1 (en) 2013-12-24 2013-12-24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734U KR200477958Y1 (en) 2013-12-24 2013-12-24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87U KR20150002587U (en) 2015-07-02
KR200477958Y1 true KR200477958Y1 (en) 2015-08-11

Family

ID=5379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734U KR200477958Y1 (en) 2013-12-24 2013-12-24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95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85B1 (en) 2019-10-14 2021-02-22 김성복 portable terminal c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87Y1 (en) * 2017-03-28 2020-01-16 김현재 Mobile phone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287B1 (en) 2012-05-24 2012-10-17 서경진 Wallet type handphone case with see through window
KR200469708Y1 (en) 2013-03-11 2013-11-01 김동순 Apparatus for keeping hand luggage capable of attach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287B1 (en) 2012-05-24 2012-10-17 서경진 Wallet type handphone case with see through window
KR200469708Y1 (en) 2013-03-11 2013-11-01 김동순 Apparatus for keeping hand luggage capable of attach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85B1 (en) 2019-10-14 2021-02-22 김성복 portable terminal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87U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20B1 (en) Mobile phone case
KR200451310Y1 (en)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KR200475833Y1 (en) a mobilephone case of card receiving space
KR200463636Y1 (en) A protection case of cellular phone
KR101461004B1 (en)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JP5689520B1 (en) Back cover for mobile phone
CN100508535C (en)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KR101419199B1 (en) A cellular phone case
KR200477958Y1 (en)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KR200488737Y1 (en) Mobile phone case
KR20140126786A (en) multi-function case for mobile phone
KR101464254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KR101591302B1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KR101532168B1 (en) A cellular phone case
KR20140002815U (en) A Move Phone Protect Case
KR200478697Y1 (en) Flip typ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23375B1 (en) Flip typ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07075U (en) Smart phone case
KR200472146Y1 (en) Protecting Case with Application which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KR200491398Y1 (en)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KR101480872B1 (en) Mobile Phone Case With Folding Type Cover
KR20140005628U (en) A Move Phone Protect Case
KR200479106Y1 (en) Multi-purpose pouch for a cellular phone
KR200482539Y1 (en) Smartphone case
KR101392058B1 (en) A cellular 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901 Re-examin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