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89Y1 - 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 Google Patents

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89Y1
KR200475489Y1 KR2020140005983U KR20140005983U KR200475489Y1 KR 200475489 Y1 KR200475489 Y1 KR 200475489Y1 KR 2020140005983 U KR2020140005983 U KR 2020140005983U KR 20140005983 U KR20140005983 U KR 20140005983U KR 200475489 Y1 KR200475489 Y1 KR 200475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onnection unit
charger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9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영일
Original Assignee
원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일 filed Critical 원영일
Priority to KR2020140005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8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저장장치와 충전기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마트폰(100)의 전원 및 데이터를 공급받는 스마트폰 접속부(140)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접속부(210); 상기 제1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 및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부(220); 및 외부로부터 전원과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공급받아 상기 제1접속부(210)로 전송하는 제2접속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er-combined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charger-combined storage device that can be simultaneously used as 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a charger.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connects 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0 to the smartphone 100 and supplies data and power to the smartphone 100. A memory unit 22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smartphon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230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data from outsid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Description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apparatus for a smart phone charger,

본 고안은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저장장치와 충전기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er-combined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charger-combined storage device that can be simultaneously used as 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a charger.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팜PC, PDA, 전자수첩,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PMP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크기도 더욱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Generally, mobile terminals refer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ortable computers, Palm PCs, PDAs, electronic organizers, digital cameras, camcorders, MP3 players, PMPs and the like. Such mobile terminals are increasingly used, The trend is becoming smaller.

이와 같은 휴대폰은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초기의 음성 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게임, MP3 청취, 인터넷 및 TV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으로 진화하면서 사용자가 필요한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받아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Such a mobile phone i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not only indoors or outdoors by a user, but also can be used on the move, and its functions limited to initial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various functions such as game, MP3 listening, It is evolving into a smartphone,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required by users are developed and provided as users evolve into a smartphone. The user can selectively download required applications and conveniently use them while on the move. It is progressing.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제조사(Maker)와 이동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서 다양한 내부회로를 구성하고,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커넥터를 이동 단말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하여 인터페이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Such a mobile terminal constitutes various internal circuits according to a maker and a model of a mobile terminal, and is provided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o that a connector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housing for interfacing.

최근에 이러한 커넥터는 스마트폰의 경우 5핀의 커넥터로 통일되고 있는 추세이며, 스마트폰의 5핀의 커넥터와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보조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such connectors have been unified as a 5-pin connector for smart phones, and secondary batteries are being developed that allow charging to be performed by connecting to a 5-pin connector of a smartphone.

이러한 스마트폰의 5핀 커넥터는 마이크로 USB 포트로도 불리우며, 충전은 물론 PC와 연결되어 PC와 스마트폰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The 5-pin connector of this smartphone is also called a micro USB port, and it is also used to send and receive data between a PC and a smart phone connected to a PC as well as charg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스마트폰의 일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폰의 접속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식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ing a connection unit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폰의 접속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의 일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1), 스마트폰 메모리부(12), 전원부(13), 스마트폰 접속부(14) 및 제어부(15)로 구성되는 스마트폰(10)에 대하여, 메모리 접속부(21)와 외장 메모리부(22)로 구성된 외장 USB 장치(20)가 스마트폰 접속부(14)와 메모리 접속부(21)를 접속시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An example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unit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display unit 11, a smartphone memory unit 12, a power source unit 13, a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 The external USB device 20 including the memory connection unit 21 and the external memory unit 22 connects 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 and the memory connection unit 21 to the smartphone 10, Respectively.

여기서 스마트폰(10)의 표시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스마트폰 메모리부(12)는 스마트폰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고, 전원부(13)는 배터리이며, 스마트폰 접속부(14)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이고, 제어부(15)는 표시부(11), 스마트폰 메모리부(12), 전원부(13) 및 스마트폰 접속부(14) 을 포함하는 스마트폰(10)을 제어한다.Here, the display unit 11 of the smartphone 10 is a display device, the smartphone memory unit 12 i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or data for smart phone operation, the power source unit 13 is a battery, The control unit 15 controls the smart phone 1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1, the smartphone memory unit 12, the power supply unit 13, and 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

이러한 스마트폰 접속부(14)는 데이터와 전원을 받아 전원부(13)를 충전시키거나 스마트폰 메모리부(1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된다.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 receives data and power and is used to charge the power source unit 13 or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smartphone memory unit 12. [

또한 외장 USB 장치(20)의 메모리 접속부(21)와 접속되어 외장 메모리부(22)의 데이터를 리드하여 표시부(11)에 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외장 메모리부(22)에는 예를 들면 영화 파일과 같은 동영상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memory connection unit 21 of the external USB device 20 to read the data in the external memory unit 22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1. [ In the external memory unit 22, for example, a movie file such as a movie file can be stor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스마트폰(10)의 스마트폰 접속부(14)에 외장 USB 장치(20)의 메모리 접속부(21)를 접속하여 외장 메모리부(22)의 동영상을 표시부(11)를 통해 시청하는 경우 스마트폰(10)의 전원부(13)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는데 그와 같은 경우 전원부(13)의 전원이 계속해서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 memory connection unit 21 of the external USB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 of the smartphone 10, and the moving picture of the external memory unit 22 is view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13 is continuously consumed in such a case that the moving picture is watched by using the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13 of the smartphone 10. [

그와 같은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동영상 시청이 중간에 중단되거나, 중요한 통화를 하는 도중 전원 오프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Such a problem has caused problems such as interruption of video watching in the middle, power off during important call, and the lik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동식 저장장치와 충전기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phone charger storage device which can be used simultaneously as a mobile storage device and a charg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는, 스마트폰(100)의 전원 및 데이터를 공급받는 스마트폰 접속부(140)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접속부(210); 상기 제1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 및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부(220); 및 외부로부터 전원과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공급받아 상기 제1접속부(210)로 전송하는 제2접속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ve smartphone charger combined and storage device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0 that receives power and data of the smartphone 100 and supplies data and power to the smartphone 100 A first connection part (210) A memory unit 22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smartphon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230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data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the power and data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여기서, 상기 제1접속부(210)와 상기 메모리부(220)는 데이터라인(240)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230)는 전원 및 데이터 라인(250)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부(220)는 마이크로 SD 카드, SD 카드, 외장 하드, SSD 하드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접속부(230)는 충전기나 USB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 또는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memory unit 220 are connected to a data line 240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30 are connected to a power line and a data line 25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30 is connected to a charger or a USB cable so as to receive power or data. The memory unit 220 may be a micro SD card, an SD card, an external hard disk, or an SSD hard disk Do.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는,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 중 하나로 구성되어 일측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상기 제1접속부(140)와 연결되도록 돌출된 철(凸)형태로 상기 제1접속부(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210)와 대응되는 방향에는 일반적인 충전기나 USB 케이블이 접속되는 요(凹) 형태로 상기 제2접속부(230)가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martphone charger storage device may have a rectangular,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may have a convex shape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40 of the smartphone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nection unit 23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which a general charger or a USB cab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1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또한 상기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는, 바형, 플립형, 범퍼형, 뷰커버형, 다이어리형, 암밴드형 및 벨트형 중 하나의 스마트폰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을 수납하는 공간부(260)가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공간부(260)에는 돌출된 철(凸)형태로 상기 제1접속부(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210)와 대응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요(凹) 형태의 상기 제2접속부(230)가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martphone charger storage device may be a smart phone case of one of a bar type, a flip type, a bumper type, a view cover type, a diary type, an armband type and a belt type, The first connecting part 210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in the space 260 of the smartphone case and the first connecting part 210 is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martphone case.

본 고안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식 저장장치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o a smart phone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마트폰에 외부 저장장치를 연결한 경우에도 외부 저장장치의 일측에 구성된 접속부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므로 전원소모에 대한 염려없이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even when an external storage device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charging can be performed through a connection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storage device, so that the device can be fully used without worrying about power consumption.

둘째, 외부 저장장치를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외부 저장장치 없이도 외부 저장장치를 이용하면서 전원소모에 대한 염려없이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ly, whe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as a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xternal storage device can be used without any additional external storage device and the device can be used sufficiently without worrying about power consum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폰의 접속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식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ing a connection unit of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phone charg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smartphone charg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torage device serving as a smartphone charger shown in FIG.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고안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common terms that are widely used at present, but in some cases, there ar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this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desig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a term that is not a nam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phone charg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10), 스마트폰 메모리부(120), 전원부(130), 스마트폰 접속부(140) 및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100)의 스마트폰 접속부(140)와 접속하여 스마트폰(100)으로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접속부(210)와, 제1접속부(210)를 통해 스마트폰(100) 및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부(220)와, 전원을 공급받아 제1접속부(210)로 공급하고,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공급받아 제1접속부(210)로 전송하는 제2접속부(230)로 구성된다.2, the smartphone charger-combined storag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smartphone memory unit 120, a power source unit 130, a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 A first connection unit 210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0 of the smartphone 100 and configured to supply data and power to the smartphone 100, A memory unit 2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mobile phone 100 and an external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2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receiving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2 connection unit 230.

여기서, 제1접속부(210)와 메모리부(220)는 데이터라인(240)으로 연결되고,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230)는 전원 및 데이터 라인(250)으로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memory unit 220 are connected to the data line 240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30 ar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the data line 250.

그리고 메모리부(2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SD 카드, SD 카드, 외장 하드, SSD 하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20 may be a micro SD card, an SD card, an external hard disk, an SSD hard disk, or the like.

또한 제2접속부(230)는 일반적인 충전기나 USB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 또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원은 제1접속부(210) 전송하고, 데이터는 제1접속부(210)를 통해 메모리부(220)로 전송한다.
The second connection unit 230 is connected to a general charger or a USB cable to receive power or data and transmit power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Data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unit 22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do.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smartphone charg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FIG.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각형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일측에는 스마트폰의 제1접속부(140)와 연결되도록 돌출된 철(凸)형태로 제1접속부(210)가 구성되고, 제1접속부(210)와 대응되는 방향에는 일반적인 충전기나 USB 케이블이 접속되는 요(凹) 형태로 제2접속부(230)가 구성된다. 이때, 메모리부(220)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200) 내부에 구성된다. 물론 사각형 형태뿐 아니라 원형, 타원형 등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The smartphone charg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is formed in a protruded shap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40 of the smartphone,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is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The second connection unit 23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which a general charger or a USB cable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memory unit 220 is configured in the storage device 200 serving as a smartphone charger.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ically define a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nd the like as well as a rectangular shape.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torage device serving as a smartphone charger shown in FIG.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100)을 수납하는 공간부(26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공간부(260)에는 돌출된 철(凸)형태로 제1접속부(210)가 구성되고, 제1접속부(210)와 대응되는 방향의 스마트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요(凹) 형태의 제2접속부(230)가 구성된다. 이때, 메모리부(220)는 스마트폰 케이스 형태의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200) 내부에 구성된다.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 형태는 바형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플립형, 범퍼형, 뷰커버형, 다이어리형, 암밴드형 및 벨트형 등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The storage device serving as a smartphone char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smartphone case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case, a space 260 for storing the smartphone 100 is formed in the smartphone cas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in the space part 260 of the smartphone case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martphone cas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 Concave) second connecting portions 230 are formed. At this time, the memory unit 220 is configured within the smartphone charger-combined storage device 200 in the form of a smartphone case. Although the shape of the smartphone case is shown as a bar shape,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uch as a flip shape, a bumper shape, a view cover shape, a diary shape, an armband shape, and a belt shape.

이상과 같은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xampl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폰 110 : 표시부
120 : 스마트폰 메모리부 130 : 전원부
140 : 스마트폰 접속부 150 : 제어부
200 :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
210 : 제1접속부 220 : 메모리부
230 : 제2접속부 240 : 데이터라인
250 : 전원 및 데이터 라인 260 : 공간부
100: smart phone 110: display
120: smartphone memory unit 130: power source unit
140: Smartphone connection unit 150: Control unit
200: Smartphone charger combined storage device
210: first connection part 220: memory part
230: second connection part 240: data line
250: power and data line 260:

Claims (4)

스마트폰(100)의 전원 및 데이터를 공급받는 스마트폰 접속부(140)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접속부(210);
상기 제1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 및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부(220); 및
일반적인 스마트폰 충전기와 직접연결되어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1접속부(210)로 전송하거나, 일반적인 USB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1접속부(210)로 전송하는 제2접속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접속부(210)와 상기 메모리부(220)는 데이터라인(240)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접속부(210)와 제2접속부(230)는 전원 및 데이터 라인(250)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부(220)는 마이크로 SD 카드, SD 카드, 외장 하드, SSD 하드 중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
A first connection unit 210 for connecting to a smartphone connection unit 140 supplied with power and data of the smartphone 100 and supplying data and power to the smartphone 100;
A memory unit 22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smartphon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230 connected directly to a general smartphone charger to transmit power from the charger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or connected to a general USB cable to transmit power or data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 ≪ / RTI >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and the memory part 220 are connected to a data line 240,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0 are connected to the power and data lines 250,
The memory unit 220 may be one of a micro SD card, an SD card, an external hard disk, and an SSD hard di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는,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 중 하나로 구성되어 일측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상기 스마트폰 접속부(140)와 연결되도록 돌출된 철(凸)형태로 상기 제1접속부(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210)와 대응되는 방향에는 일반적인 충전기나 USB 케이블이 접속되는 요(凹) 형태로 상기 제2접속부(23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charger-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is formed in a protruded shap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nnection part 140 of the smartphone 100 at one side,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3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which a general charger or a USB cable is connec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는,
바형, 플립형, 범퍼형, 뷰커버형, 다이어리형, 암밴드형 및 벨트형 중 하나의 스마트폰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을 수납하는 공간부(260)가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공간부(260)에는 돌출된 철(凸)형태로 상기 제1접속부(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210)와 대응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요(凹) 형태의 상기 제2접속부(23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charger-
A space 260 for accommodating the smartphone 100 is formed of one smartphone case of a bar type, a flip type, a bumper type, a view cover type, a diary type, an armband typ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in the space part 260 of the smartphone case a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martphone cas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 And the second connector (230) having a concave shape is exposed.
삭제delete
KR2020140005983U 2014-08-09 2014-08-09 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KR2004754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83U KR200475489Y1 (en) 2014-08-09 2014-08-09 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83U KR200475489Y1 (en) 2014-08-09 2014-08-09 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489Y1 true KR200475489Y1 (en) 2014-12-03

Family

ID=5353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983U KR200475489Y1 (en) 2014-08-09 2014-08-09 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48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511A (en) 2015-05-28 2016-12-07 권순원 Smart phone memory cov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132A (en) * 2011-07-12 2013-01-22 하동호 Case for smart phone
KR20130142974A (en) * 2013-09-26 2013-12-30 렉스젠(주) An extension interface device for a smart phone
KR20140077349A (en) * 2012-12-14 2014-06-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Usb memory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132A (en) * 2011-07-12 2013-01-22 하동호 Case for smart phone
KR20140077349A (en) * 2012-12-14 2014-06-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Usb memory for mobile phone
KR20130142974A (en) * 2013-09-26 2013-12-30 렉스젠(주) An extension interface device for a smart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511A (en) 2015-05-28 2016-12-07 권순원 Smart phone memory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924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195649B1 (en) Mobile phone smart case with recording function
TW201528647A (en) Mobile power capable of carrying charging adapter and supporting recognition of two-dimensional barcode
US10057395B1 (en)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668461B1 (en) A Device for interface of an electronic equipment
US9438297B2 (en) Protective case with electronic function for electronic device
WO2018045870A1 (en) Usb type-c connector with a secondary port
KR101107247B1 (en) gender changer Apparatus with USB storage.
KR200475489Y1 (en) Storage apparatus for combining smart phone charger
US20150031414A1 (en) Micro projector
EP2383860B1 (en) Rapid charging apparatus
US20140052884A1 (en) Mobile device case with wireless high definition transmitter
US20120071086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eparable communications elements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US9740256B2 (en) Electrical device with detachable storage module
CN204576368U (en) OTG multifunction intelligent mobile telephone protective case for panel computer cover
CN204316551U (en) Mobile terminal
US20140361614A1 (en) Mobile power bank assembly device
KR20170052369A (en) Smartphone Case
KR20140106246A (en) Battery charg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emory devices
US20190138477A1 (en) Modular hub
CN106329256B (en) USB connecting line, operation method based on USB connecting line and mobile terminal
KR20130119746A (en) Power supply device based on device id recognition
RU145542U1 (en) DEVICE FOR MULTIPLATFORM DATA EXCHANGE AND / OR USER IDENTIFICATION
CN203242879U (en) Cell phone data line
US20150370737A1 (en) Smartphone having full size usb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