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20Y1 -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220Y1
KR200475220Y1 KR2020140002993U KR20140002993U KR200475220Y1 KR 200475220 Y1 KR200475220 Y1 KR 200475220Y1 KR 2020140002993 U KR2020140002993 U KR 2020140002993U KR 20140002993 U KR20140002993 U KR 20140002993U KR 200475220 Y1 KR200475220 Y1 KR 200475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plate
vehicle
plate por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9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벨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벨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벨룩스
Priority to KR2020140002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22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2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기존 거치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있는 구조의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그 차량용 거치대는 중앙에 돌출된 자석이 배치되고 하면을 통해 차량 내부의 평평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판; 및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접힌 구조를 가지고 상판부, 하판부 및 굴곡부로 구별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단면이 호의 형태를 갖는 상기 굴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져 상기 끝단에서 서로 접하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끝단은 서로 떨어지되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탄성 복원력이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에 인가되며, 상기 상판부의 끝단 부분과 상기 하판부의 끝단 부분 각각에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ount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ount. The vehicle mount includes a bottom fixing plate on which a magnet protruding from the center is disposed and fixed to a flat port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a bottom surface; And a mount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bottom fixing plate or detached from the bottom fixing plate and in which electronic equipment can be mounted, wherein the mounting part has a rectangular elongated rectangular band structure and has an upper plate part, a lower plate part and a bent part The 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ent portion having a shape of an arc in cross section.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gradually come closer to each other from the bent portion to the end portion in a closed st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returned to the closed state by the bent portions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The grooves of the grooves may be formed.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Holder for vehicle}{Holder for vehicle}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device capable of fixing an electronic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vehicle mount capable of fixing an electronic device to a vehicle.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 각종 전자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빈도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서 각종 거치대들이 고안되고 있다. 즉,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조석에 앉은 탑승자가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거치해 놓고 안전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The frequency with which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navigation devices, and tablet PCs are used is increasing due to the spread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navigation devices, and tablet PCs. Various types of cradles are designed for safe and convenient use of such electronic devices. That is, various types of cradles have been developed to enable a driver of a vehicle or a passenger sitting on an assisting seat to easily view and safely view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기존 거치대의 경우, 특정 전자기기만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져 다른 종류나 다른 사이즈의 전자기기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고, 또한, 회전에 대한 제약이 심하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의 조절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 거치대의 경우 일반적으로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어 깨짐 및 부러짐 등의 불량이 종종 발생하고, 그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고, 외관상으로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많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rad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different kind or size of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that accommodates only a specific electronic apparatus, and also there is a restriction on rotation, There wa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ounting base, generally, it is formed of a rigid material, and defects such as breakage and breakage are often caused.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can not be used for applications other than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There were many cases of harm.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거치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있는 구조의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ount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ou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중앙에 돌출된 자석이 배치되고 하면을 통해 차량 내부의 평평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판; 및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접힌 구조를 가지고 상판부, 하판부 및 굴곡부로 구별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단면이 호의 형태를 갖는 상기 굴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져 상기 끝단에서 서로 접하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끝단은 서로 떨어지되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탄성 복원력이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에 인가되며, 상기 상판부의 끝단 부분과 상기 하판부의 끝단 부분 각각에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 fixing plate comprising a magnet protruding from the center and being fixed to a flat port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a bottom surface; And a mount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bottom fixing plate or detached from the bottom fixing plate and in which electronic equipment can be mounted, wherein the mounting part has a rectangular elongated rectangular band structure and has an upper plate part, a lower plate part and a bent part The 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ent portion having a shape of an arc in cross section.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gradually come closer to each other from the bent portion to the end portion in a closed st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returned to the closed state by the bent portions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Of the vehicle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판 및 상기 내부판을 덮는 외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의 상기 내부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철판이 배치되며, 상기 자석과 철판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plate on which the groove is formed and an outer plate that covers the inner plate, at least one iron plate is disposed on the inner plate of the lower plate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fixing plate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bottom fixing plate and the bottom plat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의 외부판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된 상기 자석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outer plate of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protruded magne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과 외부판은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판이 외부판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inner plat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plat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loor fixing plate.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나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고, 360도 회전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방향 조절에 불편함이 없다. The mou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various kinds of electronic apparatuses of various sizes and can rotate 360 degrees, so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adjust the displayed direction.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깨짐 또는 부러짐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며, 차량 미관을 위해 차량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mou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o prevent defects such as breakage or breakage, can be used for applications other than the mounting of an electronic device,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기기를 거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내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와 바닥 고정판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가 차량에 대시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mount for a vehicle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a vehicle mount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plate of the mounting part in the vehicle mounting table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mounting part and a floor fixing plate in the vehicle mounting table of FIG. 1. FIG.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mount portion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loor fixing plate in the vehicle mount shown in Fig. 1. Fig.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vehi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부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구조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bu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Similarly,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on top of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element, and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size of each constituent element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a part which is not related to the explanation is omitte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고안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concept belong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In addition,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what they mean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unless otherwise expressly defined, have an overly formal meaning It will not be interpre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s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is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f the claims or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vehicl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는 거치부(110) 및 바닥 고정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ar mou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ount 110 and a bottom fixing plate 120.

거치부(110)는 전체적으로 반지갑과 유사한 형태로,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반으로 접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거치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판(112) 및 외부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거치부(110)는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의 구별없이 일체의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mounting portion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ongated rectangular band is folded in half in a form similar to a glove box as a whole.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include an inner plate 112 and an outer plate 114 as shown. However,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integral plat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내부판(112)은 상판부(112u), 하판부(112b) 및 굴곡부(112j)로 구별될 수 있다. 물론, 외부판(114)도 내부판(112)의 각 부분에 대응하여 각각의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의 구별없이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판이 각각의 부분으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12u), 하판부(112b) 및 굴곡부(112j)의 구별은 내부판(112)의 구조를 좀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상의 구별이므로, 물리적으로 상판부(112u), 하판부(112b) 및 굴곡부(112j)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The inner plate 112 can be distinguished into an upper plate portion 112u, a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a bent portion 112j. Of course, the outer plate 114 may also be distinguished as corresponding to each portion of the inner plate 112.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plat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as described above, one plate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respective portions.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bent portion 112j is conceptually different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inner plate 112,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bent portion 112j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하판부(112b)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수평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하판부(112b)의 일 단부는 굴곡부(112j)에 연결되고, 타 단부 부분에는 2개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그루브들(G1, G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측면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2개의 그루브들(G1, G2) 각각은 하판부(112b)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며, 전자기기의 측면의 일부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portion 112b has a rectangular shape and can have a flat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s. One end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may be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112j and two grooves G1 and G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The two grooves G1 and G2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a part of a side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navigation device, a tablet PC, or the like,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two grooves G1 and G2 is formed to cross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may be formed in such a structure tha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inserted and fixed.

본 실시예에서, 하판부(112b)에 2개의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되었지만, 그루브의 개수가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판부(112b)에 형성되는 그루브는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wo grooves G1 and G2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but the number of grooves is not limited to two. For example, one or three or more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하판부(112b)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철판(116)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길쭉한 직사각형 띠 형태를 갖는 2개의 철판(116)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철판(116)의 개수 및 구조가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철판(116)은 하판부(112b) 상면 상에 1개 또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철판(116)의 구조도 바닥 고정판(120)에 형성된 자석의 구조에 대응하여 원형이나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iron plate 116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wo steel plates 116 having an elongated rectangular band shape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However, the number and structure of the steel plates 116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For example, one or three or more iron plates 116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lso, the structure of the iron plate 11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pentagon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magnet formed on the bottom fixed plate 12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철판(116)은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 상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배치되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철판(116)은 하판부(112b) 부분의 내부판(112)과 외부판(114)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철판(116)은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 상면 상에 배치되되, 별도의 덮개 부분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ron plate 116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of the inner plate 11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steel plate 116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of the inner plate 112 and may be covered by a separate lid portion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굴곡부(112j)는 수직 단면이 소정 곡률을 갖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삼차원적으로는 한쪽으로 오픈된 하프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굴곡부(112j)의 일 단부는 하판부(112b)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판부(112u)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굴곡부(112j)는 거치부(110)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거치부(110)가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상판부(112u)와 하판부(112b)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ent portion 112j may have a shape of arc having a vertical cross section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ddition, it can have the shape of a half-pipe which is opened to one side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One end of the bent portion 112j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The bent portion 112j having such a structure can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110 returns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mounting portion 110 is in the open state.

여기서, 거치부(110)의 닫힌 상태는 도 1이나 도 2와 같이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와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거치부(110)의 열린 상태는 도 3과 같이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와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가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1 and 2, the left end of the lower plate 112b and the left end of the upper plate 112u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pen state of the mounting part 110 The left end of the lower plate 112b and the left end of the upper plate 112u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상판부(112u)는 하판부(112b)와 유사하게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일 단부가 굴곡부(112j)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12u)는 하판부(112b)와 달리 평평한 수평 형태가 아니고 하판부(112b)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부(112u)는 굴곡부(112j)와의 연결 부분에서 하판부(112b)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굴곡부(112j)에서 멀어져 좌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하판부(112b)에 가까워져 좌측 단부 부분에서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와 접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12u)의 수직 단면은 상기 하판부(112b)에 소정 각도를 갖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곡선 형태로 상기 하판부(112b)의 좌측 단부에 점차 가까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The upper plate portion 112u has a rectangular shape similar to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one end can be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112j. Unlike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instead of a flat horizontal shape.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is farthest from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ent portion 112j and gradually approaches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toward the left end away from the bent portion 112j, And can contact the left end of the portion 112b.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but may have a structure gradually becoming closer to the left end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in a curved shape.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 부분에서는 그루브(G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G3)는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측면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G3)는 전자기기의 상부 측면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0)는 하판부(112b)의 그루브들(G1, G2) 중 하나와 상판부(112u)의 그루브(G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 부분에 하나의 그루브(G3)가 형성되었지만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e left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a groove G3 may be formed. The groove G3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a part of a side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navigation device, a tablet PC,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groove G3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inserted and fixed. 3,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fixed to one of the grooves G1 and G2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groove G3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one groove G3 is formed at the left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wo or more grooves can be formed.

외부판(114)은 내부판(112)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홈(도 5의 H)이 형성될 수 있다. 홈(H)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홈(H)은 타원이나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홈(H)은 바닥 고정판(120)에 형성된 돌출된 자석(122)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에 결합할 때, 돌출된 자석(122)이 홈(H)에 삽입되고, 내부판(112) 상의 철판(116)과 자석(122)이 자기력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The outer plate 114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plate 112 and the groove (H in FIG. 5)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late 112b of the inner plate 112. The groove H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5, but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For example, the groove H may have the shape of an ellipse or a polygon. In addition, the groove H may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magnets 122 formed on the bottom fixing plate 120. The protruded magnet 12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H and the iron plate 116 and the magnet 122 on the inner plate 11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120, The mounting portion 110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loor fixing plate 120 by being coupled by a magnetic force.

바닥 고정판(120)은 거치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돌출된 자석(122)이 배치될 수 있다. 바닥 고정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바닥 고정판(120)의 형태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바닥 고정판(120)은 타원형이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bottom fixing plate 12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nd a magnet 122 protruding from the center can be disposed. The bottom fixing plate 120 may have a generally circular structure as shown in FIG. However, the shape of the bottom fixing plate 120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For example, the bottom fixing plate 120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바닥 고정판(120)은 진공 흡착을 통해 차량의 대시보드(dash board) 등에 결합하거나, 또는 하면에 형성된 접착제를 통해 대시보드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 고정판(120)이 대시보드 등에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접착제는 재사용이 가능한 리무벌(removal) 타입일 수 있다.The bottom fixing plate 120 may be coupled to a dash board of a vehicle through vacuum suction or to a dashboard through an adhesi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ttom fixing plate 120 is bonded to a dashboard or the like using an adhesive, the adhesive may be a reusable type.

자석(122)은 바닥 고정판(120)의 중심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자석(122)의 구조가 원기둥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자석(122)은 다각 기둥이나 타원 기둥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magnets 122 may be arranged in a protruding form at the center of the bottom fixing plate 120, and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structure of the magnet 122 is not limited to the cylindrical structure. For example, the magnet 122 may be formed as a polygonal column or an elliptic column structure.

바닥 고정판(120)이 차량의 대시보드에 진공 흡착 등을 통해 결합하고, 그러한 바닥 고정판(120)에 거치부(110)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거치대(100)가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거치부(110)의 외부판(114)에 형성된 홈(도 5의 H)에 바닥 고정판(120)의 자석(122)이 삽입되고, 자석(122)이 거치부(110)의 내부판(112)에 배치된 철판과 자기력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바닥 고정판(120)에 거치부(11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The floor support plate 120 is coupled to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through vacuum suction and the like and the mounting portion 11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floor fixing plate 120 so that the vehicle mount 100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magnet 122 of the bottom fixing plate 1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H in FIG. 5) formed in the outer plate 114 of the mounting part 110, and the magnet 12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part 110 The mounting portion 110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bottom fixing plate 120 by being coupled with the iron plate disposed on the plate 112 through a magnetic force.

한편, 바닥 고정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 돌출된 귀(12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귀(124)는 바닥 고정판(120)을 차량의 대시보드(dash board) 등과 결합 또는 분리할 때,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귀(124)는 생략되거나 도시된 형태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5 may include an ear 124 protruding in one direction. The ear 124 may be attached to the floor fixing plate 120 by a dash board or the like of the vehicle When joining or separating, it can function to facilitate joining and separation. These ears 124 may be omitted or form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shown.

도 3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 전자기기를 거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a vehicle mount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200), 예컨대 스마트 폰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에 거치될 수 있다. 전자기기(200)는 하부 측면 부분이 거치부(110)의 하판부(112b)의 그루브(G1)에 삽입되고, 상부 측면 부분이 거치부(110)의 상판부(112u)의 그루브(G3)에 삽입되는 식으로 거치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110)의 하판부(112b)와 상판부(112u)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자기기(200)를 누름으로써, 전자기기(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electronic device 200, for example, a smart phone,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mou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G1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G3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of the mounting portion 110 It can be mounted in an inserted form.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of the mounting portion 110 can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200 firmly by pressing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전자기기(200)를 누르는 힘은 거치부(110)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기초하여, 굴곡부(112j)가 하판부(112b)와 상판부(112u)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기 때문이다. 물론, 전자기기(200)가 존재하지 않으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판부(112b)와 상판부(112u)의 좌측 단부가 접하는 상태, 즉 닫힌 상태로 돌아간다.The pressing for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based on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because the bent portion 112j appli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Of course, if the electronic device 200 does not exis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returns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left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closed stat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112b)에는 2개의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될 수 있고, 전자기기(200)의 하부 측면은 좌측 단부에 가까운 부분의 그루브(G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200)의 하부 측면은 좌측 단부에서 먼 쪽의 그루브(G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200)의 하부 측면이 좌측 단부에서 먼 쪽의 그루브(G2)에 삽입되는 경우, 전자기기(200)는 바닥에 대하여 보다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차량용 거치대(100)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또는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그루브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수직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2, two grooves G1 and G2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a lower sid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formed in a groove G1 close to the left end portion Can be inserted. However, the low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G2 far from the left end. When the low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G2 farther from the left end,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mount 100 in a form more perpendicular to the floor. Therefore, the vertical angle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can be adjust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user or the typ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도 4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내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plate of the mounting part in the vehicle mounting table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판(112)의 하판부(112b) 상면으로 길쭉한 직사각형 구조의 철판(116)이 나란히 배치되고, 하판부(112b)의 끝단 부분으로 2개의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될 수 있다. 들또한, 상판부(112u)의 끝단 부분에 1개의 그루브(G3)가 형성될 수 있다. 철판(116)의 구조나 개수, 배치 위치 등은 도 4에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하판부(112b)의 그루브들(G1, G2)의 개수나 상판부(112u)의 그루브(G3)의 개수 역시 도 4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4, an elongated rectangular steel plate 116 i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2b of the inner plate 112 and two grooves G1 and G2 are arranged at the end of the lower plate 112b. Can be formed. In addition, one groove G3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The structure, number,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like of the iron plate 116 are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grooves G1 and G2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2b and the number of grooves G3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2u are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한편, 내부판(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분이 얇고 외곽 부분을 따라서 소정 높이의 테두리로 둘러싸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내부판(112)에 외부판(114)이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여 전체 거치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판(112)은 테두리가 없이 전체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동일한 두께를 갖는 구조의 경우에도 그루브(G1, G2, G3) 부분의 두께는 다를 수 있다. 내부판(112)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경우에는, 외부판(114)은 내부판(112)의 일면에 단순히 접착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plate 1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thin and surrounded by a rim of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or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entir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outer plate 114 to the inner plate 112 having such a structure. The inner plate 112 may have a structure having the entire thickness without a border.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a structure having the same thickness, the thicknesses of the grooves G1, G2 and G3 may be different. When the inner plate 112 is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the outer plate 114 can be coupled to the inner plate 112 with a simple bonded structure.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은 동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silicone)과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의 이중 사출 및/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재질 등과 같이 상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깨짐 및/또는 부러짐 등에 강할 수 있고, 거치되는 전자기기와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다. 한편, 거치되는 전자기기와의 부드러운 접촉을 위해 내부판(112)의 경도가 외부판(114)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기존 PC(Poly Carbonate) 재질의 거치대의 거친 촉감의 문제나 깨짐 및/또는 부러짐 등의 불량 발생을 해결할 수 있다.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rough double injection and / or insert injection of silicone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 or urethane so as to be strong against breakage and / or breakage, have. 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of the inner plate 112 may be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outer plate 114 for smooth contact with the mounted electronic device. Accordingly, the car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olve problems such as rough touch of a conventional PC (poly carbonate) cradle, defects such as breakage and / or breakage.

한편,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을 느낌이 좋은 실리콘을 삽입하여 질감을 좋게 만들고, 투-톤(two-tone)으로 제작하여 컬러를 다양하게 만듦으로써,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컬러에 민감한 젊은 세대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투-톤의 컬러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내부판(112)과 외부판(114)이 동일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동일 컬러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are made to have a good texture by inserting silicon having a good feel, and are made in a two-tone manner to make a variety of colors. In this way, 100) can appeal to color-conscious younger generations. Although 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formed in a two-tone color, the inner plate 112 and the outer plate 114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 And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at they are formed in the same color.

한편,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거치부(110)의 기하학적 구조에 기인하여,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크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또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책상이나 캠핑 용구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과 관련하여, 거치부(110)를 바닥 고정판(120)으로부터 탈부착할 수도 있고, 아예 바닥 고정판(120)까지를 포함한 전체 차량용 거치부(110)를 대시보드 등으로부터 탈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에 배치된 철판(116) 또는 자석(122)을 이용하여 티켓 및 자동차 통행권을 붙이거나 끼우는 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r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intains a closed state automatically when it is not used as a cellular phone cradle due to the geometry of the cradle 110, so that it does not take up much space and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So that it is useful for a desk or a camping tool.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detached from the floor fixing plate 120 or the entire vehicle mounting portion 110 including the floor fixing plate 120 may be detached from the dashboard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teel plate 116 or the magnet 122 disposed inside to attach or pinch tickets and automobile traffic.

도 5는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거치부와 바닥 고정판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mounting part and a floor fixing plate in the vehicle mounting table of FIG. 1. FIG.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부(110)의 외부판(114)에는 홈(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H1)은 원형 구조를 가지면 제1 깊이(D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바닥 고정판(120)의 자석(122)은 원기둥과 같이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제1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바닥 고정판(120)의 자석(122)이 외부판(114)의 홈(H1)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므로, 자석(122)의 지름과 홈(H1)의 지름은 거의 동일하거나 자석(122)의 지름이 약간 작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groove H1 may be formed in the outer plate 114 of the mounting portion 110. The groove H1 may have a first depth D1 if it has a circula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magnet 122 of the bottom fixing plate 120 has a structure protruding like a cylinder and may have a first thickness D2. The diameter of the magnet 122 and the diameter of the groove H1 are almost equal to each other or the magnet 122 of the magnet 1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H1 of the outer plate 114, May be slightly smaller in diameter.

또한, 자석(122)의 상면이 홈(H)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결합하는 경우를 고려할 때, 제1 깊이(D1)는 제1 두께(D2)와 거의 동일하거나 제1 두께(D2)보다 작을 수 있다.
The first depth D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thickness D2 or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D2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12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H .

도 6은 도 1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mount portion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loor fixing plate in the vehicle mount shown in Fig. 1.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에서, 거치부(110)는 바닥 고정판(120)에 결합한 후,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바닥 고정판(120)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는 바닥 고정판(120)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할 수도 있다. 이는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으로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철판(116)과 자석(122)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거치부(110)가 바닥 고정판(120)으로 결합하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6, in the vehicle mou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 110 is coupled to the bottom fixing plate 120, and then rotat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ottom fixing plate 120 as indicated by an arrow . Also, the mounting part 110 may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loor fixing plate 120. This is because the mounting portion 110 is not coupled to the floor fixing plate 12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mounting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floor fixing plate 120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iron plate 116 and the magnet 122 Because.

한편,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석(122)의 지름은 홈(H1)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rotation, the diameter of the magnet 122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roove H1.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가 차량에 대시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vehi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에 형성된 그루브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수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수직 각도를 가지고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의 좌우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좌우 각도를 가지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옆 자석의 탑승자도 용이하게 전자기기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s shown in FIG. 7, the vehicle mou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 dashboard of a vehicle. Further,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groove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 the vertical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adjusted, and the display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viewed with the vertical angle desired by the user. Further, since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reely rota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user can view the display screen with the desired left and right angles, and the occupant of the side magnet can easily watch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some cases.

한편, 차량용 거치대(100)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기초하여 전자기기를 거치하지 않은 경우에, 거치부(11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공간을 매우 작게 차지하며, 또한 내부의 철판(116)이나 자석(122)을 이용하여 티켓 및 자동차 통행권 등을 붙이거나 끼우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0)는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차량뿐만 아니라 책상 등에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캠핑 등 다양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mounted on the basis of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vehicle mount 100, the mount 110 is held in a closed state to occupy a very small space and the inner iron plate 116, (122) can be used for attaching or inserting ticket or automobile passport or the like. Further, the vehicle mou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on a vehicle but also on a desk, etc., and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camping, and can be usefully used for various purposes.

지금까지,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용 거치대, 110: 거치부, 112: 내부판, 114: 외부판, 112u: 상판부, 112b: 하판부, 112j: 굴곡부, 116: 철판, 120: 바닥 고정판, 122: 자석, 200: 전자기기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laims (5)

삭제delete 중앙에 돌출된 자석이 배치되고 하면을 통해 차량 내부의 평평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판; 및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길쭉한 직사각형 띠가 접힌 구조를 가지고 상판부, 하판부 및 굴곡부로 구별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단면이 호의 형태를 갖는 상기 굴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서로 가까워져 상기 끝단에서 서로 접하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끝단은 서로 떨어지되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로 돌아가도록 탄성 복원력이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에 인가되며,
상기 상판부의 끝단 부분과 상기 하판부의 끝단 부분 각각에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판 및 상기 내부판을 덮는 외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의 상기 내부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철판이 배치되며, 상기 자석과 철판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며,
상기 내부판과 외부판은 이중 사출 결합 구조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의 외부판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원통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은 상기 원통 홈에 삽입되는 돌출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자석이 상기 원통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바닥 고정판에 결합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바닥 고정판에 대하여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A bottom fixed plate having a magnet protruding from the center and being fixed to a flat port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a bottom surface; And
And a mounting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bottom fixing plate or detached from the bottom fixing plate and in which electronic equipment can be mounted,
The mounting por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plate portion, a lower plate portion and a bent portion with a rectangular elongated rectangular folded structu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ent portion having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and are gradually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from the bent portion to the end in a closed state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but each other at the end,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to return to the closed state by the bent portion,
At least one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each of an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plate on which the groove is formed and an outer plate that covers the inner plate,
At least one iron plate is disposed on the inner plate of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iron plate,
Wherein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double injection-
Wherein a cylindrical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outer plate of the lower plate portion, the magnet has a protruded cylindrical structur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the magnet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The mounting portion is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loor fixing plate Wherein the base is a base for a vehicle.
삭제dele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과 외부판은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판이 외부판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Wherein the inner plat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pla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 결합 구조는 실리콘(silicone)과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의 이중 사출 결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ouble injection joint structure is a double injection joint structure of silicone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Wherein the base is a base for a vehicle.
KR2020140002993U 2014-04-14 2014-04-14 Holder for vehicle KR2004752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93U KR200475220Y1 (en) 2014-04-14 2014-04-14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93U KR200475220Y1 (en) 2014-04-14 2014-04-14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220Y1 true KR200475220Y1 (en) 2014-11-13

Family

ID=5229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993U KR200475220Y1 (en) 2014-04-14 2014-04-14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22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148B1 (en) * 2016-06-09 2017-01-04 한성산 Device holder for vehicle
KR20170061850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Bow mounts for ajea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177A (en) * 2010-07-20 2012-02-09 Yupiteru Corp Support structure for onboard electronic equipment
KR20130071039A (en) * 2011-12-20 2013-06-28 권재규 Supporter for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177A (en) * 2010-07-20 2012-02-09 Yupiteru Corp Support structure for onboard electronic equipment
KR20130071039A (en) * 2011-12-20 2013-06-28 권재규 Supporter for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850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Bow mounts for ajeang
KR101890882B1 (en) * 2015-11-27 2018-08-22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Ajean with bow mounts
KR101693148B1 (en) * 2016-06-09 2017-01-04 한성산 Device holder for vehicle
WO2017213301A1 (en) * 2016-06-09 2017-12-14 한성산 Terminal cradl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475B2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US9377810B2 (en) Electronic device
JP5591787B2 (en) Multi-function protective case
US20130098788A1 (en) Cell Phone Case
US20070102611A1 (en) Base capable of use with a support for holding an object
JP5507503B2 (en) Electronic device case and keyboard device
US20080210834A1 (en) Suction cup device
US20130284866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5220Y1 (en) Holder for vehicle
KR20160018306A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122968A (en) Terminal holding device,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KR200472280Y1 (en) Case for mobile divise
US20200389548A1 (en) Finger handle for a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
KR20160000276U (en) Stand structures for vehicle of electronic machinesincluding smartphone
US20220142315A1 (en)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30007270U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KR20160001956U (en) Mobile Phone Cradle for Cars
JP2020030300A (en) Transparent film for portable terminal
KR20140116993A (en) Cell phone case with tanse prop
US20160198071A1 (en) Compliant support for component alignment
KR20130071039A (en) Supporter for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KR20160001771U (en) Stand for portable device
KR20160003392A (en) Holder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KR20110008506U (en) Detachably supporting device
WO2010004329A1 (en) Flat folding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