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48Y1 -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 Google Patents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48Y1
KR200474548Y1 KR2020120009994U KR20120009994U KR200474548Y1 KR 200474548 Y1 KR200474548 Y1 KR 200474548Y1 KR 2020120009994 U KR2020120009994 U KR 2020120009994U KR 20120009994 U KR20120009994 U KR 20120009994U KR 200474548 Y1 KR200474548 Y1 KR 200474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ole
plate
shoe
reinforc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762U (ko
Inventor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석 filed Critical 서용석
Priority to KR2020120009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4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중창(10)은 신발의 갑피(20)의 외부에서 접합되는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에 접합되는 보강리브(14), 상기 갑피(20)의 내부에서 접합되는 상판(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판(12)과 상판(18)이 밀착하며 상기 갑피(20)와 접합되어 보다 넓은 면적이 접합되어 견고한 접합력을 제공받고 상기 보강리브(14)로 인해 접합부가 내부로 숨겨져 보호받을 수 있다. 상기 중창(10)과 밑창(30)도 보다 밀착되어 접합이 견고하게 된다.

Description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Mid-sole and shoes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신발의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서 갑피와 밑창을 연결하여 접합시켜주며 발바닥을 보호하며 완충의 기능을 하는 중창과 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밑창과 갑피(윗창)으로 이루어진다. 발바닥부위가 접촉하여 지면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밑창과 발등부위를 감싸주는 갑피가 접합되어 신발이 구성된다. 그런데 밑창만으로는 지면으로부터의 반발력을 완충시켜주지 못하여 갑피와의 사이에 중창을 더 두어 그 기능을 하도록 신발을 구성하는 추세이다.
종래의 신발 제작과정에서 중창은 갑피의 하단 내부에 위치하며, 갑피로 둘러싸여 있다. 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밑창과 중창 사이에 들어가 접착되어 갑피 의 하단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 채 고정된다.
하지만, 종래의 신발에서는 중창과 밑창 사이에 갑피의 하단부를 밀어넣은 채 접합을 했기 때문에 중창과 밑창이 완전한 밀착을 이루지 못하여 중창과 밑창 사이의 접합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중창 및 밑창의 갑피가 접착된 가장자리 부위의 접합력이 약해져 중창 및 밑창의 가장자리부터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갑피 자체도 중창 및 밑창의 가장자리와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만 접착되기 때문에 접합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갑피의 하단부 및 밑창과의 접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착용 중 지면 부근으로부터의 외부 자극을 직접 받아 갑피의 하단부에 파손이나, 밑창과의 접합에 이탈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의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창의 기능을 확장시켜 중창만으로도 갑피와의 접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창과 갑피 사이의 접착 부위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중창은 보강리브가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상에서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상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보강리브가 접합된 부위 외면을 감싸도록 밀착되는 감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부착된다.
삭제
상기 감쌈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가진 밴드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신발은 갑피,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갑피의 하단부 외면과 접착되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베이스판 상에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상기 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보강리브가 접합된 부위 외면을 감싸도록 밀착되는 감쌈부재를 구비하는 중창, 상기 중창의 하면에 접합되어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부착한다.
삭제
상기 감쌈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가진 밴드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신발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중창을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보강리브가 구비되어 있어 갑피가 중창과 부착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갑피와 중창과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중창의 베이스판과 상판의 사이에 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들어가 접착되어 고정되므로, 밑창과 중창 사이는 전체 면적에서 서로 결합되므로 밑창과 중창 사이의 결합상태도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는 베이스판 상에 보강리브가 구비되므로 동일한 크기의 갑피를 가지는 다른 신발에 비해 베이스판 그리고 중창의 밑면에 부착되는 밑창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에 안정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 중창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신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신발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신발 중창(10)은 베이스판(12)과 보강리브(14), 감쌈부재(16), 상판(18)을 포함하며 신발 전체의 바닥 골격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크기는 조금씩 차이를 갖는다. 상기 중창(10)에서 본 실시예의 상기 베이스판(12)과 상판(18)은 두께가 유사하게 형성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중창(10)의 부재 각각의 일체에서도 반드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기능에 따라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마다 소리를 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판(18)의 상면을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내부에 스폰지 등을 넣어서 만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12)은 밑창(30)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2)은 상기 밑창(30)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2)은 상기 밑창(3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12)은 완충을 위한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2)의 일부에 보행 시 압력을 받을 때마다 소리를 낼 수 있도록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관통부(12')가 있다.
상기 보강리브(14)는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이 4각형인 막대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보강리브(14)는 반드시 막대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횡단면 형상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4)는 상기 베이스판(12)과 동일한 재질로 되어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리브(14)는 상기 베이스판(12)과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베이스판(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다.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과 상기 보강리브(14)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갑피(20)의 하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판(12)과 상기 보강리브(14)는 상하의 굽힘에 견디도록 유연하면서 일정 이상의 내구성을 지닌 견고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2)은 상기 갑피(20)의 하단부 둘레보다 적어도 상기 보강리브(16)의 폭만큼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밑창(30)도 상기 베이스판(12)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가 되고 이를 사용하여 만든 신발의 사용 시, 보다 큰 안정성을 발휘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쌈부재(16)는 얇은 두께의 천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감쌈부재(16)는 밴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보강리브(14)가 상기 베이스판(12)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보강리브(14)가 설치된 베이스판(12)의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상기 감쌈부재(16)는 일정한 폭을 가진 밴드형태를 가진다. 상기 감쌈부재(16)는 반드시 필요한 부재라고 하기에는 무리이나 상기 베이스판(12)과 보강리브(14)의 접합을 보강해줄 수 있고, 상기 감쌈부재(16)가 상기 보강리브(14)를 감쌈으로 상기 보강리브(14)가 노출되는 것보다 외관상 이점이 있다.
상기 상판(18)은 상기 갑피(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18)의 크기는 상기 갑피(20)의 하단부 내측의 횡단면의 크기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18)은 상기 갑피(20)의 하단부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도 하며, 상기 베이스판(12)과는 별도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8)은 상기 갑피(20)의 내부에서 상기 갑피(20)의 하단부에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판(18)은 발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응하는 재질의 표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18)은 신체와의 반복된 마찰이나 하중에도 견딜만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갑피(20)는 발등부를 덮고 발의 측면과 뒤꿈치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신발의 하부를 제외한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갑피(20)는 일반적으로 발바닥을 제외한 발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갑피(20)가 발바닥도 일부 둘러쌀 수 있지만, 그 부분은 거의 미미하다.
상기 밑창(30)은 신발의 가장 하면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밑창(30)이 직접 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밑창(30)은 지면과의 마찰력과 지면으로부터 반발력을 일차적으로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밑창(30)은 신발의 구성 중에서 가장 견고하고 두꺼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신발에서 중창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신발에서는 갑피(20)의 가장자리를 중창(10)의 아랫면 테두리와 밑창(30)의 윗면 테두리에 삽입하여 접합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신발 중창은 중창(10)만으로 상기 갑피(20)와 접합시킴으로 신발을 제작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베이스판(12)의 테두리에 보강리브(14)를 맞추어 올려놓고 접착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2)에 올려놓은 상기 보강리브(14)를 감쌈부재로 덮어씌운다. 상기 베이스판(12)의 일부도 상기 보강리브(14)와 함께 상기 감쌈부재(16)에 의해 덮이게 되고 이는 상기 베이스판(12)과 보강리브(14)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감쌈부재(16)가 상기 보강리브(14)을 감쌈으로, 이질감을 가질 수 있는 상기 보강리브(14)의 노출을 방지하게 되어 신발의 외관이 유려하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12)에 상기 보강리브(14)와 감쌈부재(16)가 결합되어 갑피(20)의 가장자리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갑피(20)는 상기 베이스판(12)의 윗면 중 상기 보강리브(14)로 인해 다소 돌출된 상기 감쌈부재(16)의 윗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갑피(20)의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판(12)과 보강리브(14)를 감싼 상기 감쌈부재(16)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12)은 상기 갑피(20)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2)의 크기는 상기 밑창(30)의 크기와도 같으므로 상기 베이스판(12)과 밑창(30)을 통해 넓은 면적의 지지를 받을 수 있고 본 고안의 신발을 착용했을 시 안정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판(12)에 형성된 관통부(12')로 인하여 보행 시 공기의 입출입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밑창(30)에 발성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공기가 발성수단을 통과하면서 소리가 발생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12)과 별개로 구성된 상판(18)은 상기 갑피(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갑피(20)의 내면과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과 상기 감쌈부재(16)의 일부와 접착을 이루어 상기 갑피(20)의 가장자리를 내외면에서 둘러 접착하여 접합하게 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2)과 상판(18)의 사이로 상기 갑피(20)의 하단부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갑피(20)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2)과 상판(18)의 사이로 일부 들어가도록 접착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갑피(20)가 상기 밑창(30)과 바로 접착하여 접합되는 것보다 상기 보강리브(14)의 내면의 면적에 해당되는 만큼 넓은 접착면적을 가짐으로 강한 접합력을 확보하게 해주며 접합된 부위가 상기 중창(10)의 내부로 숨겨지게 되어 외부의 자극으로 인한 상기 갑피(20)의 접착상태가 훼손될 가능성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14) 및 감쌈부재(16)와 상기 상판(18)에 의해 밀착되어 둘러싸인 방식이 되어 상기 갑피(20)가 접합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상판(18)이 상기 갑피(20)와 반드시 접착되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상기 갑피(20)와의 접합을 견고히 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가능하다. 상기 접합된 상판(18)과 갑피(20)는 신발의 상부에 해당하며 발을 직접 감싸고 접촉하는 부분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된 상판(18)과 갑피(20)는 발의 피부를 편안하게 해주는 내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접합된 중창(10)의 하면 전체가 밑창의 상면 전체와 접착함으로 신발의 제작을 완료한다. 상기 중창(10)과 밑창(30)은 틈이 없이 밀착되기 때문에 보다 접합력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밑창(30)은 보행 시 지면에 직접 닿기 때문에 가장 마모가 많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를 견딜만한 재질과 바닥의 위험요소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내구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밑창(30)의 윗면에 접합되는 타 부위와 함께 일체감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성도 요구된다. 상기 밑창(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창(10)이 지면과 발에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두 부위가 기능 및 재질에서 유사하거나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중창
12 : 베이스판
14 : 보강리브
16 : 감쌈부재
18 : 상판
20 : 갑피
30 : 밑창

Claims (8)

  1. 보강리브가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상에서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상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보강리브가 접합된 부위 외면을 감싸도록 밀착되는 감쌈부재를 포함하는 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부착되는 중창.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쌈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가진 밴드의 형태로 구성되는 중창.
  5. 갑피,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갑피의 하단부 외면과 접착되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베이스판 상에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상기 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보강리브가 접합된 부위 외면을 감싸도록 밀착되는 감쌈부재를 구비하는 중창,
    상기 중창의 하면에 접합되어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부착되는 신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쌈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가진 밴드의 형태로 구성되는 신발.
KR2020120009994U 2012-11-01 2012-11-01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KR200474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94U KR200474548Y1 (ko) 2012-11-01 2012-11-01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94U KR200474548Y1 (ko) 2012-11-01 2012-11-01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62U KR20140002762U (ko) 2014-05-09
KR200474548Y1 true KR200474548Y1 (ko) 2014-09-29

Family

ID=5199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994U KR200474548Y1 (ko) 2012-11-01 2012-11-01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81B1 (ko) * 2014-07-08 2014-11-12 주식회사 에이로 미드솔 어셈블리
KR101701341B1 (ko) 2016-05-18 2017-02-02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해조류 이식용 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138B2 (en) * 2002-02-08 2004-10-12 Wolverine World Wide, Inc.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050091883A1 (en) 2003-11-04 2005-05-05 Munro & Company,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insole
WO2006010578A1 (en) 2004-07-30 2006-02-02 Geox S.P.A. Waterproof and breathable sole for shoes
KR20110008168A (ko) * 2008-03-29 2011-01-26 마사이 마케팅 앤 트레이딩 아게 보행 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138B2 (en) * 2002-02-08 2004-10-12 Wolverine World Wide, Inc.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050091883A1 (en) 2003-11-04 2005-05-05 Munro & Company,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insole
WO2006010578A1 (en) 2004-07-30 2006-02-02 Geox S.P.A. Waterproof and breathable sole for shoes
KR20110008168A (ko) * 2008-03-29 2011-01-26 마사이 마케팅 앤 트레이딩 아게 보행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62U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KR20120085780A (ko)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TW201735815A (zh) 具有含承載構件及感覺節點元件的鞋底系統的鞋類物件
US9259052B2 (en) Structure of high-heeled shoe
KR20190132992A (ko) 신발 바닥 구조
KR20100050274A (ko) 기능성 밑창을 구비한 조립식 신발
KR200474548Y1 (ko) 중창 및 이를 사용한 신발
JP3501444B2 (ja) インソールボード分割型の靴底構造
KR101873916B1 (ko)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JP2006198007A (ja) 履物
JP4308429B2 (ja) サンダル
EP2883470B1 (en) Structure of platform shoe
KR101357823B1 (ko) 이동 가능한 아치 지지체를 갖는 신발창
KR102173221B1 (ko) 인솔 일체형 신발 제조방법
KR20140003454U (ko) 여성 구두 중창용 보강편
KR101233989B1 (ko) 조립신발
JP3185289U (ja)
KR101730540B1 (ko) 신발 체결용 오리발
KR102631800B1 (ko)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
CN218999672U (zh) 鞋底及鞋子
KR101481760B1 (ko)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KR101101415B1 (ko) 신발 중창
JP3112367U (ja) 祭事用地下足袋及びその中底
TWM538331U (zh) 鞋口後跟貼(一)
KR200265531Y1 (ko) 샌들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