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826Y1 -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 Google Patents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826Y1
KR200473826Y1 KR2020130003492U KR20130003492U KR200473826Y1 KR 200473826 Y1 KR200473826 Y1 KR 200473826Y1 KR 2020130003492 U KR2020130003492 U KR 2020130003492U KR 20130003492 U KR20130003492 U KR 20130003492U KR 200473826 Y1 KR200473826 Y1 KR 200473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mobile device
present
front surfac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4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민형
Original Assignee
한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형 filed Critical 한민형
Priority to KR2020130003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2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받침판부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받침판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장치와 길이 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ackpack for a mobile device user.
A backpack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unit; A base plat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fixing devic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base plate portion and the fixing device, wherein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lat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in a length- And the angle is adjusted.

Description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본 고안은 접철식 받침판부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pack for a mobile device user having a folding-type base plate portion.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백팩 본체부의 일측면에 접철식 받침판부를 제공하되, 접철식 받침판부의 길이 조절, 회동, 및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주며, 도서의 받침대로 사용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type foot plate portion on one side of a backpack main body portion, which allows the length, rotation and rotation angle of the foldable type foot plate portion to be adjusted so that a mobile device user can make the mobile device very stable and conveni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pack for a mobile device user hav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being able to maintain a proper posture in use, assisting the health of the body, and using it as a pedestal of a book.

대부분의 모바일기기(mobile device) 사용자들은 한손 또는 양손으로 모바일기기를 들어서 잡고 사용한다. 사용자가 의자나 소파 등에 앉아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때, 손으로 모바일기기를 들어서 잡고 있는 자세로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힘이 들어서 곧 손과 팔의 근육이 피로해지고 지치게 된다. 그래서 바로 손과 팔이 하방으로 쳐지면서 대부분 사용자들은 첨부되는 도 12와 같은 불량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형적인 불량한 자세로 장시간 모바일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사용자와 모바일기기 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게 유지됨에 따라 사용자의 눈은 계속 하방향으로 처져서 안축(眼軸)이 하방향으로 늘어지므로 근시안이 되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기간에 걸쳐 모바일기기를 사용할수록 사용자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엘보, 손목터널 증후군, 및 시력저하 등의 만성적인 질병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Most mobile device users lift and hold mobile devices with one hand or both hands. When a user sits on a chair or a sofa and uses a mobile device, when the user holds the mobile device by hand and uses it for a long time, the muscles of the hands and arms become tired and tired soon. Thus, as the hand and arm are struck downward, most users use the mobile device while maintaining a poor posture as shown in FIG. The use of mobile devices for a long time in such a typical bad posture will adversely affect the user's physical health.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device is kept too close to the user's eyes, the user's eyes continue to move downward, and the axis of the eye falls downward. Thus, the longer a user uses a mobile devi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more likely a user will get a chronic disease such as a neck disk, a waist disk, an elbow, a wrist tunnel syndrome, and a decreased vision.

한편, 모바일기기를 즐겨 사용하는 젊은 세대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백팩(backpack)을 선호하고 있다. 백팩은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메거나 등에 짊어지고 다니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체로 백팩은 일반적인 가방에 비해 수납공간이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내용물을 담아서 운반할 수 있고, 일반적인 손가방(hand-carry bag)과 달리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many people, including young people who enjoy mobile devices, prefer backpacks. The backpack is constructed with a suspenders to carry on your shoulders or carry on your back. In general, the backpack has a larger storage space than a general bag, so that it can be carried wit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ntents, and unlike a hand-carry bag, there is an advantage that both hands can be freely used.

특히, 백팩을 사용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들은 노트북PC 또는 태블릿PC 등과 같이 비교적 무거운 모바일기기류를 백팩 내에 휴대하면서 수시로 사용하므로 전술한 문제점들이 사용자들에게 미치는 폐해는 더욱 심각하게 대두될 수 있다.Particularly, mobile device users who use the backpack frequently use relatively heavy mobile devices such as a notebook PC or a tablet PC while carrying them in the backpack, so that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may be more serious for users.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283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2833 한국 공개 특허공보 10-2006-0112902호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6-0112902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팩 본체부의 일측면에 접철식 받침판부를 제공하되, 접철식 받침판부의 길이 조절, 회동, 및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주며, 도서의 받침대로 사용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type foot plate portion on one side of a backpack main body portion so that a length of a foldable type foot plate portion can be adjuste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backpack for a mobile user hav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stable and convenient use, a good posture in use, a good health for the body, and a use as a pedestal of a book.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받침판부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받침판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장치와 길이 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pack for a mobile device user comprises: a main body; A base plat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fixing devic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base plate portion and the fixing device, wherein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lat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in a length- And the angle is adjusted.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When the backpack for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1. 모바일기기의 사용자들이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때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며,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준다.1. Users of mobile devices are very stable and convenient when using mobile devices, and they can maintain their right posture, which helps to the physical health.

2. 본 고안의 백팩은 사용자의 신체 전방 방향으로 백팩을 착용한 후 서 있는 상태에서도 받침판부를 적절히 개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2.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a mobile device by properly opening the base plate even when standing back after wearing the backpack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user's body.

3. 본 고안의 백팩에 장착되는 받침판부는 모바일기기 이외에 일반 도서를 얹어 사용할 수는 독서대로서의 부가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함께 신체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3. The base plate mounted on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dditional function as a bookstore in addition to a mobile device. Even in this case, since the user can maintain the correct attitude, it is very convenient for the user and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physical health.

본 고안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구성을 예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연결부재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적용하여 구성한 백팩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앉아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앉아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입식 자세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partially enlarging a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Fig. 1; Fig.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of a securing device according to an alternat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pack constructed by applying a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to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posture in a case where users are generally sitting and using a mobile device.
1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preferred posture in which a mobile device user sits and uses a mobile device using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how a mobile device user uses a mobile device by using a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uth-standing posture.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은 본체부(body)(100), 받침판부(board)(200), 고정장치(fixing member)(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flexible connecting member)(2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device user's backpa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board 200, a fixing member 240, , And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suspender)(170) 또는 손으로 들기 위한 손잡이(180)를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포켓(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전방면(110), 후방면(120), 양측방면(130), 상면(140), 및 저면(150)으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suspender 170 for holding the user's shoulder or a handle 180 for holding the user's hand and may have a plurality of pockets (not shown) as required.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front surface 110, a rear surface 120, both side surfaces 130, an upper surface 140, and a bottom surface 150.

한편, 도 1은 본 고안이 일반적인 형태의 백팩(10)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받침판부(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받침판부(200)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과 나란히 대면한 상태로 인접하여 보관된다. 받침판부(200)의 하측부는 박음질(縫製結合), 다수의 리벳(rivet), 고리형홀더, 가열접합, 및 기계식힌지 등의 공지의 결합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힌지부재(220)에 의해 전방면(1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pivotaly) 본체부(1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받침판부(200)는 하측부를 중심으로 전방면(1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판부(200)는 플레이트부재(202), 및 플레이트부재(202)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탄성패드부재(204)로 구성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FIG. 1 exemplarily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ackpack 10 of a general type.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foot plate portion 200 of the backpack 10 for a mobile device user, the foot plate portion 200 is stor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body portion 100 in a side-by-side manner .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00 is coupled to the hinge member 200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known coupling means such as a stitching (sewing connection), a plurality of rivets, an annular holder, a heating joint, and a mechanical hinge 220 to the body portion 100 pivot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face 110. Accordingly, the support plate 200 can be rotated about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10 by a predetermined angle to maintain the open state. The base plate portion 200 may be composed of a plate member 202 and an elastic pad member 20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02.

또한,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은 플레이트부재(202)의 대략 중앙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폭에 걸쳐 플레이트부재(202)와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은 접착제에 의해 플레이트부재(202)에 단단히 부착되거나, 플레이트부재(202)에 별도로 부착된 고리형홀더(미도시)에 끼워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전방면(110)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240)에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가 최소인 상태에서는 플레이트부재(202)가 전방면(110)과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플레이트부재(202)가 전방면(110)과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에 따라 플레이트부재(202)와 전방면(110) 간의 개방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부재(202)와 연결되는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가로방향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과 플레이트부재(202) 간의 체결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is connected to the plate member 202 over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member 202. [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is configured to be securely attached to the plate member 202 by an adhesive, or to be connected to an annular holder (not shown) separately attached to the plate member 202 It is possible.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may be fixed so that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can be variably adjusted to the fixing device 24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10. The plate member 202 is kept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110 while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is minimum and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is increased The plate member 202 maintains the open state with the front surface 110. [ In this case, the opening angle between the plate member 202 and the front surface 110 can be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The wid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connected to the plate member 202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to further strengthen the fastening force between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and the plate member 202 .

한편,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각각의 체형 및 사용 양태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받침판부(200)의 개방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받침판부(200)를 원하는 개방 각도에 따라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조정한 후 고정장치(240)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of opening of the desired plate part 200 desired by each user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body type and usage of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n this case,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according to a desired opening angle of the support plate 200, and fix the fixing plate 240 to the fixed plate 240 after the adjustment.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구성을 예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예를 들어 박음질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행거부재(242); 및 행거부재(242)의 하부의 소정 위치에서 전방면(110) 상에 부착되는 공지의 벨크로(Velcro)와 같은 탈착부재(244)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행거부재(242)에 걸린 상태로 탈착부재(244)에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2, the fixing device 240 of the backpack 10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device 240 for fixing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using, for example, A hanger member (242) fixed by the hanger member (242); And a releasable member 244, such as a Velcro, known in the art, which is attached on the front side 110 at a predetermined location below the hanger member 242.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can be fixed to the releasable member 244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thereof is adjustably attached thereto with the hanger member 242 engaged.

한편,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재(202)는 그 상단에 잠금부재(21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부재(210)는 받침판부(20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서 이격되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부재(210)는 자석버튼, 스냅버튼, 버클, 패스너, 및 래치기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llustrated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 202 further includes a lock member 210 at the top thereof. The locking member 210 prevents the support plat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support plate 200 is closed. The locking member 210 may be embodied in any one or combination of a magnetic button, a snap button, a buckle, a fastener, and a latch mechanism.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형성된 슬롯(slot)(241); 및 상기 전방면(110)의 내측면에 결합된 탈착부재(244)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상기 슬롯(241)을 관통하여 탈착부재(244)에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3, the fixing device 240 of the backpack 10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ot 241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a detachable member 244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10. [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can be fixedly connected to the slit 241 and the length thereof can be adjusted to the slit 244.

도 4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enlarging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예를 들어 박음질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클립부재(clip)(242a)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클립부재(242a)에 길이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4, the fixing device 240 of the backpack 10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by using, for example, And a clip 242a attached thereto.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can be fixed to the clip member 242a in a length-adjustable manner.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예를 들어 박음질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체결버클(buckle)(242b)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체결버클(242b)에 길이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5, the fixing device 240 of the backpack 10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device 240 for attaching, for example, a staple or the like to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a buckle (buckle) 242b which is attached by using a buckle.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can be fixed to the tightening buckle 242b in a length-adjustable manner.

상술한 가요성 연결부재(260)는 받침판부(200)가 접혀지면 함께 납작하게 접혀지고, 받침판부(200)가 개방되면 함께 펼쳐지도록 끈, 스트랩, 가죽, 밴드, 벨트, 수지코드, 다심금속와이어(multi-cord metal wire) 등을 포함하는 가요성 경량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described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is folded flat when the support plate 200 is folded and is folded flat when the support plate 200 is opened.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may be a strap, a strap, a leather, And a flexible lightweight material including a multi-cord metal wire or the like.

한편, 모바일기기의 하측면이 이어폰 플러그 또는 충전용 플러그 등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폰 플러그 또는 충전용 플러그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될 때 가요성 연결부재(260)와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device may have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n earphone plug or a charging plug is inserted. In this case, mutual interference may occur with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when the earphone plug or the charging plu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nfiguration may be required to solve such a problem.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연결부재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More particularly, Figure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200)(도 1 내지 도 3 참조)의 플레이트부재(202)와 연결되는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빈 공간(S)을 형성하거나, 가요성 연결부재(260) 자체를 비교적 폭이 좁은 복수의 소재를 나란히 배열하여 복수의 소재 사이에 빈 공간(S)을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연결부재(260)에 형성된 빈 공간(S) 내로 이어폰플러그 또는 충전용플러그가 수용되도록 하여 가요성 연결부재(260)와 이어폰플러그 또는 충전용플러그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6, one end of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which is connected to a plate member 202 of a base plate 200 (see Figs. 1 to 3)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may be formed by forming a space S or arranging a plurality of relatively narrow materials in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side by side so as to form an empty space S between the plurality of materials The earphone plug or the charging plug can be accommodated in the formed empty space S so that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and the earphone plug or the charging plug can be prevented.

한편, 플레이트부재(202)는 받침판부(200)에 걸리는 모든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한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판부(200)가 소정 각도만큼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려면 가요성 연결부재260)가 팽팽하게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이 플레이트부재(202)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플레이트부재(202)는 예를 들면, 얇은 판상의 구조로서 견고한 플라스틱수지, 나무, 또는 비교적 가벼운 금속판과 같은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 202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strong enough to support all the loads applied to the support plate 200. In addition,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is firmly coupled to the plate member 202 so that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can be pulled up tightly so that the base plate portion 200 is kept open by a predetermined angle do. The plate member 202 is preferably, for example, a thin plate-like structure and is embodied as a material such as rigid plastic resin, wood, or a relatively light metal plat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판부(200)는 플레이트부재(202), 및 플레이트부재(202)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탄성패드부재(204)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패드부재(204)는, 예를 들면, 부직포, 고무, 솜, 스펀지, 라텍스수지, 발포성수지, 젤쿠션백 및 에어쿠션백 등과 같은 공지된 탄성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기기의 사용자의 손 또는 팔이 받침판부(200)에 올려놓아진 상태에서 탄성패드부재(204)가 사용자의 피부 및 골근육에 푹신하고 부드럽게 받쳐주는 쿠션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받침판부(200) 상에서 장시간 모바일기기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portion 200 may be composed of the plate member 202 and the elastic pad member 20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02. The elastic pad member 204 is preferably made of a known elastic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a rubber, a cotton, a sponge, a latex resin, a foam resin, a gel cushion bag and an air cushion bag. Since the elastic pad member 204 provides a cushion func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skin and bone muscles in a soft and smooth manner while the user's hand or arm of the mobile device is placed on the base plate 200, )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탄성패드부재(204)는 모바일기기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과 모바일기기의 외장 케이스의 긁힘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어서, 모바일기기 자체를 보호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가요성 연결부재(260)는 탄성패드부재(204)를 통과하여 고정장치(240)에 연결되도록 탄성패드부재(204)에 관통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받침판부(200) 상에 얹혀질 때 사용자의 손이나 팔의 일부분만이 바닥과 접촉하므로,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받침판부(200)와 자주 닿는 부분 또는 실제로 접촉하는 부분을 고려하여 탄성패드부재(204)를 플레이트부재(202) 상의 일부분에만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d member 204 can prevent or reduc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scratch of the external case of the mobile device,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mobile device itself. Preferably,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forms a space permitting penetration of the resilient pad member 204 such that it passes through the resilient pad member 204 and is connected to the retention device 240. Since only a portion of the user's hand or arm contacts the floor when the hand or arm of the mobile device user rests on the base plate portion 200, the user's hand or arm frequently touches the base plate portion 200, The elastic pad member 204 may be provided only on a part of the plate member 202. In this case,

또한, 받침판부(200)의 하측면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부재(220)가 제공된다, 이러한 힌지부재(220)는 플레이트부재(202)의 하단과 본체부(110)의 일측면을 직물이나 가죽으로 접착하거나 봉접하는 플렉시블 힌지로 구현될 수 있다.1 to 3, the hinge member 220 includes a lower end of the plate member 202 and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Or a flexible hinge to which one side of the hinge is bonded or joined with a fabric or a leather.

도 7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200)는 그 하측면에 하부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부(leg)(20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레그부(206)의 타단부는 힌지부재(220)와 결합하여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받침판부(200)는 한 쌍의 레그부(206)에 의해 가요성 연결부재(260)가 플레이트부재(202) 상에서 결합되는 위치가 플레이트부재(202)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받침판부(200)의 사용 영역이 더 넓어지는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oot plate 200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legs 206 extending downwardly at a lower side thereof. In this case,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leg portions 206 engage with the hinge member 220 and are rotatably fixed to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body portion 100. 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where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is engaged on the plate member 202 by the pair of leg portions 206 can b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member 202, An advantage that the use area of the unit 200 is wider can be achieved.

또한,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받침판부(200)의 하단부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또는 공간에 의해 모바일기기가 그 간격 또는 공간을 통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부드러운 직물, 가죽, 연성플라스틱 등과 같은 가요성소재로 구현되는 낙하 방지부재(미도시)가 받침판부(200)의 하단부와 전방면(110)의 사이에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낙하 방지부재(미도시)는 모바일기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7, the gap or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portion 200 and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body portion 100 allows the mobile device to be moved to the floor It can fall. 7, a drop prevention member (not shown), which is embodied as a flexible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 soft fabric, leather, soft plastic or the like,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portion 200 and the front surface 11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above. Such a fall preventing member (not shown) can prevent the mobile device from falling to the floor.

상술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은 백팩(10)의 겉부분이 직물, 합성수지, 가죽과 같은 부드러운 외피소재와 같은 소프트쉘(softshell)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소프트쉘 백팩(softshell backpack)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백팩(10)의 겉부분이 PVC, PE, 및 PP와 같은 플라스틱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수지, 또는 FRP수지와 같은 고강성 엔지니어링 수지, 또는 금속소재 등의 단단하고 강성(stiffness)이 높은 외피소재와 같은 하드쉘(hardshell)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하드쉘 백팩(hardshell backpack)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backpack 10 of the mobile devic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pack 10 is formed using a soft shell such as a soft sheath material such as fabric, A soft shell backpack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pack 10 may be made of a high rigidity engineering resin such as a plastic resin such as PVC, PE and PP, a polycarbonate (PC) resin, or a FRP resin, And a hardshell backpack constructed using a hard shell such as a hard and high stiffness material.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백팩(10)의 본체부(100)가 소프트쉘 백팩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백팩(10)의 본체부(100)에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강성의 지지프레임(support frame)(190)을 추가로 제공하고,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본체부(100) 대신 지지프레임(190)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100 of the backpack 10 is embodied as a soft shell backpack,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in the main body 100 of the backpack 10, A phenomenon in which the device 240 can not maintain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may occur. In order to maintain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plate 200 and the fixing device 240, a support frame (not shown), which is shown in FIG. 8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uring device 240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90 instead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uring device 240 are sufficiently The supporting force can be maintained.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적용하여 구성한 백팩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에에서는 지지프레임(190)을 강조하기 위해 본체부(100)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pack constructed by apply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main body 100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order to emphasize the support frame 190.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에서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의 내측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판상(板狀)의 지지프레임(190)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90)에 의해,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받침판부(200), 고정장치(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260)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8 and 9, in the backpack 10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inside of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is covered with a plate- A support frame 190 is further provided. The support frame 190 allows the support plate 200, the fixing device 240 and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260 shown in Figs. 1 to 3 and 7 to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110). ≪ / RTI >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백팩(10)이 판상 지지프레임(19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내측에서 지지프레임(190)에 미치는 지지력이 가능한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일부가 늘어지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전방면(110)이 전체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9, since the back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plate-shaped support frame 190, the support force of the backpack 10 from the inside of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to the support frame 190 This is possible evenly distributed.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110 can be kept in a fully taut state without a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being stretched or distorted.

비록 도 9에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90)이 도 3에 도시된 백팩(10)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 및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도 8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90)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190)이 실질적으로 전방면(100)의 내측 전체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지지프레임(190)이 받침판부(200), 고정장치(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260)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전방면(100)의 내측 일부 영역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support frame 190 shown in Fig. 8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backpack 10 shown in Fig. 3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rame 190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support frame 190 is illustrated as being substantially provid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00,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upport frame 190 may be provided on the base plate 20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lly understood and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에서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술한 하드쉘로 구현되어, 받침판부(200), 고정장치(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26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In the backpack 10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is embodied as the hard shell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40, and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can be firmly supported.

도 10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다양한 형태의 지지프레임(190)이 백팩(10)의 본체부(100)(점선으로 표시됨)의 구성요소들이 백팩(1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백팩(10)의 내부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with reference to Figures 1-3 and Figures 7-9, various types of support frame 190 may be used to connect the components of the main body 100 (shown in phantom) of the backpack 10 to the backpack 10 To be firmly supported by the backpack 10.

한편, 백팩(10)이 상술한 하드쉘 백팩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전방면(110)에 직접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드쉘 백팩의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자체가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90)의 기능을 갖는다.When the backpack 10 is embodied as a hard shell backpack 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base plate 200 and the fixing device 240 can be directly and rigid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110,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itself has the function of a support frame 190 that firmly supports the base plate 200 and the fixing device 240.

또한, 본 고안의 상술한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하드쉘 백팩의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상에 제공되는 경우, 백팩(10)의 본체부(1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when the above-mentioned base plate 200 and the fixing device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of the hard shell backpack, the main body 100 of the backpack 10 And further has a function of protecting an article accommodated therein from an external impact.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1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More particularly,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백팩(10)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형성되는 전방개구부(192); 및 상기 전방개구부(192)의 내측에 모바일기기를 보관하는 수납포켓(19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개구부(192)는 본 고안의 받침판부(200)에 의해 덮여지므로(도 11에는 미도시됨), 사용자는 수납포켓(194) 내에 보관된 모바일기기를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꺼내어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수납포켓(194) 내에 보관된 고가의 모바일기기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수납포켓(194)에 모바일기기를 넣거나 꺼내는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고정장치(240)는 고정장치(240)에 체결 고정된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한 후 다시 체결할 수 있도록 도 5에 예시되는 체결버클(242b)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1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Figs. 7 to 9, the back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opening 192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a storage pocket (194) for storing the mobile device inside the front opening (192). In this case, since the front opening portion 192 is covered by the foot plate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hown in FIG. 11), the user can conveniently take out the mobile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pocket 194 at any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pensive mobile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pocket 194 from being damaged by strong external impact.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hindering the operation of inserting or removing the mobile device into or from the storage pocket 194, the fixing device 240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260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ing device 240 It is preferable to embody the fastening buckle 242b as shown in Fig. 5 so that it can be easily released and then fastened again.

상술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90)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백팩(10)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90 shown in Figs. 8 to 11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eformation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ype and shape of the backpack 10.

도 13은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앉아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preferred posture in which a mobile device user sits and uses a mobile device using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도 1 내지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본 고안의 백팩(10)을 사용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백팩(10)의 상단부를 걸쳐놓고, 사용자의 허벅지 상에 백팩(10)의 하단부를 걸쳐놓은 후, 받침판부(200)를 원하는 개방각도 만큼 열어놓는다. 그 후, 사용자는 개방된 받침판부(200) 위에 모바일기기를 올려놓고 손 또는 팔을 이용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사용자는 본 고안의 받침판부(200)를 구비한 백팩(10)을 사용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ogether with FIGS. 1 to 11, a mobile device user is sitting on a chair and using the back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backpack 10 is placed on the user's chest, the lower end of the backpack 10 is placed on the thigh of the user, and the base plate 200 is opened by a desired opening angle. Thereafter,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his / her hand or arm by placing the mobile device on the open base plate 200.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can maintain the correct attitude by using the backpack 10 having the base plate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use the mobile device with high stability and convenience.

도 14는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입식 자세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how a mobile device user uses a mobile device by using a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uth-standing posture.

도 14를 도 1 내지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백팩(10)을 자신의 신체의 전방 방향으로 착용하고 서있는 상태에서도 받침판부(200)를 적절히 개방하고 모바일기기를 그 위에 얹어 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4 together with FIGS. 1 to 11, when the user wears the back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of his or her body, the base plate portion 200 is properly opened and the mobile device is placed thereon You can also use it.

또한,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백팩(10)에 제공되는 받침판부(200) 상에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본 고안의 백팩(10)은 받침판부(200) 상에 책과 같은 도서를 얹어 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독서대로 겸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백팩(10)은 받침판부(200)가 독서대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역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함께 신체건강에 도움이 되는 장점이 달성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xemplifies the use of a mobile device on the base plate portion 200 provided in the back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book like a book can be placed on the base board 200, it can be used as a reading book. The back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in that it is convenient and helps the user's body health because the user can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even when the base plate 200 is used as a reading desk.

다양한 변형예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is not.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백팩 100: 본체부 110: 전방면 120: 후방면 130: 측방면 140: 상면
150: 저면 170: 멜빵 180: 손잡이 190: 지지프레임 192: 전방개구부
194: 수납포켓 200: 받침판부 202: 플레이트부재 204: 탄성패드부재
210: 잠금부재 220: 힌지부재 240: 고정장치 241: 슬롯
242a: 클립부재 242b: 체결버클 260: 가요성 연결부재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pack,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194: Storage pocket 200: Support plate part 202: Plate member 204: Elastic pad member
210: locking member 220: hinge member 240: fixing device 241: slot
242a: clip member 242b: fastening buckle 260: flexible connecting member

Claims (7)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받침판부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받침판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장치와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In a backpack for a mobile device user,
A body portion;
A base plat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fixing devic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base plate portion and the fixing device,
Lt; / RTI >
One end of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lat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with the fixing device in a length adjustable manner to adjust the opening angle of the receiving plate portion
Backpack for mobile device us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탄성패드부재로 구성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late portion comprises a plate member and an elastic pad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부재가 부직포, 스펀지, 솜, 적층섬유, 발포성고무, 발포성수지, 젤충전팩, 및 에어충전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astic pad member comprises one of a nonwoven fabric, a sponge, a cotton, a laminated fiber, a foam rubber, a foamed resin, a gel filling pack, and an air filling pack.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그 상단에 잠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ate member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ember at the top thereof.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고리형홀더부재, 클립부재, 벨크로, 체결버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astening device is implemented by one or a combination of an annular holder member, a clip member, a Velcro, and a fastening buckl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이 소프트쉘 백팩으로 구현되고, 상기 전방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받침판부, 상기 고정장치, 및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backpack for the mobile device user is embodied as a soft shell backpack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base plate portion, the fixing device, and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Backpack for mobile users.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드쉘로 구현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implemented as a hard shell.
KR2020130003492U 2013-05-03 2013-05-03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KR2004738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92U KR200473826Y1 (en) 2013-05-03 2013-05-03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92U KR200473826Y1 (en) 2013-05-03 2013-05-03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26Y1 true KR200473826Y1 (en) 2014-08-08

Family

ID=5198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492U KR200473826Y1 (en) 2013-05-03 2013-05-03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2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596B1 (en) * 2016-07-29 2017-02-20 박원규 Functional Ba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68Y1 (en) 2006-06-28 2006-09-20 남기원 A travel bag which a baby bag is adhered
JP3974854B2 (en) 2001-02-22 2007-09-12 義昭 田村 Travel bag with folding cart
KR200448181Y1 (en) 2007-09-10 2010-03-24 권혁남 Sack for emergency
JP3173176U (en) * 2011-11-10 2012-01-26 泰子 西 Carry B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4854B2 (en) 2001-02-22 2007-09-12 義昭 田村 Travel bag with folding cart
KR200426868Y1 (en) 2006-06-28 2006-09-20 남기원 A travel bag which a baby bag is adhered
KR200448181Y1 (en) 2007-09-10 2010-03-24 권혁남 Sack for emergency
JP3173176U (en) * 2011-11-10 2012-01-26 泰子 西 Carry 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596B1 (en) * 2016-07-29 2017-02-20 박원규 Functional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7846A1 (en) Contour shaped support pillow
US9283878B2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KR101829876B1 (en) Baby carrier
US20120286002A1 (en) Baby carrier
KR200473627Y1 (en) Assisting armrest for shoulder joint
WO2018086565A1 (en) Posture correcting eyesight protector
US9873361B2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JPH06141922A (en) Protector
US9907373B2 (en) Bag for a mobile device user with an adjustable support board
KR101536173B1 (en) A Backpack for Mobile Device Users
JP2020018822A (en) Backpack
US8256049B1 (en) Compact sleep enhancement kit
JP6040432B1 (en) Backing aids
US2024016762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30104274A1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KR200473826Y1 (en) 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KR200467949Y1 (en)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TW202237007A (en) Torso device
JP3231842U (en) Inconspicuous elbow support
CN210076885U (en) Shoulder strap adjusting device and spine protection backpack of backpack
KR200468599Y1 (en) Backpack having s-shaped back plate
JP3146966U (en) Lullaby
KR101664021B1 (en) Convertible chair cover
KR20180051269A (en) Apparatus of supporting chin for sleepiness
KR20170110304A (en) Bag having armpit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