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48Y1 - Throttle Quadrant Assembly - Google Patents

Throttle Quadran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48Y1
KR200469948Y1 KR2020130001038U KR20130001038U KR200469948Y1 KR 200469948 Y1 KR200469948 Y1 KR 200469948Y1 KR 2020130001038 U KR2020130001038 U KR 2020130001038U KR 20130001038 U KR20130001038 U KR 20130001038U KR 200469948 Y1 KR200469948 Y1 KR 200469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lever
lever
control device
engine thrus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2870U (en
Inventor
김동원
전갑탁
홍순용
최양일
정성목
Original Assignee
영풍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풍전자(주) filed Critical 영풍전자(주)
Priority to KR2020130001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48Y1/en
Publication of KR20130002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7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4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1/00Power plant control systems; Arrangement of power plant control systems in aircraft
    • B64D31/02Initiating means
    • B64D31/0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공기에 이용되는 엔진추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레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는, 엔진추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항공기의 엔진의 추력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네 단계로 이동이 가능한 주레버; 상기 주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지센서(RVDT)로 구성되어 상기 주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주레버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상기 주레버의 움직임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찰력조절부; 상기 주레버가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힘 이상이 주어진 경우에만 기설정된 두 개의 단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 및 상기 주레버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aircraft,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having a lock to prevent the lever from moving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to the technical problem. To this end,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lever is movable in at least four stages to adjust the thrust of the engine of the aircraft;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by a detection sensor (RVDT)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lever;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main lever to adjust the movement preference of the main lever; A catching part for allowing the main lever to move two preset steps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given from the outside; And by adjusting the main lever in a locked state or a released state, a lock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main lever.

Description

엔진추력조절장치{Throttle Quadrant Assembly}Throttle Quadrant Assembly

본 고안은 항공기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항공기의 엔진 추력을 조절하는 엔진추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pplied to the aircraft, in particular, to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engine thrust of the aircraft.

항공기산업은 유인동력 항공기, 활공기, 활강기 및 비동력 항공기, 지상비행 훈련장치와 항공기용 모터 및 엔진과 그 부분품을 제조, 조립, 재생, 개조 및 수선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항공기산업에 의해 제조되는 항공기는 다른 교통수단 및 운송체계와 비교할 때, 그 무엇보다도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요구된다.The aircraft industry refers to the industrial activities of manufacturing, assembling, regenerating, modifying and repairing manned powered aircraft, gliding, glide and non-powered aircraft, ground flight training devices and aircraft motors and engines and parts thereof. Aircraft manufactured by them require, among other things, a high level of reliability and stability when compared to other modes of transport and transportation.

이러한 항공기 산업 중 엔진추력조절장치는 항공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항공기의 추력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Engine thrust control device of the aircraft industry is connected to the aircraft control device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thrust of the aircraft.

그러나, 종래의 엔진추력조절장치는, 비행기 조종사의 실수 또는 부주의에 의해 레버가 움직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has a problem that an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lever being moved by a mistake or carelessness of an airplane pilot.

또한, 종래의 엔진추력조절장치는, 레버에 문제가 발생하여 레버가 동작되지 않는 상황에 조종사가 대처할 수 있는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has a problem that an accident may occur because a problem occurs in the lever and does not provide an auxiliary device that the pilot can cope with when the lever is not operat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레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는, 엔진추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lock to prevent the lever from moving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to the technical problem.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항공기의 엔진의 추력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네 단계로 이동이 가능한 주레버; 상기 주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지센서(RVDT)로 구성되어 상기 주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주레버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상기 주레버의 움직임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찰력조절부; 상기 주레버가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힘 이상이 주어진 경우에만 기설정된 두 개의 단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 및 상기 주레버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한다.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ain lever is movable in at least four stages to adjust the thrust of the engine of the aircraft;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by a detection sensor (RVDT)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lever;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main lever to adjust the movement preference of the main lever; A catching part for allowing the main lever to move two preset steps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given from the outside; And by adjusting the main lever in a locked state or a released state, a lock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main lever.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고안은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레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써, 조종사의 실수 또는 부주의에 의해 레버가 움직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to prevent the lever from moving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thereby preventing the situation in which an accident may occur by moving the lever due to a pilot's mistake or carelessness. to provide.

또한, 본 고안은 조종사가 엔진의 추력을 제어하기 위해 움직이는 주레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작동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에 항공기의 운행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을 조종사가 조종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xiliary operation part in addition to the case in which the pilot moving main lever to control the thrust of the engine is not normally operated, the pilot can control the minimum func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To prevent acciden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저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마찰력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잠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보조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various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ensing unit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frictional force control unit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ock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uxiliary operation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엔진추력조절장치(TQA : Throttle Quadrant Assembly)는 항공기 엔진의 출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엔진추력조절장치는 항공기 조정석의 전방석과 후방석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석 엔진추력조절장치와 후방석 엔진추력조절장치(200)는 다소 상이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Throttle Quadrant Assembly (TQA) is a device that regulates the output of an aircraft engine.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seats of the aircraft cockpit, and the front seat engine thruster and the rear seat engine thrust control. The apparatus 200 has a somewhat different configuration.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특히, 전방석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네 개의 감지센서(RVDT : Rotary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이 중 하나(E)는 보조감지센서 임)로 구성된 감지부를 이용하여 주레버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에서 감지된 주레버의 위치 감지정보는 아날로그 신호로 제어장치에 전송되며, 제어장치는 엔진추력조절장치에서 전송되어온 아날로그 위치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주레버의 위치를 파악한 후, 엔진추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각 구성요소들로 디지털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particular, located in the front seat, using the detection unit consisting of four detection sensors (RVDT: Rotary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one (E) is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of the main lever The position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main lever detected by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as an analog signal, and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analog position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fter analyzing the location of the main lever, the digital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component that can change the engine thrus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 개의 감지센서(RVDT)와 하나의 보조감지센서로 구성된 감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세 개의 감지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고장 등의 이유로 정상동작하지 않거나 또는 주레버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항공기의 조종이 불가능하게 되면, 조정사는 전환스위치를 이용하여 보조감지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unit consisting of three detection sensors (RVDT) and one auxiliary detection sensor as described above, any one of the three detection sensors, such as failure If the aircraft cannot be controlled due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main lever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main lever, the coordinator can operate the auxiliary sensor using a changeover switch.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항공기 엔진의 추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주레버를 크게 4단계(off: 정지단계, Idle: 공회전단계, MIL: 정속단계, AB: 최대추력단계로 변경)의 위치(Position)로 이동시켜 가며 작동하고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thrust of the aircraft engine, the main lever is largely changed to four stages (off: stop stage, Idle: idle stage, MIL: constant speed stage, AB: maximum thrust stage) It works by moving to the position of). In particular, it has the following five characteristic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적어도 세 개의 감지센서(RVDT)로 구성된 감지부에 의해 레버의 움직임(변위각)을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First,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displacement angle) by the sensing unit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detection sensors (RVDT)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characterized in that Have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각 조종사가 마찰력조절부의 노브를 조절하여 주레버의 움직임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Second,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pilot to adjust the knob of the friction force control unit to adjust the movement preference of the main lever.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주레버를 최고 속도 단계(AB)로 이동시킬 때, 걸림부를 이용하여 다른 단계로의 이동보다 강한 힘이 요구되도록 함으로써,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최고 속도에 의해 항공기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Third,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ving the main lever to the maximum speed stage (AB), by using a stronger force than the movement to another stage by using the locking portion,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pilot This prevents the aircraft from being controlled by speed.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주레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레버로 구성된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다.Fourth,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cking portion composed of a lock lever to prevent the main lever from moving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조종사가 엔진의 추력을 제어하기 위해 움직이는 주레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레버와 전환스위치로 구성된 보조작동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Fifth,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n auxiliary operating unit consisting of a secondary lever and a switch for the case in which the pilot moving main lever to control the thrust of the engine is not normally operated.

즉,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주레버가 4단계(Off, Idle, MIL, AB)의 위치로 이동되면서 동작하고 있고, 주레버의 오작동으로 인한 엔진추력조절장치의 Off를 방지하기 위해 잠금부(제4특징)를 구비하고 있으며, 주레버가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AB 단계에서 최고 출력 단계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제3특징)를 구비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lever is operated while moving to the position of four stages (Off, Idle, MIL, AB), to prevent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off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main lever In order to prevent the main lever from being switched from the AB stage to the highest output stage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a locking portion (third feature) is provid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주레버의 다운시 비상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보조레버 및 보조레버에 대한 위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감지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환스위치로 구성된 보조작동부(제5특징)를 구비하고 있다. 즉, 주레버(Main Lever)의 기계적인 결함으로 그 사용이 불가능할 때, 조종사는 전환스위치를 이용하여 보조감지센서를 동작시킨 후 보조레버를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며, 보조레버에 의한 보조감지센서의 감지정보는 제어장치로 전송되어 그 위치가 판단된다.In addition,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xiliary operating unit consisting of a switch for operating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position detection for the auxiliary lever and the auxiliary lever can be used for emergency when the main lever down. (Fifth feature). That is, when its use is impossible due to a mechanical defect of the main lever, the pilot can operate the auxiliary sensor by using the changeover switch and then operate it by using the auxiliary lever. The sensing information of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and its position is determin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한 개의 감지센서(RVDT)가 고장이 나더라도 두 개의 감지센서(RVDT)로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감지부가 3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레버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보조감지센서가 감지부에 더 추가되어 있다(제1특징). In addition,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hree-sensor detection unit to perform the task with two detection sensors (RVDT) even if one detection sensor (RVDT) is broken, the main lever is abnormal One auxiliary sensing sensor is further added to the sensing unit so that it can be used in case of occurrence (first characteristic).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주레버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마찰력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force control unit that can adjust the friction force of the main lever.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는 아날로그 채널(Analog Channel)을 통해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주레버의 위치정보가 실려있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주레버(Main Lever)의 각도를 판단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conta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in lever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through the analog channel (Analog Channel) of the main lever (Main Lever) The angle will be judged.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섯가지 특징들을 중점으로 하여 본 고안이 상세히 설명된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emphasis on the fiv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즉,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조종사가 필요 시에 엔진의 추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의 하우징(180),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어서 조종사가 엔진의 추력을 조절하기 위해 잡고 움직이는 주레버(191), 주레버에 장착되어 있으며 주레버가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잠금부(140), 주레버의 고장 또는 비정상 동작시 이용하기 위한 보조레버와 전환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보조작동부(150) 및 주레버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브가 구비되어 있는 마찰력조절부(120)를 포함하고 있다.That i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the pilot to adjust the thrust of the engine when necessary, as shown in Figure 1 Likewise, the box-shaped housing 180, which is mounted in the housing, is mounted on the main lever 191 and the main lever to move the pilot to adjust the thrust of the engine, and prevents the main lever from moving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To adjust the friction of the locking unit 140 and the auxiliary operating unit 150 and the main lever provided with a switching switch for use in case of malfunction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main lever. It includes a friction force adjustment unit 120 is provided with a knob for.

우선, 하우징(180)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내부에도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제1특징을 구성하는 감지센서와 보조감지센서로 구성된 감지부와, 제3특징을 구성하는 걸림부는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First, the housing 180 forms an appearance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have. On the other hand, various compon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housing, and in particular, the sensing unit consisting of a sensor and an auxiliary sensor constituting the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engaging portion constituting the third feature inside the housing It is mounted on.

다음, 주레버(191)는 조종사가 엔진의 추력을 조절하기 위해 잡고 움직이는 장치로서, 주레버의 위치에 따라 엔진의 추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주레버의 위치에 따라 엔진의 속도가 제어될 수 있는바, 주레버가, Shut down(off), Idle, Mil, AB(Min AB, Max AB)의 위치(Positions)에 놓여짐에 따라, 엔진의 추력은 네 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엔진의 최고 출력(AB) 발생을 위한 주레버의 위치는 세부적으로 Min AB 단계와 Max AB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Next, the main lever 191 is a device that the pilot grabs and moves to adjust the thrust of the engine, the thrust of the engin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That is, the speed of the engin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As the main lever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Shut down (off), Idle, Mil, AB (Min AB, Max AB) The thrust of the engine can be adjusted in four stages. Here,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for generating the highest output AB of the engine may be classified into a Min AB step and a Max AB step.

다음, 노브는 본 고안의 제2특징을 이루는 마찰력조절부(120)의 구성요소로서, 각 조종사마다 주레버(191)의 움직임 선호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구비된 것이다. 즉, 각 조종사는 노브(마찰력 조절레버)를 조절하여 주레버의 움직임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어느 조종사는 주레버(191)가 부드럽게 각 위치를 움직이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고, 다른 조종사는 주레버가 조종사의 강한 지압에 의해 각 위치를 움직이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는바, 본 고안은 이러한 주레버의 움직임 촉감을 각 조종사가 마찰력조절부(120)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Next, the knob is provided as a component of the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120 forming the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movement preference of the main lever 191 may be different for each pilot. That is, each pilot can adjust the movement preference of the main lever by adjusting the knob (friction control lever). In detail, one pilot may prefer the main lever 191 to move each position smoothly, the other pilot may prefer the main lever to move each position by the strong pressure of the pilot b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each pilot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using the friction force control unit 120.

다음, 잠금레버는 본 고안의 제4특징을 이루는 잠금부(140)의 구성요소로서, 조종사의 실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종사는 잠금레버의 Idle Gate 와 Lift Handle을 이용하여 주레버의 위치를 잠궈둠으로써, 주레버가 조종사의 의지와 상관없이 엔진을 오프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여 항공기의 엔진이 오프(OFF)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주레버(191)의 위치에 따라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엔진이 최대의 출력을 내도록 할 수도 있고, 엔진이 정지(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주레버가 움직이게 되면,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종사가 잠금레버를 잠금위치에 놓게 되면, 주레버(191)가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locking lever is a component of the locking unit 140, which constitutes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tended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a pilot mistake. That is, the pilot locks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by using the lock lever's Idle Gate and the lift handle, so that the main lever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engine is turned off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and the engine of the aircraft is turned off. It performs a function to prevent it. In detai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191, as described above,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may allow the engine to output the maximum output, or may cause the engine to be stopped (off), Regardless, if the main lever moves, unexpected accidents may occur. Therefore, when the pilot puts the lock lever in the locked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main lever 191 from moving arbitrarily,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as described above.

마지막으로, 보조레버는 본 고안의 제5특징을 이루는 보조작동부(150)의 구성요소로서, 메인출력조절장치인 주레버(191)가 고장나거나 또는 비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다운되었다고 함), 조종사가 비상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종사는 비상 스로틀 스위치(보조레버)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전환스위치를 선택함으로써, 한 개의 보조감지센서(RVDT)를 이용하여 비상시 엔진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주레버(191)의 위치는 세 개의 감지센서(RVDT)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계를 통해 엔진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으나, 비상시에 동작되는 보조레버는 한 개의 보조감지센서(RVDT)에 의해서만 감지되도록 간단히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종사는 비상시에 항공기를 조정하기 위한 최소의 단계, 예를 들어, 비행 또는 오프, 또는, 고속 또는 저속과 같은 간단한 조정 단계만을 지시할 수 있다.Lastly, the auxiliary lever is a component of the auxiliary operating unit 150 constituting the fif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main lever 191, which is the main output control device, is broken or abnormally operated (called down), For the pilot to use for emergency use, the pilot can adjust by using the emergency throttle switch (auxiliary lever), and at this time, by selecting the changeover switch, one auxiliary detection sensor (RVDT) is used to control the engine output in case of emergency. can do. That is, when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normally,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191 can be detected by the three detection sensors (RVDT), accordingly the engine through the four steps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but since the auxiliary lever that is operated in an emergency is simply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only one auxiliary sensor (RVDT), the pilot has the minimum steps for adjusting the aircraft in an emergency, for example, Only simple adjustment steps such as flight or off, or high or low speed may be indicated.

이하에서는 우선,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 후,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섯 가지 특징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and then fiv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3.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특히, 도 2 내지 도 4에서 (a)는 외부로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하우징 내부의 상태를 것이다. Figure 2 shows a front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rear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right side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plan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bottom view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ures 2 to 4 (a) is seen from the outside (B) shows the state inside the housing.

즉,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80), 주레버(191), 감지부(110), 마찰력조절부(120), 걸림부, 잠금부(140) 및 보조작동부(150)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at is,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80, the main lever 191, the sensing unit 110, the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120, the engaging portion, the locking portion 140 and the auxiliary Actuator 150 is included and each includes components as shown in FIGS. 2 to 6.

우선, 하우징(18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의 외관을 구성하고 있다.First, the housing 180 constitutes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다음, 주레버(191)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레버고정판(19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레버고정판(192)은 미도시된 감지센서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다.Next, the main lever 191 is connected to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is connected to the sensor sensor driver not shown.

다음, 감지부(11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 개의 감지센서(111)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감지부(110)는 미도시된 하우징의 주레버 고정판 연결부 반대편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부를 구성하는 감지센서축에는 주레버고정판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센서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기어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는 주레버(19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감지부는 전환스위치(152)에 의해 동작되는 보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다.
Next, the sensing unit 110 includes three sensing sensors 111 as shown in (b) of FIG. 3. Here, the sens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lever fixing plat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using not shown, and the sensing sensor shaft which is rotated by the sensing sensor driver connected to the main lever fix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shaft constituting the sensing unit. It is. The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191.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ensing sensor operated by the changeover switch 152.

*다음, 마찰력조절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평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브(121), 웜기어(122) 및 클러치(웜휠)(123)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클러치에 형성된 클러치홈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어 주레버고정판과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마찰팩을 포함하고 있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120 includes a knob 121, a worm gear 122, and a clutch (worm wheel) 123 exposed to the plane of the housing. It includes a friction pack that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the clutch groove formed to adjust the friction force with the main lever fixing plate.

다음, 걸림부는 주레버가 최고속도 단계(AB) 또는 최고속도 단계의 세부 단계로 이동시, 조종사에 의한 상당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만 주레버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프링과 멈춤쇠를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멈춤쇠에는 주레버고정판(192)에 연결된 주레버돌출부와 접촉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Next, the catch is to ensure that the main lever is moved only when a significant force is applied by the pilot when the main lever moves to the maximum speed stage (AB) or the maximum speed stage. In particular, the detent is provided with a stopper in contact with the main lever protrusion connected to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다음, 잠금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레버(Finger Lift)(141) 및 잠금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주레버를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한 가이드 디텐트(Guide Detent)(142)(도12에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하고 있다.Next, the locking unit 140 is a guide lever 142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main lever by the movement of the locking lever 141 and the locking lever as shown in FIG. 12).

마지막으로, 보조작동부(150)는 보조레버(151) 및 보조레버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보조감지센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환스위치(152)를 포함하고 있다. Finally, the auxiliary operation unit 150 includes a subsidiary lever 151 and a changeover switch 152 for operating the subsidiary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ubsidiary lever.

한편, 주레버(191)의 조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총 4단계(Off, Idle, Mil, AB(Max,Min))로 조절이 가능하며, 주레버는 하우징(180)의 평면에 형성되어 있는 주레버홀(19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회전각에 의해 각 단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주레버의 동작 단계는 4단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항공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main lever 191 can be adjusted in a total of four steps (Off, Idle, Mil, AB (Max, Mi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lever is formed in the plane of the housing 18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lever hole 195, each step can be adjusted by the rotation angle. Here, the operation stage of the main lever is not limited to four stages, and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craft.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로서, 도 7은 감지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감지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감지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7 to 9 are various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sensing unit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tection unit, Figure 8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detection unit, Figure 9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nsing unit.

감지부(110)는 주레버(191)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감지센서(111)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세 개의 감지센서(111) 각각은 감지센서축(112a)을 통해 감지센서기어(113)와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센서기어(113)는 주레버(191)에 의해 회전되는 주레버고정판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센서구동부(193)에 의해 회전된다. The sensing unit 110 is for sensing the movement or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191, and as illustrated in FIGS. 3B and 7, includes three sensing sensors 111. Here, each of the three detection sensors 111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gear 113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shaft 112a, the detection sensor gear 113 is in the main lever fixing plate rotated by the main lever 191. It is rotated by the sensing sensor driver 193 is connected.

즉, 주레버고정판(192)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센서구동부(193)에 감지센서기어(113)가 맞물려 돌아가, 감지센서축이 회전됨으로써, 감지센서(111)가 주레버고정판(192)의 움직임(변위각)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출력하게 된다.That is, the detection sensor gear 113 is meshed with the detection sensor driver 193 connected to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and the detection sensor shaft is rotated so that the detection sensor 111 moves of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It detects (displacement angle) and converts / outpu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한 바와 같은 감지센서는 주레버(19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외에도 주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레버의 위치, 즉, 주레버가 가리키는 엔진의 출력단계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sensor as described above is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191, in addition to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main lever, that is, the output stage of the engine pointed to by the main lever. It may be.

한편, 도 8과 도 9는 감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특히, 주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구동부(193)와, 감지센서구동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감지센서기어(113)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8 and 9 show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in particular, it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sensor driver 193 rotated by the main lever, and the sensing sensor gear 113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sensing sensor driver. .

우선, 도 8은 주레버(191)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구동부(193)가 하나의 기어형태로 구성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감지센서구동부(193)를 구성하는 하나의 주레버축(193a)에 고정된 주레버기어(193b)의 나사나산에 의해 세 개의 감지센서기어(113a)가 회전되며(도 8에는 감지센서기어가 두개만 도시되어 있음), 감지센서기어의 회전에 의해 감지센서축(캠)(112a)이 회전함에 따라 감지센서(111a)가 회전하면서 주레버(191)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First,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ensing sensor driver 193 rotated by the main lever 191 is configured in one gear shape, and is provided on one main lever shaft 193a constituting the sensing sensor driver 193. Three detection sensor gears 113a are rotated by the screw thread of the fixed main lever gear 193b (only two detection sensor gears are shown in FIG. 8), and the detection sensor shaft ( As the cam 112a rotates,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191 may be detected while the sensor 111a rotates.

다음, 도 9는 주레버(191)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구동부(193)가 하나의 주레버축(193a)과 세 개의 주레버기어(193b)로 구성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도면 상에는 두 개의 주레버기어만이 도시되어 있음), 주레버축(193a)은 주레버(191) 또는 주레버고정판(192)에 연결되어 이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Next,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nsing sensor driver 193 rotated by the main lever 191 includes one main lever shaft 193a and three main lever gears 193b (two main figures on the drawing). Only the lever gear is shown), the main lever shaft 193a is connected to the main lever 191 or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is rotated by their rotation.

한편, 주레버축(193a)에는 감지센서기어(113b)의 숫자와 동일한 주레버기어(193b)이 장착되어 있어서, 주레버축(193a)이 회전하면, 이에 따라 주레버기어(193b)가 회전하며, 주레버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감지센서기어(113b)가 회전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lever shaft 193a is equipped with the same main lever gear 193b as the number of the sensing sensor gears 113b. When the main lever shaft 193a rotates, the main lever gear 193b rotates accordingly. The sensing sensor gears 113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lever gear rotate.

이때, 감지센서기어(113b)는 감지센서축(112b)에 의해 감지센서(111b)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주레버축(193a)의 회전에 의해 세 개의 감지센서(111b)가 모두 회전하면서 주레버(191)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detection sensor gear 113b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111b by the detection sensor shaft 112b, all three detection sensors 111b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one main lever shaft 193a. While the main lever 191 movement can be detected.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마찰력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friction force control unit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마찰력조절부(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평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브(121), 노브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22), 웜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클러치(웜휠)(123) 및 클러치에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홈(124)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어 주레버고정판(192)과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마찰팩(125)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120 includes a knob 121 exposed in a plane of the housing, a worm gear 122 rotating by the rotation of the knob, and a clutch (worm wheel) 123 rotating by the worm gear. And a friction pack 125 which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the clutch groove 124 formed in the clutch to adjust the friction force with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즉, 조종사가 노브(121)를 회전시키면, 노브의 회전에 따라 웜기어(122)가 회전하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123)가 회전한다. 한편, 클러치(123)에는 일정한 경사각을 형성하는 클러치홈(1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홈이 회전하면, 마찰팩(125)이 클러치홈의 경사각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마찰팩의 움직임에 의해, 마찰팩(125)과 주레버고정판(192)의 간격이 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pilot rotates the knob 121, the worm gear 122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knob, and the clutch 123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lutch groove 124 is formed in the clutch 123 to form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hen the clutch groove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clutch, the friction pack 125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lutch groove. As the friction pack moves, the distance between the friction pack 125 and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is changed.

따라서, 마찰팩(125)과 주레버고정판(192)의 간격이 넓어져 마찰력이 세지면, 주레버(191)를 이동시키기 위해 조종사는 더 많은 힘을 주어야 하며, 반대로, 마찰팩(125)과 주레버고정판(192)의 간격이 좁아져 마찰력이 작아지면, 주레버를 이동시키기 위해 조종사는 적은 힘을 주어도 되므로, 이 경우, 주레버는 보다 부드럽게 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riction pack 125 and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are widened and the friction force is increased, the pilot must give more force to move the main lever 191, on the contrary, the friction pack 125 and the main lever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lever fixing plate 192 is narrowed and the frictional force is small, the pilot may give a small force to move the main lever, in this case, the main lever can be moved to each position more smoothly.

즉, 조종사는 노브(121)를 이용하여 마찰팩(125)과 주레버고정판(192)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주레버의 이동 감촉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pilot may change the moving feel of the main lever according to his tast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iction pack 125 and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using the knob 121.

부연하여 설명하면, 노브(121)는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어서, 조종사가 마찰력을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In detail, the knob 121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pilot 121 is used to adjust the friction force.

또한, 주레버(191)는 설계 시 최소 작동력(마찰력)에서 움직일 때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lever 191 is to maintain a soft state when moving at the minimum operating force (friction force) in the design.

조종사가 노브(121)를 돌리면 웜기어(122)가 회전하고 클러치(웜휠)(123)도 원주 방향으로 움직인다. 클러치(웜휠)가 원주방향으로 움직이면 클러치 양쪽의 마찰상대 운동으로 인해 마찰팩(125)이 상하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를 웨이브와셔(스프링)가 지지함으로써 장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장력이 주레버 조종 마찰력으로 나타나게 된다.When the pilot turns the knob 121, the worm gear 122 rotates and the clutch (worm wheel) 123 also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clutch (worm wheel)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riction pack 125 is opened up and down due to the frictional relative movement of both clutches, and the tension was generated by the wave washer (spring) to support the tension. Will appear.

즉, 마찰력조절부(120)는 마찰팩(125)에 웨이브와셔(126)와 델린(Delrin : 아세탈수지) 디스크 구조를 적용하고 있으며, 웜기어(122)를 사용하여 조종사가 쉽게 주레버(191)의 움직임 감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at is, the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120 is applied to the friction pack 125, the wave washer 126 and Delrin (Delrin: acetal resin) disk structure, the pilot easily using the worm gear 122, the main lever 191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movement.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portion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걸림부(130)는 주레버가 최고 속도 단계(AB) 또는 최고 속도 단계의 세부 단계로 이동시, 조종사에 의한 상당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만 주레버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걸림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탄성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131) 및 스프링에 연결되어 있으며 걸림턱(133)이 형성되어 있는 멈춤쇠(Mil-AB Detent)(132)를 포함하고 있다. The engaging portion 130 is to allow the main lever to move only when a significant force is applied by the pilot when the main lever moves to the maximum speed stage AB or the detailed speed stage. As shown in FIG. 11, the spring includes a spring 131 mounted on the housing and having elasticity, and a detent (Mil-AB detent) 132 connected to the spring and having a catching jaw 133 formed thereon. .

즉, 스프링(131)은 멈춤쇠(132)가 탄성을 가진 상태로 움질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멈춤쇠(132)에는 걸림턱(1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주레버(191)가 연결되어 있는 주레버고정판(192)에 형성된 주레버돌출부(195)는 외부로부터 일정한 힘 이상의 힘이 주어지지 않는한, 걸림턱(133)을 넘어갈 수 없다.That is, the spring 131 is to allow the detent 132 to move in an elastic state, the detent 132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133, the main lever 191 is connected The main lever protrusion 195 formed on the main lever fixing plate 192 may not cross the locking step 133 unless a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한 바와 같은 걸림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주레버(191)의 네 가지 동작 단계 중 Mil 단계와 AB 단계 사이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locking part 130 as described above is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between the Mil step and the AB step among the four operating steps of the main lever 191 as described above.

즉, 주레버가 AB 단계에 위치하면, 엔진은 그 최고속도를 발생시키게 되며, 따라서, 조종사의 부주의 또는 오작동에 의해 주레버가 AB 단계로 이동되면, 예상치 못한 비상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That is, when the main lever is in the AB stage, the engine generates its maximum speed. Therefore, if the main lever is moved to the AB stage due to the inadvertent or malfunction of the pilot, an unexpected emergency situation may occur.

따라서, 걸림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Mil 단계와 AB 단계로 변환되는 시점에 주레버돌출부(195)가 걸림턱(133)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조종사가 Mil 단계에서 AB 단계로 또는 AB 단계에서 Mil 단계로 주레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일반적인 단계에서 가했던 힘보다 강한 힘을 레버에 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조종사의 의도에 의하지 않는 주레버의 오작동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조종사는 자신이 Mil 단계에서 AB 단계로 또는 AB 단계에서 Mil 단계로 주레버를 이동시키고 있다는 점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지 않는 단계의 변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ocking portion 130 is to prevent the mal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lever projection 195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133 at the time when the transition to the Mil stage and AB stage, the pilot in the AB stage In the case of moving the main lever from the AB stage to the Mil stage, a force higher than the force applied in the general stage is applied to the lever. According to this, there is no fear of malfunction of the main lever which is not by the pilot's intention, and the pilot can reliably recognize that he is moving the main lever from Mil stage to AB stage or from AB stage to Mil st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nge of the stage which is not desired by oneself.

부연하여 설명하면, 걸림부는 주레버의 MIL-AB 구간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쪽방향의 걸림턱(133)이 Mil과 AB 사이에서 부주의한 AB 전환을 방지시킬 수 있다. 즉, Mil과 AB 단계를 경계 짓는 주레버돌출부(195)는 스프프링과 결합된 걸림턱을 넘기 위해 일정한 힘이 필요하며, 또한 전방 엔진추력조절장치(TQA)에서 양방향으로 움직일 때 최소 마찰력이 추가로 필요해진다.
In detail, the locking portion is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the MIL-AB section of the main lever, and the locking jaws 133 in both directions can prevent inadvertent AB switching between Mil and AB. That is, the main lever protrusion 195 delimiting the Mil and AB stages requires a constant force to cross the engaging jaw coupled with the spring, and also adds a minimum friction force when moving in both directions in the front engine thruster (TQA). It is necessary.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잠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part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잠금부(140)는 주레버가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각 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사가 주레버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잠금레버(Finger Lift)(141) 및 잠금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주레버의 이동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한 가이드 디텐트(Guide Detent)(142)를 포함하고 있다. The locking unit 140 is to prevent the main lever from moving to each step irrespective of the pilot's intention. As shown in FIG. 12, a lock lever used by the pilot to lock or release the main lever is shown in FIG. 12. 141 and a guide detent 142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by the movement of the lock lever.

즉, 걸림부(130)가 최대 속도로 이동되는 단계에서의 주레버(191)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라면, 잠금부(140)는 최대 속도 이외의 단계에서의 주레버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주레버가 오프(Off) 단계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if the locking portion 130 i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191 at the step of moving at the maximum speed, the locking unit 140 i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at a step other than the maximum speed. In particular, the main lever may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main lever from being moved to the off stage.

예를 들어, 최대 속도 이외의 단계에서도 주레버가 항공기의 비행 중 각 단계를 조종사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동된다면 예측 불가능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특히, 항공기의 비행 중 엔진이 동작하고 있는 단계(Idle, MIL, AB)에서 주레버가 갑자기 엔진이 오프되는 단계(Off)로 이동되면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바, 잠금부의 가이드 디텐트(Guide Detent)(142)는 엔진이 동작하고 있는 단계에서 주레버가 임의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주레버를 잠궈둘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main lever moves each stage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regardless of the pilot's intention even at a stage other than the maximum speed, unpredictable accidents may occur. In particular, the stage in which the engine is operating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Idle , MIL, AB) If the main lever is suddenly moved to the off stage of the engine (Off) may cause a large accident, the guide detent (142) of the lock portion of the main operation stage The main lever can be locked to prevent the lever from moving arbitrarily.

이러한 잠금부(140)는 한쪽 방향의 가이드 디텐트(142)를 이용하여 조종사의 부주의에 의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일정한 힘에서만 주레버가 오프(Off) 단계의 위치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The locking unit 140 may prevent the inadvertent movement of the pilot by using the guide detent 142 in one direction, and in particular, to allow the main lever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off stage only under a constant force. It may be.

따라서, 조종사는 주레버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부의 잠금레버를 잠금위치에 놓게 되며, 이 경우, 가이드 디텐트에 의해 주레버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그러나, 일정한 힘이 인가된 경우에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 한편, 잠금상태에서 다시 주레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조종사는 잠금레버(141)를 해제위치에 놓게 되며, 이 경우, 가이드 디텐트가 주레버를 해제시킴으로써, 조종사는 주레버를 자신이 원하는 단계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ilot does not move the main lever, the locking lever of the locking part is placed in the locked position. In this case, the main lever does not move by the guide detent (but it moves so that a constant force is applied. May be configured). On the other hand, the pilot who wants to move the main lever again in the locked state will put the lock lever 141 in the release position, in this case, the guide detent releases the main lever, so that the pilot can Can be moved to a location.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 중 보조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1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uxiliary operation of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조작동부(150)는 주레버(19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비상시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추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보조레버(151) 및 보조레버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보조감지센서(153)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환스위치(152)를 포함하고 있다. The auxiliary operating unit 150 is for use in an emergency in which the main lever 191 does not operate normally. As shown in FIG. 13, the auxiliary operating unit 150 detects positions of the auxiliary lever 151 and the auxiliary lever that can vary the engine thrust. It includes a switch 152 for operating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153 that can b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주레버(191)의 동작이 불가능한 비상상황 발생 시, 전환스위치(152)의 전환을 통한 보조레버(151)의 작동에 의해 엔진 추력이 Idle에서부터 Mil 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ngine thrust from the Idle to Mil by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ver 151 through the changeover of the switching switch 152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main lever 191 is impossible to operate Adjustable

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두 개의 위치를 가지는 보조레버(151)가 비상상황 발생 시의 항공기 동작기능 전환을 담당한다.To this end, the auxiliary lever 151 having the two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is responsible for switching the aircraft operation func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한편, 보조레버에 의해 동작되는 백업추력은 물리적으로 주레버에 의해 동작되는 주추력에 독립되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한 개의 보조감지센서(RVDT)는 보조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up thrust acting by the auxiliary lever should be independent of the main thrust acting physically by the main lever.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one auxiliary detection sensor (RVD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lever, and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300).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메인 추력조절장치(주레버)가 다운시 비상 스로틀 스위치(보조레버)를 사용하여 백업 추력조절장치로 전환되며, 이때, 한 개의 보조감지센서(RVDT)를 적용하여 엔진추력을 제어하게 된다.
In detail,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thrust control device (main lever) is switched to the backup thrust control device using an emergency throttle switch (auxiliary lever) when down, at this time, one auxiliary detection The engine thrust is controlled by applying a sensor (RVDT).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추력조절장치는, 주레버(191), 감지부(110), 마찰력조절부(120), 걸림부, 잠금부(140) 및 보조작동부(150)가 복합적으로 동작되어, 항공기의 엔진 추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lever 191, the sensing unit 110, the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120, the engaging portion, the locking portion 140 and the auxiliary operation unit 150 Is operated in combination to perform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engine thrust of the aircraft.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전방석 엔진추력조절장치 200 : 후방석 엔진추력조절장치
300 : 제어장치 110 : 감지부
120 : 마찰력조절부 130 : 걸림부
140 : 잠금부 150 : 보조작동부
180 : 하우징 191 : 주레버
100: front seat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200: rear seat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300: control device 110: detection unit
120: frictional force adjusting unit 130: locking part
140: locking unit 150: auxiliary operation unit
180 housing 191 main lever

Claims (8)

항공기의 엔진의 추력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네 단계로 이동이 가능한 주레버;
상기 주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지센서(RVDT)로 구성되어 상기 주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주레버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상기 주레버의 움직임 선호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찰력조절부;
상기 주레버가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힘 이상이 주어진 경우에만 기설정된 두 개의 단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
상기 주레버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레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 및
상기 주레버의 오작동시 상기 주레버를 대신하여 이용하기 위한 보조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보조작동부는, 상기 주레버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엔진추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보조레버; 및 상기 보조레버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보조감지센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환스위치를 포함하는 엔진추력조절장치.
A main lever movable in at least four stages to adjust the thrust of the engine of the aircraft;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by a detection sensor (RVDT)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lever;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main lever to adjust the movement preference of the main lever;
A catching part for allowing the main lever to move two preset steps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given from the outside;
A locking part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the main lever by adjusting the main lever to a locked state or a released state; And
Includes an auxiliary operation unit for using in place of the main lever when the main lever malfunctions,
The auxiliary operation unit may include an auxiliary lever configured to be independent of the main lever to vary the engine thrust; And a changeover switch for operating an auxiliary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auxiliary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구동부;
상기 감지센서구동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감지센서기어;
상기 감지센서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축; 및
상기 감지센서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구동부는, 상기 주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주레버축에 고정된 주레버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력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ing sensor driver rotating by the main lever;
A sensing sensor gea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sensing sensor driver;
A sensing sensor shaft rotating by the sensing sensor gear; And
It includes a detection sensor for rotating the rot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shaft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The detection sensor driving unit, the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ain lever gear fixed to the main lever shaft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구동부;
상기 감지센서구동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감지센서기어;
상기 감지센서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센서축; 및
상기 감지센서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구동부는,
상기 주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주레버축;
상기 주레버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숫자만큼 연결되는 주레버기어;
상기 주레버기어 각각과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감지센서기어;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감지센서축; 및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엔진추력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ing sensor driver rotating by the main lever;
A sensing sensor gea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sensing sensor driver;
A sensing sensor shaft rotating by the sensing sensor gear; And
It includes a detection sensor for rotating the rot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shaft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The detection sensor driver,
A main lever shaft rotated by the main lever;
A main lever gear connected by the number of the detection sensors with the main lever shaft as the rotation axis;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gears engaged with each of the main lever gears to rotate;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shafts rotated by the sensing sensor gears; And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each of the detection sensor shaft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조절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에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홈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주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주레버고정판과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마찰팩을 포함하는 엔진추력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iction force adjusting unit,
A knob operated by a user;
A worm gear rotating by the rotation of the knob;
A clutch rotating by the worm gear; And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including a friction pack which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a clutch groove formed in the clutch, and which can adjust a friction force with the main lever fixing plate which is rotated by the main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어 있으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멈춤쇠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주레버가 연결되어 있는 주레버고정판에 형성된 주레버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력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0027]
A spring having elasticity; And
It is connected to the spring and includes a detent is formed a locking jaw,
The locking jaw is an engine thrus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main lever projection formed on the main lever fixing plate to which the main lever is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주레버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잠금레버; 및
상기 잠금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주레버의 이동을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한 가이드 디텐트를 포함하는 엔진추력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portion
A lock lever operable to lock or release the main lever; And
And a guide detent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main lever by the movement of the locking le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30001038U 2013-02-08 2013-02-08 Throttle Quadrant Assembly KR2004699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38U KR200469948Y1 (en) 2013-02-08 2013-02-08 Throttle Quadran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38U KR200469948Y1 (en) 2013-02-08 2013-02-08 Throttle Quadrant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926A Division KR20130018387A (en) 2011-08-13 2011-08-13 Throttle quadran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70U KR20130002870U (en) 2013-05-14
KR200469948Y1 true KR200469948Y1 (en) 2013-12-02

Family

ID=5074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38U KR200469948Y1 (en) 2013-02-08 2013-02-08 Throttle Quadran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4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397A (en) * 2018-08-30 2019-01-18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A kind of power management handle assembly
CN109606704A (en) * 2018-12-11 2019-04-12 四川航空工业川西机器有限责任公司 A kind of fax power control platfo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080A (en) * 1982-06-01 1985-07-23 Saab-Scania Aktiebolag Controller
US4901952A (en) * 1986-04-29 1990-02-20 British Aerospace Public Limited Company Control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080A (en) * 1982-06-01 1985-07-23 Saab-Scania Aktiebolag Controller
US4901952A (en) * 1986-04-29 1990-02-20 British Aerospace Public Limited Company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70U (en)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8731B1 (en) Arrangement for actuating a controlled element for an aircraft, especially a helicopter, with electrical flight control system
JP5940254B2 (en) Vehicle speed change operation device
US10118688B2 (en) Inherently balanced control stick
US20100078525A1 (en) Input system for a landing flap control of an aircraft
KR200469948Y1 (en) Throttle Quadrant Assembly
EP3371488B1 (en) A shift actuator assembly for a vehicle transmission
KR102457120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US11866153B2 (en) Force application device for a control stick of an aircraft
US20170017257A1 (en) Single lever power control
US9056668B2 (en) Aircraft control stick operational in active and passive modes
EP4025495B1 (en) Rudder and brake pedal assembly
US942206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n engine and for controlling a thrust reverser device
RU2018140488A (en) METHOD FOR OPERATING A WING CONSOLE CONSOLE CONTAINING A FOLDING END PART OF A WING CONSOLE
US8967014B2 (en) Multiple-axis manual control device
US20130162418A1 (en) Motor generated detent feel
KR20130018387A (en) Throttle quadrant assembly
EP3153405B1 (en) Visual failure indication for selector level
WO2022192698A1 (en) Rocker switch
US20160083078A1 (en) Device for preventing rotational movement of failed selector lever
US10005542B2 (en) Flight control device for an aircraft
US11603926B2 (en) Gear seeking polystable shifter
WO2019054153A1 (en) Shift device
US9541942B2 (en) Aircraft electric taxi control interface and system
JPH03282056A (en) Operation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US20160129990A1 (en) Rotary actuator for controlling a flight control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