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274Y1 - 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274Y1
KR200469274Y1 KR2020100008025U KR20100008025U KR200469274Y1 KR 200469274 Y1 KR200469274 Y1 KR 200469274Y1 KR 2020100008025 U KR2020100008025 U KR 2020100008025U KR 20100008025 U KR20100008025 U KR 20100008025U KR 200469274 Y1 KR200469274 Y1 KR 200469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nnecting member
motor
shaft connect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0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0972U (en
Inventor
조성필
천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100008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274Y1/en
Priority to AU2011283430A priority patent/AU2011283430B2/en
Priority to PCT/KR2011/001317 priority patent/WO2012015135A1/en
Priority to EP11812666.3A priority patent/EP2599943B1/en
Publication of KR20120000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27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11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 E05B47/0638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by disconnecting the rotor
    • E05B47/0642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by disconnecting the rotor axially, i.e. with an axially disengaging coupl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7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 E05B47/068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axially, i.e. with an axially disengaging coupl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1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05B2047/0031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of the elastic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1Retrofittable electric locks, e.g. an electric modul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manual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6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the handles on opposite sides moving independent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손잡이와 연결되고 회전작동 시 걸쇠를 작동시키는 제1축; 제2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축과 동일 축 선상에 설치되며, 끝 부분에 제1요철이 형성된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축과 마주보는 끝 부분에 상기 제1요철과 맞물리는 제2요철이 형성된 축 연결 부재; 및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축 연결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뭉치를 포함하는 전자식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 장치가: 모터 축을 구비한 모터; 상기 모터 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구동 부재; 상기 모터 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 시 상기 코일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구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핀; 및 상기 클러치 뭉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축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축 연결 부재를 상기 제2축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and the first shaft for operating the latch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 second shaft connected to a second handle, installed on the same axis line as the first shaft, and having first unevenness at an end thereof; A shaft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the shaft connecting member being movable on the first shaft, and having a second unevenness engaged with the first unevenness at an end portion facing the second shaft. ; And a driving device for operating the shaft connecting member in response to an external signal. The electronic door locking device including a clutch bundle comprising: a motor having a motor shaft; A driving member movably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and having a coil spring installed therein; A pin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o move the driving member through the coil spring when the motor is operated; And an operation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clutch bundl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and the shaft connecting member to connect or separate the shaft connecting member from the second shaf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It features.

Description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본 고안은 전자식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문 손잡이와 연결된 2개의 축들이 클러치 구조에 의해 원활하게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easy clutch connection, which allows two shafts connected to different door handles to be smoothly connected and separated by a clutch structure. .

최근 들어, 전자식 문 잠금장치는 휴대하기 번거롭고 무거운 열쇠가 없어도 출입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조작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the electronic door lock has been used in a common house such as an apartment because it is easy to carry and can easily lock and unlock the door even without a heavy key.

이러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는 크게 2가지 구조로 나뉜다. 하나는 인증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통해 걸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시키는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걸쇠가 출입문 내측 손잡이에 의해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출입문 내측 손잡이의 축과 출입문 외측 손잡의 축이 인증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구조이다.The electronic door lock is largely divided into two structures. One is a structure for operating the latch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authentication signal, the other is to allow the latch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ner door handle, the shaft of the inner door handle and the outer door handle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axis of to be selectively connected or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ignal.

전자는 걸쇠 조작을 위한 구성과 문 손잡이의 작동을 위한 구성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걸쇠의 조작을 위한 조립체(즉, 문 잠금장치)를 별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미 문 잠금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에도 해당 조립체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ormer has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latch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so that the assembly for the operation of the latch (ie, the door lock)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even for the door that already has the door lock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stalled additionally.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문 잠금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이 복수의 기어들을 통해 걸쇠에 전달되므로,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기어가 마모되어 걸쇠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오작동하는 사고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clasp through the plurality of gears, the door lock of this structure inevitably causes an accident in which the clasp does not work properly or malfunctions as the wear period increases.

아울러 이러한 구조의 문 잠금장치는 비교적 단단하고 무거운 걸쇠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대용량의 모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모터를 사용해야 하며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의 소모가 많다.In addition, the door lock of this structure requires the use of a large-capacity motor to operate a relatively rigid and heavy clasp, so expensive motors are required and current consumption is high.

이와 반대로, 후자는 걸쇠의 작동이 문 내측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걸쇠의 오작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모터가 무거운 걸쇠를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축을 연결해 주기 위한 축 연결 부재만을 이동시키므로, 상대적으로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의 소모가 적다.On the contrary, since the operation of the latch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the latch is hardly malfunctioned. Also, only the shaf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two shafts does not operate the heavy latch. By moving, a relatively small motor can be used, and the current consumption required for driving the motor is small.

한편, 이러한 구조의 문 잠금장치는 축 연결 부재에 형성된 요철과 (문 외측) 손잡이의 축에 형성된 요철이 정확히 맞물려야만, 문 외측 손잡이를 돌려서 문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lock device of such a structure can be unlocked by turning the door outer handle only when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shaft connection member and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shaft of the (outer door) handle.

때문에, 예기치 않게 문 외측 손잡이의 축이나 문 내측 손잡이의 축이 회전되어, 축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위치가 축 연결 부재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위치와 부합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올바른 인증신호를 입력하여도 축 연결 부재에 의한 축들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문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shaft of the door outer handle or the shaft of the door inner handle is unexpectedly rotated and the position of the concave-convex shape formed on the shaft does not match the position of the concave-convex shape formed on the shaft connecting member, the user inputs a correct authentication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axes by the slaughter connection member is not mad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 외측 손잡이의 축이 어떠한 상태로 회전되어도 축 연결 부재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that is easy to connect the clutch which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ing member even if the shaft of the door outer handle is rotated in any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손잡이와 연결되고 회전작동 시 걸쇠를 작동시키는 제1축; 제2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축과 동일 축 선상에 설치되며, 끝 부분에 제1요철이 형성된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축과 마주보는 끝 부분에 상기 제1요철과 맞물리는 제2요철이 형성된 축 연결 부재; 및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축 연결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 축을 구비한 모터; 상기 모터 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구동 부재; 상기 모터 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 시 상기 코일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구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핀; 및 상기 클러치 뭉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축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축 연결 부재를 상기 제2축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and operating the latch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 second shaft connected to a second handle, installed on the same axis line as the first shaft, and having first unevenness at an end thereof; A shaft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the shaft connecting member being movable on the first shaft, and having a second unevenness engaged with the first unevenness at an end portion facing the second shaft. ; And a driving device for operating the shaft connecting member in response to an external signal, the driving device comprising: a motor having a motor shaft; A driving member movably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and having a coil spring installed therein; A pin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o move the driving member through the coil spring when the motor is operated; And an operation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clutch bundl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and the shaft connecting member to connect or separate the shaft connecting member from the second shaf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An electronic door lock is provided that facilitates clutch conn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클러치 뭉치에 축 결합하는 축 부분; 상기 축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다리; 및 상기 축 부분에서 상기 한 쌍의 제1다리와 대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축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다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operation member comprises: a shaft portion axially coupled to the clutch bundle; A pair of first legs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shaf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And a pair of second legs extending in a symmetrical direction from the pair of first legs in the shaf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ing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부재의 겉 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다리가 끼워질 수 있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 연결 부재의 겉 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다리가 위치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a first groove in which the pair of first legs can be fitte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member,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re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Two grooves should be form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축의 일 측 끝 부분은 사각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축 연결 부재는 상기 제1축의 사각 기둥형태가 끼워지는 사각 단면의 구멍을 갖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one end of the first shaf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nd the shaft connecting member may have a hole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to which the square pillar of the first shaft is fitted.

본 고안은 비용 및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출입문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문 손잡이들을 갖는 출입문에서도 문 손잡이 축들 간의 연결을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connec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oor handle axles even in a door having door handles installed freely rotatable on the door to simplify the cost and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축 연결 구조를 가지므로, 문 잠금장치를 소형화하는데 매우 유리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haft connection structure, it is very advantageous to miniaturize the door lock.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문 잠금장치에 설치되는 클러치 뭉치의 분리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뭉치의 결합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뭉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 뭉치에서 모터의 구동에 따른 코일 스프링과 구동 부재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 뭉치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클러치가 완전히 물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utch bundle installed in a door 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bundle shown in Figure 1,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utch bundle shown in FIG. 2,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il spring and the driving memb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in the clutch bu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lutch bu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is not fully engag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referring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am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meaning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문 잠금장치에 설치되는 클러치 뭉치의 분리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뭉치의 결합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뭉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 뭉치에서 모터의 구동에 따른 코일 스프링과 구동 부재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 뭉치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클러치가 완전히 물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bundle installed in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bundl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lutch bundle shown in Figure 2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il spring and a driving memb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motor in a clutch bu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operations of the clutch bu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relationship, and Figure 8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is not completely bitten.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문 잠금장치는 클러치 뭉치의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고안과 구별되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클러치 뭉치(1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구성들은 종래 전자식 문 잠금장치의 일반적인 구성들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지하거나 지득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Since the electronic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design in the structure of the clutch bundl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lutch bundle 10. Therefor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the general configurations of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oor lock, these configurations can be changed in a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or acquir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클러치 뭉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몸체(12, 14), 제1축(20), 제2축(30), 축 연결 부재(40), 모터(50), 코일 스프링(60), 구동 부재(70), 조작 부재(8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안내 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Clutch bundl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and lower bodies 12, 14, the first shaft 20, the second shaft 30, the shaft connecting member ( 40, the motor 50, the coil spring 60, the driving member 70, the operation member 80, an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90.

상부 및 하부 몸체(12, 14)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부분(즉, 상부 몸체(12)의 아래쪽 부분과 하부 몸체(14)의 위쪽 부분)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대부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클러치 뭉치(10)의 외형을 이룬다. 여기서,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치 뭉치(10)는 아담한 크기를 가지므로, 종래 또는 기타 전자식 문 잠금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bodies 12 and 14 each have a space for accommodating most of the other components in the portions facing each other (i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4),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lutch bundle (10). Here, since the clutch bundle 10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body 12 and the lower body 14 has a small size,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conventional or other electronic door lock.

제1축(20)은 상부 몸체(12)의 구멍(12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제1축(20)은 출입문의 내측 손잡이(도시되지 않음) 또는 내측 손잡이의 축과 연결되며, 내측 손잡이의 회전 시 함께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제1축(20)은 걸쇠(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는 구성요소들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시 걸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시킨다. 제1축(20)의 양끝 부분들 중, 축 연결 부재(40)와 결합하는 한 부분은 사각 기둥(22)의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shaft 20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hole 122 of the upper body 12. The first shaft 20 is connected to the inner handle (not shown) or the shaft of the inner handle of the door,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inner handle is rotated. And the first shaft 20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latch (not shown), to drive the latch directly or indirectly when rotating. One of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20, which is coupled to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22.

제2축(30)은 클러치 뭉치(10)의 내에서 제1축(20)과 동일 축 중심을 가지면서, 제1축(20)과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축(30)은 출입문의 외측 손잡이(도시되지 않음) 또는 외측 손잡이의 축과 연결되며, 외측 손잡이의 회전 시 함께 회전 운동한다. 제2축(30)의 일 측 끝 부분은 외측 손잡이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사각 기둥형태를 가지며, 반대 측 끝 부분은 축 연결 부재(40)와의 결합을 위한 제1요철(32)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요철(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태의 홈과 이러한 홈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들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참고로, 제1축(20)과 제2축(30)은 클러치 뭉치(10) 내에서 모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econd shaft 30 has the same axis center as the first shaft 20 in the clutch bundle 10, and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not to be directly connected or contacted with the first shaft 20. The second shaft 30 is connected to the outer handle (not shown) of the door or the shaft of the outer handle,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outer handle is rotated. One end portion of the second shaft 30 has a square pillar shape for firm coupling with the outer handle, and the opposite end portion has a first unevenness 32 for coupling wit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cave-convex 32 is formed of a cross-shaped groove and projections formed by the groove as shown in FIG. For reference, both 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lutch bundle 10.

축 연결 부재(40)는 제1축(20)과 제2축(30) 사이에 배치되며, 제1축(20)과 제2축(30)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축 연결 부재(40)는 제1축(20)의 사각 기둥(22)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축(30)의 회전 운동이 제1축(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축(20)과 제2축(30)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축 연결 부재(40)의 일 측 끝 부분(제1축(20)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소정 깊이의 사각 구멍(46)이 형성되고, 반대 측 끝 부분(제2축(30)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1요철(32)과 맞물릴 수 있는 형태(본 실시형태에서는 십자형태의 돌기)의 제2요철(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축 연결 부재(40)의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를 갖는 제2홈(44)이 형성된다. 참고로, 축 연결 부재(40)의 둘레에서 양끝 부분에는 제2홈(44)에 의해 단이 각각 형성된다. 축 연결 부재(40)의 길이는 제1축(20)과 제2축(30)이 떨어져 있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축 연결 부재(40)는 제1축(20)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2축(30)의 제1요철(32)과 맞물릴 수 있는 길이를 최소한 가져야 한다.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and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More precisely, the axial connection member 40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square pillar 22 of the 1st axis | shaft 20 so that a movement to an axial direction is possible,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2nd axis | shaft 30 is a 1st axis | shaft. Selectively connects 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20). One side end portion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 portion facing the first shaft 20) is formed with a square hole 46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opposite side end portion (the second shaft 30 facing the The part 2 is formed with the 2nd unevenness 42 of the form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1st unevenness | strength 32 (cross shape projection in this embodiment). A second groove 44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around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For reference, en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by the second grooves 44,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is apart. That is,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should have a length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32 of the second shaft 30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with the first shaft 20.

모터(50)는 하부 몸체(14)에 설치되고, 축 연결 부재(4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50)는 일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축(52)을 구비하며, 작동 시 해당 축(52)을 회전시킨다. 축(52)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는 핀(54)이 끼워진다. 핀(54)은 모터의 축(52)에 끼워질 코일 스프링(60)을 이동시키는 구실을 한다(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motor 50 is installed in the lower body 14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the movement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The motor 50 has a shaft 52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shaft direction), and rotates the shaft 52 during operation. The shaft 52 is formed with a hole penetra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pin 54 is fitted. The pin 54 serves as the movement of the coil spring 60 to be fitted to the shaft 52 of the moto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코일 스프링(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의 축(52)에 설치되며, 모터(50)의 구동 시 함께 설치되는 구동 부재(70)를 축(5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기능은 모터(50)의 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핀(54)이 코일 스프링(60)을 일 측 또는 반대 측으로 압축시키는 현상에 의해 가능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60)의 양끝은 핀(54)이 코일 스프링(6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촘촘하게 감겨 있거나 또는 오므려져 있는 종래 스프링과 달리 개방되어 있는 것이 좋다.As described above, the coil spring 60 is installed on the shaft 52 of the motor, and serves to move the driving member 70, which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driving of the motor 50, in the direction of the shaft 52. This function is made possible by the phenomenon that the pin 54 compresses the coil spring 60 to one side or the opposite side by the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50. Therefore, preferably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60 is open, unlike the conventional spring is tightly wound or pinched, so that the pin 54 can be moved into the coil spring 60.

구동 부재(70)는 코일 스프링(60)과 함께 모터의 축(52)에 설치된다. 구동 부재(70)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6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즉, 둘레면)에는 조작 부재(80)의 제1다리(84)가 끼워질 수 있는 제1홈(72)이 형성된다. 구동 부재(70)의 양끝 부분들은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60)이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코일 스프링(60)의 반경보다 작은 (그리고 모터의 축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구멍을 갖는다. 참고로, 구동 부재(70) 내부로의 코일 스프링(60)의 설치는, 코일 스프링(60)의 일 측 끝을 구동 부재(70)의 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60)을 계속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다(즉, 코일 스프링(60)이 나선 운동하며 구동 부재(7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The drive member 70 is installed on the shaft 52 of the motor together with the coil spring 60.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il spring 60 is formed inside the driving member 70, and a first leg 84 of the operating member 80 may be fitted to the outside (ie, a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72 is formed. Both ends of the drive member 70 have hole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coil spring 60 (and have a size to which the shaft of the motor can be fitted) so that the coil spring 60 installed therein does not escape outward. For reference, installation of the coil spring 60 into the drive member 70 may be performed by continuously rotating the coil spring 60 while inserting one end of the coil spring 60 into the hole of the drive member 70. (I.e. the coil spring 60 moves helically and moves inside the drive member 70).

조작 부재(80)는 상부 몸체(12) 또는 하부 몸체(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 부재(70)의 변위를 축 연결 부재(40)의 변위로 전환하는 구실을 한다. 조작 부재(80)는 회전 축 구실을 하는 축 부분(82)을 가지며, 이 축 부분(8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구조로 설치된 2쌍의 다리들(84, 86)을 더 구비한다. 각 쌍의 다리들(84, 86)은 나란히 연장되며, 구동 부재(70)와 축 연결 부재(40)에 각각 끼워진다. 즉, 한 쌍의 제1다리(84)는 구동 부재(70)의 제1홈(72)에 끼워지고, 한 쌍의 제2다리(86)는 축 연결 부재(40)의 제2홈(44)에 끼워진다(도 3 참조). 따라서 구동 부재(70)가 모터의 축(52)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 부재(70)의 변위가 조작 부재(80)에 의해 축 연결 부재(40)에 전달되어, 구동 부재(70)의 변위만큼 축 연결 부재(4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즉, 조작 부재(80)는 일종의 지렛대 구실을 한다).The operation member 8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body 12 or the lower body 14 to serve as an excuse to convert the displacement of the drive member 70 into the displacement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The operation member 80 has a shaft portion 82 that serves as a rotation axis, and further includes two pairs of legs 84 and 86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bout the shaft portion 82. Each pair of legs 84, 86 extends side by side and is fitted to the drive member 70 and the axial connection member 40, respectively. That is, the pair of first legs 84 are fitted into the first grooves 72 of the driving member 70, and the pair of second legs 86 are second grooves 44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 (See Fig. 3). Therefore, when the driving member 70 moves in one direction along the axis 52 of the motor, the displacement of the driving member 70 is transmitted to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by the operation member 80, thereby driving the drive member 70. ),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e, the operating member 80 serves as a kind of lever).

안내 부재(90)는 클러치 뭉치(10) 내부에 설치되어, 축 연결 부재(40)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안내자 구실과 조작 부재(80)의 축 부분(82)을 지지하는 보스 구실을 한다. 그리고 안내 부재(90)에는 축 연결 부재(40)와 제2축(30)를 관통하는 안내 봉(9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내 부재(90)와 안내 봉(92)은 클러치 뭉치(10)의 내부 구조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90 is installed inside the clutch bundle 10 to support the axial portion 82 of the guide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80 to allow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to stably move within a set range. Serve as a boss.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9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d 92 penetrating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second shaft 30. Meanwhile, the guide member 90 and the guide rod 92 may be omitted or mod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utch bundle 10.

다음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모터(50)의 구동에 따른 구동 부재(70)의 움직임을 설명하겠다.Next,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7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50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의 축(52)에는 핀(5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54)은 모터(50)의 구동 시 코일 스프링(60)의 나선 몸체를 따라 이동하며(실제로는 코일 스프링(60)이 이동하는 것이다), 코일 스프링(60)을 압축한다. 예를 들어, 모터(50)가 시계방향(도 4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면, 핀(54)은 코일 스프링(60)의 나선 몸체를 따라 움직이며 코일 스프링(60)을 왼쪽(도 5 기준 방향임)으로 압축시킬 것이다(도 5의 (a) 참조). 반대로, 모터(50)가 반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면, 핀(54)은 코일 스프링(60)의 나선 몸체를 따라 움직이며 코일 스프링(60)을 오른쪽으로 압축시킬 것이다(도 5의 (b)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pin 54 is provided on the shaft 52 of the motor. The pin 54 moves along the spiral body of the coil spring 60 when the motor 50 is driven (actually, the coil spring 60 moves), and compresses the coil spring 60. For example, when the motor 50 is driven clockwise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arrow in FIG. 4), the pin 54 moves along the spiral body of the coil spring 60 and moves the coil spring 60 to the left side (FIG. 5). In the reference direction) (see FIG. 5A). Conversely, if the motor 50 is driven counterclockwise, the pin 54 will move along the spiral body of the coil spring 60 and compress the coil spring 60 to the right (see FIG. 5 (b)). ).

핀(54)에 의한 위와 같은 코일 스프링(60)의 압축은 코일 스프링(60)의 복원력을 통한 구동 부재(70)의 움직임을 야기한다. 즉, 코일 스프링(60)이 핀(54)의 왼쪽에서 압축되면, 코일 스프링(60)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구동 부재(70)를 왼쪽으로 밀고(도 5의 (a) 상태), 이와 반대로, 코일 스프링(60)이 핀(54)의 오른쪽에서 압축되면, 코일 스프링(60)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구동 부재(70)를 오른쪽으로 민다(도 5의 (b) 상태).Compression of the coil spring 60 by the pin 54 causes movement of the drive member 70 through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0. That is, when the coil spring 60 is compressed on the left side of the pin 54, the coil spring 6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driving member 70 is pushed to the left (Fig. 5 (a) state). On the contrary, when the coil spring 60 is compressed on the right side of the pin 54, the coil spring 6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driving member 70 is pushed to the right (the state (b) of FIG. 5).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구동 부재(70)의 움직임에 따른 축 연결 부재(40)의 움직임을 도 6 및 도 7을 토대로 설명하겠다.Next, the movement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70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6 and 7.

클러치 구조를 갖는 전자식 문 잠금장치는, 승인된 인증신호 또는 올바른 열쇠 조작이 없는 경우, 제1축(20)과 제2축(30)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출입문의 안쪽에서는 내부인이 문 손잡이를 회전시켜 걸쇠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나, 출입문의 바깥쪽에서는 제3자가 문 손잡이를 회전시켜도 출입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electronic door lock having a clutch structure, 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are kept separated when there is no approved authentication signal or correct key operation. This is to allow the insider to unlock the latch by rotating the door handle on the inside of the door, but to prevent the outside of the door from unlocking the door even if a third party rotates the door handle.

따라서 본 고안의 클러치 뭉치(10)도 평상시에는 축 연결 부재(40)와 제2축(30)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70)가 모터(50)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달성된다. 즉, 구동 부재(7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50)의 회전과 코일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되면, 축 연결 부재(40)는 구동 부재(70)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조작 부재(80)의 반 시계방향(도 6 기준 방향임)으로의 회전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되어, 축 연결 부재(40)와 제2축(30)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Therefore, the clutch bun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normally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second shaft 30 are separated. This state is achieved by moving the drive member 70 toward the motor 50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drive member 70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50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0 as described above,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is rotated by the drive member 70 It is moved to the left by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ch is the reference direction in FIG. 6) of the operation member 80, so that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second shaft 30 remain separated.

이와 반대로, 승인된 인증신호 또는 열쇠조작에 의해 모터(50)가 위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부재(70)가 코일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축 연결 부재(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 부재(80)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축 연결 부재(40)의 제2요철(42)과 제2축(30)의 제1요철(32)이 서로 맞물리고, 제1축(20)과 제2축(30)이 축 연결 부재(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출입문의 외측 손잡이를 돌려도 출입문의 내측 손잡이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motor 5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authorized authentication signal or key operation, the driving member 70 is moved to the left si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0, and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operation member 80 that rotates clockwise. Then, the second unevenness 42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first unevenness 32 of the second shaft 30 mesh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via the member 40, the inner handle of the door can be rotated even if the outer handle of the door is turned.

한편, 일부 출입문 손잡이들은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들을 돌려도 원 상태로 되돌아 온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 구조는 탄성 부재와 함께 별도의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On the other hand, some door handles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user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even if the user turns the handles. However, this handle structure requires separate configurations with the elastic member.

때문에, 최근의 출입문 손잡이들은 출입문에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입문에 자유회전(즉, 사용자가 돌려도 원 상태로 복원되지 않는다)이 가능하게 설치된다.Therefore, the recent door handles are installed to enable free rotation (that is, the user does not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even when the user turns) so that the door can be made with a minimum configuration.

이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출입문의 내측 손잡이 또는 외측 손잡이를 돌리다 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연결 부재(40)의 제2요철(42)과 제2축(30)의 제1요철(32)이 서로 맞물릴 수 없는 어긋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승인된 인증신호 또는 열쇠조작에 의해서도 축 연결 부재(40)과 제2축(30)이 완벽하게 맞물리지 않으므로, 출입문의 외측에서 문을 열 수 없게 된다.Such a structure, when the user turns the inner handle or the outer handle of the door, as shown in Figure 8, the first uneven (42) and the second uneven (42)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 32) exist in a displaced state that cannot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is happens,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second shaft 30 are not completely engaged even by the approved authentication signal or key operation, so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outside the door.

그러나 본 고안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 뭉치(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연결 부재(40)와 제2축(30)이 완전히 맞물리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구동 부재(70)와 코일 스프링(60)이 도 5의 (a)에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구동 부재(70)는 왼쪽으로 완전히 이동되지 못하고, 코일 스프링(60)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is problem. When the clutch bun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second shaft 30 are not completely engaged as shown in FIG. 8, the driving member 70 and the coil spring 60 are It is kept in 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That is, the drive member 70 does not move completely to the left side, and the coil spring 60 is kept in a compressed state.

이러한 상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축 연결 부재(40)의 제2요철(42)과 제2축(30)의 제1요철(32)의 완전한 맞물림을 바로 해결하지 못한다. 그러나 구동 부재(70)가 압축 상태의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계속 왼쪽으로 이동하려는 관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출입문의 외측 손잡이를 돌려 축 연결 부재(40)의 제2요철(42)과 제2축(30)의 제1요철(32)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코일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 부재(70)가 왼쪽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결국, 구동 부재(70)의 추가적인 이동은 조작 부재(80)를 통한 축 연결 부재(40)의 추가 이동을 돕게 되어, 축 연결 부재(40)의 제2요철(42)과 제2축(30)의 제1요철(32)이 단단히 맞물리게 된다.This state does not immediately solve the complete engagement of the second unevenness 42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first unevenness 32 of the second shaft 30. However, since the driving member 70 has the inertia to continue to move to the left by the coil spring 60 in the compressed state, the user rotates the outer handle of the door and the second unevenness 42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When the first unevenness 32 of the two shafts 3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driving member 70 is further moved to the left si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0. As a result, the further movement of the drive member 70 assists the further movement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through the operation member 80, thereby causing the second unevenness 42 and the second shaft 30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to move. ), The first unevenness 32 is firmly engaged.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잡이 조작에 의해 축 연결 부재(40)와 제2축(30)이 맞물릴 수 없는 상태가 되어도, 사용자가 출입문을 열기 위한 손잡이의 회전 동작만으로, 축 연결 부재(40)와 제2축(30)의 맞물림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haft connecting member 40 and the second shaft 30 cannot be engaged by the user's handle operation, the shaft connecting member ( 40 and the second shaft 30 can be easily and quickly engaged.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long as they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 클러치 뭉치
12 (클러치 뭉치의) 상부 몸체 14 (클러치 뭉치의) 하부 몸체
20 제1축 22 사각 기둥
30 제2축 32 제1요철
40 축 연결 부재 42 제2요철
44 제2홈 46 사각 구멍
50 모터 52 축
54 핀
60 코일 스프링
70 구동 부재 72 제1홈
80 조작 부재 82 축 부분
84 제1다리 86 제2다리
10 clutch bundle
12 Upper body (of clutch bundle) 14 Lower body (of clutch bundle)
20 1st axis 22 Square pillar
30 2nd axis 32 1st unevenness
40 Shaft connecting member 42 2nd unevenness
44 2nd groove 46 Square hole
50 motor 52 axis
54 pin
60 coil spring
70 Drive member 72 First groove
80 operating member 82 shaft part
84 1st leg 86 2nd leg

Claims (4)

제1손잡이와 연결되고 회전작동 시 걸쇠를 작동시키는 제1축;
제2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축과 동일 축 선상에 설치되며, 끝 부분에 제1요철이 형성된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축과 마주보는 끝 부분에 상기 제1요철과 맞물리는 제2요철이 형성된 축 연결 부재; 및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축 연결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 축을 구비한 모터;
상기 모터 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구동 부재;
상기 모터 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 시 상기 코일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구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핀; 및
상기 클러치 뭉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축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축 연결 부재를 상기 제2축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and operating the latch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 second shaft connected to a second handle, installed on the same axis line as the first shaft, and having first unevenness at an end thereof;
A shaft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the shaft connecting member being movable on the first shaft, and having a second unevenness engaged with the first unevenness at an end portion facing the second shaft. ; And
Including a clutch bundle comprising; a drive device for operating the shaft connect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signal,
The drive unit is:
A motor having a motor shaft;
A driving member movably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and having a coil spring installed therein;
A pin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to move the driving member through the coil spring when the motor is operated; And
And an operation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clutch bundl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and the shaft connecting member to connect or separate the shaft connecting member from the second shaf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Electronic door lock for easy clutch conn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클러치 뭉치에 축 결합하는 축 부분;
상기 축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다리; 및
상기 축 부분에서 상기 한 쌍의 제1다리와 대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축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member is:
A shaft portion axially coupled to the clutch bundle;
A pair of first legs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shaf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And
And a pair of second legs extending symmetrically with the pair of first legs in the shaf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ing members. 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겉 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다리가 끼워질 수 있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 연결 부재의 겉 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다리가 위치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to which the pair of first legs can be fitted,
The front door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is easy to connect the 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roove is formed with the second leg is locat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의 일 측 끝 부분은 사각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축 연결 부재는 상기 제1축의 사각 기둥형태가 끼워지는 사각 단면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ne end of the first shaf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he shaft connecting member is an electronic door locking device that is easy to connect the clutc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le of the square cross section in which the square pillar shape of the first shaft is fitted.
KR2020100008025U 2010-07-30 2010-07-30 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KR2004692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025U KR200469274Y1 (en) 2010-07-30 2010-07-30 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AU2011283430A AU2011283430B2 (en) 2010-07-30 2011-02-25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PCT/KR2011/001317 WO2012015135A1 (en) 2010-07-30 2011-02-25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EP11812666.3A EP2599943B1 (en) 2010-07-30 2011-02-25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025U KR200469274Y1 (en) 2010-07-30 2010-07-30 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72U KR20120000972U (en) 2012-02-09
KR200469274Y1 true KR200469274Y1 (en) 2013-10-01

Family

ID=4553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025U KR200469274Y1 (en) 2010-07-30 2010-07-30 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99943B1 (en)
KR (1) KR200469274Y1 (en)
AU (1) AU2011283430B2 (en)
WO (1) WO201201513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2980B2 (en) 2010-05-06 2016-12-2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Non-reactive, hydrophilic polymers having terminal siloxan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TWI458882B (en) * 2012-05-15 2014-11-01 Wfe Technology Corp Actuating motor set of electronic lock
CN104652931B (en) * 2015-01-13 2017-01-04 宏泰集团(厦门)有限公司 The knob clutch structure of intelligent electronic lock and the application in safety open mechanism thereof
CN106812390B (en) * 2017-03-27 2022-03-15 浙江中立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lock
CN108487803B (en) * 2018-05-22 2024-03-29 广东永强奥林宝国际消防汽车有限公司 Lock mechanism of fire engine back door
CN109723277B (en) * 2019-01-10 2024-03-15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Front panel assembly of intelligent door lock and intelligent door lock
US11933092B2 (en) 2019-08-13 2024-03-19 SimpliSafe, Inc. Mounting assembly for door lock
US20210222458A1 (en) * 2020-01-21 2021-07-22 Latch, Inc. Locking mechanism
TR202022577A1 (en) * 2020-12-30 2022-07-21 Mesan Kilit Anonim Sirketi An electronic hook lock with trigge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538B1 (en) 1998-06-11 2006-09-22 락우드 씨큐리티 프로덕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Electrically controlled lo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527A (en) * 1977-01-12 1978-02-14 Schlage Lock Company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US5018375A (en) * 1990-09-18 1991-05-28 Yale Security Inc. Lockset having electric means for disabling and enabling the outer handle
ES2189571B2 (en) * 1999-12-31 2004-06-01 Escudos Kala Internacional, S.L. CLUTCH MECHANISM FOR ELECTRONIC LOCKS.
FR2855202B1 (en) * 2003-05-22 2007-02-02 Unitecnic DEVICE FOR MANEUVERING THE OPENING OF A DOOR
US7007526B2 (en) * 2003-09-08 2006-03-07 Harrow Products, Inc. Electronic clutch assembly for a lock system
ES2241481B1 (en) * 2004-03-12 2006-06-01 Maria Begoña Blanco Eguiluz "CLUTCH DEVICE WITH ANTIPANIC FUNCTION FOR ELECTROMECHANICAL LOCKS.
ES2323201B1 (en) * 2006-06-26 2010-04-20 Salto Systems S.L. CLUTCH MECHANISM COUPLABLE TO DOOR LOCKS WITH CLOSURE LATCH OPERATED BY HANDLES OR KNOBS.
JP2009068311A (en) * 2007-09-18 2009-04-02 Union Corp Thumb-turn device
KR101595853B1 (en) * 2008-12-11 2016-02-19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Door Lock Device Having Clutch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538B1 (en) 1998-06-11 2006-09-22 락우드 씨큐리티 프로덕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Electrically controlled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9943A4 (en) 2018-08-29
AU2011283430A1 (en) 2012-08-09
AU2011283430B2 (en) 2014-09-25
EP2599943B1 (en) 2020-04-08
KR20120000972U (en) 2012-02-09
WO2012015135A1 (en) 2012-02-02
EP2599943A1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274Y1 (en) A Electric Door Lock Device having a Good Clutch Connecting Structure
JP6386545B2 (en) Handle device
US10047544B2 (en) Transmission device of electronic lock
JP6412111B2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 with key control function
US9435143B2 (en) Cylindrical lock with automatic electronic locking function
KR100543831B1 (en) Door lock device automatic and hand-operated control combined structure
JP5496878B2 (en) Locking device
US20220162883A1 (en) Lock for Door
KR200456973Y1 (en) Door Lock Device Having Clutch Structure
TWI429821B (en) Lock assembly
KR101759733B1 (en) A body for using push and pull door lock
TWM525408U (en) Clutching mechanism
KR20100067217A (en) Door lock device having clutch structure
AU2014216016B2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JP2006249910A (en) Locking device and opening part device having the same
CN214835483U (en) Door lock
KR200230352Y1 (en) Actuator of 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
KR101962436B1 (en) Rotation assembly for mortise having means for clutch
JP4551209B2 (en) Concatenated key
KR100628562B1 (en) Door lock
KR200371339Y1 (en)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