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27Y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27Y1
KR200469127Y1 KR2020130000206U KR20130000206U KR200469127Y1 KR 200469127 Y1 KR200469127 Y1 KR 200469127Y1 KR 2020130000206 U KR2020130000206 U KR 2020130000206U KR 20130000206 U KR20130000206 U KR 20130000206U KR 200469127 Y1 KR200469127 Y1 KR 200469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der
case
mobile phone
coupl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일
Original Assignee
이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일 filed Critical 이건일
Priority to KR2020130000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10)이 그 내부로 수납되어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휴대폰(10)을 감싸는 테두리부(120)에 구성되는 젠더(200); 및 상기 젠더(200)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접속단자(221)를 갖는 저장장치(220);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200)는 그 양측면에 결합돌기(2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젠더(200)의 결합돌기(213)에 대응한 결합홈(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13)와 결합홈(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젠더(200)가 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USB 메모리의 저장장치(220)를 갖는 젠더(200)가 휴대폰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100)에 젠더(200)가 구비된 상태로 젠더(200)로서 사용되므로 젠더(200)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젠더(200)에 USB 메모리 기능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USB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cas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장착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케이스에 젠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과 외부케이블 및 충전케이블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휴대폰의 메이커와 기종에 따라서 다양한 내부회로를 구성하고, 이 내부회로와 외부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커넥터를 휴대폰의 측면 또는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하고, 본 커넥터에 적합한 통신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휴대폰과 외부 인터페이스(IF)의 연결을 수행하였다.
한편, 이러한 커넥터는 대부분이 24핀을 가지는 표준형커넥터로서, 충전기와 데이터통신케이블로 채택되고 있지만, 휴대폰의 다양한 기종에 따라서는 전술한 커넥터와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핀 수가 다른 기종의 휴대폰에는 커넥터 핀 수를 정합 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커넥터 부품인 젠더(Gender)(또는 어댑터(adaptor))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젠더는 휴대폰과 외부 인터페이스(IF)간의 상이한 핀수를 정합 시키기 위한 암수 커넥터를 일체로 가지는 것으로, 충전 이외에도 휴대폰을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주변기기(또는 디지털 전자기기)와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매개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젠더(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휴대폰(4)에 연결되어 접속되는 접속부(2)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휴대폰 충전기(5)가 연결되는 연결포트(3)가 구성된다.
따라서, 젠더(1)의 접속부(2)를 휴대폰(4)에 꽂아 접속한 후, 젠더(1)의 연결포트(3)에 충전기(5)를 연결하여 충전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젠더(1)는 휴대폰(4)과는 별개인 주변 구성품으로,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4)과 별도로 젠더(1)를 소지하여야 하므로 젠더(1)의 분실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휴대폰(4)의 일측에 젠더(1)를 끈 등의 결속수단을 통해서 묶어 구비하기도 하나, 이 역시도 젠더(1)의 사용 시는 젠더(1)를 휴대폰(4)으로부터 분리한 후 휴대폰(4)에 접속시켜 사용하므로 젠더(1)의 분실 우려가 그대로 내재되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폰에 결합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케이스에 USB 메모리가 구성된 젠더를 구비함으로써 젠더의 사용 시 젠더가 항상 휴대폰 케이스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휴대폰이 그 내부로 수납되어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휴대폰을 감싸는 테두리부에 구성되는 젠더; 및 상기 젠더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접속단자를 갖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는 그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젠더의 결합돌기에 대응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젠더가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삭제
또, 상기 젠더는 그 양측면으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걸림돌부가 외향 돌출되는 록킹편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록킹편의 걸림돌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젠더가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게다가, 상기 케이스에는 케이스에 결합된 젠더의 록킹편을 눌러 상기 록킹편을 걸림턱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젠더는 그 양측면에 힌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젠더의 힌지돌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젠더가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젠더는 그 양측면으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힌지돌부가 외향 돌출되는 힌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힌지편의 힌지돌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젠더가 케이스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케이스에 결합된 젠더의 힌지편을 눌러 상기 힌지편을 힌지홈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USB 메모리의 저장장치를 갖는 젠더가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에 젠더가 구비된 상태로 젠더로서 사용되므로 젠더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젠더에 USB 메모리 기능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USB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종래 젠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젠더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젠더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도와 결합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젠더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도와 작동상태를 보인 결합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젠더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도와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을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젠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200)가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 케이스(100)는 통상 해당 휴대폰(10)에 대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슬림한 형태의 스마트폰과 이에 대응한 케이스(100)를 그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휴대폰 케이스(100)는 도 2에서와 같이, 그 내부는 일면의 개구부를 통해서 휴대폰(10)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된 수납홈(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10)의 가장자리는 휴대폰(10)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테두리부(12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테두리부(120)는 충격으로부터 휴대폰(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젠더(200)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130)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젠더(200)는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젠더(200)를 케이스(100)에 장착하면 젠더(200)가 케이스(100)에 한 몸으로 일체화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젠더(200)는 케이스(100)의 테두리부(120)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에는 케이스(100)의 테두리부(120)로부터 연장되는 후면판에 대응하게 만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저장장치(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장치(220)는 통상의 USB 메모리를 탑재한 USB 메모리 장치로서, 그 단부에는 USB 포트(미도시)에 접속되는 접속단자(2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저장장치(220)가 일체로 형성된 젠더(200)는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젠더(200)는 케이스(100)의 테두리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장치(220)는 케이스(100)의 테두리부(120)로부터 연장되는 후면판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젠더(200)의 몸체부(210) 상면 즉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한 면에는 휴대폰(10)의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플러그(2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10)의 하면에는 충전장치의 접속단자(미도시)가 또는 USB 케이블의 접속단자(미도시) 등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포트(21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케이스(10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젠더(200)가 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 그대로 젠더(200)로서 사용되므로 젠더(200)의 사용 시 젠더(2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젠더와 휴대폰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를 보인 제 1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젠더(200)는 몸체부(210)의 양측면에 외향 돌출되는 결합돌기(21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상기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 양 내측면에는 결합홈(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젠더(200)의 결합돌기(213)가 휴대폰 케이스(100)의 결합홈(131)에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상기 젠더(200)가 휴대폰 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젠더(200)의 결합돌기(213)는 휴대폰 케이스(100)의 결합홈(131)에 압입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젠더(200)의 결합돌기(213)와 휴대폰 케이스(100)의 결합홈(131)은 단순한 돌기와 홈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도브테일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로 젠더(200) 본연의 기능으로 사용되고, 상기 젠더(200)를 케이스(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젠더(200)에 구성된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USB 포트에 결합하여 USB 메모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분리된 젠더(200)를 다시 케이스(100)에 반대방향으로 결합한 후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USB 포트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후자의 사용 예가 젠더(2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더욱 크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젠더와 휴대폰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를 보인 제 2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젠더(200)는 몸체부(210)의 양측면으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록킹편(21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편(214)의 단부에는 걸림돌부(215)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편(214)은 젠더(200)의 양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그 상단부가 젠더(200)의 양측면에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걸림돌부(215)는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향 돌출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부에서 록킹편(214) 측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젠더(200)의 록킹편(214)에 대응한 케이스(100)의 장착홈(130) 양 내측면에는 상기 록킹편(214)의 걸림돌부(215)가 탄성적으로 걸림되는 걸림턱(132)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걸림돌부(215)와 걸림턱(132)의 록킹구조로서 결합 고정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100)로부터 젠더(20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 젠더(200)의 분실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 양측에는 장착홈(130)에 결합된 젠더(200)의 록킹편(214)을 눌러 상기 록킹편(214)을 장착홈(130)의 걸림턱(132)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홈(133)이 단차져 형성된다. 상기 누름홈(133)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홈(133)의 상측(케이스(100)의 중심에 인접한 부위)에는 장착홈(130)의 중심선상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32)이 위치된다.
이상과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로 젠더(200)로 사용되고, 상기 젠더(200)를 휴대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젠더(200)에 구성된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USB 포트에 결합하여 USB 메모리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회전되는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휴대폰(10)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휴대폰(10)이 분리된 경우에만 회전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젠더와 휴대폰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를 보인 제 3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젠더(200)는 몸체부(210)의 양측면에 힌지돌부(216)가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부(216)는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젠더(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 구조이면 모두 포함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젠더(200)의 힌지돌부(216)에 대응한 케이스(100)의 장착홈(130) 양 내측면에는 상기 젠더(200)의 힌지돌부(21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134)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홈(134) 역시도 상기 힌지돌부(216)에 대응한 반구형상의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힌지돌부(216)와 힌지홈(134)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상기 젠더(200)를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시켜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 결합된 상태로 젠더(200)로 사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젠더(200)를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서 회전시켜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후 USB 포트에 결합하여 USB 메모리로도 사용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젠더와 휴대폰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를 보인 제 4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먼저, 상기 젠더(200)는 몸체부(210)의 양측면으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힌지편(217)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편(217)의 단부에는 힌지돌부(218)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편(217)은 젠더(200)의 양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그 상단부가 젠더(200)의 양측면에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힌지돌부(218)는 반구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젠더(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 구조는 모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젠더(200)의 힌지편(217)에 대응한 케이스(100)의 장착홈(130) 양 내측면에는 상기 힌지편(217)의 힌지돌부(218)가 탄성적으로 걸림되는 힌지홈(134)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134)은 상기 힌지돌부(218)에 대응한 반구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힌지편(217)의 힌지돌부(218)와 힌지홈(134)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회전가능한 구조로도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젠더(200)를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시켜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고, 상기 젠더(200)를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 간편하게 장.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 양측에는 장착홈(130)에 결합된 젠더(200)의 힌지편(217)을 눌러 상기 힌지편(217)의 힌지돌부(218)를 장착홈(130)의 힌지홈(134)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홈(133)이 단차져 형성된다. 상기 누름홈(133)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로 젠더로 사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젠더(200)를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에서 회전시켜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후 USB 포트에 결합하여 USB 메모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젠더(200)를 휴대폰 케이스(100)의 장착홈(13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저장장치(220)의 접속단자(221)를 USB 포트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회전되는 젠더(200)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휴대폰(1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휴대폰(10)을 분리한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을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100)의 수납홈(110)에 휴대폰(10)을 수납할 시는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휴대폰(10)의 하단부를 케이스(100)의 수납홈(110)에 삽입시키면서 휴대폰(10)의 상단부를 휴대폰 케이스(100)와 거의 평행이 되도록 눕히면서 휴대폰(10) 하면의 접속포트를 젠더(200)의 접속플러그(211)에 결합시키면서 휴대폰(10)을 케이스(100)의 수납홈(110)에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순으로 삽입시켜 수납하면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101)에는 이 후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젠더수용부(102)가 형성되되, 상기 젠더수용부(102)는 상기 케이스(100)의 둘레면 중 일면(103)까지 연장형성되고, 상기 젠더(200)는 상기 젠더수용부(102) 중 케이스(100)의 후면(101)에 위치되어 상기 젠더수용부(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되는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모리접속부(232)와, 상기 몸체(231)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103)에 형성되는 젠더수용부(102)에 위치되는 휴대폰접속단자부(23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231)와 상기 휴대폰접속단자부(233) 사이에는 꺾임부(23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몸체(231)의 내부에 탄성을 갖는 철편(미도시)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몸체(231)가 자유롭게 꺾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231)가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101)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몸체(231)를 이용하여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꺾임부(234)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접속단자부(233)를 휴대폰측으로 꺾어 접속할 수 있다.
10 : 휴대폰 100 : 케이스
110 : 수납홈 120 : 테두리부
130 : 장착홈 131 : 슬라이드홈
132 : 걸림턱 133 : 누름홈
134 : 힌지홈 200 : 젠더
210 : 몸체부 211 : 접속플러그
212 : 접속포트 213 : 슬라이드돌기
214 : 록킹편 215 : 걸림돌부
216 : 힌지돌부 217 : 힌지편
218 : 힌지돌부 220 : 저장장치
221 : 접속단자

Claims (8)

  1. 휴대폰(10)이 그 내부로 수납되어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휴대폰(10)을 감싸는 테두리부(120)에 구성되는 젠더(200); 및 상기 젠더(200)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접속단자(221)를 갖는 저장장치(220);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200)는 그 양측면에 결합돌기(2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젠더(200)의 결합돌기(213)에 대응한 결합홈(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13)와 결합홈(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젠더(200)가 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휴대폰(10)이 그 내부로 수납되어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휴대폰(10)을 감싸는 테두리부(120)에 구성되는 젠더(200); 및 상기 젠더(200)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접속단자(221)를 갖는 저장장치(220);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200)는 그 양측면으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걸림돌부(215)가 외향 돌출되는 록킹편(214)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록킹편(214)의 걸림돌부(215)가 걸림되는 걸림턱(132)이 형성되어,
    상기 젠더(200)가 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케이스(100)에 결합된 젠더(200)의 록킹편(214)을 눌러 상기 록킹편(214)을 걸림턱(132)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홈(133)이 형성되는 휴대폰 케이스.
  5. 휴대폰(10)이 그 내부로 수납되어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휴대폰(10)을 감싸는 테두리부(120)에 구성되는 젠더(200); 및 상기 젠더(200)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접속단자(221)를 갖는 저장장치(220);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200)는 그 양측면에 힌지돌부(2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젠더(200)의 힌지돌부(21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134)이 형성되어,
    상기 젠더(200)가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6. 휴대폰(10)이 그 내부로 수납되어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휴대폰(10)을 감싸는 테두리부(120)에 구성되는 젠더(200); 및 상기 젠더(200)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접속단자(221)를 갖는 저장장치(220);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200)는 그 양측면으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힌지돌부(218)가 외향 돌출되는 힌지편(217)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힌지편(217)의 힌지돌부(21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134)이 형성되어,
    상기 젠더(200)가 케이스(1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케이스(100)에 결합된 젠더(200)의 힌지편(217)을 눌러 상기 힌지편(217)을 힌지홈(134)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홈(133)이 형성되는 휴대폰 케이스.
  8. 휴대폰(10)이 그 내부로 수납되어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101)에는 젠더(20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기 후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젠더를 수용하는 젠더수용부(102)가 형성되되, 상기 젠더수용부(102)는 상기 케이스(100)의 둘레면 중 일면(103)까지 연장형성되고,
    상기 젠더(200)는 상기 젠더수용부(102) 중 케이스(100)의 후면(101)에 위치되어 상기 젠더수용부(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되는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모리접속부(232)와;
    상기 몸체(231)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103)에 형성되는 젠더수용부(102)에 위치되는 휴대폰접속단자부(233)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231)와 상기 휴대폰접속단자부(233) 사이에는 꺾임부(23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
KR2020130000206U 2013-01-09 2013-01-09 휴대폰 케이스 KR200469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06U KR200469127Y1 (ko) 2013-01-09 2013-01-09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06U KR200469127Y1 (ko) 2013-01-09 2013-01-09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127Y1 true KR200469127Y1 (ko) 2013-09-25

Family

ID=5073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206U KR200469127Y1 (ko) 2013-01-09 2013-01-09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67B1 (ko) * 2013-11-08 2015-01-02 최상효 Usb 단자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578304B1 (ko) 2014-10-06 2015-12-17 신한수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180037551A (ko) * 2016-10-04 2018-04-12 이해곤 기능성 휴대폰케이스
KR102228884B1 (ko) * 2020-02-04 2021-03-17 김학성 휴대폰 케이스
KR102311909B1 (ko) * 2020-04-02 2021-10-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789A (ko) * 2005-08-17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05030U (ko) * 2008-11-06 2010-05-14 사운드웨어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휴대 단말장치 케이스
KR20110119467A (ko) * 2010-04-27 2011-11-02 조부연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KR20120086016A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아론 배터리 수용홈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789A (ko) * 2005-08-17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05030U (ko) * 2008-11-06 2010-05-14 사운드웨어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휴대 단말장치 케이스
KR20110119467A (ko) * 2010-04-27 2011-11-02 조부연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KR20120086016A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아론 배터리 수용홈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67B1 (ko) * 2013-11-08 2015-01-02 최상효 Usb 단자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578304B1 (ko) 2014-10-06 2015-12-17 신한수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180037551A (ko) * 2016-10-04 2018-04-12 이해곤 기능성 휴대폰케이스
KR102228884B1 (ko) * 2020-02-04 2021-03-17 김학성 휴대폰 케이스
KR102311909B1 (ko) * 2020-04-02 2021-10-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2172B2 (en) Auxiliary device for mobile electronic apparatus
TWI477951B (zh) 可拆卸式轉接器與手持裝置
US9564720B2 (en) Retractable power plug
KR200469127Y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7054281A1 (zh) 卡座结构及电子设备
US20170126048A1 (en) Portable multi-function wireless charging accessory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KR101668461B1 (ko)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KR20140004290U (ko)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W201427204A (zh) 具有防塵蓋的插座及電子裝置
TWI389396B (zh) Usb連接器
KR101107247B1 (ko)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TW201324977A (zh) 通用串列滙流排連接器
TWI565166B (zh) Dual plug USB connector
CN101872920B (zh) 电子装置及其接口保护盖的固定结构
EP2626959B1 (en) Integrated electric connector
US20090113103A1 (en) Cascade type charge assembly
US20120140393A1 (en) Protective case
US8602824B2 (en) Ultrathin USB female connector
KR200479847Y1 (ko) 전자기기용 양면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KR200447703Y1 (ko) 분리형 터치펜이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변환젠더
KR101435284B1 (ko)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
KR101371131B1 (ko) 휴대용 변환 커넥터
TWM550456U (zh) 卡連接器
JP3180007U (ja) 自動復帰防塵蓋を有するデータ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