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05Y1 -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 Google Patents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05Y1
KR200466705Y1 KR2020130000877U KR20130000877U KR200466705Y1 KR 200466705 Y1 KR200466705 Y1 KR 200466705Y1 KR 2020130000877 U KR2020130000877 U KR 2020130000877U KR 20130000877 U KR20130000877 U KR 20130000877U KR 200466705 Y1 KR200466705 Y1 KR 200466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ylinder
double container
container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심
Original Assignee
이희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심 filed Critical 이희심
Priority to KR2020130000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에 관한 것으로, 외통과 내통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내통에 수용된 내용물을 냉각시키거나 슬러시 형태로 제작하는 보냉용 이중 용기가 내부에 삽입된 본체를 포함하는 컵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상기 이중 용기의 외통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통에 직접 장시간 접촉하여 손이 시리거나, 결로 현상으로 인해 상기 외통에 물방울이 서리는 현상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CUP HAVING DUAL VESSEL FOR COLD RESERVING}
본 고안은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체 및 이 본체에 수용되는 이중 용기로 이루어지되, 이중 용기는 이중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외통과 내통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내통에 수용된 내용물을 냉각시키거나 슬러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올라가는 하절기에는 음료를 차갑게 유지하기 위해서 일정량의 얼음을 용기 내에 넣어 음료를 취식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음료 내의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가 희석되어 음료 고유의 맛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부의 밀폐 공간에 냉매가 수납되고 수납된 냉매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음료를 냉각시키는 이중 용기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용기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4787호(등록일 : 2003. 05. 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5349호(공개일 : 2009. 11. 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1585호(등록일 : 2005. 11. 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4960호(등록일 : 2004. 12. 24)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0429호(등록일 : 2004. 01. 20) 등을 통해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용기들은 기본적으로 냉매가 수용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수납되어 음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용물은 상기 냉매에 의해 간접적으로 냉각된다. 이를 통해 냉매가 음료에 녹아 들어가서 음료를 희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냉각시키거나 슬러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용기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사용자가 내통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외통의 외주면을 직접 손으로 잡아야 하는데, 이때 냉매에 의해 냉각된 외통을 손으로 잡는 경우 손이 시려 외통을 장시간 잡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이유로 특히 피부층이 성인에 비해 비교적 얇은 유아나 아동 등이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용기에서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 외통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 온도와 외통 간의 온도 차가 크게 발생하여 외통의 외주면에 결로(結露) 현상이 일어나 물방울이 서리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외통을 잡는 경우 외통의 외주면에 서린 물방울이 손에 묻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용기는 보통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데, 외통과 내통을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할 때, 냉매를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형성한 후 냉매를 주입하는데, 주입구 형성공정과 냉매 주입 후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이 추가로 요구됨에 따라 제조 비용과 제조 공정이 증가하였다.
KR 20-0314787 Y1, 2003. 05. 16. KR 10-2009-0115349 A, 2009. 11. 05. KR 20-0401585 Y1, 2005. 11. 11. KR 10-0464960 B1, 2004. 12. 24. KR 20-0340429 Y1, 2004. 01. 20.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이중 용기의 외통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통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여 외통에 직접 장시간 접촉하여 손이 시리거나, 결로 현상으로 인해 이중 용기의 외통에 물방울이 서리는 현상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중 용기의 제조 공정을 종래보다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이중 용기; 및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이중 용기가 수용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 외주연에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테가 형성된 내통; 및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내통이 수용되고, 상기 환형테의 하면이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의 하면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통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외통; 및 상기 내통의 외면과 상기 외통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단 내주연에 상기 환형테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중 용기의 외면 수납통; 및 상기 수납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용기의 외면과 상기 본체의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외통은 상단 외주연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외통이 상기 수납통의 내부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수납된 후 상기 수납통과 상기 외통을 고정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부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하는 테이퍼(taper)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납통의 상단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부방향으로 꺾인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는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 및 이 본체에 수용되는 이중 용기로 이루어지되, 이중 용기는 이중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외통과 내통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내통에 수용된 내용물을 냉각시키거나 슬러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컵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상기 이중 용기의 외통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통에 직접 장시간 접촉하여 손이 시리거나, 결로 현상으로 인해 상기 외통에 물방울이 서리는 현상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통의 상부 외주연에 환형테를 형성하고, 상기 환형테를 이용하여 상기 내통을 상기 외통과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환형테를 상기 본체의 수납통까지 연장시켜 상기 외통과 상기 수납통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중 용기와 수납통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외통에 수용된 냉매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서린 물방울이 사용자가 내통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서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납통과 이중 용기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수납통과 상기 외통 사이에 공기가 채워진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통에서 발산된 냉기가 상기 수납통으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직접 외통을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손 시림 현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손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외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외통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부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하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갖는 고정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외통을 상기 수납통의 내측벽에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내통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를 손으로 파지한 후 컵의 상부보다 하부가 높도록 컵을 들어올릴 때, 상기 이중 용기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통과 내통을 각각 사출 성형한 후, 상기 외통의 내부에 냉매를 일정 높이로 채운 다음, 그 내부에 내통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통의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테를 이용하여 가열 압착하여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을 상호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채워진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제조 공정이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용기와 본체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을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중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이중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용기와 본체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을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100)은 이중 용기(110)와, 이중 용기(110)가 내부에 수납되는 본체(12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중 용기(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중 용기(110)는 외통(113)과, 외통(113)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통(111)을 포함한다.
외통(113)과 내통(111)은 각각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재질,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통(111)은 음료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부측 외주연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환형테(112)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테(112)는 외통(113)의 상부 입구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11)이 외통(113)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환형테(112)의 하면은 외통(113)의 입구측 상단 테두리의 상면과 상호 결합된다.
내부에 내통(111)이 수납되는 외통(113)은 내부 바닥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3a)는 외통(113)의 내부로 인입되는 내통(111)의 하면을 외통(113)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통(111)과 외통(113)은 환형테(112)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환형테(112)에 의해 외통(113)의 입구는 봉합되어 내통(111)과 외통(113) 사이에는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 공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10)가 주입되어 채워진다.
내통(111)과 외통(113)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내통(111)과 외통(113)을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각각 형성한 후, 외통(113) 내부로 내통(111)을 인입시킨다. 이때 내통(111)의 하면은 외통(113)의 내부에서 지지부(113a)의 상면에 안착되고, 환형테(112)의 하면은 외통(113)의 입구측 상단 테두리 상면에 안착된다. 이런 상태에서 외통(113)과 내통(111)을 예를 들면 고주파 가열을 이용하여 상호 가열 압착하여 내통(111)의 하면이 지지부(113a)의 상면, 그리고 환형테(112)의 하면이 외통(113)의 상단 테두리 상면에 가열 압착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는 냉매(10)가 수용된 이중 용기(110)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통(121)과, 수납통(121)의 상단 일측부에 형성된 손잡이부(122)를 포함한다.
수납통(121)의 내부 바닥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용기(110)의 외통(113)이 안착되고, 상단 내주연에는 이중 용기(110)가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환형테(112)의 단부가 안착되어 거치되도록 걸림턱(121a)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중 용기(110)와 수납통(121)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은 환형테(112)에 의해 밀폐된다.
이중 용기(110)와 수납통(121)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이중 용기(110)의 외통(113)에 수용된 냉매(10)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외통(113)의 외주면에 물방울이 서리게 되고, 이러한 물방울은 사용자가 내통(111)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환형테(112)를 통해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용기(110)와 수납통(121)의 내측벽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용기(110)가 수납통(121)의 내측벽과 이격되어 수납됨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납통(121)과 외통(113) 사이에는 공기가 채워진 공간이 존재하여 외통(113)에서 발산된 냉기가 수납통(121)으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직접 외통(113)을 사용자가 잡는 경우 손 시림 현상, 그리고 손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외통(113)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손잡이부(122)는 대략 본체(120)의 상단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부방향으로 꺾인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2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푼(20)이 수납되도록 내부가 빈 통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컵(100)의 전체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122)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내통(111)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하도록 제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이중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이중 용기(110)는 외통(113)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고정 돌기(1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 돌기(113b)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부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하는 테이퍼(taper)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고정돌기(113b)는 대략 1/4원 형태이되, 1/4원 중 수평선은 외통(113)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수직선은 외통(113)의 측벽에 접한 형태이다.
외통(113)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 돌기(113b)는 이중 용기(110), 즉 외통(113)이 본체(120), 즉 수납통(121)의 내부로 수납된 후 수납통(12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수납통(121)의 내측벽과 외통(113)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중 용기(110)가 수납통(12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통(111)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하기 위하여 손잡이부(122)를 손으로 잡은 후 컵(100)의 상부보다 하부가 높도록 컵(100)을 들어올릴 때, 외통(113)이 고정 돌기(113b)를 통해 수납통(121)에 고정되지 않으면 이중 용기(110)가 수납통(121)으로부터 이탈하여 내통(1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사용자의 안면으로 쏟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외통(113)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고정 돌기(113b)를 형성하고, 이중 용기(110)를 본체(120)의 수납통(121)에 수납할 때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외력을 가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 돌기(113b)를 수납통(121)의 내측벽에 압착하여 이중 용기(110)가 수납통(121)의 내측벽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외통(113)과 내통(111)을 각각 제조한다(S61, S62). 이때, 내통(111)의 상부측 외주연에는 환형테(112)가 형성되어 있고, 외통(113)의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후, 외통(113)의 내부에 냉매(10)를 일정 높이로 채운다(S63).
이후, 냉매(10)가 채워진 외통(113)의 내부에 내통(111)을 인입시킨다(S64). 이때, 내통(111)의 하면이 외통(113)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부(113a)의 상면에 안착되고, 환형테(112)가 외통(113)의 입구측 상단 테두리 상면에 안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외통(113)과 내통(111)을 고주파 가열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가열 압착하여 결합한다(S65). 즉, 내통(111)의 하면이 지지부(113a)의 상면, 그리고 환형테(112)의 하면이 외통(113)의 상단 테두리 상면에 가열 압착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S65). 이에 따라, 외통(113)과 내통(111)이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환형테(112)에 의해 외통(113)과 내통(111) 사이의 밀폐 공간 내에 냉매(10)가 밀폐되어 고립된다.
이후, 외통(113)과 내통(111)이 상호 결합되어 그 내부에 냉매(10)가 수용된 이중 용기(110)를 본체(120)의 수납통(121)의 내부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인입시켜 컵(100)을 제조한다(S66).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냉매
20 : 스푼
100 : 컵
110 : 이중 용기
111 : 내통
112 : 환형테
113 : 외통
113a : 지지부
113b : 고정돌기
120 : 본체
121 : 수납통
121a : 걸림턱
122 : 손잡이부

Claims (4)

  1.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이중 용기; 및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이중 용기가 수용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 외주연에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테가 형성된 내통; 및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내통이 수용되고, 상기 환형테의 하면이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의 하면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통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외통; 및
    상기 내통의 외면과 상기 외통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단 내주연에 상기 환형테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중 용기의 외면 수납통; 및
    상기 수납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용기의 외면과 상기 본체의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단 외주연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외통이 상기 수납통의 내부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수납된 후 상기 수납통과 상기 외통을 고정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부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하는 테이퍼(taper)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납통의 상단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부방향으로 꺾인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4. 삭제
KR2020130000877U 2013-02-04 2013-02-04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KR200466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77U KR200466705Y1 (ko) 2013-02-04 2013-02-04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77U KR200466705Y1 (ko) 2013-02-04 2013-02-04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705Y1 true KR200466705Y1 (ko) 2013-05-03

Family

ID=5357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877U KR200466705Y1 (ko) 2013-02-04 2013-02-04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19B1 (ko) * 2014-04-18 2014-07-22 신창수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CN104905632A (zh) * 2015-06-15 2015-09-16 遵义市义阳光电有限公司 一种户外制冷水杯
KR101637003B1 (ko) * 2015-11-05 2016-07-07 오순옥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
WO2018178832A1 (es) * 2017-03-31 2018-10-04 Gonzalez Camacho Juan Carlos Recipiente para bebidas y alimento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562A (ja) * 2004-09-09 2006-03-23 Katsuko Aya 取っ手に歯ブラシを収納できるコップ
KR200464363Y1 (ko) * 2010-09-14 2012-12-28 황석환 강제체결 방식을 이용한 단열용 삼중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562A (ja) * 2004-09-09 2006-03-23 Katsuko Aya 取っ手に歯ブラシを収納できるコップ
KR200464363Y1 (ko) * 2010-09-14 2012-12-28 황석환 강제체결 방식을 이용한 단열용 삼중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19B1 (ko) * 2014-04-18 2014-07-22 신창수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CN104905632A (zh) * 2015-06-15 2015-09-16 遵义市义阳光电有限公司 一种户外制冷水杯
KR101637003B1 (ko) * 2015-11-05 2016-07-07 오순옥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
WO2017078281A1 (ko)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
WO2018178832A1 (es) * 2017-03-31 2018-10-04 Gonzalez Camacho Juan Carlos Recipiente para bebidas y aliment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9778A (en) Thermally insulated bott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200466705Y1 (ko)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US20160045047A1 (en) Container with a Thermal Regulating Insert
US20160031630A1 (en) Insulating Vessel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WO2015158140A1 (zh) 保温饮品容器
TWI608977B (zh) Insulation container
CN110662462A (zh) 用于容纳饮料的容器
US20210068565A1 (en) Thermally insulated bowl
EP2769651A1 (en) Support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cold beverages in glasses and the like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US20110226784A1 (en) Covered cooler assembly
JPH0221400Y2 (ko)
JP2016011812A (ja) 氷容器製造器および氷容器の製造方法。
KR20110008573U (ko)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US20210003336A1 (en) Functional water bottle with ice forming core and ice making tool
JPH02283309A (ja) ストロー付水筒
KR200460978Y1 (ko) 물통
JP2004138274A (ja) 飲料・食糧を収納する容器を加熱または冷却するための付加ケース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US20050126209A1 (en) Beverage bottle cool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ssembly for holding ice and water
CN216875921U (zh) 保温杯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KR20130102214A (ko) 음료용기용 냉각 마개
CN209769922U (zh) 一种速冷保温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