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69Y1 -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69Y1
KR200466469Y1 KR2020120011503U KR20120011503U KR200466469Y1 KR 200466469 Y1 KR200466469 Y1 KR 200466469Y1 KR 2020120011503 U KR2020120011503 U KR 2020120011503U KR 20120011503 U KR20120011503 U KR 20120011503U KR 200466469 Y1 KR200466469 Y1 KR 200466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uter frame
cas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5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윤호
Original Assignee
조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호 filed Critical 조윤호
Priority to KR2020120011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을 둘러싸는 외측프레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로고나 디자인을 가리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끼워지는 내측프레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측프레임간의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파 수신율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cover a logo or design while preventing side da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outer fram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nner frame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eventing the flow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er frame,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wered It relates to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을 둘러싸는 외측프레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로고나 디자인을 가리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cover a logo or design while preventing side da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outer fram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끼워지는 내측프레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측프레임간의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파 수신율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nner frame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eventing the flow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er frame,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wered It relates to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prevented.

일반 피쳐폰,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한 수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에 적합하게 제작된 경연질의 케이스(혹은, '커버'라고도 함)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의 예가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5038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4381호 등에 제시된다.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general feature phones, smartphones and tablet PCs, prot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from external shocks or foreign matter penetration, and are suitable for the appearan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a means for expressing the user's personality. I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soft case (or 'cover'). Examples of such cases are present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105038,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4381, and the like.

이러한 케이스는 통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과 같은 사이즈와 형태로 제작되어 긴밀하게 밀착되어야 하는 관계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되는 각종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걸림턱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Such a case is usu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exteri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provided in a structure having a locking step that is elastically fitted into various locking grooves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걸림턱에 의한 탈장착의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에 스크래치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높고, 잦은 탈장착에 따라 걸림홈 부분이 훼손되어 전체적으로 외관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고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by the latching jaw is highly likely to cause scratches on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tching grooves are damaged by frequent detachment and thus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overall appearance.

이에, 연성이 좋은 실리콘 케이스나 젤리 케이스 등 이동통신 단말기 전면의 액정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후면과 측면부 전체를 감싸주는 수납함 형태의 케이스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의 디자인을 가리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애플사의 i-phone™과 같은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그 측면을 따라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베젤로 덮고, 스마트 폰의 후면에는 로고를 도드라지게 표시함과 동시에 그 고유의 디자인을 살리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 폰에 수납함 형태의 케이스를 사용하면 고유의 디자인 및 로고를 가린다.
In this case, a case of a flexible box, such as a soft silicone case or a jelly case, which covers the entire rear and side portions of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pt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may be used. . For example, a smartphone such as Apple's i-phone ™ is covered with a bezel made of aluminum material along its side, and the logo i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while maintaining its unique design. The use of a case in the form of a box on a smartphone hides its unique design and logo.

이에, 대부분의 아이폰 사용자는 별도의 케이스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알루미늄 재질 등의 베젤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호수단이 없어서 외부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us, most iPhone users use it without a separate case. In this case, scratches are generated on the bezel made of aluminum,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xternal shocks are weak because there is no protective means that can absorb shock.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을 둘러싸는 외측프레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로고나 디자인을 가리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cover the logo or design while preventing side da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outer fram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또한,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끼워지는 내측프레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측프레임간의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파 수신율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nner frame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reventing the flow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er frame,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wered To provide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prevented.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는 전후방이 각각 개방되어 있고, 전방측 단부 내주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방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전방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내부에 놓일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보다 크기가 큰 외측프레임과; 전후방이 각각 개방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방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되, 그 전방을 향해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측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끼워지는 쐐기편이 돌출 형성된 내측프레임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cas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to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protruded inward to support the front ed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front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An outer frame having a front catching jaw and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therein;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open, respectively, to support the rear ed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event the departure to the rea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er frame toward the front It includes an inner frame protruding side.

여기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쐐기편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측프레임 사이의 틈새 간격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쐐기편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측프레임 사이의 틈새 간격 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되되 외측 일부 구간에 외측프레임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측면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돌출부는 외측프레임의 4 방향 외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edge piece of the inner frame preferably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gap ga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er frame, more preferably, the wedge piece is thinner than the gap ga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er frame. Consisting of the side projections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in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the side projections are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outer frame.

또한, 상기 외측프레임의 후방측 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프레임의 측면돌출부가 걸려 지지됨으로써 내측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후방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ar catching jaw protruding inwardly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outer frame to catch the side protrusion of the inner frame to prevent the inner frame from being separated.

한편, 상기 외측프레임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율 저하를 방지하도록 고무, 플라스틱, 고탄성 폴리머 및 양극 산화 피막 기법으로 절연 처리한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frame is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the inner frame is made of any one material of the metal, insulated by rubber, plastic, high elastic polymer and anodized film technique to prevent the recep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duced. It is preferable to mak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외측프레임이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의 디자인이나 로고를 최대한 가리지 않으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손상을 방지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outer frame to surround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side da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vented without covering the design or logo uniq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외측프레임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끼워지는 내측프레임으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외측프레임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측프레임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파 수신율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한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is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bsorb the shock, and can prevent the flow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ner frame of the plastic material such as by The decrease in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is prevented.

도 1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방(a) 및 후방(b)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의 조립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의 외측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의 내측프레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의 결합 전(a), 후(b)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a) and rear (b)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y layout of th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outer frame of th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inner frame of th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a), after (b) of th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애플사의 i-phone™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그 외 다양한 피쳐폰,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hereinafter, Apple's i-phone ™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eature phones, smartphones, and tablet PCs.

먼저,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는 아이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S)의 측면을 둘러싸는 외측프레임(10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에 끼워지는 내측프레임(200)을 포함한다.
First, as shown in (a) and (b) of FIG. 1, th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frame 100 surrounding the si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such as an iPho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It includes an inner frame 200 that is fitted between the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외측프레임(100)은 이동통신 단말기(S)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되, 재질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고, 그 크기는 이동통신 단말기(S) 보다 더 커서 당해 외측프레임(100) 내에 이동통신 단말기(S)가 안착되고, 내측프레임(200)은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 프레임(100) 사이의 틈새(도 4 및 도 6 의 G 참조)에 끼워지도록 삽입된다.
The outer frame 10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he material is made of metal or plastic, etc., the size is larg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he mobile communication in the outer frame 100 The terminal S is seated, and the inner frame 200 is inserted to fit into a gap (see G of FIGS. 4 and 6)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이때,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00)의 전방부에는 전방걸림턱(110)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S)의 전면 테두리부가 전방걸림턱(110)에 걸려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내측프레임(200)이 외측프레임(100)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고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 테두리부가 내측프레임(200)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S)가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front locking jaw 110 is protru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frame 100. Therefore, the front ed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with the display is caught by the front locking jaw 110 and does not deviate forward. In addition, as the inner frame 200 is fitted into the outer frame 100 and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not detached to the rear. It is fixed.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S)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외측프레임(100)이 설치되고, 이때 외측프레임(100)의 전후방측은 각각 개방되어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S) 고유의 디자인이나 로고를 최대한 가리지 않으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S)의 측면 손상을 방지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uter frame 100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where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uter frame 100 are open, respectively, so that the design uniq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t does not cover the logo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애플사의 아이폰에 장착되는 경우라면, 도 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폰의 후면에 표시된 로고 및 전체적인 디자인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아이폰의 측면에 설치된 베젤의 손상을 방지한다. 특히 베젤이 알루미늄으로 된 경우 스크래치 등을 방지한다.
For example, i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Apple iPhon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b), the bezel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Phone without covering the logo and the overall design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iPhone Prevent damage. In particular, the bezel is made of aluminum to prevent scratches.

또한, 외측프레임(100)과 이동통신 단말기(S) 사이에 내측프레임(200)이 끼워지므로, 이동통신 단말기(S)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S)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S)를 보호한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frame 200 is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frame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he shock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from the outside while firmly fixe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not shaken. It absorbs and prote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특히, 내측프레임(200)을 고무, 플라스틱, 고탄성 폴리머 및 양극 산화 피막 기법으로 절연 처리한 금속 등의 재질로 하면, 일반적인 금속 등과 비교하여 이동통신 단말기(S)의 전파 수신율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inner frame 20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plastic, high elastic polymer, and metal insulated by anodizing,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compared to a general metal. .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00)은 전후방이 각각 개방되어 있다. 전방측 단부 내주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S)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전방걸림턱(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프레임(100)의 후방측 단부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내측프레임(200)의 돌출부(210)가 걸려 지지됨으로써 내측프레임(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후방걸림턱(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걸림턱(120)의 돌출 높이는 전방걸림턱(110) 보다 낮게 형성되어 외측프레임(100)과 이동통신 단말기(S) 사이의 틈새(G)를 통하여 내측프레임(20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outer frame 10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is ope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 front locking jaw 110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to prev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from being separated. In addition, the rear engaging jaw 120 protruding inwar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inner frame 200 by being supported by the protrusion 210 of the inner frame 2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side end of the outer frame 100. Is formed. Her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ear locking jaw 120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locking jaw 110, the inner frame 200 is fitted through the gap (G) between the outer frame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t is configured to be.

또한, 외측프레임(100)은 이동통신 단말기(S)가 내부에 놓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S)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S) 보다 크게 설계된다. 즉, 외측프레임(100)은 이동통신 단말기(S)의 단면 패턴과 동일하면서 그 크기만 큰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outer frame 100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placed inside. In other words, the outer frame 100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but has a frame shape having a large size.

따라서, 외측프레임(100)의 후방측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S)를 삽입하면 디스플레이가 있는 그 이동통신 단말기(S)의 전면부 테두리가 전면걸림턱(110)에 걸려 안착되고, 디스플레이는 개방된 외측프레임(100)의 전방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According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inserted from the rear side of the outer frame 100, the front ed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having the display is caught by the front locking jaw 110, and the display is opened.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of the outer frame 100.

또한, 외측프레임(100)은 이동통신 단말기(S) 보다 크기가 커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00)의 내주면과 이동통신 단말기(S)의 측면 사이에 틈새(G), 즉 갭을 형성한다. 이 틈새(G)에 상술한 내측프레임(200)이 끼워져 조립된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frame 100 is larg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 gap G, that is, a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s shown in FIG. 4. To form. The inner frame 200 described above is fitted into this gap G to be assembled.

한편, 내측프레임(200)은 전후방이 각각 개방되고, 이동통신 단말기(S)가 후방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 테두리(또는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되, 그 전방을 향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틈새(G)로 끼워지는 쐐기편(21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편(210)은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틈새(G)에 끼움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S)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frame 200 is open to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supports the rear edge (or corner)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not separated to the rear side, but moves toward the front The wedge piece 210 fitted into the gap G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is formed to protrude. The wedge piece 210 is fitted to the gap (G)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is a mean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이러한 내측프레임(200)은 이동통신 단말기(S) 보다는 크고 외측프레임(100)보다는 작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틈새(G)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frame 200 is larg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smaller than the outer frame 100, and is formed in a pattern such as a gap G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

따라서, 도 6과 같이 일측으로 돌출된 쐐기편(210)이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틈새(G)에 삽입 조립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에 삽입 개재된 내측프레임(200)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S)가 외측프레임(100)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wedge piece 210 protruding to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gap G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Therefore, the inner frame 200 interpos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absorbs the shock and preve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from shaking in the outer frame 100.

즉, 이동통신 단말기(S)가 외측프레임(100) 내에 삽입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측면과 외측프레임(100)의 측면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에 쐐기편(210)이 삽입되고, 쐐기편(210)을 제외한 내측프레임(200)은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S)가 후방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100, the wedge piece 210 is formed in the gap G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sid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Is inserted, the inner frame 200 except the wedge piece 210 supports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not separated to the rear side.

이때, 내측프레임(200)의 쐐기편(210)은 전체가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간격 즉, 틈새(G)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성형될 수도 있고, 도 2, 3, 5, 및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G) 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되되 외측 일부 구간에 외측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측면돌출부(212)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돌출부(212)는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외측프레임(100)을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술한 틈새(G)를 완전히 채워 이동통신 단말기(S)의 미세한 흔들림까지도 방지하며, 측면돌출부(212)가 걸림턱 역할을 하여,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의 후면걸림턱(120)이 측면돌출부(212) 측면에 걸림으로써 내측프레임(200)의 이탈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측면돌출부(212)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00)의 4 방향 외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프레임(100)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wedge piece 210 of the inner frame 200 may be molded so as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ga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that is, the gap (G), Figure 2, As shown in 3, 5, and 6,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gap (G) but have a side protrusion 212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in the outer portion of the section. The side protrusion 212 completely presses the outer frame 100 to the outside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to completely fill the above-mentioned gap G to prevent even minute shak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6, the side protrusion 212 acts as a locking jaw, and as shown in FIG. 6, the rear locking jaw 120 of the outer frame is caught by the side protrusion 212 to prevent the inner frame 200 from being separated. Can be. As shown in FIG. 5, the side protrusions 212 are formed to protrude on four outer sides of the outer frame 100,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

한편, 외측프레임(100)에는 복수개의 제1 조립공(130)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 조립공(130)과 겹치는 위치에 각각 제2 조립공(2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조립공(130)과 제2 조립공(230)을 통해 각종 버튼(131)들이 조립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S)에 구비된 각종 입출력 포트 등이 외부로 노출된다. 제1 조립공(130), 제2 조립공(230), 각종 버튼(131)이나 입출력 포트는 이동통신 단말기(S)의 종류(예: 스마트 폰 혹은 테블릿 PC)나 버전(예: 아이폰 4 혹은 아이폰 5) 등에 따라 그 개수, 형태 및 위치 등이 자유롭게 설계 변경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first assembly holes 130 are formed in the outer frame 100, and second assembly holes 230 are formed in the inner frame 200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first assembly holes 130. Therefore, various buttons 131 are assembled through the first assembly hole 130 and the second assembly hole 230, or various input / output port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 assembly hole 130, the second assembly hole 230, various buttons 131 or input / output ports may be the type (eg, smartphone or tablet PC) or version (eg, iPhone 4 or i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5) The number, shape, and position thereof ar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이때, 외측프레임(1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최외각에 배치된 외측프레임(100)이 외부 물체와의 접촉시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At this time, the outer frame 10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rough this, the outer frame 100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prevents scratches or damages when the outer frame 100 comes into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내측프레임(200)은 고무, 플라스틱, 고탄성 폴리머 및 양극 산화 피막 기법으로 절연 처리한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 산화 피막 기법 즉, 아노다이징(anodizing) 기법이란 전해액 속에서 직류 전류에 의한 전기 분해에 의해 금속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내측프레임(200)의 재질로서 고무, 플라스틱, 고탄성 폴리머 및 양극 산화 피막 기법으로 절연 처리한 금속 등을 사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S)의 수신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통신 단말기(S)는 자체에 탑재된 회로 배선 및 그를 둘러싼 하우징의 형상이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안테나를 설계 및 탑재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S)에 직접 접촉하는 내측프레임(200)을 금속 등으로 제작하면 전파 수신환경이 급격히 변하여 결국 수신율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The inner frame 200 is preferably made of any one material of rubber, plastic, high elastic polymer, and metal insulated by anodizing. Anodizing, or anodizing, means the formation of a film on a metal surface by electrolysis by direct current in an electrolyte. As such, when the inner frame 200 is made of rubber, plastic, high elastic polymer, and metal insulated by anodiz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designs and mounts an antenna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it wiring mounted thereon an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housing surroun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he inner frame 200 directly conta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made of metal, or the like. This is because the radio wave reception environment changes drastically, resulting in poor reception.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외측프레임
110: 전면걸림턱
120: 후면걸림턱
130: 제1 조립공
131: 버튼
200: 내측프레임
210: 쐐기편
212: 측면돌출부
230: 제2 조립공
100: outer frame
110: front locking jaw
120: rear locking jaw
130: first assemblyman
131: Button
200: inner frame
210: wedge
212 side projections
230: second assemblyman

Claims (7)

전후방이 각각 개방되어 있고, 전방측 단부 내주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S)의 전방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S)의 전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전방걸림턱(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가 내부에 놓일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 보다 크기가 큰 외측프레임(100); 및
전후방이 각각 개방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방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되, 그 전방을 향해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틈새(G)로 끼워지는 쐐기편(210)이 돌출 형성된 내측프레임(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프레임(1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S)용 케이스.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open, and the front engaging jaw 110 protrudes inward to support the front ed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n order to prev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from escaping to the front side. An outer frame 100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placed therein;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open, respectively, to support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n order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o the rear sid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oward the front thereof. A wedge piece 210 fitted into a gap G between the outer frames 100 includes an inner frame 200 protruded;
The outer frame 100 is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metal or p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쐐기편(210)은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틈새(G) 간격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S)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dge piece (210) of the inner frame 200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gap (G) ga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편(210)은 이동통신 단말기(S)와 외측프레임(100) 사이의 틈새(G) 간격 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되되 외측 일부 구간에 외측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측면돌출부(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S)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wedge piece 210 is formed of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gap (G) ga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outer frame 100, but the side protrud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in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 212 is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출부(212)는 외측프레임(100)의 4 방향 외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S)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protruding portion 212 is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outer frame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후방측 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측면돌출부(210)가 걸려 지지됨으로써 내측프레임(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후방걸림턱(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S)용 ㅋ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ide end of the outer frame 100 is supported by the side projection 210 of the inner frame 200 is supported by the rear engaging jaw 120 protruding inwar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inner frame 200 is formed C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20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수신율 저하를 방지하도록 고무, 플라스틱, 고탄성 폴리머 및 양극 산화 피막 기법으로 절연 처리한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S)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frame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a material insulated by rubber, plastic, high elastic polymer, and anodized film technique to prevent a reduction in the recep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Case for (S).
KR2020120011503U 2012-12-07 2012-12-07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664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503U KR200466469Y1 (en) 2012-12-07 2012-12-07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503U KR200466469Y1 (en) 2012-12-07 2012-12-07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469Y1 true KR200466469Y1 (en) 2013-04-17

Family

ID=5138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503U KR200466469Y1 (en) 2012-12-07 2012-12-07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6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60B1 (en) * 2013-05-24 2014-12-23 주식회사 샤벨코리아 Mobilephone case
KR101531976B1 (en) * 2014-03-14 2015-06-26 주식회사 이노웍스 Cover with push buttons for communication termin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04B1 (en) * 2010-07-26 2010-10-18 에스지피코리아 (주) Case for bar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04B1 (en) * 2010-07-26 2010-10-18 에스지피코리아 (주) Case for bar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60B1 (en) * 2013-05-24 2014-12-23 주식회사 샤벨코리아 Mobilephone case
KR101531976B1 (en) * 2014-03-14 2015-06-26 주식회사 이노웍스 Cover with push buttons for communication termi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497Y1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055003B2 (en) Acoustic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60015138A1 (en) Water Resistant Protective Device Case
KR102086717B1 (en) Cover including glas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7241537B (en) Sealing element, camera subassembly and mobile terminal
US20130020747A1 (en) Cushion of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structure of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8119Y1 (en) Sliding in/out type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66469Y1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30011224A (en) Case for mobile phone
US20150281415A1 (en) Metal protector frame assembly for mobile phone
EP2999198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etachable battery pack
JP5846495B2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210137250A1 (en) Mobile device protection case
JP6637684B2 (en) Portable equipment
KR200462730Y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70008Y1 (en) Mobile phone case
US10924148B2 (en) Bumperband and clamshell assembly for protecting a cell phone subhousing
KR101226837B1 (en) Case for mobile media devices
KR20120104061A (en) The power failure button case which is applied in the portable terminal
KR200455103Y1 (en) Combi case for cell phone
KR102097081B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KR101604767B1 (en) Smartphone Cases
KR20130081145A (en) Mobile phone
JP6351208B2 (en)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