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093Y1 - Prefabricated table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093Y1
KR200464093Y1 KR2020120004994U KR20120004994U KR200464093Y1 KR 200464093 Y1 KR200464093 Y1 KR 200464093Y1 KR 2020120004994 U KR2020120004994 U KR 2020120004994U KR 20120004994 U KR20120004994 U KR 20120004994U KR 200464093 Y1 KR200464093 Y1 KR 200464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assembled
prefabrica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9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영
Original Assignee
박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영 filed Critical 박상영
Priority to KR2020120004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0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09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과 다리를 조립함에 있어 조립된 테이블이 흔들리거나 조립된 상태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변형됨이 없고, 보관 및 이동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아니함으로 많은 양을 쉽게 이송 및 보관할 수 있으며, 프레임 및 다리를 형성함에 있어서 용접작업이 배제됨으로써 재질의 변형을 방지하고 더욱 쉽게 조립할 수 있어 비숙련공인 일반인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able, and more particularly, in assembling the table frame and the legs that are prefabricated, the assembled table is not shaken or assembled by deformations due to external impact, and the volume is large when storing and moving. It is easy to transport and store large amount by not occupying, and it prevents deformation of material and makes it easier to assemble by eliminating welding work in forming frame and bridge. will be.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Prefabricated table}Prefabricated Table

본 고안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과 다리부재를 조립함에 있어 조립된 테이블이 흔들리거나 조립된 상태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변형됨이 없고, 보관 및 이동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아니함으로 많은 양을 쉽게 이송 및 보관할 수 있으며, 프레임 및 다리를 형성함에 있어서 용접작업이 배제됨으로써 재질의 변형을 방지하고 더욱 쉽게 조립할 수 있어 비숙련공인 일반인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able, and more particularly, in assembling a table frame and a leg member, which are prefabricated, the assembled table is not shaken or assembled by external shocks, and the volume of the storage and moving is increased.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stored because it does not occupy a lot, and the welding work is eliminated in forming the frame and legs, which prevents deformation of the material and makes it easier to assemble. It is about.

통상적으로, 테이블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과 상판의 저면에 조립되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조립되는 여러 개의 다리부재로 구성된다. Typically, the table is composed of a top plate constituting the table, a frame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several leg members assembled to the frame.

또한, 프레임은 상판의 저면부를 비교적 넓게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고, 프레임과 다리는 조립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게 제작되며 근래에 들어서는 판매시 배송을 원활히 하고 물류비용을 절감하려는 목적으로 프레임과 다리부재를 분리한 반 조립 상태로 판매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frame is manufactured in a shape that can suppor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relatively wide, and the frame and the legs are manufactured to be fixed integrally by assembling or welding, etc. In recent yea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livery during sales and reduce the logistics cost It is also sold in semi-assembled form, with the frame and leg members separ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프레임과 다리를 분리하여 판매하고 소비자가 조립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다리의 조립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여 다리가 견고하게 조립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립의 불량에 의하여 상판이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selling the frame and the legs and assembling and using the consumer as described above, users often fail to assemble the legs smoothly so that the legs are not firmly assembled. The problem is that the top plate is easily shaken.

또한, 소비자의 조립을 더욱 쉽게 하기 위하여 생산자는 볼트체결방식만으로 프레임과 다리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음 조립시의 견고한 상태가 장기간 사용시 쉽게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assembly of the consumer easier, the producer is able to assemble the frame and the leg only by the bolt fastening method, a problem arises that the solid state at the time of the initial assembly is easily shaken during long-term use.

또한, 생산자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소비자가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용접 등위 방법으로 프레임과 다리부재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킨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용접작업에 따른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과 용접 등의 공정을 통하여 프레임 및 다리부재의 재질의 변화가 발생하여 연결부분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producers are selling products in which the shape of frame and leg members are variously modified by welding equality method to prevent shaking and consumers can easily assemble, but the unit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due to welding work and welding Through the process, the change of the material of the frame and the leg member occurs, a problem arises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easily deformed.

또한, 용접된 부분이 절곡된 부분과 달리 직각으로 형성되지 못함으로써 목재판과 같이 프레임 또는 다리와 연결되는 자재가 완벽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완성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welded portion is not formed at a right angle unlike the bent portion, the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finished product is degraded due to the problem that the material connected to the frame or the leg, such as wood boards are not in close contact.

또한, 테이블에는 컴퓨터 등의 중량물이 올려지고, 각종 서류가 빈번하게 적재되어 하중의 변화가 심하다. 이와 같은 테이블은 상판과 다리가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외력에 대한 흔들림이 적고, 다리의 체결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은 상판과 다리의 체결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관건이다.
Moreover, heavy objects, such as a computer, are put on the table, and various documents are frequently loaded, and the load changes severely. Such a table should be firmly fasten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eg is less shake with respect to external force,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leg can be maintained firmly. Therefore, the key is to strengthen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table and the leg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테이블을 조립식으로 제작하고 현장 조립하여 사용함에 있어 비숙련공인 소비자가 테이블을 조립하더라도 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어 외부 충격 및 사용 중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fabricate the table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use it on site assembling, so that an unskilled consumer can easily and firmly assemble the table, thereby preventing external shock and shaking during use.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table that can be prevented and used safely.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테이블이 분해된 상태에서 보관 및 배송되는 과정에서 부피가 최소화되고 돌출부분이 없는 상태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테이블을 적층 시 테이블의 무게에 의하여 상판이 변형되거나 파손됨이 없으며 스크래치의 발생이 없고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volume in the process of storage and delivery in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table to be packed in a state without protrusions by stacking a large amount of table by the weight of the table when laminating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table that is not deformed or damaged, there is no scratch, and the logistics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테이블의 각각의 구성을 제작함에 있어 용접 등과 같은 프레임 재질의 변형을 줄 수 있는 공정이 배제됨으로써 재질의 변화를 방지하여 프레임을 조립 시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hange of the material to prevent the change of the material in the manufacturing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table, such as welding, etc.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table that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은 목재, 유리재,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 위치하며 양측에 테이퍼면과 여러 개의 관통공 및 하면에 여러 개의 장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연결부분이 끼움되며 상기 장홈에 끼움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개방홈과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top plate formed of one material selected from wood, glass material,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apered surface and both sides A fram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vertical frames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a plurality of long grooves on the lower surfac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fitted to the long groov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 groove having a projection and one or more legs form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의하면 프레임과 다리의 조립이 비숙련자인 소비자라 하더라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직각으로 형성함에 있어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직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직각으로 연결된 프레임이 다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적 특징에 의하여 종래의 볼트의 연결만을 통하여 조립되던 것과 달리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 및 다리를 연결부재와 볼트를 이용하여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상판의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of the frame and the leg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by the unskilled consumer, an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formed at right angles using the connecting member in form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t right angles. The vertically connected fram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eg to be fixed, unlike the conventional bolt assembly. There is an effect that is maintained firmly assembled without shaking.

또한, 테이블을 조립하여 사용한 상태에서 보관시에는 다리를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시키고 프레임이 조립된 여러 개의 상판을 적층시켜 보관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대량을 적층시에도 상판이 변형이나 눌림 등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좁은 공간에도 최대한의 보관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table is assembled and used, the legs are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and the multiple boards with the frame are stacked and stored so that there are no protruding parts. This effect does not occur and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maximum storage effect even in a narrow space.

또한, 프레임과 다리가 모두 조립식으로 제작됨으로써 용접작업에 의한 재질의 변형이 없어 원상태의 견고한 재질을 유지함으로써 프레임의 잦은 흔들림 등에 따라 이음부가 벌어져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the frame and the legs are manufactur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ere is n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due to the welding operation, thereby maintaining a solid material in its original stat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joints are not shaken due to frequent shaking of the frame.

또한, 다리 및 프레임을 각관 등의 금속재로 형성함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각관을 사용하더라도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 및 이 모서리 부분에 조립되는 다리의 연결부분은 보조적인 연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견고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으며, 얇은 두께의 각관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다리를 형성함으로써 테이블 전체의 무게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forming the legs and the frame with a metal material such as a square tube, even if a thin square tube is used,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re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eg assembled to the corner portion have an auxiliary connecting member inserted therein. By assembling integrally in a state, there is an effect of being firmly assembled, and by forming a frame and a leg by using a thin-walled tub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ntire tab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중 연결부재의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중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이 포장된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결합된 상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assembl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assembl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Figure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assembl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of a laminated state in a prefabricated table pack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assembl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은 크게 테이블 상판(1)과, 이 상판(1)의 하부에 조립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에 조립되는 여러 개의 다리(20) 및 상기 프레임(10)과 다리(20)를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table top plate 1, a frame 10 assemb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1, and several legs 20 assembl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frame 10. And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30 for tightly contacting the frame 10 and the leg 20.

상기 상판(1)은 사각형, 원형, 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와, 목재, 유리재, 합성수지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안정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The top plate 1 may be formed of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s, circles, and squares,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glass, and synthetic resins. Preferably, the upper plate 1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frame installed below. Form to maximize.

상기 프레임(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각 파이프 형태의 단위프레임(11)의 단부에 테이퍼면(12)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단위프레임(11')과 밀착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The frame 10 is formed to form a right angl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neighboring unit frame (11 ') by forming a tapered surface 12 at the end of at least one pipe frame unit frame 11 as shown.

또한, 상기 단위프레임(11)의 양측에 장홈(13)과 여러 개의 연결공(15) 및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unit frame 11 is formed with a long hole 13,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15 and through holes 14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상기 관통공(14)은 상판이 목재로 구성되는 경우 나사못(미도시)을 이용하여 쉽게 프레임(10)과 상판(1)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판이 유리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미끄럼 방지패드(미도시) 등을 끼워 상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rough hole 14 may be easily connected to the frame 10 and the top plate 1 by using a screw (not shown) when the top plate is made of wood, and the non-slip pad (not shown) when the top plate is made of glass material ) To prevent the top plate from slipping.

한편, 상기 단위프레임(11)과 이웃하는 단위프레임(11')은 내부로 끼움되는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쉽게 직각으로 조립되는데, 상기 연결부재(3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의 중앙부분 양측에 "V"자 형태의 홈(31)을 형성하고 중앙부분에 여러 개의 암나사공(32)과 일측에 여러 개의 장홈(33)을 형성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한 쌍의 절곡선(34)을 따라 절곡하여 "ㄷ" 자 형태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unit frame 11 and the neighboring unit frame 11 ′ are easily assembled at right angles by the connecting member 30 fitted therein, and the connecting member 30 is illustrated in FIGS. 3 to 4. As shown in the figure, the groove 31 having a V shape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etal plate, and the female thread hole 32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long grooves 33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bent along a pair of bending lines 34 to form a "c" shap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부재(3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프레임(11)과 이웃하는 단위프레임(11')의 연결부분에 끼움하고 단위프레임(11, 11')을 회전시키면 연결부재(30)의 중앙부분이 절곡되면서 쉽게 각각의 단위프레임(11, 11')을 직각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member 3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a connecting portion of the unit frame 11 and the neighboring unit frame 11 ′ and the unit frames 11 and 11 ′ are rotated.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30 is bent, the respective unit frames 11 and 11 'are easily formed at right angles.

이때, 연결부재(30)에 형성된 암나사공(32)과 단위프레임(11)에 형성된 연결공(15) 및 연결부재(30)에 형성된 장홈(33)과 단위프레임(11)에 형성된 장홈(13)이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female thread hole 32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connecting hole 15 formed in the unit frame 11 and the long groove 33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long groove 13 formed in the unit frame 11. ) Are collinear.

상기와 같이 직각으로 단위프레임(11, 11')을 형성한 후 연결부재(30)부분(단위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다리(20)의 삽입홈(21)에 삽입한다. After forming the unit frames (11, 11 ') at right angles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member 30 (the corner portion formed by connecting the unit fram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 of the leg (20).

상기 다리(20)는 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에 조립되며 각 파이프 형태로 상측 단부에 여러 개의 프레임 삽입홈(21)과 볼트 삽입공(22)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leg 20 is assembl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frame 10 and a plurality of frame insertion grooves 21 and bolt insertion holes 22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in the form of each pipe.

또한, 상기 프레임 삽입홈(21)의 바닥부분에는 끼움돌기(23)가 형성되어 프레임(10)에 형성된 장홈(13)과 연결부재(30)에 형성된 장홈(32)이 끼움된다.In addition, a fitting protrusion 2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insertion groove 21 so that the long groove 13 formed in the frame 10 and the long groove 32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30 are fitted.

즉, 프레임(10)의 모서리부분이 다리(20)의 프레임 삽입홈(21)의 삽입되어 프레임(10)의 외면이 다리(2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24)가 다리(20)의 볼트삽입공(22)과 단위프레임(11)의 연결공(15)를 관통하여 연결부재(30)의 암나사공(32)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프레임(10)과 다리(20)는 견고하게 조립된다.That is, the edge portion of the frame 10 is inserted into the frame insertion groove 21 of the leg 20 so that the bolt 24 is the leg 20 in the stat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20. The frame 10 and the leg 20 are firmly screwed into the female threaded hole 32 of the connecting member 30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22 and the connecting hole 15 of the unit frame 11. Are assembled.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10)과 다리(20)를 조립함에 있어 내부의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연결부분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in assembling the frame 10 and the leg 20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maintained firmly by assembling using the connection member 30 therein.

이러한 특징은 프레임(10)과 다리(20)를 구성하는 각파이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연결부분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조립됨으로써 프레임(10)과 다리(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테이블의 전체 무게를 경감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Such a feature is that although the thickness of each pipe constituting the frame 10 and the leg 20 is thinly formed, the connection part is firmly assembled by the connecting member () to form a thin thickness of the frame 10 and the leg 20. 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of the table, there is a feature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한편, 단위프레임(11)의 두께는 다리(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 형성하여 다리(20)가 프레임(10)의 내부에 수납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에 프레임(10)이 조립된 상태로 여러 개의 테이블을 적층시 이웃하는 테이블의 상판이 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부 상판이 변형되거나 눌림이 발생함을 방지한다.Meanwhile, the thickness of the unit frame 11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eg 20 so that the leg 20 does not protrude when the leg 20 is stored in the inside of the frame 10, thereby allowing the upper plate (as shown in FIG. 7).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tables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10 is assembled in 1), the upper plate of the neighboring tab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rame,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plate from being deformed or pressed.

또한, 프레임(10)과 다리(20)는 모두 금속재질의 각 파이프 형태를 절곡하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형성하고 볼트로 조립함으로써 용접작업과 같은 2차 공정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제조원가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both the frame 10 and the leg 20 can be manufactured by bending each pipe shape of metal material or cutting and forming by using a laser, and assembling with bolts,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condary process such as welding. There is a characteristic.

또한, 상기와 같은 용접작업을 제거함으로써 프레임(10) 및 다리부재(20)는 열에 따른 재질의 변형이 없어 장기간 사용에도 연결부분이 벌어져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weld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10 and the leg memb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n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due to heat, so that the connection part is opened even in long-term use so that shaking does not occur.

한편, 도 8에는 연결부재(3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30 ').

본 실시 예의 특징은 연결부재(30')에 형성되는 암나사공(32')을 확장시키고 암나사를 형성함으로써 좀더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maintaining a more solid connection state by expanding the female screw hole 32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forming the female screw.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10' ... 프레임 11, 11' ... 단위프레임
12… 테이퍼면 13… 장홈
14… 너트 20… 다리부재
21… 프레임 삽입홈 22… 볼트 삽입공
23… 끼움 돌기 24… 볼트
30… 연결부재 31… 홈
32… 암나사공 33… 장홈
34… 절곡선
10, 10 '... frame 11, 11' ... unit frame
12... Tapered surface 13.. Home
14 ... Nut 20... Leg member
21 ... Frame insertion groove 22.. Bolt inserter
23 ... Fitting projection 24... volt
30 ... Connecting member 31.. home
32 ... Female threader 33. Home
34... Bend

Claims (2)

목재, 유리재,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상판(1);
상기 상판(1)의 하면에 위치하며 양측에 테이퍼면(12)과 연결공(15)과 장홈(13) 및 관통공(14)이 일체로 형성된 여러 개의 단위프레임(11, 11')이 금속판의 중앙부분 양측에 "V"자 형태의 홈(31)을 형성하고 중앙부분에 여러 개의 암나사공(32)과 일측에 여러 개의 장홈(33)을 형성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한 쌍의 절곡선(34)을 따라 절곡하여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에 단위프레임(11)을 삽입하고 회전시켜 90도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이 끼움되며 상기 장홈(13)에 끼움되는 끼움돌기(23)를 갖는 개방홈(21)과 볼트삽입공(22)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다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Top plate (1) formed of one material selected from wood, glass, synthetic resin material;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 a plurality of unit frames (11, 11 ')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pered surface 12, the connection hole 15, the long groove 13 and the through hole 14 integrally formed A pair of grooves 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female thread holes 32 ar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several long grooves 33 are formed on one side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ame is bent along the bending line 34 and formed in a "c" shape, and the frame is connect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by the connecting member 30 formed to be bent 90 degrees by inserting and rotating the unit frame 11 on both sides ( 10);
At least one leg 20 having an opening groove 21 having a fitting protrusion 23 and a bolt insertion hole 22 formed therein is fitted with an edge portion of the frame 10 and fitted into the long groove 13. A prefab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삭제delete
KR2020120004994U 2012-06-13 2012-06-13 Prefabricated table KR2004640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94U KR200464093Y1 (en) 2012-06-13 2012-06-13 Prefabricated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94U KR200464093Y1 (en) 2012-06-13 2012-06-13 Prefabricated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093Y1 true KR200464093Y1 (en) 2012-12-10

Family

ID=5371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994U KR200464093Y1 (en) 2012-06-13 2012-06-13 Prefabricated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093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689B1 (en) 2013-03-28 2015-03-19 이창환 Structure of linking with desk
KR20170034645A (en)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명성기업 Supporting frame for table
KR20180081416A (en) * 2017-01-06 2018-07-16 신효선 Leg for furniture and fixing structure of the same
KR200492567Y1 (en) * 2020-05-20 2020-11-05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Table frame join structure
KR20210004692A (en) * 2019-07-05 2021-01-13 김은선 Table leg assembly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39Y1 (en) * 2002-12-28 2003-04-03 주식회사 옥동공업 Apparatus for assembling furniture frames
KR200460702Y1 (en) * 2011-05-13 2012-06-13 (주)캠퍼스라인 Structure for combining leg of t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39Y1 (en) * 2002-12-28 2003-04-03 주식회사 옥동공업 Apparatus for assembling furniture frames
KR200460702Y1 (en) * 2011-05-13 2012-06-13 (주)캠퍼스라인 Structure for combining leg of tab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689B1 (en) 2013-03-28 2015-03-19 이창환 Structure of linking with desk
KR20170034645A (en)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명성기업 Supporting frame for table
KR20180081416A (en) * 2017-01-06 2018-07-16 신효선 Leg for furniture and fixing structure of the same
KR20210004692A (en) * 2019-07-05 2021-01-13 김은선 Table leg assembly structure
KR102280483B1 (en) * 2019-07-05 2021-07-21 김은선 Table leg assembly structure
KR200492567Y1 (en) * 2020-05-20 2020-11-05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Table frame joi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093Y1 (en) Prefabricated table
US9179767B2 (en) Connector piece for connecting multiple legs
US8196758B2 (en) Frame assembly
US8667910B2 (en) Table furniture assembling structure
US7828160B2 (en) Storage rack
US9226588B2 (en) Knockdown bed
US20180110339A1 (en) Tall and sturdy metal mattress platforms
JP3194890U (en) Prefabricated cabinet
KR20170003349U (en) Furniture assembly frame structure
KR101240343B1 (en) Desk with rectangular leg frame
KR200492567Y1 (en) Table frame join structure
KR101287403B1 (en) Prefabricated table
US20160022034A1 (en) Modular locker Shelf
KR101665254B1 (en) Self-assembly display stand
KR20200000848U (en) table leg assembly structure
KR200464693Y1 (en) Iron frame assembly furniture
KR20130106117A (en) A table
KR102591235B1 (en) Outer Box Structure For Passive Typed Container For Constant Temperature
JP5622016B2 (en) Four-way pall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01911U (en) Assembling rack for use in warehouse
KR20200056678A (en) Assembly type stacking rack
US3085706A (en) Pallet bin
CA3146397A1 (en) Coupling device for modular construction of structures or objects
RU2293505C2 (en) Set of metal members for creating metal furniture constructions
KR101925099B1 (en) Nothing of the bridge bolt of metal furniture assembl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