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18Y1 - 냄비뚜껑 - Google Patents

냄비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18Y1
KR200463218Y1 KR2020120007350U KR20120007350U KR200463218Y1 KR 200463218 Y1 KR200463218 Y1 KR 200463218Y1 KR 2020120007350 U KR2020120007350 U KR 2020120007350U KR 20120007350 U KR20120007350 U KR 20120007350U KR 200463218 Y1 KR200463218 Y1 KR 200463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olt
hole
slo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주
Original Assignee
이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주 filed Critical 이종주
Priority to KR2020120007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가지 크기의 뚜껑본체에 오직 하나의 손잡이를 사용하면서도, 세워서 거치 가능한 형태의 냄비뚜껑을 제공하게 되어, 냄비뚜껑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냄비뚜껑{POT LID}
본 고안은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껑본체의 크기에 맞추어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냄비뚜껑을 세운 상태로 거치시킬 수 있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주방기구의 하나로서 음식물 등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냄비뚜껑은 음식물의 조리시 냄비를 덮는 역할을 하며, 조리 과정 중 혹은 조리가 완료된 후에 냄비뚜껑을 냄비로부터 이탈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냄비뚜껑을 냄비로부터 이탈시킬 경우 종래에는 냄비뚜껑에 달린 손잡이가 단순히 잡기 위한 용도로만 작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냄비뚜껑은 손잡이가 상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뚜껑본체가 수평 상태로 주변의 평평한 부위에 거치되거나 혹은 손잡이가 하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뚜껑본체가 뒤집힌 수평 상태로 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냄비뚜껑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주방 공간을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최근들어 개발된 냄비뚜껑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뚜껑본체의 상부 중앙에 손잡이를 연결하되, 뚜껑본체의 반지름과 손잡이의 길이가 같도록 하여 뚜껑본체를 세워서 거치하는 형식의 냄비뚜껑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세워서 거치할 경우 냄비뚜껑이 차지하는 면적이 대폭 감소되어 주방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워서 거치하는 형식의 냄비뚜껑의 경우 뚜껑본체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그 크기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냄비뚜껑의 손잡이는 손으로 잡기 위한 목적으로만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냄비뚜껑에 하나의 손잡이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지만, 세워서 거치하는 형식의 냄비뚜껑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뚜껑본체에 맞춰 다양한 길이의 손잡이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인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98263호 "조리용기 뚜껑"(2011년 9월 1일 공개)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 기술은 하나의 손잡이를 여러가지 크기의 뚜껑본체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하되 뚜껑본체는 그 크기에 따라 손잡이가 결합되는 부위를 변경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작은 크기의 뚜껑본체의 경우 손잡이가 연결되는 결합공이 뚜껑본체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뚜껑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므로, 뚜껑본체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상부로 볼록한 구형인 것을 감안하면 결과적으로 결합공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어 쉽게 국물 등이 결합공을 통하여 넘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결과적으로 손잡이를 여러가지 규격으로 제조하지는 않지만, 뚜껑본체를 서로 다른 형태로 제조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여전히 남는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98263호 "조리용기 뚜껑"(2011년 9월 1일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뚜껑본체의 크기와 무관하게 오직 한 개의 손잡이를 사용하면서도 세워서 거치하는 형태의 냄비뚜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는 물론이며 뚜껑본체의 경우에도 모두 동일한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는 냄비뚜껑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뚜껑본체 ;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앙 지지부와 상기 중앙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지지되는 가장자리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 지지부와 상기 가장자리 지지부는 상부로 볼록한 모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중앙 지지부의 중앙에 제1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홀의 주변에 증기배출홀이 형성되는 볼트지지부재 ; 하부가 상기 뚜껑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캡부를 이루며 상부가 상기 캡부의 중앙에서 기둥 형태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기둥부를 이루며, 상기 캡부의 가장자리에는 증기배출용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부의 상면에 평활한 형태의 손잡이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에는 상기 제2볼트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손잡이 연결부재 ; 길이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정구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과 접촉되는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용 슬롯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이 상기 고정구용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손잡이 ; 볼트헤드와 볼트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몸체는 상기 제1볼트홀, 상기 제2볼트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볼트헤드의 상면은 상기 볼트지지부재의 중앙 지지부의 하면에 지지되는 고정용 볼트 ; 상기 고정구용 슬롯에 삽입되되 중앙에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롯 삽입부의 상부에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안착되는 손잡이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의 상부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조작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롯 삽입부의 암나사산이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손잡이 안착부가 상기 손잡이의 상면을 조이도록 이루어진 고정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상기 고정구의 손잡이 안착부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은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사상으로,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뚜껑본체 ;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앙 지지부와 상기 중앙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지지되는 가장자리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 지지부와 상기 가장자리 지지부는 상부로 볼록한 모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중앙 지지부의 중앙에 제1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홀의 주변에 증기배출홀이 형성되는 볼트지지부재 ; 상기 뚜껑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증기배출용 개구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3볼트홀이 형성되는 캡 부재 ; 상기 캡 부재의 중앙 상부에 마련되며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4볼트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평활한 형태의 손잡이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에는 상기 제4볼트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연장기둥 부재 ; 길이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정구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과 접촉되는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용 슬롯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이 상기 고정구용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손잡이 ; 볼트헤드와 볼트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몸체는 상기 제1볼트홀, 상기 제3볼트홀, 상기 제4볼트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볼트헤드의 상면은 상기 볼트지지부재의 중앙 지지부의 하면에 지지되는 고정용 볼트 ; 상기 고정구용 슬롯에 삽입되되 중앙에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롯 삽입부의 상부에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안착되는 손잡이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의 상부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조작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롯 삽입부의 암나사산이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손잡이 안착부가 상기 손잡이의 상면을 조이도록 이루어진 고정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상기 고정구의 손잡이 안착부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은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연장기둥 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연장기둥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 안착부에는 회전 방지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 방지용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가지 크기의 뚜껑본체에 오직 하나의 손잡이를 사용하면서도, 세워서 거치 가능한 형태의 냄비뚜껑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는 물론이며 뚜껑본체의 경우에도 모두 동일한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세워서 거치하는 냄비뚜껑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인 냄비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냄비뚜껑이 세워서 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뚜껑본체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냄비뚜껑이 세워서 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인 냄비뚜껑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조립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인 냄비뚜껑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냄비뚜껑이 세워서 거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6은 도 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뚜껑본체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냄비뚜껑이 세워서 거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뚜껑본체(110), 볼트지지부재(120), 손잡이 연결부재(130), 손잡이(140), 고정용 볼트(150), 고정구(150)로 이루어진다.
뚜껑본체(110)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공(111)은 뚜껑본체(110)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뚜껑본체(110)의 관통공(111)을 사이에 두고 하부에는 볼트지지부재(120)가, 상부에는 손잡이 연결부재(130)가 마련된다.
뚜껑본체(110)의 하부에 볼트지지부재(120)가 마련된다.
볼트지지부재(120)는 뚜껑본체(101)의 관통공(111)에 삽입되는 중앙 지지부(121)와, 중앙 지지부(1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뚜껑본체(110)의 하면에 지지되는 가장자리 지지부(1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볼트지지부재(120)의 중앙 지지부(121)와 가장자리 지지부(122)는 상부로 볼록한 모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볼트지지부재(120)의 중앙 지지부(121)의 중앙에는 제1볼트홀(121a)이 형성되며, 아울러 제1볼트홀(121a)의 주변에 복수의 증기배출홀(121b)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연결부재(130)는 하부의 캡부(131)와 상부의 연장기둥부(132)로 이루어진다.
캡부(131)는 뚜껑본체(110)의 상부에서 관통공(111)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캡부(131)의 가장자리에는 증기배출용 개구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지지부재(120)의 증기배출홀(121b)을 통하여 캡부(131)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증기배출용 개구부(131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장기둥부(132)는 캡부(131)의 중앙에서 기둥 형태로 상부로 연장된다.
연장기둥부(132)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볼트홀(132a)이 형성되며, 연장기둥부(132)의 상면에 평활한 형태의 손잡이 접촉면(132b)이 형성되며, 또한 손잡이 접촉면(132b)에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는 제2볼트홀(132a)을 사이에 두면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 연결부재(130)의 상부에 손잡이(14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140)는 뚜껑본체(110)의 관통공(111)으로부터 뚜껑본체(110)의 가장자리까지의 길이, 즉 뚜껑본체(110)의 반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손잡이(140)의 길이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구용 슬롯(141)이 형성된다. 고정구용 슬롯(141)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손잡이(140)의 하면은 손잡이 연결부재(130)의 손잡이 접촉면(132b)과 접촉된다.
아울러 손잡이(140)의 하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142)은 고정구용 슬롯(14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142)은 손잡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본 실시예의 경우 3쌍)로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 연결부재(130)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는 손잡이(140)에 형성된 3개의 손잡이 고정용 홈(14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손잡이(14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볼트지지부재(120), 뚜껑본체(110), 손잡이 연결부재(130), 손잡이(14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용 볼트(150)와 고정구(160)가 마련된다.
고정용 볼트(150)는 볼트헤드(152)와 볼트몸체(151)로 이루어지며, 볼트몸체(151)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볼트헤드(152)는 볼트몸체(1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이와 같은 고정용 볼트(150)는 볼트지지부재(120)의 제1볼트홀(121a) 및 손잡이 연결부재(130)의 제2볼트홀(132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며, 볼트헤드(152)의 상면은 볼트지지부재(120)의 중앙 지지부(121)의 하면에 지지된다. 즉 중앙 지지부(121)에 형성된 제1볼트홀(121a)의 직경은 볼트헤드(152)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 같은 고정용 볼트(150)에 고정구(160)가 상부에서 나사결합된다.
고정구(160)는 슬롯 삽입부(161)와 손잡이 안착부(162)와 회전 조작부(163)로 이루어진다.
슬롯 삽입부(161)는 고정구용 슬롯(141)에 삽입되되 중앙에 고정용 볼트(150)의 볼트몸체(151)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161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롯 삽입부(161)의 상부에 손잡이 안착부(162)가 형성되며, 손잡이 안착부(162)는 고정구용 슬롯(141)의 폭과 비교하여 긴 길이를 가져 그 하면이 손잡이(14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손잡이 안착부(162)의 상부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조작부(16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구(160)는 슬롯 삽입부(161)가 고정구용 슬롯(141)에 삽입된 후 슬롯 삽입부(161)의 암나사산(161a)이 고정용 볼트(150)의 볼트몸체(151)와 나사결합된다. 이때 사용자는 고정구(160)의 회전 조작부(16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구(160)의 손잡이 안착부(162)가 손잡이(140)의 상면을 조이게 되면, 볼트지지부재(120), 뚜껑본체(110), 손잡이 연결부재(130), 손잡이(140)가 고정용 볼트(150)와 고정구(16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140)의 상면에 고정구(160)의 손잡이 안착부(162)의 슬라이딩 혹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143)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143)은 손잡이(140)의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14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손잡이 연결부재(130)와 손잡이(140)가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와 손잡이 고정용 홈(142)간의 결합에 의하여 견고히 고정되는 한편 손잡이(140)는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143)에 의하여 고정구(16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이 확실히 금지된다.
본 실시예는 손잡이(140)의 디자인을 위하여 복수개의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143)이 완만한 곡선 형태로 연속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뚜껑본체(110)의 직경에 따라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에 결합되는 손잡이 고정용 홈(142)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며, 가장 큰 직경의 뚜껑본체(110)에 대하여는 길이방향 최외측에 위치한 손잡이 고정용 홈(142)이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에 결합되며 고정구(160) 또한 고정구용 슬롯(141)의 길이방향 최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비교적 작은 직경의 뚜껑본체(110)에 대하여는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한 손잡이 고정용 홈(142)이 손잡이 고정용 돌기(132c)에 결합되며 고정구(160) 또한 고정구용 슬롯(141)의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손잡이(140)가 손잡이 연결부재(130)에 고정되는 지점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손잡이(140)의 단부는 항상 뚜껑본체(110)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큰 직경을 가진 뚜껑본체(110)와 손잡이(140)가 결합될 경우 도 5와 같이 뚜껑본체(110)를 세워서 거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작은 직경을 가진 뚜껑본체(110)와 손잡이(140)가 결합될 경우 도 7과 같이 뚜껑본체(110)를 세워서 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인 냄비뚜껑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조립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연결부재(130) 대신에 캡부재(170)와 연장기둥 부재(180)를 채택하였으며, 다른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다.
제1실시예의 손잡이 연결부재(130)는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반면, 제2실시예의 캡부재(170)는 금속판의 판재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캡부재(170)는 뚜껑본체(110)의 상부에서 관통공(111)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증기배출용 개구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캡부재(170)의 중앙부에 상부의 연장기둥 부재(180)가 안착되기 위한 연장기둥 안착부(173)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연장기둥 안착부(173)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제3볼트홀(17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3볼트홀(172)의 주변에 회전 방지용 구멍(174)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기둥 부재(180)는 캡 부재(170)의 중앙 상부, 구체적으로는 연장기둥 안착부(173)에 안착된다.
연장기둥 부재(180)의 하면에는 캡 부재(170)의 회전 방지용 구멍(174)에 삽입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184)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연장기둥 부재(18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제4볼트홀(181)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기둥 부재(180)의 상면에는 평활한 형태의 손잡이 접촉면(182)이 형성되며, 손잡이 접촉면(182)에는 제4볼트홀(18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183)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고정용 볼트(150)의 볼트몸체(151)는 제1볼트홀(121a), 제3볼트홀(172), 제4볼트홀(18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뚜껑본체 111 : 관통공
120 : 볼트지지부재 121 : 중앙 지지부
121a : 제1볼트홀 121b : 증기배출홀
122 : 가장자리 지지부
130 : 손잡이 연결부재 131 : 캡부
131a : 증기배출용 개구부 132 : 연장기둥부
132a : 제2볼트홀 132b : 손잡이 접촉면
132c : 손잡이 고정용 돌기
140 : 손잡이 141 : 고정구용 슬롯
142 : 손잡이 고정용 홈 143 :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
150 : 고정용 볼트 151 : 볼트몸체
152 : 볼트헤드
160 : 고정구 161 : 슬롯 삽입부
161a : 암나사산 162 : 손잡이 안착부
163 : 회전 조작부
170 : 캡 부재 171 : 증기배출용 개구부
172 : 제3볼트홀 173 : 연장기둥 안착부
174 : 회전 방지용 구멍
180 : 연장기둥 부재 181 : 제4볼트홀
182 : 손잡이 접촉면 183 : 손잡이 고정용 돌기
184 : 회전 방지용 돌기

Claims (5)

  1.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뚜껑본체 ;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앙 지지부와 상기 중앙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지지되는 가장자리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 지지부와 상기 가장자리 지지부는 상부로 볼록한 모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중앙 지지부의 중앙에 제1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홀의 주변에 증기배출홀이 형성되는 볼트지지부재 ;
    하부가 상기 뚜껑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캡부를 이루며 상부가 상기 캡부의 중앙에서 기둥 형태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기둥부를 이루며, 상기 캡부의 가장자리에는 증기배출용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부의 상면에 평활한 형태의 손잡이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에는 상기 제2볼트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손잡이 연결부재 ;
    길이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정구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과 접촉되는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용 슬롯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이 상기 고정구용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손잡이 ;
    볼트헤드와 볼트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몸체는 상기 제1볼트홀, 상기 제2볼트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볼트헤드의 상면은 상기 볼트지지부재의 중앙 지지부의 하면에 지지되는 고정용 볼트 ;
    상기 고정구용 슬롯에 삽입되되 중앙에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롯 삽입부의 상부에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안착되는 손잡이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의 상부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조작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롯 삽입부의 암나사산이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손잡이 안착부가 상기 손잡이의 상면을 조이도록 이루어진 고정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상기 고정구의 손잡이 안착부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은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3.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뚜껑본체 ;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앙 지지부와 상기 중앙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하면에 지지되는 가장자리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 지지부와 상기 가장자리 지지부는 상부로 볼록한 모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중앙 지지부의 중앙에 제1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홀의 주변에 증기배출홀이 형성되는 볼트지지부재 ;
    상기 뚜껑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증기배출용 개구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3볼트홀이 형성되는 캡 부재 ;
    상기 캡 부재의 중앙 상부에 마련되며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4볼트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평활한 형태의 손잡이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에는 상기 제4볼트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연장기둥 부재 ;
    길이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고정구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접촉면과 접촉되는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용 슬롯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이 상기 고정구용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손잡이 ;
    볼트헤드와 볼트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몸체는 상기 제1볼트홀, 상기 제3볼트홀, 상기 제4볼트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볼트헤드의 상면은 상기 볼트지지부재의 중앙 지지부의 하면에 지지되는 고정용 볼트 ;
    상기 고정구용 슬롯에 삽입되되 중앙에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롯 삽입부의 상부에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안착되는 손잡이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의 상부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조작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롯 삽입부의 암나사산이 상기 고정용 볼트의 볼트몸체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손잡이 안착부가 상기 손잡이의 상면을 조이도록 이루어진 고정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면에 상기 고정구의 손잡이 안착부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방지용 단턱은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고정용 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연장기둥 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연장기둥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 안착부에는 회전 방지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기둥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 방지용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KR2020120007350U 2012-08-20 2012-08-20 냄비뚜껑 KR200463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50U KR200463218Y1 (ko) 2012-08-20 2012-08-20 냄비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50U KR200463218Y1 (ko) 2012-08-20 2012-08-20 냄비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218Y1 true KR200463218Y1 (ko) 2012-10-25

Family

ID=4756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350U KR200463218Y1 (ko) 2012-08-20 2012-08-20 냄비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05B1 (ko) 2016-01-21 2016-12-02 (주)성우금속 냄비 뚜껑 손잡이 풀림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57B1 (ko) 2011-11-03 2012-05-10 서정덕 냄비뚜껑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57B1 (ko) 2011-11-03 2012-05-10 서정덕 냄비뚜껑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05B1 (ko) 2016-01-21 2016-12-02 (주)성우금속 냄비 뚜껑 손잡이 풀림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3406S1 (en) Water and beverage making bottle
US8011030B2 (en) Pop-up stopper having draining and straining functions
US9763533B2 (en) Brewing vessel having flexible assembly ring
CN105662000B (zh) 铰链安装插套
CN105962774A (zh) 一体式饮料浸泡器盖子
KR200463218Y1 (ko) 냄비뚜껑
US20180192853A1 (en) Wine glass drying rack
KR200458950Y1 (ko) 주방용 식기 선반
KR101873638B1 (ko) 주방용 선반의 보조 지지장치
KR100923419B1 (ko) 주방용기용 손잡이
CN108195125B (zh) 瓶座组件及具有其的冰箱
KR20180136194A (ko) 가구 받침다리
CN105054719B (zh) 一种带泡茶器的茶杯
KR200480129Y1 (ko) 주방용 선반
USD963619S1 (en) Basket for a wall with built-in home appliances
KR20170047600A (ko) 코너 선반
CN209202993U (zh) 一种防溢杯盖及料理机
KR20160022076A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101236103B1 (ko) 식기 세척기의 수평 조절 장치
KR10244718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KR101499576B1 (ko) 조리용기
CN203723993U (zh) 连接组件及具有该连接组件的烹煮器具
CN204306665U (zh) 锅盖可立的汤锅
CN220192800U (zh) 一种蒸汽杯盖
KR20110087839A (ko) 회전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