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43Y1 - Stylus pen assembly - Google Patents

Stylus pen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843Y1
KR200462843Y1 KR2020100000814U KR20100000814U KR200462843Y1 KR 200462843 Y1 KR200462843 Y1 KR 200462843Y1 KR 2020100000814 U KR2020100000814 U KR 2020100000814U KR 20100000814 U KR20100000814 U KR 20100000814U KR 200462843 Y1 KR200462843 Y1 KR 200462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main body
pen assembly
c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8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7594U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2020100000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843Y1/en
Publication of KR20110007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9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84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인식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팁을 구비한 본체부; 본체부가 안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수납부의 일측면에는 본체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assembly, an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having a tip for inputting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It includes a case portion having a receiving portion made of a groove to be se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tylus p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Description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STYLUS PEN ASSEMBLY}Stylus Pen Assembly {STYLUS PEN ASSEMBLY}

본 고안은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 액세서리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지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ylus pen assembly that is portable and has a function as an accessory.

통신기기의 기능이 점차적으로 발달해 감에 따라서 LCD화면을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터치스크린 표면을 눌러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채용하는 전자기기제품(개인용 휴대폰, MP3,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 등)은 휴대하기에 적당한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므로 터치스크린의 크기도 작을수 밖에 없다. 따라서 면적이 작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누르기 위해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펜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communication devices are gradually developed, the LCD screen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the information is inputted by pressi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s (such as personal mobile phones, MP3s, digital cameras, game consoles, etc.) employing these functions ar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uitable for carrying, so the touch screen is also small.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press the surface of the small-area touch screen, stylus pens and touch pens are produced and provided to consumers.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 수납부에 구비되기도 하고, 액세서리와 같이 외부에 휴대하기도 하는데, 휴대용 스타일러스 펜은 무게와 부피를 줄여서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액세서리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세련된 디자인으로 제작될 것이 요구된다.
Such a stylus pen may be provided in a stylus pen housing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ay also be carried externally as an accessory. It is required to be manufactured in a stylish design.

종래의 일반적인 스타일러스 펜은 필기구 형상이며, 사용자가 소정 신호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 필기구용 펜처럼 스타일러스 펜을 손으로 쥐고 뾰족한 부분을 디스플레이부에 대고 원하는 사항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스타일러스펜은 뚜껑이 결합되어 원터치식으로 피스톤로드를 인출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이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되고, 각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설비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각 부품들을 조립하여 생산하는데에도 오랜시간이 걸리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The conventional general stylus pen has a writing instrument shape, and when a user wants to input a predetermined signal, the user holds the stylus pen with his hand and touches a pointed portion on the display unit, like a general writing pen, and inputs a desired item. The one-touch pull-out piston rod structure is very complex,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parts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mol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each part. It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and produ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또한, 전자기기가 점점 작아짐에 따라 이에 장착되는 스타일러스 펜도 점점 소형화되는데, 스타일러스 펜이 너무 작을 때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쥐고 원하는 사항을 입력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필기감을 높이기 위하여 일반 필기구와 동일한 형태의 스타일러스 펜을 판매하기도 하지만 휴대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고, 실제로 터치스크린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글을 쓰는 경우보다는 오히려 간단한 누름 조작(클릭), 혹은 끌기 조작(드래그)을 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을 위해 매번 필기구형 스타일러스 펜을 꺼내 작업을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런 이유로 간단한 조작의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누르곤 하지만 손가락을 이용한 조작은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할 때와 같은 정밀한 조작이 불가능하고 터치스크린 상에 이물질을 남긴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electronic device becomes smaller and smaller, the stylus pen mounted thereon becomes smaller and smaller, and when the stylus pen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grasp the stylus pen by hand and input a desired item. Therefore, although the stylus pen may be sold in the same form as a general writing instrument to increase the writing feel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rtability is poor, and a simple press operation (click) or drag rather than writing is actually used in the touch screen device. Since operation (drag) is often performed, it is inefficient to take out the writing instrument-style stylus pen every time for simple operation.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a simple operati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with a finger, but a manipulation using a finger is impossible such as using a stylus pen and has a disadvantage of leaving a foreign material on the touch screen.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복잡한 구성을 가진 필기구형 대신에 단순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휴대성을 개선하고 제조원가를 낮추며 액세서리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hape and structure instead of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conventional complex configuration, improving portability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Related to providing a stylus pen assembly that can also function as an accessor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터치인식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팁을 구비한 본체부; 본체부가 안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수납부의 일측면에는 본체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having a tip to be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It includes a case portion having a receiving portion made of a groove to be se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tylus p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필기구형인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에 비하여 무게와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ylus pen which is a writing instrumen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and volume to improve portability.

둘째,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 각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설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mol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each part is reduced by reducing the required number of parts,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셋째,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여 각 부품들을 단기간에 조립하여 생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ird, by constructing a simple structure can be produced by assembling each part in a short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넷째, 세련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액세서리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duced as a stylish design can also function as an accessory.

도 1은 터치인식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1)에 장착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2)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축을 기준으로 한 케이스부(20)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축을 기준으로 한 케이스부(20)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축을 기준으로 한 케이스부(20)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CC축을 기준으로 한 케이스부(20)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케이스부(20)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20)의 오목부(31)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10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DD축을 기준으로한 본체부(10)의 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pen assembly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unit 20 based on the AA axis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part 20 based on the BB axis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unit 20 based on the CC axis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unit 20 based on the CC axis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part 20 of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ss 31 of the case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10 based on the DD axis of FIG. 10A.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도 1은 터치인식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1)에 장착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2)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축을 기준으로 한 케이스부(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pen assembly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and FIG. 2 is a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part 20 based on the AA axis of FIG. 2.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터치인식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팁(11)을 구비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가 안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21)를 구비한 케이스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1)의 일측면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부(22b)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A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0 having a tip 11 for inputting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And a case part 20 having a receiving part 21 formed of a groove so that the main body part 10 is seated. A part of the main body part 1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21. And to form the concave inlet portion 22b to be supported.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본체부(10)와 케이스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는 터치인식기능을 가진 전자기기(1)에 입력할 수 있도록 뾰족한 팁(11)을 형성하고 있고, 나머지 모서리는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상기 팁(11)은 터치스크린의 종류(해상도, 감도 등)에 따라 굵기나 뾰족한 정도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든 모서리가 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body portion 10 and the case portion 20, the body portion 10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1) A sharp tip 11 is formed so that it can be inputted to the edge, and the remaining edges are rounded. The tip 11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or sharpness according to the type (resolution, sensitivity, etc.) of the touch screen, and all edges may be formed as tips.

상기 본체부(1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얇은 평판의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타의 연주에 사용하는 피크형상과 유사하여 액세서리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예와 다른 다양한 형태의 세련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특히 본체부(10)의 형상을 유명한 캐릭터의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본체부(10)의 상부면에 제품광고문구를 인쇄하여 판촉물로 제작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10 has a triangular shape of a thin flat plate as a whole, and is similar to the peak shape used for playing guitar, so that it can also function as an accessory.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stylish design of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the illustrated example,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 is produced in the shape of a famous character, or by printing a product advertise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s a promotional material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20)도 전체적으로 얇은 평판의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부(21)의 일측면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요입부(22b)를 형성한다. The case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made of a triangular shape of a thin plate as a whole, and has a receiving portion 21 made of a groove of a predetermined shape to accommodate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forms a concave portion 22b into which a part of the main body 10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상기 요입부(22b)의 형상은 상기 본체부(10) 측면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측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입부(22b)는 상기 본체부(10)의 고정에 문제가 없다면 상기 수납부(21)의 측면 전부가 아닌 일부분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부(21)의 형상은 케이스부(20)를 관통함으로써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concave portion 22b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can be inserted therein. In addition, the concave inlet portion 22b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part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nstead of all of the side surfaces thereof unless there is a problem in fixing the main body portion 10.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hole by penetrating the case part 20.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AA축을 기준으로 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2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케이스부(20)는 상기 본체부(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21)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수납부(21)는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케이스부(20)에 안착되는 면인 안착면(23)과, 상기 안착면(23)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3, there is shown a cross section of a case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A axis of FIG. 2, wherein the case part 2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body part 10. I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21 made of a groove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1 is a seating surface 23 which is the surface o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10 is seated on the case portion 20, and the seating surface ( 23) from the side protruding upwards.

상기 수납부(21)의 측면은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부(21)의 측면 상부가 돌출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수납부(21)의 측면(22a)은 수직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protruding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so that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 can be inserted. On the other hand, the side surface 22a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22b is not formed may have a vertical cross sec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부(21)가 상기 본체부(10)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A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20)의 수납부(21) 형상은 상기 본체부의 안정적인 수납을 위해서, 상기 본체부(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본체부(10)의 고정에 지장이 없다면 상이한 모양의 홈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Referring to FIG. 2,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of the case part 2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main body part 10 for the stable storage of the main body part. Do. However, if there is no obstacle in fixing the main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in a groove of a different shap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축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CC축을 기준으로 한 횡단면을 도시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the BB axis of FIG. 4,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the CC axis of FIG. 4.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부(10)가 안착되는, 상기 수납부(21)의 안착면(23)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요입부(22b)로의 삽입에 도움이 되도록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In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surface 2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o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10 is seated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2b of the main body portion 10. It is formed to form a slope so as to help.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와 달리, 화살촉 모양의 본체부(10)와 케이스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요입부(22b)가 형성된 수납부(21)의 측면은 측면 상부가 돌출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수납부(21)의 측면(22a)형상은 수직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수납부(21)의 상부가 약간 돌출되게 경사진 단면으로 형성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to 6, unlike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it consists of an arrowhead-shaped body portion 10 and the case portion 20. Although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in which the concave part 22b was formed is formed in the concave shape which protruded the upper side,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22a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in which the concave part 22b is not formed is a vertical cross section. Can be made. Of course,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being formed in an inclined cross section.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CC축을 기준으로 한 횡단면을 도시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the CC axis of FIG.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부(21)의 일측면의 상부에 상기 본체부(10)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25)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다.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a locking step 25 for fixing the main body portion 10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2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수납부(21)의 측면(22a)은 수직한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납부(21)의 측면상부에는 본체부(10)를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돌기모양으로 돌출된 걸림턱(25)을 형성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re is shown a cross section of a case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6. The side surface 22a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in which the recessed part 22b is not formed is It consists of a vertical cross-secti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5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projection to help fix the main body 10.

상기 걸림턱(25)은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수납부(21)의 측면(22a) 뿐만 아니라 요입부(22b)의 상부에도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턱(25)은 수납부(21)의 측면상부의 테두리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The latching jaw 25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side surface 22a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22b is formed, but also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22b. Although it may be formed in the whole edge of the upper part of the side surface of 21, you may form only in part.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케이스부(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portion 20 of a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부(21)의 가장자리 안착면(23) 중 일부가 상기 본체부(10)의 착탈에 도움이 되도록 함몰부(24)를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form the recessed portion 24 so that a part of the edge seating surface 2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helps the detachment of the main body portion 10.

상기 함몰부(24)는 상기 수납부(21)의 안착면(23)의 가장자리부위에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위의 전체테두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면(23)의 중앙부위가 돌출되고, 가장자리의 일부는 함몰부(2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를 수납부(21)의 요입부(22b)에 착탈하거나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22a)상부에 걸림턱(25)이 형성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The recessed part 24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seating surface 2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may be formed at the entire edge of the edge portion, or may be formed only at a part there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ating surface 23 protrudes, and a part of the edge forms a recessed portion 24, thereby attaching or detaching the main body portion 10 to the recessed portion 22b of the storage portion 21, or the recessed portion 22b. Even when the locking step 2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22a) is not formed is easily removab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터치인식기능을 가진 전자기기(1)와 연결되는 연결줄(40);과 상기 연결줄(40)과 체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20)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다.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line 4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case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40 is further connected; It is formed to include.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줄(40)이 관통하는 연결구멍(30)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be made of a connection hole 30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line 40 pass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휴대용 전자기기(1)에 연결하여 휴대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부(20)에 상기 연결줄(40)이 관통하는 연결구멍(30)을 형성하거나 연결고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가 아닌 열쇠고리등에도 연결하여 스타일러스펜의 용도 뿐만 아니라 액세서리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and carry,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ase 20, the connection line 40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le 30 penetrating or provided with a connection ring. It can also be used as an accessory as well as a stylus pen by connecting to a key ring and not a mobile device.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20)의 오목부(3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ess 31 of the case part 2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케이스부(20)는 상기 연결구멍(30)에서 상기 케이스부(20)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오목부(31)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다.The case portion 20 of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31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hole 30 to one end of the case portion 20.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부(31)는 상기 연결구멍(30)에서부터 상기 케이스부(20)의 일단까지 상기 연결줄(4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오목부(31)를 형성하고 있으며, 오목부(31)의 폭은 연결구멍(3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그보다 넓거나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목부(31)는 상기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가 휴대기기에 연결되어 있을때에 연결줄(40)이 오목부(31)에 수납됨으로써 스타일러스펜을 항상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concave portion 31 forms a concave portion 31 so that the connecting line 40 can be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hole 30 to one end of the case portion 20. The width of the portion 3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30, it may be formed wider or narrower than that. The concave portion 31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stylus pen to always be neatly arranged in a desired direction by receiving the connection line 40 in the concave portion 31 when the stylus pen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도 10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DD축을 기준으로한 본체부(10)의 횡단면도이다. 10A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10 based on the DD axis of FIG. 10A.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케이스부(2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돌기부(26)를 더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10 further includes a projection portion 26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from the case portion (20).

도 10a, 10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본체부(10)는 수납부(21)에 안착되는 면의 반대면인, 본체부(10)의 상부면에 돌기부(26)를 형성하여 손톱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상기 본체부(10)를 상기 수납부(2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부(26)는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 테두리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10A and 10B, the body portion 10 of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j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seated o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By forming the 26, the main body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by using a nail or the like. The protruding portion 26 may be formed on all of the edg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or may be formed only on a portion thereof.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부(20)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case portion 2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케이스부(2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이면 무방하나, 특히 고무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를 상기 케이스부(20)에 수납하거나 분리하기가 훨씬 용이하고, 사용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도 없어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case part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plastic or metal, but in particular, when the material is made of rubber, the main body part 10 may be stored or separated in the case part 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is not easy to be damaged by the impact during use.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작하면 충격에 강하고, 경량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 is preferably made of a polycarbonate material, if made of polycarbonate (PC) it is strong against impact and can help to reduce the weight.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의 사용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케이스부(20)에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2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납부(21)는 삼각형 형상이며 3개의 측면에 본체부(1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요입부(22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10)를 케이스부(20)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본체부(10)를 수납부(21)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에 억지끼워맞춤으로 본체부(10)를 요입부(22b)에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요입부(22b)가 1개 또는 2개의 측면 에 형성되었을 경우라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납이 가능하다.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and 3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21 formed with a groove in the case part 20, and the accommodating part 21 has a triangular shape. The main body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dog to form a recess portion 22b which can be supported. In order to store the main body 10 in the case 20, the main body 10 is placed above the housing 21, and then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2b by interference fitting. Can be fixed. Even when the concave inlet portion 22b is formed on one or two side surfaces, it can be stored in the same manner.

또한 수납된 상기 본체부(10)를 케이스부(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탄성력을 가진 케이스부(20)에 일정한 굽힘력을 작용시키면, 탄성력을 가진 본체부(10)의 측면이 요입부(22b)로부터 이탈하면서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수납부(21)의 측면에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약간의 굽힘력만으로도 본체부(1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a predetermined bending force is applied to the case part 20 having elastic force in order to separate the received main body part 10 from the case part 20,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 having the elastic force is recessed part 22b. It can be separated while leaving. In addition, when the concave portion 22b is not form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the main body portion 10 may be easily separated with only a slight bending force.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부(21)가 삼각형 형상이며, 수납부(21)의 3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에만 요입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21)의 안착면(23)이 경사진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본체부(10)를 수납할때 안착면(23)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요입부(22b)로 삽입할 수 있어, 전술한 도 2의 일 실시예의 경우보다 보다 손쉽게 수납이 가능해진다.In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 to 6, the accommodating part 21 has a triangular shape, and the concave part 22b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ree sides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Is formed. In addition, the seating surface 23 of the housing portion 21 is made of an inclined cross section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 is accommodated, the seating surface 23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2b while sliding along the seating surface 23. 2 can be more easily stored than in the embodiment of FIG.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수납부(21)의 측면 상부에 걸림턱(25)이 형성되어 있으면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인 케이스부(20)보다 본체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locking jaw 2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22b is not formed, the case portion 20 shown in FIG. The main body 10 can be fixed stably.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부(21)의 안착면(23)의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안착면(23)이 경사면인 경우와 조합하여 사용하면, 본체부(10)를 케이스부(20)로부터 분리시에 굽힘력을 작용시키지 않더라도 함몰부(24)에 위치하는 본체부(10)의 상부면을 눌러서 요입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수납부(21)의 측면(22a)부위로 상기 본체부(10)를 이동시키면, 보다 손쉽게 본체부(10)를 케이스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since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2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s recessed, the seating surface 23 shown in FIG. 5 is an inclined surface.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located in the depression 24 is pressed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b even when the main body portion 10 is not exerted from the case portion 20. When the main body 10 is moved to the side portion 22a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not formed, the main body portion 10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se portion 20.

도 10a, 10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본체부(10)의 상부면에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부(10)를 케이스부(20)로부터 분리시에 굽힘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없이 손톱 등을 이용하여 돌기부(26)를 상부로 당기는 힘만으로 수납부(2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을 이탈시켜 본체부를 수납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In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protrusion part 2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 thereby separating the main body part 10 from the case part 20.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bending force at the time, and the main body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only by the force of pulling the protrusion 26 upward using a nail or the like. You can.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는 필기구형인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에 비하여 구성이 단순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제조원가가 낮으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세련된 디자인으로 제작가능하여 액세서리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ylus pen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r configuration than a conventional stylus pen which is a writing instrument, which is easy to carry, has low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es productivity, and is also stylish. It can be manufactured as a design, so it can also function as an accessory.

1 : 전자기기 2 :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10 : 본체부 11 : 팁
20 : 케이스부 21 : 수납부
22a : 측면 22b : 요입부
23 : 안착면 24 : 함몰부
25 : 걸림턱 26 : 돌기부
30 : 연결구멍 31 : 오목부
40 : 연결줄
1: electronic device 2: stylus pen assembly
10: body portion 11: tip
20: case 21: storage
22a: side 22b: recessed part
23: seating surface 24: depression
25: engaging jaw 26: protrusion
30 connection hole 31 recessed portion
40: connection line

Claims (11)

터치인식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팁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안착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본체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가 안착되는, 상기 수납부의 안착면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요입부로의 삽입에 도움이 되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A main body having a tip for inputting in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And a case part having a receiving part formed of a groove to seat the main body part.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form a recessed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inserted and supported,
The seating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on which the main body part is seated, forms an inclined surface to help the insertion of the main body part into the recessed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부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a stylus p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groove of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 stylus pen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jaw for fixing the main body 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가장자리 안착면 중 일부는 상기 본체부의 착탈에 도움이 되도록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stylus p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edge seating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form a recess to help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인식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과 체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cor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recognition function; and
Stylus pen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줄이 관통하는 연결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ing portion is a stylus p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necting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l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연결구멍에서 상기 케이스부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ase portion stylus pen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concav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hole to one end of the c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case portion stylus pen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portion stylus p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stylus p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carbonate material.
KR2020100000814U 2010-01-25 2010-01-25 Stylus pen assembly KR2004628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14U KR200462843Y1 (en) 2010-01-25 2010-01-25 Stylus pen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14U KR200462843Y1 (en) 2010-01-25 2010-01-25 Stylus pen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94U KR20110007594U (en) 2011-08-02
KR200462843Y1 true KR200462843Y1 (en) 2012-10-05

Family

ID=4559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814U KR200462843Y1 (en) 2010-01-25 2010-01-25 Stylus pen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843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007Y1 (en) 2004-05-29 2004-08-26 이영원 A cellular phone accessory with a written tool
KR200429697Y1 (en) 2006-08-11 2006-10-25 전영병 Multi-purpose link
KR200447414Y1 (en) 2009-05-11 2010-01-25 최윤식 Accessories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007Y1 (en) 2004-05-29 2004-08-26 이영원 A cellular phone accessory with a written tool
KR200429697Y1 (en) 2006-08-11 2006-10-25 전영병 Multi-purpose link
KR200447414Y1 (en) 2009-05-11 2010-01-25 최윤식 Accessories For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94U (en)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314Y1 (en) Mobile device and computer device stand
KR101940565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683895B2 (en) Multi-purpose pen
US6050735A (en) Writing implement including an input stylus
JP5370600B1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US8194055B2 (en) Stylus retain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64584B2 (en) Touch pe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60158862A1 (en) Easily replaceable cover window for electronic device
US8169422B2 (en) Fingernail stylus for PDA use
US20090050378A1 (en)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455484Y1 (en) Capacitive touch pen
KR20100007569U (en) Conductive stylus touch pen
KR101757999B1 (en) Contact interface input device
KR101665730B1 (en) A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function of a touch-screen tablet pen
KR20130002718U (en) Touch-pen functioning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KR200462843Y1 (en) Stylus pen assembly
KR101614575B1 (en) Ball pen combind with a touch pen
KR20080005428U (en) Stylespen being easy to write
US20150306899A1 (en) Stylus pen
KR101180973B1 (en) The writing apparatus with the touch pen function
KR200448221Y1 (en) Will have a pen function and the organization which will bloom
KR200462844Y1 (en) Stylus pen assembly
KR102050889B1 (en) Touch pen having electronic pen and ball pen
KR200362161Y1 (en) Portable terminal string
CN101281435A (en) Writing pe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writing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