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402Y1 - 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402Y1
KR200461402Y1 KR2020110002332U KR20110002332U KR200461402Y1 KR 200461402 Y1 KR200461402 Y1 KR 200461402Y1 KR 2020110002332 U KR2020110002332 U KR 2020110002332U KR 20110002332 U KR20110002332 U KR 20110002332U KR 200461402 Y1 KR200461402 Y1 KR 200461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touch
touch screen
pen body
touch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3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승
Original Assignee
김덕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승 filed Critical 김덕승
Priority to KR2020110002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4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40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기기 조작을 위한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펜 보디부와, 상기 펜 보디부의 일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폴더, 배경화면 및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접촉점 또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용 팁부와, 상기 펜 보디부의 타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내측에 코어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갖는 펜 헤드부 및 상기 펜 헤드부의 상기 홈에 장착되는 상기 지자기 센서 자극용 마그네트(Magnet) 또는 광발생부를 포함하는 터치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터치펜에 의한 센서 조작 신호에 따라서, 휴대용 기기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동작 없이도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en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ncluding a penetrating hol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 pen body portion having a handle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one penetrating hole of the pen body portion. A tip portion for a touch screen for forming a contact point or a contact surface for selecting one or more of a character, a folder, a wallpaper,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 pen portion inserted or attached to the other through hole of the pen body portion, By providing a touch pen including a pen head having a groove that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geomagnetic sensor magnetic pole or light generating unit mounted to the groove of the pen head, the sensor operation signal by the touch pen is provided. Therefore, application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without a touch operation, and the It relates to devise that allows you to increase the uniqueness.

Description

휴대용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용 신호발생기를 갖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기기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터치 동작 없이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센서 자극용 신호발생부를 갖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touch pen having a signal generator for sensor stimulation that can automatically execute an application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without a touch operation.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터치펜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touch pen is used to operate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이러한 터치펜은 휴대용 기기의 터치스크린 종류에 따라서 정전식 터치펜과 감압식 터치펜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touch pen may be classified into a capacitive touch pen and a pressure sensitive touch pen according to the type of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그러나 이와 같은 터치펜들의 기능은 모두 손가락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손가락 사용에 따른 터치 보정 프로그램의 발달로 인해 그 활용성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Howeve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touch pens can be replaced by fingers, and their utiliz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a touch correc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use of a finger.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으로는 사용이 되지 않고 있는 터치펜의 펜 헤드부분에 마그네트 또는 LED 조명을 설치함으로써, 마그네트 또는 LED 조명에 의한 자극이 휴대용 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고, 인가된 상기 자극에 의해서 휴대폰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magnet or LED light in the pen head portion of the touch pen which is not generally used, so that the stimulus by the magnet or LED light can be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applied to the applied stimulus Its purpose is to allow an application embedded in a mobile phone to run automaticall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은 터치스크린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하부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펜 보디부와, 상기 펜 보디부의 일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폴더, 배경화면 및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접촉점 또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용 팁부와, 상기 펜 보디부의 타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내측에 코어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갖는 펜 헤드부 및 상기 펜 헤드부의 상기 홈에 장착되는 상기 지자기 센서 자극용 마그네트(Magn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uch pen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pen used in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 geomagnetic sensor, the pen body portion including a through hol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touch screen tip portion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one side through hole of the pen body portion to form a contact point or a contact su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folder, a wallpaper,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 pen head portion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other through hole of the portion, the pen head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core can be inserted, and the magnet for magnetizing the geomagnetic sensor, which is mounted in the groove of the pen head portion. .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용 팁부는 정전기발생용 도전성 팁 또는 압력 발생을 위한 쐐기형 플라스틱 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1 ~ 5,000uT의 자기장을 갖되, 상기 지자기 센서 자극용으로 자성체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ip portion for the touch scree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tip for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or a wedge-shaped plastic tip for generating pressure, the magnet has a magnetic field of 1 ~ 5,000uT, the magnetic material or electromagnet for stimulating the geomagnetic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이때, 상기 전자석은 상기 펜 헤드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페라이트코어와, 상기 페라이트코어에 감겨진 코일과, 상기 코일과 연결되며, 상기 펜 보디부에 내장되는 건전지 및 상기 펜 보디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건전지를 on/off 시키고, 상기 전자석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 is a ferrite co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pen head portion, a coil wound around the ferrite core, the coi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is embedded in the pen body portion and located outside the pen body portion To turn on / off the batter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은 터치스크린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하부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펜 보디부와, 상기 펜 보디부의 일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폴더, 배경화면 및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접촉점 또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용 팁부와, 상기 펜 보디부의 타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상기 펜 보디부 외측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광홀을 포함하는 펜 헤드부와, 상기 펜 헤드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조도 센서를 자극할 수 있는 LED 또는 전구와, 상기 LED 또는 전구와 연결되며, 상기 펜 보디부에 내장되는 건전지 및 상기 펜 보디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건전지를 on/off 시키고, 상기 LED 또는 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uch pen for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pen used in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n illumination sensor, the upper and lower penetrating holes, the pe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body part, a tip part for a touch screen which is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one side through hole of the pen body part and forms a contact point or a contact su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folder, a background screen,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pen head portion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other through hole of the pen body portion, the pen head portion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hole provided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of the pen body portion, and fixed to an inner side of the pen head portion, to stimulate the illuminance sensor; LED or light bulb, and connected to the LED or light bulb, the battery is built in the pen body portion and located outside the pen body portion The battery exchanger on / off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LED or light bulb.

여기서, 상기 LED 또는 전구는 350 ~ 80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펜은 상기 LED 또는 전구의 파장 범위 조절을 위한 조광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펜 보디부의 중심부분 및 상기 펜 헤드부의 내측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장착되는 지자기센서 자극용 마그네트(Magnet)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LED or bulb includes a wavelength of 350 ~ 800nm, the touch pen includes a dimming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wavelength range of the LED or bulb,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n body portion and the pen head portion It may include a magnet for geomagnetic sensor magnetic pole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을 이용하면, 휴대용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touch pen for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asily executing an application selected by a user without directly manipulating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은 터치스크린을 일일이 조작해 가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단축 버튼을 찾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조작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의 활용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touch pen for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and effort to find a shortcut button for running the application while manipulating the touch screen, and by running the application required even in a difficult touch screen operation, portable It provide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스마트폰 조작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조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사용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스마트폰 조작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martphone operating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pe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martphone operating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고안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에 외부 자극 신호에 의해서 내장 어플리케이션들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매니저 프로그램을 기본적으로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uilt-in manager program for automatically executing built-in applications by an external stimulus signal in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또한, 이와 같은 매니저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마그네트 및 LED 조명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서 상기 선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로직을 자동으로 형성하여, 휴대용 기기의 동작 중 백그라운드에서 외부 신호 발생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uch a manager program provides a list of applications that can be selectively executed by a user. In addition, the logic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selection application by an external stimulus such as a magnet and LED 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itoring of the external signal generation in the backgrou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장 매니저 프로그램을 갖으며, 터치스크린에 의해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터치펜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in the portable device having the built-in manager program as described above and capable of being operated by a touch screen, the touch pen which can facilitate the touch scree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하부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된 펜 보디부(10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a pen body part 100 including a through hole in upper and lower parts and a handle part (not show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이때, 손잡이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기 팁부(110) 가 형성되는 인접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실리콘 재질의 완충 커버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해서 요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andle portion is not shown, bu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adjacent portion where the tip portion 110 is formed. 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a buffer cover of silicon material, it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by knurling processing.

아울러, 이와 같은 손잡이부는 본 고안에서와 같은 터치펜 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펜류에서 무수한 실시예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부는 상기와 같은 일반 펜 제품의 손잡이에 대한 실시예를 모두 차용할 수 있으며, 기재되지 않은 구체적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such a handle has not only the touch pe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has numerous embodiments in general pens. Therefore, the hand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orrow all the embodiments for the handle of the general pen produ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configuration not described.

이상에서와 같이 손잡이부가 펜 보디부(100)에 구비되면,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펜 보디부(100)의 일측 관통홀에 팁부(110)가 삽입 또는 부착된다.Whe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in the pen body portion 100 as described above, the tip portion 110 is inserted or attached to one side through hole of the pen body portion 100 adjacent to the handle portion.

여기서, 팁부(110)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폴더, 배경화면 및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접촉점 또는 접촉면을 형성하여 손가락 대신에 휴대용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tip unit 110 forms a contact point or a contact surface for selecting one or more of a character, a folder, a wallpaper,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easily operate a portable device instead of a finger. .

이와 같은 팁부(110)는 정전식용과 감압식용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정전식용 팁은 정전기발생용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감압식용 팁은 국부적인 압력 발생을 위한 쐐기형 플라스틱 팁으로 형성된다.The tip 110 may be classified into a capacitive type and a pressure sensitive type, wherein the capacitive tip is formed of an electrostatic conductive material, and the pressure sensitive tip is formed of a wedge-shaped plastic tip for local pressure generation.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와 같은 터치펜(150)의 기본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용 센서 자극 신호 인가 수단을 포함한다.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touch pen 150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sensor stimulus signal applying mean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에 대한 일례로서, 마그네트(Magnet, 100)를 들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120)는 샤프트 형태로 펜 헤드부(13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An example thereof may include a magnet 100, and as shown in FIG. 1, the magne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inside the pen head 130 in the form of a shaft.

이때, 펜 헤드부(130)는 팁부(110)가 형성되는 타측 펜 보디부(100)의 관통공 내에 삽입되거나 부착되는 형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펜 헤드부(130)는 펜 보디부(100)를 책이나 주머니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미도시) 또는 휴대를 위한 스트랩부(미도시) 등을 펜 보디부(100)에 장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pen head 130 has a form that is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pen body portion 100 in which the tip portion 110 is formed. Generally, the pen head unit 130 includes a clip unit (not shown) or a strap unit (not shown) for fixing the pen body unit 100 to a book or a pocket, and the like to the pen body unit 100. Perform the function of mounting.

여기에 추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펜 헤드부(130)는 마그네트(120)를 장착시킴으로써, 터치펜에 전혀 새로운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120)는 반드시 샤프트 형태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기 도 6에서와 같은 전자석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n head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magnet 120, to give a completely new function to the touch pen. In addition, the magne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to be in the form of a shaf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magnet as shown in FIG.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120)는 1 ~ 5,000 uT 범위의 자기장 값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uT 미만의 자기장 범위를 갖는 마그네트(120)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기장 인가 신호가 미약하여, 휴대용 기기에 내장된 센서를 정상적으로 자극할 수 없다. 반대로 5,000 uT를 초과하는 크기의 마그네트(120)를 장착할 경우 기기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므로, 자기장의 사용 범위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At this time, the magne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having a magnetic field value in the range of 1 ~ 5,000 uT. When the magnet 120 having a magnetic field range of less than 1 uT is used, the magnetic field applying signal is weak, so that the sensor embedded in the portable device cannot be normally stimulated. On the contrary, when the magnet 120 having a size exceeding 5,000 uT is mounted, there is a risk of device malfunction. Therefore, the us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must be appropriately adjus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은 휴대용 기기에 내장된 센서들을 자극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새로운 개념의 터치펜이며, 그 개략적 작동 형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concept touch pen having a function of stimulating sensors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to automatically execute an application selected by a user. If you look like this: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스마트폰 조작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martphone operating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 도시된 터치펜(150)은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를 내장한 터치펜(150)으로서, 휴대용 기기(200)의 지자기 센서 위치(210)에 마그네트가 내장된 헤드부를 가져가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된다.First, the touch pen 150 illustrated in FIG. 2 is a touch pen 150 hav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magnet is embedded in the geomagnetic sensor position 210 of the portable device 200. When the taken head part is taken, the selected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이와 같은 동작이 실행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하기 도 3에서와 같은 순서도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Looking at the principle that such an operation is performed, it can be described by the flow chart as shown in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조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pe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센서자극용 스위치(마그네트 자석 또는 하기 도 7에서와 같은 특수 파장을 방출하는 조명)를 내장한 터치펜을 마련한다.(S100)Referring to FIG. 3, a touch pen having a sensor stimulation switch (a magnet magnet or an illumination emitting a special wavelength as shown in FIG. 7) is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센서자극용 스위치 부분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접촉시킴으로써, 센서에 특정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S110)Next, by contacting the switch portion for sensor stimulation to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pecific signal is applied to the sensor (S110).

그 다음으로는, 특정 신호에 따른 센서의 동작을 상술한 매니저 프로그램이 인식하고, 그 인식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S120)Next, the above-described manager program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specific signal, an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ignal, the specific application selected in advance by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S120).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하면, 휴대용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모니터링 해가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버튼을 찾아야 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By using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process, while monitoring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to find a button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은 휴대용 기기의 활용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는데, 그 구체적 실시예들을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device. Looking at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s follows.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펜 헤드부(330) 내에 제1마그네트(320)를 내장함과 동시에 펜 보디부(300)의 중심부에도 제2마그네트(340)를 구비시킨 구조를 갖는다.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magnet 320 is embedded in the pen head portion 330 and the second magnet 340 is also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en body portion 3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

이와 같은 경우 제2마그네트(340)에 의해서 센서 신호 인가를 위한 조작 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센서 신호 인가를 위해서 터치펜을 완전히 뒤집어야 했지만,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펜(350)의 경우에는 터치펜(350)을 살짝만 눕혀도 센서 신호가 용이하게 인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range for applying the sensor signal may be widened by the second magnet 340.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ouch pen must be completely turned over to apply the sensor signal, but in the case of the touch pen 3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nsor signal is easy even when the touch pen 350 is slightly laid down.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또한, 제1마그네트(320)의 자장 범위와 제2마그네트(340)의 자장 범위를 상이하게 구비시킴으로써, 각 자장 범위에 따라서 각각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having the magnetic field range of the first magnet 320 and the magnetic field range of the second magnet 340 differently, different applications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each magnetic field range.

아울러, 상기 제2마그네트(340)는 펜 보디부의 외주면에 고정되므로, 휴대용 기기의 후면 또는 휴대용 기기를 감싸는 케이스 부에 철제 고정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철제 고정부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터치펜(350)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magnet 34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 body part, the touch pen 35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iron fixing part by providing an iron fixing part on a rear part of the portable device or a case part surrounding the portable device. ) To be easily carried.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사용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200)의 후면에 철제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터치펜(350)이 제2마그네트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touch pen 350 may be fixed by the second magnet when the iron fixing par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ortable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350)은 휴대용 기기 조작에 대한 새로운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를 위한 새로운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ouch pen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new function for portable as well as a new function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를 전자석(420) 형태로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magne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magnet 42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이때, 전자석(420)은 펜 헤드부(430)의 내측에 고정되는 페라이트코어와, 페라이트코어에 감겨진 코일을 갖는다. 여기서, 페라이트코어는 상기 도 1의 마그네트와 같은 샤프트 형태를 가지며, 코일은 샤프트를 감싸면서 전자석(420) 작동을 위한 전원장치와 연결시키는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 420 has a ferrite co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pen head portion 430, and a coil wound around the ferrite core. Here, the ferrite core has a shaft shape as shown in the magnet of FIG. 1, and the coil has a form surrounding the shaft and connecting with a power supply device for operating the electromagnet 420.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450)의 경우에는 전자석(420) 작동을 위한 건전지(440)가 펜 보디부(400)에 내장된 형태를 가지며, 건전지(440) 인접한 펜 보디부(400)에는 건전지(440)를 on/off 시키고, 전자석(4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445)가 구비된다.In the case of the touch pen 45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battery 440 for operating the electromagnet 420 is formed in the pen body part 400, and the pen body part 400 adjacent to the battery 440 is in the pen body part 400. A switch 445 is provided to turn on / off the battery 44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420.

이와 같은 전자석 내장 터치펜(450)의 경우에는 일반 마그네트를 내장한 터치펜 보다 더 선택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에 대한 제어도를 더 높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lectromagnet-built touch pen 450, the application execution can be performed more selectively than a touch pen having a built-in magnet. Therefore, the degree of control over the automatic application execu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터치펜에서 다양한 자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자장 범위에 따라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variety of magnetic fields in one touch pen, it is possible to variously extend the selected application according to each magnetic field range.

다음으로, 전자석과 같은 전자 장치를 내장한 구조를 응용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휴대용 기기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는 터치펜도 제공할 수 있다.Next, by applying a structure incorporat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lectromagne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touch pen using an illumination sensor of a portable device as follows.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터치펜(550)의 경우에는 펜 보디부(500) 외측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광홀을 포함하는 펜 헤드부(530)가 구비된다.In the case of the touch pen 550 illustrated in FIG. 7, a pen head portion 530 including a floodlight hole provided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of the pen body portion 500 is provided.

이와 같은 펜 헤드부(530) 내측에는 조도 센서를 자극할 수 있는 LED 또는 전구와 같은 발광부(530)가 장착된다.Inside the pen head 530, a light emitting unit 530 such as an LED or a light bulb that can stimulate an illuminance sensor is mounted.

그리고, 상기 발광부(530) 조작을 위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에서 전자석 조작을 위해 구비된 형태와 유사하게 건전지(540) 및 스위치(545)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battery 540 and a switch 545 are provided to operate the light emitting unit 530 similarly to the form provided for the electromagnet operation in the third embodiment.

여기서, 상기 발광부(530)는 350 ~ 80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특히 조명을 내장한 터치펜(550)에는 상기 LED 또는 전구의 파장 범위 조절을 위한 조광 컨트롤러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방출하는 파장보다 더 특수한 파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530 emits a wavelength of 350 to 800 nm.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touch pen 550 incorporating illumination further includes a dimming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wavelength range of the LED or the bulb, so that a more specific wavelength can be generated than a wavelength that is generally emitted.

예를 들면, 350nm의 파장과 550nm 의 파장이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발광하는 신호(①) 및 800nm의 파장과 550nm 의 파장이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발광하는 신호(②)를 각각 발생시킴으로써, 각각의 경우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서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다양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each case, a signal (1) that emits light in succession alternately with a wavelength of 350 nm and a wavelength of 550 nm alternately generates a signal (2) that emits light in succession alternately with a wavelength of 800 nm and a wavelength of 550 nm. The specified application can be executed. Through such an operation, the type of the executed application can be diversified.

아울러, 상기와 같은 조명 장치 이외에 상기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마그네트를 추가적으로 터치펜에 내장시킴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의 활용성을 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ligh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by further embedding the magnet as shown in FIGS. 1 to 6 in the touch pen, it is possible to further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스마트폰 조작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martphone operating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기기(200)의 상부 조명 센서 부분에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550)의 발광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선택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구현 예를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n example of implementing the selected application to be automatically executed by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touch pen 5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light senso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200 is show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을 이용하면, 휴대용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touch screen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elected application can be easily executed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은 터치스크린을 일일이 조작해 가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단축 버튼을 찾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조작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의 활용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pen for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and effort to find a shortcut button for running the application while manipulating the touch screen, and by running the application required even in a difficult touch screen operation, portable It can further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devic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0, 300, 400, 500 : 펜 보디부
110, 310, 410, 510 : 팁부
120, 320 : 마그네트
130, 330, 430, 530 : 펜 헤드부
150, 350, 450, 550 : 터치펜
200 : 휴대용 기기
210 : 지자기 센서 위치
340 : 터치펜 고정용 자석부
420 : 전자석
440, 540 : 건전지
445, 545 : 스위치
530 : 발광부
100, 300, 400, 500: pen body portion
110, 310, 410, 510: tip portion
120, 320: Magnet
130, 330, 430, 530: pen head portion
150, 350, 450, 550: touch pen
200: portable device
210: geomagnetic sensor location
340: magnet part for fixing the touch pen
420: electromagnet
440, 540: Battery
445, 545: switch
530: light emitting unit

Claims (9)

터치스크린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하부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펜 보디부;
상기 펜 보디부의 일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폴더, 배경화면 및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접촉점 또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용 팁부;
상기 펜 보디부의 타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내측에 코어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갖는 펜 헤드부; 및
상기 펜 헤드부의 상기 홈에 장착되는 상기 지자기 센서 자극용 마그네트(Magn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In the touch pen used in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 geomagnetic sensor,
A pen body portion including a through hole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touch screen tip part inserted or attached to one side penetrating hole of the pen body part and forming a contact point or a contact su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folder, a background screen,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pen head portion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other through hole of the pen body portion and having a groove into which a core can be inserted; And
And a magnet for stimulating the geomagnetic sensor, which is mounted in the groove of the pen hea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용 팁부는 정전기발생용 도전성 팁 또는 압력 발생을 위한 쐐기형 플라스틱 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ip for the touch screen touch pen for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a conductive tip for generating electricity or a wedge-shaped plastic tip for generating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지자기 센서 자극용으로 자성체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gnet is a touch screen touch pe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gnetic material or an electromagnet for magnetic pole magnetic pole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펜 헤드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페라이트코어;
상기 페라이트코어에 감겨진 코일;
상기 코일과 연결되며, 상기 펜 보디부에 내장되는 건전지; 및
상기 펜 보디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건전지를 on/off 시키고, 상기 전자석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omagnet is
A ferrite core fixed inside the pen head portion;
A coil wound around the ferrite core;
A battery connected to the coil and embedded in the pen body part; And
And a switch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pen body part to turn on / off the battery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1 ~ 5,000uT의 자기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gnet is a touch screen touch pen,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magnetic field of 1 ~ 5,000uT.
터치스크린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하부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펜 보디부;
상기 펜 보디부의 일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폴더, 배경화면 및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접촉점 또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용 팁부;
상기 펜 보디부의 타측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상기 펜 보디부 외측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광홀을 포함하는 펜 헤드부;
상기 펜 헤드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조도 센서를 자극할 수 있는 LED 또는 전구;
상기 LED 또는 전구와 연결되며, 상기 펜 보디부에 내장되는 건전지; 및
상기 펜 보디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건전지를 on/off 시키고, 상기 LED 또는 전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In the touch pen used in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n illumination sensor,
A pen body portion including a through hole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touch screen tip part inserted or attached to one side penetrating hole of the pen body part and forming a contact point or a contact su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folder, a background screen,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pen head portion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other through hole of the pen body portion, the pen head portion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hole provided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of the pen body portion;
An LED or a light bulb fixed inside the pen head and capable of stimulating the illuminance sensor;
A battery connected to the LED or the bulb and embedded in the pen body part; And
And a switch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pen body part to turn on / off the battery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D or the bul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ED 또는 전구는 350 ~ 80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6,
The LED or light bulb is a touch screen touch p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emitting a wavelength of 350 ~ 800n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은 상기 LED 또는 전구의 파장 범위 조절을 위한 조광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6,
The touch pen is a touch screen touch p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mming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wavelength range of the LED or bul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 보디부의 중심부분 및 상기 펜 헤드부의 내측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장착되는 지자기센서 자극용 마그네트(Magn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6,
Touch pen for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for magnetic pole magnetic pol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n body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pen head portion.
KR2020110002332U 2011-03-21 2011-03-21 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KR2004614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32U KR200461402Y1 (en) 2011-03-21 2011-03-21 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32U KR200461402Y1 (en) 2011-03-21 2011-03-21 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402Y1 true KR200461402Y1 (en) 2012-07-10

Family

ID=4713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332U KR200461402Y1 (en) 2011-03-21 2011-03-21 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402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51B1 (en) * 2013-07-17 2015-02-11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ojective capacitive styl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15295B1 (en) * 2013-08-05 2015-05-04 이수연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set having writable surface
KR101528745B1 (en) * 2015-03-30 2015-06-19 주식회사 모베이스 Apparatus of assembling in head of stylus pen
KR101528746B1 (en) * 2015-03-30 2015-06-30 주식회사 모베이스 Apparatus of defect inspection in head of stylus pen
KR101562642B1 (en) 2015-03-30 2015-10-23 주식회사 모베이스 coupling unit in head of stylus pen and methed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658A (en) 2003-04-23 2004-11-18 Fuji Photo Optic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658A (en) 2003-04-23 2004-11-18 Fuji Photo Optic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51B1 (en) * 2013-07-17 2015-02-11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ojective capacitive styl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15295B1 (en) * 2013-08-05 2015-05-04 이수연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set having writable surface
KR101528745B1 (en) * 2015-03-30 2015-06-19 주식회사 모베이스 Apparatus of assembling in head of stylus pen
KR101528746B1 (en) * 2015-03-30 2015-06-30 주식회사 모베이스 Apparatus of defect inspection in head of stylus pen
KR101562642B1 (en) 2015-03-30 2015-10-23 주식회사 모베이스 coupling unit in head of stylus pen and methe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402Y1 (en) Touch pen for execution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KR102152643B1 (en) The light system using the mobile device
EP2454522B1 (en) Luminaire with touch pattern control interface
EP3734940A1 (en) Mobile terminal
US9665187B2 (en) Color input device and its application kit
US20110194276A1 (en) LED flashing annular ornament
WO2016206369A1 (en) Intelligent electronic lock keypad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and intelligent electronic lock
CN203660206U (en) Intelligent touch luminescence data line
CN202059386U (en) Luminous touch key
TW201022990A (en) Illuminated keyboard and illuminating method for keyboard
JP2016075581A (en) Attach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2715767A (en) Short-distance infrared sensing mirror
KR101245922B1 (en) Case of portable terminal for autoplaying program and method for autoplaying program without touching lcd using thereof
CN104473370A (en) Luminescent shoe
CN205796543U (en) Interactive device based on light intensity identification
KR101402327B1 (en) Artificial nail led is equipped
CN104424082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7333358B (en) Induction type bulb
CN107830433A (en) One kind automatically adjusts sleep night-light system
CN107422957B (en) Terminal rear cover pattern display method and device
US20150043219A1 (en) Blue light LED sensor lamp
CN205332049U (en) Multifunctional LED (Light emitting diode) desk lamp
CN206323361U (en) A kind of band vibration touches switch on wall
CN203840315U (en) Improved capacitive touch switch
KR101392771B1 (en) Easily operatative vehicle room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