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90Y1 -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590Y1
KR200459590Y1 KR2020100004061U KR20100004061U KR200459590Y1 KR 200459590 Y1 KR200459590 Y1 KR 200459590Y1 KR 2020100004061 U KR2020100004061 U KR 2020100004061U KR 20100004061 U KR20100004061 U KR 20100004061U KR 200459590 Y1 KR200459590 Y1 KR 200459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main body
stimulator
oscilla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059U (ko
Inventor
서종우
최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Priority to KR2020100004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90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자극기는 본체부와 프로브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한다. 프로브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초음파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상기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Ultrasound stimulator and system}
본 고안은 초음파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내부의 장기를 초음파로 자극하여 장기의 활동성을 높이는 초음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0Hz이하의 음을 저주파수라 하고 20KHz 이상의 음,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음을 초음파라고 한다. 초음파는 우리의 귀에 들리지 않을 뿐, 보통 음파와 같다. 음향적 특성이나 물리적 성질도 같고 귀에 들리는 모든 소리보다 더 많은 초음파가 공기중에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인간의 감지 영역을 벗어난 무성(無聲)의 초음파는 이미 동력적, 정보적 응용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현실적인 요구에 힘입어 최근에는 첨단기술로써 각광을 받으며 의료, 군사, 시험 기기는 물론 주변의 산업 기기로도 응용되어 가공, 탐지, 위치제어, 세척, 용접, 집진기, 검사, 계측 계량 기기 심지어는 피부, 미용, 목욕, 세수, 양치질, 맛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가 넓어지고 있다. 특히, 배나 잠수함의 위치 또는 바다의 깊이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음향 탐지기, 배와 배 사이의 통신, 손이 미치지 않는 구석의 세척이나 살균, 플라스틱 접착, 초음파 계측 계량 제어 기기 그리고 의학적인 진단기술로 쓰이는 초음파소노그래피 즉, 뇌나 간장, 신장 등의 신체 내부에 초음파를 발사한 후, 거기서 반사되어 오는 반사파를 분석하는 기술) 등이 보편화 기술로 되어있다. 초음파는 진동주파수가 17,000~20,000Hz이상인 불가청 진동음파로서, 물체의 진동에 의해 일어나는 탄성파이며, 압전효과를 가지며 초음파 치료는 보통 0.5~5MHz내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치료하며, 음파 영동치료는 초음파 에너지로 피부를 통해 약물을 조직 내로 도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초음파의 사용 영역을 확대시키고 인체의 다양한 장기 위치에 대응하여 초음파를 침투시키는 초음파 자극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상기 초음파 자극기를 포함하는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자극기는 본체부 및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프로브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상기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용 교류 전압을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를 증폭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출력하는 초음파 구동기 및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가 상기 설정된 듀티를 갖고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고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교류 전압을 비대칭의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비대칭 하프 브릿지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구동기는 비선형의 스위치 타입 증폭기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진자는 단일 초점의 트랜스듀서(transducer)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본체부는 BNC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밀착하여 수납하는 헤드 부분 및 상기 헤드 부분과 결합되며 상기 BNC 케이블이 통과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연결되고 파지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진자에서 출력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500kHz~1.1MHz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자극기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설정 모드를 송신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은 초음파 자극기와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자극기는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프로브를 구비한다.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설정 모드를 제어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다르면 펄스 형태를 유지하는 초음파로 소화기관의 외벽을 자극하여 소화불량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초음파 자극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의 외관을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프로브의 헤드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프로브의 전체 모습의 실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프로브의 꼬리 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로브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초음파 발진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하우징의 손잡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하우징의 헤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컴퓨터로 초음파 자극기를 제어하는 경우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설정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듀티가 1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
도 12는 듀티가 2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키는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10)은 초음파 자극기(20)와 컴퓨터(30)를 포함한다. 초음파 자극기(20)는 본체부(100)와 프로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와 프로부(200)는 BNC 케이블(40)로 연결된다. 프로부(200)는 초음파 발진자(210)와 초음파 발진자(210)가 수납되는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초음파 자극기(20)와 컴퓨터(30)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50)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초음파 자극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의 초음파 자극기(20) 중 본체부(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본체부(100)가 프로부(200)와 BNC 케이블(40)을 통해서 연결된 것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20)의 본체부(100)는 전원 변환부(110), 제어부(120), 초음파 구동기(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전원 제어기(130)와 주 제어기(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데이터 통신부(160)와 보조 전원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변환부(110)는 전원 제어기(130)의 제어에 따라서 상용의 교류 전압(ACV)에 연결되고 교류 전압(ACV)을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로 변환한다. 상기 전원 변환부(110)는 비대칭 하프 브릿지 회로로 구현되어 교류 전압(ACV)을 비대칭의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은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의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초음파 구동기(150)는 전원 변환부(110)와 연결되고, 전원 변환부(110)로부터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를 제공받아 주 제어기(140)의 제어에 따라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를 증폭하여 BNC 케이블(40)을 통하여 프로브(200)의 초음파 발진자(210)로 출력한다. 초음파 구동기(150)는 비선형의 스위치 타입 증폭기일 수 있다.초음파 발진자(210)는 인체의 장기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의 피부(접촉부)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초음파 발진자(210)는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피부를 통하여 소화 장애가 발생한 장기에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초음파 발진자(210)는 단일 초점의 압전 소자, 즉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특정 물질(고체)에 기계적 압력을 주면 전기적 극성변환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물질을 압전소자(piezo electrics)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압전현상이라 하는데, 특히 이러한 작용은 연동적이어서, 물질의 양쪽에 전압을 걸어주면 모양이 변하는 특징이 생긴다.
압전소자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압전 물질은 수정, 로셀염, 티탄산바륨 등이 있고 최근에는 PZT와 같은 인공세라믹으로 대체되어 이용되고 있다. 압전 물질 양면에 교류전압을 가하면 전류의 전류의 극성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교류전압의 주파수에 비례하여 반복된다.
특히 압전물질은 수많은 쌍극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쌍그자들은 기하학적 배열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압전특성을 갖게된다. 상기 압전 물질은 전기적 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가장 효율적으로 전환시키는 공진주파수를 갖게되는데 이 공진주파수는 압전 물질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압전 물질의 두께는 소자의 고유 주파수를 결정한다.
제어부(120)는 주 제어기(140)와 전원 제어기(130)를 포함한다. 주 제어기(140)는 데이터 통신부(160)를 통하여 컴퓨터(30)로부터 전송받은 설정값에 따라 전원 제어기(130)와 초음파 구동기(150)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값에 따른 듀티를 갖는 초음파가 초음파 구동기(40)로부터 초음파 발진자(210)로 출력되도록 한다. 전원 제어기(120)는 주 제어기(140)에 제어에 따라 전원 변환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가 상기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가지고 상기 초음파 구동기(150)에 출력되도록 한다.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가 상기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가지고 초음파 구동기(150)에 전달되면 초음파 구동기(150)는 펄스 평태의 구형파(PSW)를 증폭하여 초음파 발진자(210)로 전송하고 접촉부와 접촉하고 있는 초음파 발진자(210)에서는 초음파 구동기(150)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접촉부를 통하여 인체 내의 장기의 외벽을 조사하게 된다. 초음파로 자극된 장기의 외벽은 국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국지적 온도의 상승은 인체 내의 혈류량 증가를 유도하여 증가된 혈류량은 장기 외벽 등에 쌓여있는 노폐물을 자연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불에 노폐물의 제거에 따라 장기의 근육조직이 탄성을 회복하게 되고, 탄성을 회복한 장기는 운동 부족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장애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장기가 위장, 소장 및 대장 등의 소화기관인 경우는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를 사용하여 소화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60)는 컴퓨터(30)와 통신을 수행하고 컴퓨터(30)로부터 입력된 설정모드를 제어부(120)에 전달하여 제어부(120)가 전원 변환부(110)와 초음파 구동기(150)를 제어하여 설정 모드에 따른 초음파를 프로브(200)에 전송되도록 한다. 보조 전원 장치(170)는 교류 전압(ACV)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20)가 필요로 하는 형태의 전압으로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의 외관을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10)의 본체부(100)의 전면부에는 프로브 커넥터(11)와 전원 스위치(12)가 구비된다. 프로브 커넥터(11)에는 두 개의 단자가 있는데 하나는 현재 사용하는 500kHz의 초음파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는 앞으로 사용할 1MHz의 초음파를 출력하게 된다. 전원 스위치(12)는 본체부(100)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
도 5는 초음파 자극기의 본체부의 후면부를 실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10)의 본체부(100)의 후면부에는 전원 입력부(21), 휴즈부(22), 시리얼 포트(23) 및 USB 포트(24)가 구비된다. 전원 입력부(21)에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교류 100~240V의 전원 전압이 입력된다. 휴즈부(22)에는 휴즈가 설치된다. 시리얼 포트(23)는 컴퓨터(4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케이블(50)이 연결된다. USB포트(24)는 컴퓨터(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안테나가 장착된다.
도 6a는 프로브의 헤드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초음파 발진기(210)의 지름은 31.72mm이고 초음파 발진기(210)를 둘러싼 하우징(220)의 헤드부분은 지름이 50mm이다.
도 6b는 프로브의 전체 모습의 실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프로브(200)의 전체 길이는 152mm임을 알 수 있다.
도 6c는 프로브의 꼬리 부분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프로브(200)의 꼬리 부분의 지름은 33mm임을 알 수 있다.
도 7은 프로브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초음파 발진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초음파 발진자가 수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하우징의 손잡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하우징의 헤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의 손잡이 부분(221)의 부분(222)과 헤드 부분(223)의 부분(224)이 서로 밀착 결합되어 하우징(220)을 구성하고, 손잡이 부분(221)에는 BNC 케이블(40)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헤드 부분(223)에 밀착 수납되는 초음파 발진자(210)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부분(221)은 사용자의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컴퓨터로 초음파 자극기를 제어하는 경우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설정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초음파 자극기(20)의 설정 모드는 ①시간(Time) ②출력 모드 ③출력 선택 ④시간 설정 ⑤ 출력 온 ⑥ 선택 ⑦ DUTY ⑧ 설정시간 ⑨UT 전압 ①ⓞ진행 시간 ①① 진행시간바 ①② 종료 중에서 ③출력 선택 ④시간 설정 ⑦ DUTY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①시간(Time)은 컴퓨터(30) 상의 프로그램 구동 후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②출력 모드는 대기모드와 출력 모드 중 하나로서 대기모드는 ⑤ 출력 온을 온/오프 할 수 없고 출력 모드시에만 ⑤ 출력 온을 온/오프 할 수 있다. ③출력 선택은 초음파의 출력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④시간 설정은 초음파가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⑥ 선택은 ⑦ DUTY 및 ⑧ 설정시간을 보여주거나 없앤다. ⑦ DUTY는 펄스 형태의 구형파(PSW)의 듀티 비를 설정한다. ⑧ 설정시간은 초음파가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⑨UT 전압은 인가되는 전압의 이상유무를 나타낸다. ①ⓞ진행 시간은 설정된 시간내에서 초음파가 출력된 시간을 숫자로 나타낸다. ①① 진행시간바는 초음파가 출력된 시간을 보여준다. ①② 종료는 초음파 자극기(20)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도 11은 듀티가 1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
도 12는 듀티가 20%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초음파 발진자에서 인체의 접촉부를 통하여 내부 장기로 전달되는 실제파형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컴퓨터(30)를 통하여 듀티를 포함하는 설정 모드를 제어하여 초음파 자극기(2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듀티 내에서 설정되는 주파수로 초음파가 발진함을 알 수 있고, 또한 발진되는 초음파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은 비대칭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다르면 펄스 형태를 유지하는 초음파로 소화기관의 외벽을 자극하여 소화불량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초음파 자극기 100 : 본체부
200 : 프로브

Claims (11)

  1.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화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자극기로서,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상기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초음파 자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용 교류 전압을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를 증폭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출력하는 초음파 구동기; 및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전원 변환부와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가 상기 설정된 듀티를 갖고 상기 초음파 발진자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전원 제어기 및 상기 초음파 구동기에 연결되고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초음파 구동기를 제어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교류 전압을 비대칭의 상기 펄스 형태의 구형파로 변환하는 비대칭 하프 브릿지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구동기는 비선형의 스위치 타입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자는 단일 초점의 트랜스듀서(transduc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본체부는 BNC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밀착하여 수납하는 헤드 부분; 및
    상기 헤드 부분과 결합되며 상기 BNC 케이블이 통과하여 상기 초음파 발진자와 연결되고 파지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자에서 출력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500kHz~1.1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설정 모드를 송신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자극기.
  11. 설정 모드에 따른 듀티를 갖도록 초음파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발진을 소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송된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자와 상기 초음파 발진자를 수납하는 파지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초음파 자극기;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설정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초음파 자극기 시스템.
KR2020100004061U 2010-04-19 2010-04-19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 KR200459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61U KR200459590Y1 (ko) 2010-04-19 2010-04-19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61U KR200459590Y1 (ko) 2010-04-19 2010-04-19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59U KR20110010059U (ko) 2011-10-26
KR200459590Y1 true KR200459590Y1 (ko) 2012-03-30

Family

ID=4762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061U KR200459590Y1 (ko) 2010-04-19 2010-04-19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290A (ko) * 2011-06-21 2012-12-31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기능성 물질의 전달을 촉진하는 기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기능성 물질 전달 장치
WO2015076613A1 (ko) * 2013-11-21 2015-05-28 주식회사 퍼시픽시스템 인체 내부 기관의 온도 조절을 위한 초음파 자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359B1 (ko) 2007-05-11 2009-03-25 진경수 초음파 치료기
KR100914656B1 (ko) 2007-07-30 2009-08-28 리젠프라임 주식회사 부종치료용 초음파 장치 및 그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359B1 (ko) 2007-05-11 2009-03-25 진경수 초음파 치료기
KR100914656B1 (ko) 2007-07-30 2009-08-28 리젠프라임 주식회사 부종치료용 초음파 장치 및 그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59U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78447A3 (en)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associated surgical method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WO2003097162A3 (en) Enhanced focused ultrasound ablation using microbubbles
KR20180004727A (ko) 초음파 치료의 제어 향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21794B1 (ko) 휴대용 통합 피부 미용장치
MX2010000908A (es) Metodo y aparato para tratamiento ultrasonico de tejido.
ATE459299T1 (de) Ultraschalloperationsvorrichtung
CN205041400U (zh) 一种新型便携式经颅超声刺激及脑电信号采集装置
CN107106145A (zh) 排便预测装置以及排便预测方法
RU2012144769A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TWI635883B (zh) 壓電式超音波熱電療系統
JP5637580B1 (ja) マッサージ装置
CA3120288A1 (en) Device networks for modulating neural activity
KR101968387B1 (ko) 하이푸 에너지 기반의 휴대용 스킨 및 비만 케어 장치
KR200459590Y1 (ko) 초음파 자극기 및 시스템
ATE366796T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transferieren medizinisch wirksamer stoffe in zellen
JPH0539686Y2 (ko)
KR20180056300A (ko)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KR102107129B1 (ko) 트랜스듀서 공진주파수 매칭기능을 가지는 무선 프로브 형태의 hifu 장치
WO2021110847A3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generator and apparatus
JP6351083B1 (ja) 顔部マッサージ装置および顔部マッサージシステム
JP6551955B1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その振動子ユニット
US7669478B2 (en) Ultrasonic driving device with multi-frequency scanning
JP4431536B2 (ja) イオン導入機能を有する皮膚美容器、及び該皮膚美容器に関するディスプレー装置
JP2012020020A (ja) 超音波照射装置
KR101654888B1 (ko) 초음파 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