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438Y1 -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438Y1
KR200455438Y1 KR2020090007246U KR20090007246U KR200455438Y1 KR 200455438 Y1 KR200455438 Y1 KR 200455438Y1 KR 2020090007246 U KR2020090007246 U KR 2020090007246U KR 20090007246 U KR20090007246 U KR 20090007246U KR 200455438 Y1 KR200455438 Y1 KR 200455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ntainer
disposable
extracting
coffee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408U (ko
Inventor
이양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Priority to KR2020090007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438Y1/ko
Priority to US13/145,106 priority patent/US20110271845A1/en
Priority to PCT/KR2009/007427 priority patent/WO2010082727A2/ko
Priority to JP2011546205A priority patent/JP2012515043A/ja
Priority to CN2009801549988A priority patent/CN102316772A/zh
Publication of KR20100012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4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에서 일정거리 하향된 위치에는 원두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커피수용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피수용부의 하단에는 저면에 다수 개의 추출구를 갖는 커피추출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커피추출부의 추출구 상면에 고정되는 여과지와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부단턱에 부착되어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탈거용 손잡이가 연장 형성된 상부커버 및 상기 여과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부단턱에 부착되어 상기 커피수용부의 하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탈거용 손잡이가 연장 형성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두커피가 변질될 우려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간편하게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두커피, 추출, 일회용

Description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Disposable dripping tool of original coffee beans}
본 고안은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두커피를 밀폐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과정이 매우 간편하여 원두커피가 변질될 우려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간편하게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자연산 커피원두를 건조하여 볶아서 보관하고 음용시 이를 갈아 더운 물을 붓고 여과하여 만드는 원두커피와, 원두를 볶은 후 원액을 추출하여 농축시켜 진공건조 혹은 냉동건조 후 생성된 분말 또는 과립타입의 커피에 더운 물을 부어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인스턴트 커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비교하였을 때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뛰어난 것은 물론 풍미와 고급성에서 인스턴트 커피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스턴트 커피보다는 원두커피를 더 선호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음용되는 커피의 양을 비교해보면 대략 8 대 2 정도의 비율로 인스턴트 커피가 더 많이 애용되고 있는 실 정이다.
이와 같이 원두커피가 더 선호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스턴트 커피를 더 많이 마시게 되는 것은 원두커피가 갖는 번거로움에 기인한다.
즉, 원두를 볶고 분쇄하고 걸러내는 과정은 더운 물만 부으면 바로 음용할 수 있는 인스턴트 커피에 비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원두를 분쇄하고 걸러내는 과정에는 커피메이트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해당 도구가 없을 경우나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원두커피를 즐기기란 좀처럼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원두커피가 갖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종래에도 보다 간편하게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대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왔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67366호에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원두커피 음용세트는 분말상태의 커피를 포장한 원두커피와, 이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지를 수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용기와, 상기 추출용기를 음용컵에 거치하기 위한 추출링을 다수 개씩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원두커피 음용세트는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하여 여과지를 추출용기에 수납하고, 추출용기를 추출링에 체결한 후, 포장된 원두커피를 뜯어 원두커피를 추출용기에 별도로 투입하는 여러 과정을 거쳐야 하는 바, 여전히 그 사 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371558호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부어지는 차용수를 받아드리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이어 일정길이 연장되고 음용인 수에 맞춰 계량 포장된 티백이 수용됨과 아울러 드립퍼작용을 위한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하부에는 커피잔상에 착탈식으로 복개되는 탑재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종래에 비해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측면은 있으나, 원두커피가 밀폐되지 않은 채 단순히 티백에 수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공기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장시간 보관이 어려우며 맛과 향이 변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원두커피는 보관중에 산소, 습도, 열에 의해 그 맛과 향이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중 특히 공기중의 산소에 누출되어 산화되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습도가 높을수록 산화되는 정도는 더 심해지게 되며, 원두커피의 산화가 심해질수록 커피의 향은 줄어들고 맛은 변질되어 맛없는 커피가 되기 쉽다.
따라서, 일회용이나 휴대용으로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무엇보다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원두커피에 대한 밀폐성을 확보하여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맛과 향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상기 예시한 기술들을 포함하여 종래 대부분의 원두커피 추출용기들은 사용상의 간편성과 원두커피에 대한 밀폐성이라는 두가지 요소를 다 확보하지 못한 채 어느 하나의 측면만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두커피에 대한 밀폐성을 확보하여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보관이 가능함과 함께 사용시에는 밀폐수단을 간단하게 제거한 후 바로 온수만을 부어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어 사용이 매우 간편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상단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에서 일정거리 하향된 위치에는 원두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커피수용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피수용부의 하단에는 저면에 다수 개의 추출구를 갖는 커피추출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커피추출부의 추출구 상면에 고정되는 여과지와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부단턱에 부착되어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탈거용 손잡이가 연장 형성된 상부커버 및 상기 여과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부단턱에 부착되어 상기 커피수용부의 하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탈거용 손잡이가 연장 형성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가짐과 함께 그 내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컵과 같은 음료용기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거치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거치구의 일측에는 공기유통을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그 상단면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된 용기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의하면,
원두커피의 밀폐성을 위해 별도의 포장지에 원두커피를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원두커피가 수용된 커피수용부 자체를 상하로 밀폐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보관을 할 수 있으면서도 원두커피의 포장지를 뜯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히나 원두커피의 음용을 위해서는 밀폐를 위한 상부 및 하부커버를 탈거하고 바로 용기본체에 온수만을 투입시키면 되는 간단한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여, 원두커피의 보관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모두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예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는 내부에 커피수용부(20)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커피추출부(30)가 형성되는 용기본체(10)와, 여과지(40)와, 상부커버(50) 및 하부커버(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원두커피 분말(3)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컵과 같은 음료용기(2)에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가지면서 그 내측면에는 걸림턱(12)이 돌출 형성되어 컵과 같은 음료용기(2)에 원활하게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거치구(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기 탄성거치구(11)의 외주면 일측에는 공기의 유통을 위한 절개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면에는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된 용기연장부(14)가 탄성거치구(11)의 상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연장부(14)는 용기본체(10)에서 상향 연장됨으로써 용기본체(10) 내부 공간의 확장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커피추출을 위해 투입되는 온수를 보다 많이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용기연장부(14)의 상단에는 필요에 따라 용기뚜껑(70)가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용기뚜껑(70)의 테두리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탄성거치구(11)와 같은 구조의 덮개거치구가(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는 빨대를 끼울 수 있는 빨대공(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피수용부(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서 일정 길이로 하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단턱(21)과 상기 커피추출부(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단턱(31)사이에 위치하며 내부 공간에 원두커피 분말(3)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커피수용부(20)의 내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컵에 장착되는 특성상 면적으로 인한 손실이 없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추출부(30)는 상기 커피수용부(20)의 하단에 위치하되, 상기 상부단턱(31)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다수개의 추출구(32)가 방사형과 같은 일정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구(32)의 상면에는 원두커피 분말(3)이 흘러내리지 못하게 걸러주며 커피액만을 통과시키도록 여과지(40)가 고정된다.
상기 여과지(40)는 상기 추출구(32)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50) 및 상기 하부커버(60)는 커피수용부(20)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커피수용부(20)의 상부단턱(21)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커버(60)는 상기 커피추출부(30)의 상부단턱(31)에 부착되어 상하측에서 상기 커피수용부(20)에 수용된 원두커피 분말(3)을 외부의 공기로부터 완전하게 밀봉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커버(50) 및 하부커버(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박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60)는 상기 커피추출부(30)의 상부단턱(31)에 부착되는 바, 커피추출부(30) 저면에 고정된 여과지(40)와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부착이 이루어지는데, 이렇게 상부단턱(31)을 형성시켜 하부커버(60)와 여과지(40)를 이격시키는 이유는 하부커버(60)가 여과지(40)에 밀착된 상태인 경우에는 하부커버(60)를 탈거할 때 여과지(40)에 손상이 가거나 또는 여과지(40)가 벗겨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상부커버(50) 및 하부커버(60)의 일측에는 각각 원두커피 음용시 보다 쉽게 상부커버(50) 및 하부커버(6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거용 손잡이(51, 6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거용 손잡이(51, 61)는 음용시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의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가 탄성거치구(11)의 끼움을 통해 컵과 같은 음료용기(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연장부(14)에 끼워져 있는 용기뚜껑(70)를 먼저 분리시킨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50)와 하부커버(60)의 손잡이(51, 61)를 각각 잡아 당겨 상부커버(50)와 하부커버(60)를 커피수용부(20)로부터 탈거시킨다.
이 때, 상부커버(50)를 먼저 탈거한 후 순차적으로 하부커버(60)를 탈거하거나, 또는, 상부커버(50)와 하부커버(60)의 각 탈거용 손잡이(51, 61)를 같이 잡고 동시에 탈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커버(50)와 하부커버(60)를 탈거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에 준비한 온수를 투입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피액의 추출이 다 이루어지고 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용기(1)를 음료용기(2)에서 분리시킨 후, 필요에 따라 용기뚜껑(70)를 음료용기(2)에 끼움 결합한 후 빨대공(72)에 빨대를 끼워 추출된 커피액을 음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는 상부커버 (50)및 하부커버(60)의 탈거와 온수 투입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부커버(50)및 하부커버(60)를 탈거시키기 전까지는 원두커피 분말(3)을 밀폐상태로 보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는 일회용 컵과 같은 음료용기(2) 자체에 결합된 상태로 제조되어 음료용기(2)와 일체로 판매되거나, 또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 자체만으로 제조되어 판매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1)를 설명하면서 용기본체(10)에 수용된 것으로 원두커피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원두커피 뿐만 아니라 녹차, 홍차 등과 같은 다양한 음료원료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의 사용과정을을 예시한 예시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추출용기
11: 탄성거치구
12: 걸림턱
13: 절개부
14: 용기연장부
20: 커피수용부
21, 31: 상부단턱
30: 커피추출부
32: 추출구
40: 여과지
50: 상부커버
60: 하부커버
51, 61: 탈거용 손잡이
70: 용기뚜껑

Claims (4)

  1. 상단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에서 일정거리 하향된 위치에는 원두커피 분말(3)이 수용되는 커피수용부(20)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피수용부(20)의 하단에는 저면에 다수 개의 추출구(32)를 갖는 커피추출부(30)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용기본체(10);
    상기 커피추출부(30)의 추출구(32) 상면에 고정되는 여과지(40);
    상기 커피수용부(20)의 상부단턱(21)에 부착되어 상기 커피수용부(20)의 상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탈거용 손잡이(51)가 연장 형성된 상부커버(50); 및
    상기 여과지(4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커피추출부(30)의 상부단턱(31)에 부착되어 상기 커피수용부(20)의 하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탈거용 손잡이(61)가 연장 형성되는 하부커버(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가짐과 함께 그 내측면에 걸림턱(12)이 돌출 형성되어 컵과 같은 음료용기(2)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거치구(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거치구(11)의 일측에는 공기유통을 위한 절개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에는 그 상단면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된 용기연장부(1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20090007246U 2009-01-16 2009-06-05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455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46U KR200455438Y1 (ko) 2009-06-05 2009-06-05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13/145,106 US20110271845A1 (en) 2009-01-16 2009-12-11 Disposable coffee-brewing device
PCT/KR2009/007427 WO2010082727A2 (ko) 2009-01-16 2009-12-11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JP2011546205A JP2012515043A (ja) 2009-01-16 2009-12-11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CN2009801549988A CN102316772A (zh) 2009-01-16 2009-12-11 一次性原豆咖啡冲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46U KR200455438Y1 (ko) 2009-06-05 2009-06-05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08U KR20100012408U (ko) 2010-12-15
KR200455438Y1 true KR200455438Y1 (ko) 2011-09-05

Family

ID=4420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246U KR200455438Y1 (ko) 2009-01-16 2009-06-05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4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53Y1 (ko) 2009-10-16 2012-07-12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RU221414U1 (ru) * 2023-09-18 2023-11-07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держател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употребления напитков в автотранспорт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808B1 (ko) * 2011-07-15 2014-04-01 노환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200480810Y1 (ko) * 2015-10-06 2016-07-08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WO2018004189A1 (ko)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2402420B1 (ko) * 2021-04-02 2022-05-26 주식회사 휴럼 기능성 콜드브루 메이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005A (ja) 2000-02-04 2001-08-07 Isao Minamii ドリッパー型粉末飲料密封用ミニカ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005A (ja) 2000-02-04 2001-08-07 Isao Minamii ドリッパー型粉末飲料密封用ミニカップ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53Y1 (ko) 2009-10-16 2012-07-12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RU221414U1 (ru) * 2023-09-18 2023-11-07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держател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употребления напитков в автотранспорте
RU221680U1 (ru) * 2023-09-27 2023-11-17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капсул с защитой от случайного снятия кольцевой части
RU222469U1 (ru) * 2023-10-05 2023-12-27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двух капсул
RU222547U1 (ru) * 2023-10-05 2024-01-09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одной капсулы, оборудова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 защитой от снятия кольцевой части
RU225220U1 (ru) * 2023-12-06 2024-04-15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капсулы, оборудованный прокалывателем и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RU223524U1 (ru) * 2023-12-16 2024-02-22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трех капсул, оборудованный защитой от снятия кольцевой части
RU225523U1 (ru) * 2023-12-29 2024-04-23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термос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двух капсул, оборудованный захватами и фиксатором
RU223434U1 (ru) * 2024-01-04 2024-02-16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двух капсул, оборудованный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и фиксаторам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08U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6529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JP6185058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バイス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9089239B2 (en) Infuser with solid region to selectively stop infusion and vessel for said infuser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JP2012515043A (ja)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EP1322211B1 (en) Integrated container and infuser apparatus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US9826849B2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KR200454639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CA2411125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JP2001008809A (ja) ドリッパー付カップ
KR200461353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10182615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KR20130092009A (ko) 휴대용 차 추출 용기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KR200353233Y1 (ko) 필터가 구비된 휴대용 컵
KR200381684Y1 (ko)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JP3079403U (ja) 簡易ティーメーカー
KR200341752Y1 (ko) 차컵
JPH0499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