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709Y1 - 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 Google Patents

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709Y1
KR200452709Y1 KR2020090006492U KR20090006492U KR200452709Y1 KR 200452709 Y1 KR200452709 Y1 KR 200452709Y1 KR 2020090006492 U KR2020090006492 U KR 2020090006492U KR 20090006492 U KR20090006492 U KR 20090006492U KR 200452709 Y1 KR200452709 Y1 KR 200452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unit
voice signal
electrical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1876U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주식회사 엔터기술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2020090006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09Y1/en
Publication of KR20100011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7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0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04R1/265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of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1Electrostatic transduc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ets
    • H04R19/016Electrostatic transduc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et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8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백플레이트가 내장되어, 상기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 사이의 정전용량을 통해 입력되는 음파를 제1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콘덴서 마이크 유닛과;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적 음성신호를 FET(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OP AMP(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출력하는 프리앰프부와; 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어프램과 영구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의 자기장을 이용해 입력되는 음파를 제2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과; 상기 프리앰프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 및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 각각의 레벨을 제어하고 이들을 믹싱하여 출력함에 의해 마이크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지향성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 공간과 응용형태에 따라 주파수 특성과 지향성 패턴의 조절이 가능하다.

Figure R2020090006492

콘덴서마이크, 다이나믹 마이크, 지향성, 주파수 특성, 레벨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microphone, 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ly charged diaphragm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is embedded, through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A condenser microphone unit for converting an input sound wave into a first electric voice signal; A pre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and output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by us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r an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A dynamic microphone unit comprising a diaphragm connected to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and converting an input sound wave into a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using a magnetic field between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A directio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rectivity of the microphone by controlling the levels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preamplifier unit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mixing and outputting them Equipp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al pattern according to the user space and application form.

Figure R2020090006492

Condenser microphone, dynamic microphone, directivity, frequency characteristics, level

Description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본 고안의 통합 마이크로 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를 통합함에 의해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의 장점을 취하고 지향성과 주파수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마이크를 구현한 통합 마이크로 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by integrating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to take advantag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and to create a new type of microphone with excellent direc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t relates to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the integrated microphone implemented.

일반적으로 마이크(microphone)는 사람의 음성(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일종의 변환기로써, 현대의 음향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장비이다. In general, a microphone is a type of transducer that converts a person's voice (sound wav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s an essential device in modern acoustic systems.

이러한 마이크는 변환방식에 따라 다이나믹(dynamic) 마이크와 콘덴서(condenser)마이크로 나뉜다.These microphones are divided into dynamic microphones and condenser microphones according to the conversion method.

다이나믹 마이크는 통상적으로 얇은 알루미늄 코일(coil)에 연결되어 있는 가벼운 다이어프램(diaphragm)과 영구자석(magnet)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음원에서 음파가 발생하면 음압에 따라 마이크의 다이어프램이 움직이게 되고, 다이어프램이 움직이면 다이어프램과 연결되어 있는 코일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때 영구자석과 코일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코일을 따라 전압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가 이용된다. 즉 입력되는 음파를 코일과 자석사이의 자기장을 이용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이 다이나믹 마이크이다. Dynamic microphones typically consist of a light diaphragm and permanent magnets connected to a thin aluminum coil. In the dynamic microphone, when sound waves are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the diaphragm of the microphone moves according to the sound pressure, and when the diaphragm moves, the coil connected to the diaphragm moves together. At this time, a magnet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coil to generate a voltage along the coil. In other words, a dynamic microphone converts an input sound wave into an electric signal using a magnetic field between a coil and a magnet.

상술한 바와 같은 다이나믹 마이크는 중저음의 원음 표현력과 단일방향 지향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dynamic microphone as described above is known to be excellent in expressing the original sound of the bass and unidirectional.

한편, 콘덴서 마이크는 백플레이트(backplate)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일정한 양으로 유지되어 있는 전하량과 음성의 음압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움직임의 영향으로 생긴 정전용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기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denser microphone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amplifier due to the amount of charge maintained between the backplate and the diaphragm and the capacitan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due to the sound pressure of the voice.

상술한 콘덴서 마이크는 높은 감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고주파 대역의 음을 부드러우면서 보다 자연스럽게 재생하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condenser microphone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maintaining high sensitivity, and is known to have a characteristic of smoothly reproducing sounds of high frequency bands more naturally.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지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요인은 음원과, 신호가 도달하는 최종위치 뿐 아니라 마이크의 설치방법에 따라 달라지나, 실무적으로는 큰 강당이나 실외와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는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하고, 사원, 소규모 강당, 극장 등에서 고품격의 음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Determining whether to use condenser microphones or dynamic microphones depends on the sound source and the final location of the signal, as well as how the microphone is installed.In practice, the dynamic microphone is used in harsh environments such as large auditoriums or outdoors. In addition, condenser microphones are used when high quality sound is required in employees, small auditoriums, and theaters.

그러나, 이와 같이 장소나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마이크를 사용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However, it is inefficient to use different kinds of microphones according to the place or environment.

따라서, 다이나믹 마이크의 장점과 콘덴서 마이크의 장점인 중저음과 고음이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고 전방향 지향성을 가질 수 있는 복합 형태의 마이크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hybrid microphone capable of having omnidirectionality with excell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bass and treble, which are advantages of a dynamic microphone and a condenser microphon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microphone that can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이나믹 마이크의 장점과 콘덴서 마이크의 장점을 구현할 수 있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an integrated microphone structure that can realize the advantages of a dynamic microphone and the advantages of a condenser microphon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저음과 고음이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통합 마이크로 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an integrated microphone structure having excellent bass and treble frequency characteristic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지향성 패턴을 가지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a structure of an integrated microphone having various directional pattern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파수 특성과 지향성을 사용공간과 응용형태별로 조절할 수 있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nd an integrated microphone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directivity according to the use space and application type.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백플레이트가 내장되어, 상기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 사이의 정전용량을 통해 입력되는 음파를 제1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콘덴서 마이크 유닛과;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적 음성신호를 FET(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OP AMP(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출력하는 프리앰프부와; 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어프램과 영구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사이의 자기장을 이용해 입력되는 음파를 제2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과; 상기 프리앰프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 및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 각각의 레벨을 제어하고 이들을 믹싱하여 출력함에 의해 마이크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지향성 제어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ome of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built-in electrically charged diaphragm and back plate,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A condenser microphone unit for converting sound waves input through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 pre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and output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by us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r an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A dynamic microphone unit comprising a diaphragm connected to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and converting an input sound wave into a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using a magnetic field between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A directio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rectivity of the microphone by controlling the levels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preamplifier unit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mixing and outputting them Equipped.

상기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는, 상기 지향성 제어부에서 출력된 믹싱신호를 밸런스 (+)출력신호와 밸런스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mixed signal output from the directivity controller into a balanced (+) output signal and a balanced (−) output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outside.

상기 지향성 제어부는, 상기 프리앰프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1신호제어부와;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2신호제어부와; 상기 제1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directivity controller includes: a first signal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level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A second signal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level of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a mixing unit configured to mix and output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controller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상기 지향성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제2전기적 음성신호를 차동 증폭한 차동증 폭신호를 상기 믹싱부에 제공하여, 상기 차동증폭신호가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와 함께 상기 믹싱부에서 믹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동증폭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irectivity control unit provides a differential amplification signal obtained by differentially amplifying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controller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to provide the mixing unit. The differential amplifi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differential amplifier for mixing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in the mixing unit.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통합 마이크로 폰 구조는, 일정크기의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연결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상부에 배치되어 음파에 따라 진동하는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diaphragm)을 구비하는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과;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상부 중앙부위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충전된 다이어프램 및 백플레이트가 내장된 원통형 구조로써,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전달되는 음파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콘덴서 마이크 유닛과;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과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원통형 구조로써, 상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의 하부면 또는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상부중앙부위로 음파가 전달되도록 측면에 복수의 공기구멍들이 형성된 지지체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ome of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micropho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manent magnet of a certain size, a coil surrounding the permanent magnet, connected to the coil and the permanent A dynamic microphone unit disposed on the magnet and having a diaphragm for the dynamic microphone which vibrates according to sound waves; A condenser microphone unit disposed at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ally charged diaphragm and a back plate are built-in, and converting sound waves transmitt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into electrical voice signals;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the both ends of which is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supporting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or the dynamic microphone unit. 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holes on the side to transmit sound waves to the upper center portion.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하부에는 울림공간과,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을 위한 프리앰프 PCB가 배치될 수 있다.A ringing space and a preamplifier PCB for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may be disposed below the dynamic microphone unit.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를 통합하여 구현함에 따라, 다양한 지향성 및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마이크의 구현이 가능하며, 사용자 공간과 응용형태에 따라 조절 설정가능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icrophone having a variety of direc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adjust settings according to the user space and application form It will have a possible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any intention other than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라 함)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micro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crophon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회로(100)는, 마이크 유닛부(110), 프리앰프(pre AMP)부(120), 지향성제어부(150) 및 출력부(160)를 구비한다.1 and 2, the microphone circu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unit 110, a pre AMP unit 120, a directivity control unit 150, and The output unit 160 is provided.

상기 마이크 유닛부(110)는 콘덴서 마이크 유닛(112) 및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114)을 구비한다.The microphone unit 110 includes a condenser microphone unit 112 and a dynamic microphone unit 114.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112)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충전된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백플레이트가 내장되어, 상기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 사이의 정전용량을 통해, 입력되는 음파(음성신호)를 제1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112)의 구조 및 동작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112 has a built-in electrically charged diaphragm and back plate,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lectrostatic for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Through the capacitance, the input sound wave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nd provided.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112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114)은 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어프램과 영구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사이의 자기장을 이용해, 입력되는 음파(음성신호)를 제2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114)의 구조 및 동작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dynamic microphone unit 114 is composed of a diaphragm and a permanent magnet connected to a coil, and converts an input sound wave (voice signal) into a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using a magnetic field between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do.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dynamic microphone unit 114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프리앰프부(120)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110)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적 음성신호를 FET(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OP AMP(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프부(120)는 콘덴서 마이크의 특성상 외부장치의 구동을 위한 신호증폭을 위해 필요하다.The preamplifier 120 amplifies and outputs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110 us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r an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The preamplifier 120 is required for signal amplification for driving an external devi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denser microphone.

상기 프리앰프부(120)는 통상적으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Field Effect Transistor))나 OP AMP(Operational Amplifier)를 구비하여 신호증폭을 수행한다.The preamplifier 120 typically includes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r an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to perform signal amplification.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는 제1신호제어부(152), 제2신호제어부(154), 차동증폭부(156), 및 믹싱부(158)를 구비한다. The directivity controller 150 includes a first signal controller 152, a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a differential amplifier 156, and a mixing unit 158.

상기 제1신호제어부(152)는 상기 프리앰프부(120)를 통해 증폭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은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전압의 레벨, 전류의 양 등을 포함하며, 레벨을 조절한다는 의미는 볼륨을 조절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adjusts the level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preamplifier 120. Here, the level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includes the level of the voltage, the amount of current, and the like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nd adjusting the level may include adjusting the volume.

상기 제1신호제어부(152)는 일반적으로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변저항회로나 증폭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may generally include circuit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microphone signal, and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ance circuit or an amplifier circuit.

상기 제2신호제어부(154)는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114)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은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전압의 레벨, 전류의 양 등을 포함하며, 레벨을 조절한다는 의미는 볼륨을 조절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adjusts the level of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dynamic microphone unit 114. Here, the level of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includes the level of the voltage, the amount of current, and the like of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and adjusting the level may include adjusting the volume.

상기 제2신호제어부(154)는 일반적으로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변저항회로나 증폭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may generally include circuit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microphone signal, and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ance circuit or an amplifier circuit.

상기 차동증폭부(156)는 적어도 하나의 차동증폭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신호제어부(152)에서 제어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신호제어부(154)에서 제어된 제2전기적 음성신호를 차동 증폭한 차동증폭신호를 상기 믹싱부(158)에 제공하여, 상기 차동증폭신호가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와 함께 상기 믹싱부(158)에서 믹싱되도록 한다.The differential amplifier 156 includes at least one differential amplifier to control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The differential amplified signal obtained by differentially amplifying is provided to the mixing unit 158 so that the differential amplifying signal is mixed in the mixing unit 158 together with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상기 믹싱부(158)는 상기 제1신호제어부(152)에서 제어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 상기 제2신호제어부(154)에서 제어된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 상기 차동증폭부(156)에서 출력된 차동증폭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한다.The mixing unit 158 may include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and the differential amplifier 156. Mix and output the differential amplification signal output from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는 상기 차동증폭부(156)를 구비함이 없이 제1신호제어부(152), 제2신호제어부(154), 믹싱부(158)를 구비하여, 상기 믹싱부(158)는 상기 제1신호제어부(152)에서 제어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신호제어부(154)에서 제어된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rectional controller 150 includes 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and the mixing unit 158 without the differential amplifier 156. The unit 158 may mix and output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는 단일방향 지향성을 가지는 다이나믹 마이크의 특 성과 전방향 지향성을 가지는 콘덴서 마이크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114)에서 출력되는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볼륨 등의 레벨과,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112)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볼륨 등의 레벨을 제어하고 이들을 믹싱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다양한 지향성을 가지는 마이크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향성의 조절 뿐 아니라 마이크의 감도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150 uses a characteristic of a dynamic microphone having a unidirectional directivity and a characteristic of a condenser microphone having an omnidirectional directivity, such as a volume of a second electric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dynamic microphone unit 114. And control the levels of the volume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112 and the like and mix th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icrophone having various directivity. In addition to adjusting the directivity,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sensi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icrophone.

더군다나 차동증폭부(156)를 구비하여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차동증폭신호를 상기 믹싱부(158)에서 함께 믹싱함에 따라 더욱더 다양한 지향성, 다양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마이크 구성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 microphone having a differential amplifier 156 and having a different directivity and vari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by mixing the differential amplifier signal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together in the mixing unit 158 This becomes possible.

상기 제1신호제어부(152) 및 상기 제2신호제어부(154)의 제어를 어떤 방식으로 수행해야 어떠한 지향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가에 대하여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How directivity or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and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should be controlled can be determine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예를 들어,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중간정도로 하고,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최대값으로 제어하는 경우의 지향성이나 주파수 특성과,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최대값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중간값이나 최저값으로 제어한 상태에서의 지향성이나 주파수 특성에 대한 값을 산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변경하고 그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값을 토대로 하여, 필요한 지향성이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신호제어부(152) 및 상기 제2신호제어부(154)의 제어방식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direc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level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is set to a medium level and the level of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is controlled to a maximum value are controlled to the maximum value. And varying the levels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in various ways, such as calculating values for direc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a state where the level of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is controlled to an intermediate value or the lowest value. And the resulting valu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esult, the control method of the first signal controller 152 and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154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quired directivity or frequency characteristic.

상술한 바와 같이, 콘덴서 마이크 유닛(112)과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114)의 출력레벨을 각각 제어하여 이들을 조합함에 의해 다양한 주파수 특성(frequency response)과 지향성(polar response)를 가지는 마이크 구성이 가능해진다. 대표적으로 조절가능한 지향성의 예를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었고, 주파수 특성을 도 7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output levels of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112 and the dynamic microphone unit 114, respectively, and combining them, a microphone having various frequency response and polar response can be configured. Representatively adjustable directivity examples are shown in FIGS. 3 to 6,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FIGS. 7 to 10.

도 3은 콘덴서 마이크의 일반적인 지향성 패턴인 전방향 패턴의 경우이고, 도 4는 다이나믹 마이크의 일반형 패턴, 도 5와 도 6은 리본형 지향성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지향성 패턴은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를 통한 제어를 통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장소의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지향성을 가지는 마이크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3 is a case of an omnidirectional pattern which is a general directivity pattern of a condenser microphone, FIG. 4 is a general pattern of a dynamic microphone, and FIGS. 5 and 6 show ribbon directivity patterns. These directivity patterns are possible through control through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15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icrophone having a variety of directiv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uses of the place.

도 7은 저음이 컷(cut)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일반적인 경우의 주파수 특성, 도 9는 저음 부스트(boost)의 주파수 특성, 도 10은 플랫(flat)형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주파수 특성은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를 통한 제어를 통해 가능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in which bass is cut, FIG. 8 illustrat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in a general case, FIG. 9 illustrat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bass boost, and FIG. 10 illustrates a flat frequency characteristic. . These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possible through control through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150.

상기 출력부(160)는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에서 출력된 믹싱신호를 밸런스 (+)출력신호와 밸런스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마이크 출력신호를 밸런스 (+)출력신호와 밸런스 (-)출력신호로 하여 두가지로 출력하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에서 출력된 믹싱신호를 두가지로 구분함이 없이 하나의 신호로 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output unit 160 converts the mixed signal output from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150 into a balance (+) output signal and a balance (−) output signal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outside. It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output two types of microphone output signals as balanced (+) output signals and balanced (-) output signals. In some cases, the mixed signal output from the directivity controller 150 may be output as one signal without being divided into two types.

상기 출력부(160)는 신호의 안정적 출력을 위한 저항(R1,R2), 및 콘덴서(C)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밸런스 (+)출력신호와 밸런스 (-)출력신호의 발생을 위한 인버터(162,164)를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60 may include a resistor (R1, R2), and a capacitor (C) for the stable output of the signal, the inverter for generating a balanced (+) output signal and a balanced (-) output signal ( 162, 164 may be provided.

도 1 및 도 2의 마이크 유닛(110) 및 상기 프리앰프부(120)는 도 11 및 도 12의 마이크 헤드부에 구성되며, 상기 지향성 제어부(150) 및 출력부(160)는 마이크 본체의 중간부 또는 하단부에 구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 헤드부를 구성하는 마이크 유닛(110) 및 상기 프리앰프부(120)와 마이크 본체의 중간부 또는 하단부에 구성되는 지향성제어부(150)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커넥터(125)가 구비된다.The microphone unit 110 and the preamplifier unit 120 of FIGS. 1 and 2 are configured in the microphone head unit of FIGS. 11 and 12, and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150 and the output unit 160 are in the middle of the microphone body. It will be configured at the bottom or bottom. Accordingly, a connector 125 for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microphone unit 110 constituting the microphone head unit and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150 configured at the middle or lower end of the preamplifier unit 120 and the microphone main body is provided.

도 11 및 도 12는 도 1 및 도 2의 회로구조를 가지는 통합 마이크로폰의 헤드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사시도이고, 도 12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1 and 12 illustrate a head structure of an integrated microphone having the circuit structure of FIGS. 1 and 2.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12 shows a sectional view.

마이크는 원통형 구조로써, 통상적으로 음성이 입력되는 헤드부와,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 등 신호처리 회로 등이 구비되는 중간부 및 하단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간부 및 하단부의 구조는 내부 회로 등의 차이는 있지만 그 외부구조(외형)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마이크의 구조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마이크 헤드부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microphone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may include a middle part and a lower part including a head part through which a voice is input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such as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 middle part and the lower part have internal circuits.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ack, the exterior (appearance)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a well-known microphone. Therefore,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head portion will be described herein.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헤드부의 구조는 우선 최상단부에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이 배치된다.As shown in Figure 11 and 12, the structure of the microphone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arranged a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at the top end.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은 전기적으로 충전된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백플레이트가 내장되며 외부가 원통형 구조의 케이스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콘 덴서 마이크 유닛(510)은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음성(음파)이 전달되면, 이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includes an electrically charged diaphragm and a back plate and is surrounded by a case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When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transmits a voice (sound wave)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capacitor microphone unit 510 converts the sound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voice signal.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원통형 구조의 지지체(5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체(510)는 측면에 복수의 공기구멍(음성이 전달되기 위한 통로)들(522)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5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의 하부면으로 음파가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구멍(음성이 전달되기 위한 통로)들(522)은 상기 지지체(5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530)으로 음파가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is supported by a support 520 of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whose both ends are open. The support 510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paths through which voice is transmitted) 522 formed at a side thereof, so that sound waves are dir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510. To be deliver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ir holes (paths for delivering voice) 522 also serve to transmit sound waves to the diaphragm 530 for the dynamic microphone located under the support 510.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과 상기 지지체(520)는 상기 다이나닉 마이크 유닛의 다이어프램(530)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다. 즉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과 상기 지지체(520)는 상기 다이나닉 마이크 유닛의 다이어프램(530)의 상부중앙부위에 위치되게 되며, 상기 다이나닉 마이크 유닛의 다이어프램(530)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은 다이어프램(530), 영구자석(540), 코일(550) 등을 포함한다.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and the support 520 have a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diaphragm 530 of the dynamic microphone unit. That is,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and the support 520 are position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diaphragm 530 of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ar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aphragm 530 of the dynamic microphone unit. It will be arranged in diameter. Here, the dynamic microphone unit includes a diaphragm 530, a permanent magnet 540, a coil 550, and the like.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53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공기구멍들이 형성된 보호케이스(53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530)이 배치되고,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530)의 하부에는 영구자석(540)과 코일(550)이 배치되고, 이들을 감싸는 외형 케이스(545)가 배치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530 for the dynamic microphone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ase 535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The diaphragm 530 for the dynamic microphone is disposed, and a permanent magnet 540 and a coil 550 are disposed below the dynamic microphone diaphragm 530, and an outer case 545 is disposed to surround them.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530)의 상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지지 체(520)가 배치되기 때문에 음파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520)는 측면에 공기구멍(522)들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져,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530)의 상부중앙부위에도 음파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support body 520 is disposed at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dynamic microphone diaphragm 530, sound waves may not be transmitt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upport 520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holes 522 are formed at the side and the bottom thereof is open, so that sound waves can be transmitted well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diaphragm 530 for the dynamic microphone.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하부에는 떨림방지 고무(560)가 배치된다. 상기 떨림방지고무(560)는 통합마이크의 떨림과 노이즈 감소를 위한 구조물이다.An anti-shake rubber 560 is disposed below the dynamic microphone unit. The anti-shake rubber 560 is a structure for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of the integrated microphone.

상기 떨림방지고무(560)의 하부는 하단고정을 위한 케이스(565)와, 울림공간(570)이 배치되고, 하단고정고무(575), 스크류(590)에 의해 고정되는 프리앰프PCB(Printed Circuit Board)(580)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앰프 PCB(Printed Circuit Board)(58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을 위한 프리앰프부(회로)가 구성된 기판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anti-vibration rubber 560 is a pre-amp PCB (Printed Circuit) is fixed by the case 565 and the ringing space 570, the lower fixing rubber 575, the screw 590 is fixed to the bottom fixed Board 580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preamplifier printed circuit board (PCB) 580 is a substrate on which a preamplifier part (circuit) is configured for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종합적으로 보면, 마이크 헤드부의 최상단에는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이 배치되고,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을 지지지하는 지지체(520)가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과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체(520)의 하부에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530,540,550 등)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In general, a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microphone head, and a support 520 for supporting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is disposed between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and the dynamic microphone unit. In addition, a dynamic microphone unit 530, 540, 550, etc. may be disposed under the support 520.

여기서 지지체(520)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510)의 하단부와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중앙상단부로 음파가 잘 전달되도록, 양단이 개방되고, 측면에 다수의 공기구멍들이 형성된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Here, the support 52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open and a plurality of air holes are formed at the side so that sound waves are well transm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510 and the central upper end of the dynamic microphone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콘덴서 마이크와 다이나믹 마이크를 통합하여 구현함에 따라, 다양한 지향성 및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마이크의 구현이 가능하며, 사용자 공간과 응용형태에 따라 조절 설정가능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the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dynamic microphon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icrophone having a variety of direc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space and application type .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마이크로폰 회로의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현 회로도이고,2 is an implementation circuit diagram of FIG. 1;

도 3 내지 도 6은 도 1 및 도 2에 의해 구현된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를 통해 구현된 지향성 패턴들이고, 3 to 6 are directional patterns implemented through 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implemented by FIGS. 1 and 2,

도 7 내지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의해 구현된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를 통해 구현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들이고,7 to 10 are graphs show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implemented through 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implemented by FIGS. 1 and 2;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마이크로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tegrated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마이크 유닛 120 : 프리앰프부110: microphone unit 120: preamp section

150 : 지향성 제어부 152 : 제1신호제어부150: directivity control unit 152: first signal control unit

154 : 제2신호제어부 156 : 차동증폭부154: second signal controller 156: differential amplifier

158 : 믹싱부 160 : 출력부 158: mixing unit 160: output unit

Claims (6)

전기적으로 충전된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백플레이트가 내장되어, 상기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 사이의 정전용량을 통해 입력되는 음파를 제1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콘덴서 마이크 유닛과;A condenser microphone unit having a built-in electrically charged diaphragm and a back plate to convert sound waves input through a capaci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into a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적 음성신호를 FET(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OP AMP(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출력하는 프리앰프부와;A pre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and output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by us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r an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어프램과 영구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사이의 자기장을 이용해 입력되는 음파를 제2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과; A dynamic microphone unit comprising a diaphragm connected to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and converting an input sound wave into a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using a magnetic field between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상기 프리앰프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 및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 각각의 레벨을 제어하고 이들을 믹싱하여 출력함에 의해 마이크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지향성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A directio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rectivity of the microphone by controlling the levels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preamplifier unit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mixing and outputting them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는, 상기 지향성 제어부에서 출력된 믹싱신호를 밸런스 (+)출력신호와 밸런스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The integrated microphone circu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mixed signal output from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into a balanced (+) output signal and a balanced (−) output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제어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상기 프리앰프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1신호제어부와;A first sig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2신호제어부와;A second signal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level of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dynamic microphone unit; 상기 제1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싱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And a mixing unit for mixing and outputting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controller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제어부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irectivity control unit, 상기 제1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신호제어부에서 제어된 제2전기적 음성신호를 차동 증폭한 차동증폭신호를 상기 믹싱부에 제공하여, 상기 차동증폭신호가 상기 제1전기적 음성신호와 상기 제2전기적 음성신호와 함께 상기 믹싱부에서 믹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동증폭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The differential amplification signal is provided by providing a differential amplification signal obtained by differentially amplifying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controller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controller. And at least one differential amplifier for mixing in the mixing unit together with the first electrical voice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voice signal.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연결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상부에 배치되어 음파에 따라 진동하는 다이나믹 마이크용 다이어프램(diaphragm)을 구비하는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과;A dynamic microphone unit having a permanent magnet, a coil surrounding the permanent magnet, and a diaphragm connected to the coil and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rmanent magnet and vibrating according to sound waves;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상부 중앙부위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충전된 다이어프램 및 백플레이트가 내장된 원통형 구조로써,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전달되는 음파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콘덴서 마이크 유닛과;A condenser microphone unit disposed at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ally charged diaphragm and a back plate are built-in, and converting sound waves transmitt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into electrical voice signals;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과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원통형 구조로써, 상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의 하부면 또는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상부중앙부위로 음파가 전달되도록 측면에 복수의 공기구멍들이 형성된 지지체를 구비하되,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dynamic microphone unit and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the both ends of which is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supporting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or the dynamic microphone un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holes on the side so that sound waves are delivered to the upper central portion, 상기 다이나믹 마이크 유닛의 하부에는 울림공간과, 상기 콘덴서 마이크 유닛을 위한 프리앰프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이크로 폰 구조.An integrated micropho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ringing space and a preamplified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the condenser microphone unit is disposed below the dynamic microphone unit. 삭제delete
KR2020090006492U 2009-05-28 2009-05-28 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KR2004527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92U KR200452709Y1 (en) 2009-05-28 2009-05-28 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92U KR200452709Y1 (en) 2009-05-28 2009-05-28 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76U KR20100011876U (en) 2010-12-08
KR200452709Y1 true KR200452709Y1 (en) 2011-03-21

Family

ID=4420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92U KR200452709Y1 (en) 2009-05-28 2009-05-28 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0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5538B2 (en) * 2014-05-01 2018-01-24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mposite micro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882Y1 (en) * 1991-01-09 1993-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mixing a audio signal of microphone
JPH08214391A (en) * 1995-02-03 1996-08-20 Iwatsu Electric Co Ltd Bone-conduction and air-conduction composite type ear microphone device
KR20020059528A (en) * 2001-01-08 2002-07-13 구자홍 Microphone circuit
JP2007312261A (en) * 2006-05-22 2007-11-29 Audio Technica Corp Micro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882Y1 (en) * 1991-01-09 1993-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mixing a audio signal of microphone
JPH08214391A (en) * 1995-02-03 1996-08-20 Iwatsu Electric Co Ltd Bone-conduction and air-conduction composite type ear microphone device
KR20020059528A (en) * 2001-01-08 2002-07-13 구자홍 Microphone circuit
JP2007312261A (en) * 2006-05-22 2007-11-29 Audio Technica Corp Micro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76U (en)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8904B2 (en) Voltage control device for ear microphone
JP4519041B2 (en) Speaker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
US10362386B2 (en) Loudspeaker enclosure with a sealed acoustic suspension chamber
JP5610903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7511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panding sound reproduction band
CN101627639B (en) Audio system with synthesized positive impedance
KR20080019567A (en) Acoustic transducer
JPWO2004006620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O2018100754A1 (en) Acoustic apparatus
US20140208925A1 (en) Pickup system for cajon percussion instruments
US20080310669A1 (en) Wire suspension for speakers
JP2701279B2 (en) Sound equipment
KR200452709Y1 (en) Unification microphone circuits and unification microphone structure
KR101800575B1 (en) Transducer using external environment
EP1051058A2 (en) Piezoelectric audio device and method for sound production
CN113691915A (en) Acoustic-electric conversion structure, electric signal amplification circuit and dual-mode microphone
KR101351891B1 (en) Sound transducer with sound pressure controll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volume
CN112104956A (en) Passive radiator and electroacoustic device comprising same
JP5781194B2 (en) Microphone
JP2015159537A (en) Loudspeaker with piezoelectric elements
US7796768B2 (en) Variable alignment loudspeaker system
EP3788795A1 (en) An electroacoustic earcup for open-back headphones
JP6316658B2 (en) MFB speaker device
CN214544761U (en) Sound box
KR20180073025A (en) Integrated 3-way Flat Slim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