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716Y1 - emergency call device - Google Patents

emergency cal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716Y1
KR200442716Y1 KR2020070006342U KR20070006342U KR200442716Y1 KR 200442716 Y1 KR200442716 Y1 KR 200442716Y1 KR 2020070006342 U KR2020070006342 U KR 2020070006342U KR 20070006342 U KR20070006342 U KR 20070006342U KR 200442716 Y1 KR200442716 Y1 KR 200442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processor
case
button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3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4371U (en
Inventor
강의수
Original Assignee
강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의수 filed Critical 강의수
Priority to KR2020070006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16Y1/en
Priority to PCT/KR2008/001758 priority patent/WO2008120917A1/en
Publication of KR20080004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7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1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목에 차고 다니거나 손바닥에 쥐고 다니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신변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비상 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긴급호출용 버튼이 구비되고, 전용키에 의해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한 잠금장치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제1 케이스; 만곡된 형태를 가지면서, 일측에 상기 잠금장치부와 대응되게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긴급호출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들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all device that has an excellent effect on personal protection by allowing a user to automatically carry the current position with a simple operation while carrying it on a wrist or holding it in the palm of the hand. A first case having a curved shape in which a locking device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by a dedicated key is formed at one side; A second case having a curved shape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device; A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to each other; And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side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비상호출장치, RFID, 신변보호, 위치추적, GPS Emergency call device, RFID, personal protection, location tracking, GPS

Description

비상 호출 장치{emergency call device} Emergency call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도.1 is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의 외관 사시도.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비상 호출 장치가 잠금해제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Figure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shown in Figure 2 is unlocked.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제2 케이스 내측의 구성도.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ases shown in FIG. 2. FIG.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비상 호출 장치의 절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shown in FIG.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의 외관 사시도.Figure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주요부의 간단한 부호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프로세서 12 : 표시부10 processor 12 display unit

14 : 버튼부 16 : 마이크14 button 16: microphone

18 : 배터리 20 : 램프부18: battery 20: lamp unit

22 : GPS 수신부 24 : RF 처리부22: GPS receiver 24: RF processor

26 : 메모리 28 : 진동부26 memory 28 vibrating unit

30 : 스피커30: speaker

30a : 제1 케이스 30b : 제2 케이스30a: first case 30b: second case

32 : 힌지부 34a, 34b : 요홈32: hinge portion 34a, 34b: groove

36 : 램프 38 : 표시창36: lamp 38: display window

40 : 키홈부 42 : 긴급 버튼40: key groove 42: emergency button

44 : 잠금돌기 44a : 걸림홈44: locking projection 44a: locking groove

44b : 돌기 삽입홈 46 : 잠금장치부44b: protrusion insertion groove 46: locking device

48 : 잠금키 48a : 슬라이딩 홈48: locking key 48a: sliding groove

50a, 50b : 절단방지 부재 52 : 취소 버튼50a, 50b: cut preventing member 52: cancel button

54 : 파손 감지선 54a : 감지선 삽입홈54: breakage detection line 54a: detection line insertion groove

56a~56c : 비전도 부재56a ~ 56c: non-conductive

60 : 몸체 62 : 긴급 버튼60: body 62: emergency button

64 : 전원스위치 66 : 램프64: power switch 66: lamp

68 : 배터리 상태 표시부68: battery status display

본 고안은 비상 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신변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비상 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al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call device that has an excellent effect on personal protection by allowing a user to carry and automatically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with a simple operation.

현대 도시가 급격히 발달하고 핵가족화가 가속화됨으로써 이웃 간의 왕래가 적어지게 됨에 따라 신체적으로 연약한 어린이, 여성, 노약자는 주위의 도움을 받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은 범죄의 주 대상이 되고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and the accelerating nuclear family, less and less neighbors come and go, physically weak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are less likely to get help from their surroundings. Therefore, they are the target of crime.

이러한 사회 현상은 물질만능주의의 팽배와 사회적 양극화 등 사회 병리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더욱 심해지고 있다.These social phenomena are getting worse as social pathologies, such as the expansion of materialism and social polarization, get worse.

그래서 상대적으로 연약한 자들은 범죄자로부터 자신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가스총, 전기 충격기와 같은 각종 호신용 도구 등을 지니고 다니거나 휴대용 비상경보기를 휴대하고 다니고 있다.Therefore, the relatively weak people carry various personal protection tools such as gas guns and stun guns or carry portable emergency alarms to protect themselves from criminals.

그런데, 이러한 호신용 도구들은 어느 정도의 사용시간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불시에 벌어지는 가해자의 행동에 대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However, these self-defense tools require a certain amount of time, so it is not easy to cope with the behavior of the abuser.

또한 휴대용 비상경보기도 이를 가방 등에 넣어서 다니기 때문에 가해자의 불시행동에 대응되게 적절한 비상경보를 발령하기가 어렵다. 이런 비상경보는 일시적으로 경고하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고 가해자가 피해자를 강제로 납치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portable emergency alarms are carried in a bag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issue an appropriate emergency alarm to cope with the abuser's accidental behavior. These emergency alarms are very temporary, and they can't be helped if they ignore them and force the victim to abduct the victim.

최근 들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공개특허 2006-24552호에 개시되어 있음)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이동단말기를 구입하여야 하고, 이동단말기의 기능 조작이 단순하지 않아 활용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Recently, a servic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24552) has been provided that can detect a user's lo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in order to use this, an expensive mobile terminal must be purchased, and a function manipul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obtain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use because it is not simple.

또한, 이러한 이동단말기는 가해자가 쉽게 이동단말기의 위치제공 장치를 손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피해자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mobile terminal to continuously provide the location of the victim because the abuser may easily damage the location providing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목에 차고 다니거나 손바닥에 쥐고 다니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신변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비상 호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transmit the current position with a simple operation while carrying the wrist or the palm of his hand, thereby making an emergency call having an excellent effect on personal protection. The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는 긴급호출용 버튼이 구비되고, 전용키에 의해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한 잠금장치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제1 케이스; 만곡된 형태를 가지면서, 일측에 상기 잠금장치부와 대응되게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긴급호출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내측으로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절단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장치들을 수용하는 비전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emergency call, the first of a curved shap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device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by a dedicated key case; A second case having a curved shape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device; A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to each other; And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side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t preventing member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It further comprises a non-conductive member for receiving the electronic devices.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비전도 부재 내측에는, 긴급호출 신호 송출 명령을 위한 버튼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구비하여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램프부;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긴급호출신호와 함께 위치정보를 송출 처리하는 RF 처리부;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게 되면 긴급호출신호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처리된 위치정보를 송출하도록 상기 RF 처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utton unit 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for an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ssion command; A lamp unit for guiding an operating state with at least one lamp;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n RF processor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RF processor to transmit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GPS receiver when the button unit is pressed.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비전도 부재 내측에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에 주변음을 저장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icrophone 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And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soun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microphone, and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driving of the microphone to store the ambient sound in the memory when the button unit is pressed. do.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비전도 부재 내측에는,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자를 구비하는 진동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긴급호출 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상기 스피커와 진동부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eake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A vibrator having a vibrator is further provided, and the processor controls driving of the speaker and the vibrator when an emergency call command is input from the button uni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긴급호출 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긴급호출신호와 위치 정보를 송출하도록 상기 RF 처리부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RF processor to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n emergency call command is input from the button uni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긴급호출 명령이 입력된 후 일정 시간 대기하는 동안 취소 버튼이 입력되게 되면 긴급호출신호 송출을 해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cancel an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ssion when a cancel button is input while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n emergency call command is input from the button unit.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내측으로 고리 형태로 연결 구비되는 파손 감지선;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손 감지선이 파손되면 긴급호출신호와 위치정보를 무선 송출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Damage detection line which is provided in a ring form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is further provided, the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all control of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damage detection line is broken; do.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중간부에는 요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Grooves are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는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이 GPS 수신부의 수신 신호로서 위치정보를 연산하는 프로세서, 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긴급호출신호와 위치정보를 RF 송출하는 RF 처리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긴급호출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호출 버튼이 눌려졌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긴급호출신호와 위치정보를 무선 송출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mergency cal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 processor for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as a received signal of the GPS receiver, RF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A cylindrical body having a processing unit; Emergency call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s provided, the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wireless transmission control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비상 호출 장치는 상기 몸체의 측부에 전원스위치, 배터리 상태 표시부, 동작 램프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mergency cal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witch,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the operation lamp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비상 호출 장치가 잠금해제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제2 케이스 내측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비상 호출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1 is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ergency call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call apparatus shown in FIG. 2.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의 제1 케이스(30a), 제2 케이스(30b)가 상호 결합하여 손목에 찰 수 있도록 구성된다.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ase 30a, the second case 30b of the curved shape is coupled to each other to be worn on the wrist.

상기 제1 케이스(30a)는 긴급 버튼(42)이 구비되고, 일측에 소정의 전용키에 의해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한 잠금장치부(46)가 형성되게 된다.The first case (30a)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button 42, the lock unit 46 that can be locked and unlocked by a predetermined dedicated key is formed on one side.

상기 제2 케이스(30b)는 상기 제1 케이스(30a)와 대응되게 만곡된 형태를 가지면서, 일측에 상기 잠금장치부(46)와 대응되게 잠금돌기(44)가 형성되게 된다.The second case 30b ha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se 30a, and the locking protrusion 4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device 46 on one side.

여기서 상기 잠금돌기(44)는 잠금장치부(46)에 형성되는 돌기 삽입홈(44b)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잠금돌기(44)에 형성된 걸림홈(44a)은 잠금장치부(46)의 잠금키(48)에 대응되게 작용하여 잠금 및 잠금해제를 가능하게 한다.Wherein the locking projection 44 is to move along the projection insertion groove (44b) formed in the locking device portion 46, the locking groove 44a formed in the locking projection 44 of the locking device portion 46 It corresponds to the lock key 48 to enable locking and unlocking.

즉, 잠금장치부(46)에 형성된 키홈부(40)는 전용키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 키홈부(40)에 전용키를 삽입하여 일정 방향을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키(48)가 슬라이딩홈(48a)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잠금키(48)가 이동하면서 잠금돌기(44)의 걸림홈(44a)을 벗어나게 되면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key groove 40 formed in the lock unit 46 is operated by a dedicated key, and when the user inserts the dedicated key into the key groove 40 to rotate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lock key 48 is rotated. The sliding groove (48a) is to be moved, when the lock key 48 is moved while leaving the locking groove (44a) of the locking projection 44 is to be unlocked.

상기한 바와 같은 잠금장치부(46)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잠금장치부(46)는 비상 호출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이탈하게 되면 지속적인 사용자 위치 추적이 어려 워지기 때문에 가해자가 비상 호출 장치를 무단으로 해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게 된다.The lock unit 46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prevent the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user. That is, the locking device 46 is installed to prevent the offender from disassembling the emergency call devi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keep track of the location of the user when the emergency call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타측은 힌지부(32)에 의해 연결되게 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각도 이내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is connected by the hinge portion 32,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a certain angle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내측으로 절단방지 부재(50a, 50b)가 구비되게 되는데, 이 절단방지 부재(50a, 50b)는 본 고안인 비상 호출 장치가 외압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이다. 이 절단방지 부재(50a, 50b)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일측은 제1 고정부(46a)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고정부(46b)에 고정되게 된다.The cut preventing members 50a and 50b are provided inside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The cut preventing members 50a and 50b are provided by the emergency cal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ternal pressure. In order to prevent the cutting is made of a strong material and can be easily bent. It is composed of a pair of the cut preventing members (50a, 50b) so that each one side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46a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46b.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내측은 소정의 격벽이 다수 개 설치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여러 전자적인 장치들이 각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에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각 공간부에는 전자적인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전도 부재(56a~56c)가 구성되게 된다. 이 비전도 부재(56a~56c)는 방수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 충격으로부터 각종 전자장치들을 보호하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artitions are installed at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so that various electronic devices as shown in FIG. 1 are install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each partition. do.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c are formed in each of the space parts thus formed to protect electronic devices. The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c perform waterproof functions and protect various electronic devices from external electric shocks.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각 공간부에 설치되는 비전도 부재(56a~56c)의 내측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여러 전자적인 장치들이 설치되게 된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as shown in FIG. 1 are installed 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c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s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즉,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비전도 부재(56a~56b) 내측에는, 긴급호출 신호 송출하고 이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부(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구비하여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램프부(20),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22), 긴급호출신호와 함께 위치정보를 송출 처리하는 RF 처리부(24), 상기 버튼부(14)의 긴급 버튼(42)이 눌려지게 되면 긴급호출신호와 상기 GPS 수신부(22)를 통해 수신 처리된 위치정보를 송출하도록 상기 RF 처리부(24)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0)가 구비되게 된다.That is, the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b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are provided with a button unit 14 and at least one lamp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releasing it. A lamp unit 20 for guiding operation states, a GPS receiver 22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n RF processor 24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an emergency button 42 of the button unit 14 When is pressed, the processor 10 for controlling the RF processor 24 to transmit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22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버튼부(14)는 긴급호출 신호를 송출 명령하기 위한 긴급 버튼(42)과 이 긴급 버튼(42)에 의해 송출 명령된 긴급호출 신호를 취소하기 위한 취소 버튼(52)이 구비된다. 특히 취소 버튼(52)은 다수 개의 숫자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키들을 조작하여 취소 명령을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사전에 취소 명령을 위한 숫자키들(이른바 비밀번호)을 설정해 두어야 한다. Here, the button unit 14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button 42 for sending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a cancel button 52 for cancel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sent by the emergency button 42. In particular, the cancel button 5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etc., the user is to operate the keys to the cancel command. In this case, the user must set the numeric keys (so-called passwords) for the cancellation command in advance.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송출되는 긴급호출신호와 위치정보는 예컨대 이동통신망을 통해 경비업체 등으로 전송되게 되고, 경비업체는 즉각 호출자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wirelessly are transmitted to the security company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nd the security company immediately takes measures to protect the caller.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긴급 버튼(42)이 눌려지게 되면 즉시 긴급호출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긴급 버튼(42)이 눌려지게 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긴급호출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mergency button 42 is press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to send an emergency call signal immediately, if the emergency button 42 is pressed is configured to send an emergency call signal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Can be.

즉, 사용자가 긴급 버튼(42)을 누르게 되면, 버튼부(14)는 이를 프로세서(1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0)는 진동부(28)와 스피커(30)를 제어하여 진동과 경고음을 발생 제어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취소 버튼(52)에 의해 취소 명령이 입력되면 긴급 호출 송출을 해제하고, 그 시간 동안 취소 명령이 입력되지 않게 되면 긴급 호출 송출을 실행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42, the button unit 14 transmits it to the processor 10, and the processor 10 controls the vibrator 28 and the speaker 30 to generate vibration and warning sounds. When the cancel command is inputted by the cancel button 52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emergency call is released. If the cancel command is not input during the time, the emergency call is issued.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비전도 부재(56a~56c) 내측에는, 마이크(16), 이 마이크(16)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6 and a memory 26 for storing soun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microphone 16 are located 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c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프로세서(10)는 상기 긴급호출 버튼부(14)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16)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26)에 주변음을 저장 제어하게 된다.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unit 14 is pressed, the processor 10 controls to drive the microphone 16 to store and control the ambient sound in the memory 26.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내측으로 고리 형태로 연결 구비되는 파손 감지선(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파손 감지선(54)은 감지선 삽입홈(54a)을 통해 고리 형태로 연결되게 된다.In addition, a damage detection line 54 may be further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in a ring shape. The breakage detection line 54 is connected in a ring through the detection line insertion groove 54a.

상기 프로세서(10)는 상기 파손 감지선(54)이 파손되면 긴급호출신호와 위치정보를 무선 송출 제어하게 된다.The processor 10 may wirelessly control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damage detection line 54 is broken.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요홈(34a, 34b)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cesses 34a and 34b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요홈(34a, 34b)은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중간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가 일정 이상의 외압에 의해 일그러질 때 이 요홈(34a, 34b)의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용이하게 파손되도록 하여 다른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되게 된다.The grooves 34a and 34b ar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and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are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pressure. When distorted, the grooves 34a and 34b are formed to protect other portions by making them easier to break than other portions.

이때, 상기 요홈(34a, 34b)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 각 공간부에 상 기한 바와 같은 각종 전자장치를 설치하고, 각 전자장치 간의 신호선이나 전선 등은 상기 요홈(34a, 34b)이 형성된 부위를 통과하도록 하여 본 고안인 비상 호출 장치의 요홈(34a, 34b) 부분이 파손되더라도 본래 목적인 비상호출 기능에는 전혀 지장 없도록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various electronic devices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in the spaces formed in the portions where the grooves 34a and 34b are not formed, and signal lines or wire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are formed in the grooves 34a and 34b. Even if the recesses 34a, 34b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amaged, the emergency call function,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will not interfere at all.

참고로, 상술한 내용에서 버튼부(14)와 긴급 버튼(42), 표시부(12)와 표시창(38), 램프부(20)와 램프(36)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For referenc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utton unit 14, the emergency button 42, the display unit 12, the display window 38, the lamp unit 20, and the lamp 36 have different meanings.

즉, 버튼부(14)는 기구적인 긴급 버튼(42)과 취소 버튼(5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긴급 버튼(42)은 제1 케이스(30a)의 바깥에 긴급 호출을 위해 구비되는 버튼이고, 취소 버튼(52)은 긴급 버튼(42)에 의해 작동되는 긴급 호출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 구비되는 버튼이다. 버튼부(14)는 긴급 버튼(42)이 눌려지게 되면 이를 프로세서(10)로 알려 긴급 호출을 하도록 하고, 취소 버튼(52)이 눌려지게 되면 이를 프로세서(10)로 알려 긴급 호출을 취소하도록 하게 된다.That is, the button 14 includes a mechanical emergency button 42 and a cancel button 52, the emergency button 42 is a button provided for emergency calling outside the first case 30a, The cancel button 52 is a button provided to release the emergency call mode operated by the emergency button 42. The button unit 14 informs the processor 10 when the emergency button 42 is pressed to make an emergency call, and informs the processor 10 when the cancel button 52 is pressed to cancel the emergency call. do.

또한, 표시창(38)은 제1 케이스(30a)의 바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된 단순 표시수단을 의미하고, 표시부(12)는 표시창(38)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서(10)의 제어 하에 현재 동작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나 현재 시각 표시등을 표시창(38)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모듈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38 refers to a simple display means which is installed to protrude out of the first case 30a to be viewed by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2 includes the display window 38 as the processor 10.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message or a current time indicator on the display window 38 for guid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under the control of.

그리고 램프(36)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등을 의미하고, 램프부(36)는 램프(3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서(10)의 제어 하에 특정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램프 모듈을 의미한다.The lamp 36 may be visible to the user, and the lamp unit 36 may include a lamp 36. The lamp 36 may be a lamp module that turns on or turns off a specific lamp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의 외관 사시도 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60), 긴급호출 버튼(62)을 포함한다. Emergency cal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body 60, the emergency call button 62.

상기 몸체(60)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그 내부에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이 GPS 수신부의 수신 신호로서 위치정보를 연산하는 프로세서, 이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긴급호출신호와 위치정보를 RF 송출하는 RF 처리부, 배터리를 구비한다. The body 60 has a cylindrical shape, although not shown,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therein, a processor for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as a reception signal of the GPS receiver, and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a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An RF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RF, and a battery.

상기 긴급호출 버튼(62)은 상기 몸체(6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측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몸체(62)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The emergency call button 6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60, but is not shown but is always configured to protrude out of the body 62 by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호출 버튼(62)이 눌려졌다가 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GPS 정보를 근거로 연산된 위치정보와 긴급호출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상기 RF 처리부를 제어하게 된다.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62 is press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member, the processor may wirelessl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call signal calculated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Control.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출 장치는 상기 몸체(60)의 측부에 전원스위치(64), 배터리 상태 표시부(68), 동작 램프(6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nd the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64,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68, the operation lamp 66 on the side of the body 60.

상기 전원스위치(64)는 전원 입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터리 상태 표시부(68)는 배터리의 현재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동작 램프(66)는 현재 동작 상태를 점멸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The power switch 64 is for interrupting the power input,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68 is for displaying the current capacity of the battery, the operation lamp 66 is for guiding while flash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

사용자는 위험지역이라고 판단되면 긴급호출 버튼(62)을 누른 상태에서 움직 이다가 위험에 직면하게 되면 단지 긴급호출 버튼(62)을 놓음으로써 비상 호출을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danger zone, the emergency call button 62 may be moved while pressing the emergency call button 62.

그리고 사용자는 위험지역이라고 판단되면 긴급호출 버튼(62)을 누른 상태에서 움직이다가 위험지역에서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긴급호출 버튼(62)을 누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64)를 오프 시킴으로써 비상 호출이 발령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f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a danger zone and moves while pressing the emergency call button 62, the emergency call is issued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64 while pressing the emergency call button 62 when it is determined to be out of the danger zone. Can be block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목에 차고 다니거나 손바닥에 쥐고 다니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신변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current position with a simple operation while carrying the wrist or the palm of his hand, thereby exerting an excellent effect on protection of the body.

또한, 본 고안은 가해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비상호출을 할 수가 있어 더욱 신변보호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n emergency call while the offender is not aware of the effect of higher personal protection.

또한, 본 고안은 외압에 의해 다른 부위보다 요홈 부위가 쉽게 파손되도록 하여 가해자가 완전히 망가졌다고 쉽게 오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심시킨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피해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misunderstood that the assailant is completely broken by other pressure than the other parts by the external pressure to provide the location of the victim in a stable state.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실수로 긴급 버튼을 누른 경우 이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canceled if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by mistak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0)

긴급호출용 버튼(42)이 구비되고, 전용키에 의해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한 잠금장치부(46)가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제1 케이스(30a);Emergency call button 42 is provided, the first case (30a) of the curved sh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device 46 that can be locked and unlocked by a dedicated key; 만곡된 형태를 가지면서, 일측에 상기 잠금장치부(46)와 대응되게 잠금돌기(44)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30b);A second case (30b) having a curved shape, the locking projection 44 is formed on one side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device 46; 상기 제1, 제2 케이스(30a, 30b)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부(32);A hinge part 32 connecting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30a and 30b to each other; 상기 제1 케이스(30a)와 제2 케이스(30b)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긴급호출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장치.Emergency cal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case (30a) and the second case (30b), respectively, to send an emergency call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제2 케이스(30a, 30b)의 내측으로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절단방지 부재(50a, 5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장치.Emergency cal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t prevention member (50a, 50b)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ases (30a, 30b).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장치들을 수용하는 비전도 부재(56a~56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장치.Emergency call device further comprises a non-conductive member (56a ~ 56c) for receiving the electronic device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 제2 케이스(30a, 30b)의 비전도 부재(56a~56c) 내측에는,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c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30a and 30b, 긴급호출 신호 송출 명령을 위한 버튼부(14);A button unit 14 for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ssion command;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구비하여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램프부(20);A lamp unit 20 including at least one lamp to guide an operation state;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22);A GPS receiver 22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긴급호출신호와 함께 위치정보를 송출 처리하는 RF 처리부(24);An RF processor 24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an emergency call signal; 상기 버튼부(14)가 눌려지게 되면 긴급호출신호와 상기 GPS 수신부(22)를 통해 처리된 위치정보를 송출하도록 상기 RF 처리부(24)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장치.And a processor 10 for controlling the RF processor 24 to transmit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GPS receiver 22 when the button unit 14 is pressed. Emergency call devic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제2 케이스(30a, 30b)의 비전도 부재(56a~56c) 내측에는,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c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30a and 30b, 마이크(16);Microphone 16; 상기 마이크(16)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6);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고, A memory 26 for storing soun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microphone 16; 상기 프로세서(10)는 상기 버튼부(14)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16)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26)에 주변음을 저장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장치.The processor (10) is an emergency cal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utton unit (14) is pressed to drive the microphone (16) to control the storage of the ambient sound in the memory (2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제1, 제2 케이스(30a, 30b)의 비전도 부재(56a~56c) 내측에는,Inside the nonconductive members 56a to 56c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30a and 30b,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30);A speaker 3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진동자를 구비하는 진동부(28);가 더 구비되고,Vibration unit 28 having a vibrator; is further provid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14)로부터 긴급호출 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상기 스피커(30)와 진동부(28)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호출 장치.The processor, when the emergency call command is input from the button unit 14, the emergency cal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control of the speaker (30) and the vibrator (2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프로세서(10)는 상기 버튼부(14)로부터 긴급호출 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긴급호출신호와 위치 정보를 송출하도록 상기 RF 처리부(24)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호출 장치.When the emergency call command is input from the button unit 14, the processor 10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ontrols the RF processor 24 to transmit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bleep.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14)로부터 긴급호출 명령이 입력된 후 일정 시간 대기하는 동안 취소 버튼이 입력되게 되면 긴급호출신호 송출을 해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호출 장치.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cancel the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ssion when the cancel button is input while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call command is input from the button unit (14).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제1, 제2 케이스(30a, 30b)의 내측으로 고리 형태로 연결 구비되는 파손 감지선(54);이 더 구비되고,A breakage detection line 54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30a and 30b in a ring shape. 상기 프로세서(10)는 상기 파손 감지선(54)이 파손되면 긴급호출신호와 위치정보를 무선 송출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장치.The processor (10) is an emergency cal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o call control of the emergency call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damage detection line (54) is broken.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제1, 제2 케이스(30a, 30b)의 중간부에는 요홈(34a, 34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장치.Emergency cal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34a, 34b)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30a, 30b).
KR2020070006342U 2007-03-30 2007-04-18 emergency call device KR2004427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342U KR200442716Y1 (en) 2007-03-30 2007-04-18 emergency call device
PCT/KR2008/001758 WO2008120917A1 (en) 2007-03-30 2008-03-28 Emergency cal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88 2007-03-30
KR2020070006342U KR200442716Y1 (en) 2007-03-30 2007-04-18 emergency cal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71U KR20080004371U (en) 2008-10-06
KR200442716Y1 true KR200442716Y1 (en) 2008-12-05

Family

ID=4150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342U KR200442716Y1 (en) 2007-03-30 2007-04-18 emergency cal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1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41B1 (en) 2008-12-26 2010-11-22 이재훈 System for recognizing and managing emergency
CN102876835A (en) * 2012-10-26 2013-01-16 重庆大学 New technology for preparing converter slag-regulating reagent by light-burning dolomite powder a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597B1 (en) * 2015-01-07 2015-05-27 주식회사보다텍 Security system linked emergency button with all directions touchp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41B1 (en) 2008-12-26 2010-11-22 이재훈 System for recognizing and managing emergency
CN102876835A (en) * 2012-10-26 2013-01-16 重庆大学 New technology for preparing converter slag-regulating reagent by light-burning dolomite powder a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71U (en)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5642B2 (en) Portable motion-detecting alarm with remote notification
US20130271264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WO2008120917A1 (en) Emergency call device
KR20070086769A (en) Triggering an emergency mod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WO2008018728A1 (en) Danger signal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anger management system used thereof
JP5776126B2 (en) Baggage alarm system
KR200442716Y1 (en) emergency call device
KR101342211B1 (en) System for alerted by attempt an escape using handcuffs
JP200515139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missing/illegal use preventing function
RU149834U1 (en) ALARM SYSTEM WITH ALARM FUNCTION FUNCTION ON A COMPUTERIZED USER DEVICE
JP2002159056A (en) Portable terminal loss/theft preventive system, portable terminal with portable terminal loss/theft prevention function and dedicate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483108Y1 (en)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mobile phone
KR20090000140U (en) wristwatch type emergency call device
US20150314753A1 (en) Portable, self-contained anti-theft alarm system for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JP2005045743A (en) Mobile terminal and mover's safety confirmation system
JP2006352787A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8083801A (en) Portable emergency notification wireless terminal
JP2005182585A (en) Mobile terminal
JP4781703B2 (en) Portable container with induction antenna and position detection system
US20150042472A1 (en) Non-battery powered wireless security system
KR100660994B1 (en) Mobile terminal system
JP4825437B2 (en) Surveillance belt
JP2006345410A (en) Communication/alarm system for ship
JP2007126950A (en) Radio electronic lock device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KR20050098744A (en) Received statement alarm system of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