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444Y1 - Grip Type Mouse - Google Patents

Grip Type M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444Y1
KR200442444Y1 KR2020070007020U KR20070007020U KR200442444Y1 KR 200442444 Y1 KR200442444 Y1 KR 200442444Y1 KR 2020070007020 U KR2020070007020 U KR 2020070007020U KR 20070007020 U KR20070007020 U KR 20070007020U KR 200442444 Y1 KR200442444 Y1 KR 200442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grip
type mouse
tou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0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5077U (en
Inventor
신남연
나예환
Original Assignee
신남연
나예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연, 나예환 filed Critical 신남연
Priority to KR2020070007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444Y1/en
Priority to PCT/KR2007/002198 priority patent/WO2008133366A1/en
Publication of KR20080005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7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44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는 본체와 그립 부분으로 형성되며, 본체와 그립부에 관절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립부는 후방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며 360도 회전과 상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상을 지님으로써, 장시간 사용해도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마우스 조작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그립 방식으로 구성되어 커서의 미세한 움직임과 정밀한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는 스위치를 터치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터치 버튼에 잘못 인가될 수 있는 정전기를 제거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스위치 감지시 스피커를 통해 짧은 단음의 소리를 내도록 하여 터치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음과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립부의 보조 버튼을 이용하여 손가락이 불편하거나 단순한 작업에서 버튼 클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위치 사이에 손가락 지지대를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main body and a grip part, and is configured to be used by adjusting the shape to be most suitable for a user's physical condition by applying a joint structure to the main body and the grip part. The grip part is curved backward and protrudes, and can adjust the angle of 360 degrees rotation and up and down has a shape that can be adjusted to the most suitable form f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so that even if you use for a long time, the wrist does not overdo the mouse operation You can feel comfort at the time, and it is configured by the grip method, so that the fine movement of the cursor and the precise operation are possible, and more stable and precise work is possible by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may apply a touch method to the switch, and has a structure to prevent malfunction by removing static electricity that may be incorrectly applied to the touch button. It can be easily recognized and improves the click feeling, and the auxiliary button of the grip part can be used to make the button click easy in an uncomfortable or simple operation.A finger support is formed between the switches for a long time. There is also a good effect on the fingers and wrists.

그립, 360도 회전, 각도 조절, 터치 버튼, 정전기, 관절, 손가락 지지대 Grip, 360 Degree Rotation, Angle Adjustable, Touch Button, Static Electricity, Joints, Finger Support

Description

그립 타입 마우스{Grip Type Mouse}Grip Type Mouse {Grip Type Mouse}

도 1은 종래 펜 타입 마우스의 동작이 도시된 도,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pen-type mous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우측면도,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좌측면도,6 is a left side view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배면도,7 is a rear view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witch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8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witch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witch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9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witch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10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witch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10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witch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ip par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관절 구조물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joint structure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5 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fth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5 실시예의 관절부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14 is a view showing the joint structure of a fifth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6 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xth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 구동부의 구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rip type mous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0 : 본체 20,120 : 그립부10,110: main body 20,120: grip

30 : 제1 터치 버튼 40 : 제2 터치 버튼30: first touch button 40: second touch button

50,150 : 휠 버튼 60,160 : 보조 버튼50,150: Wheel Button 60,160: Auxiliary Button

70,170 : 손가락 지지대 80 : 관절 구조물70,170: finger support 80: joint structure

210 : 제 1 버튼 감지부 220 : 제 2 버튼 감지부210: first button detection unit 220: second button detection unit

230 : 위치 감지부 240 : 신호 처리부230: position detection unit 240: signal processing unit

250 : 스피커 260 : 신호 송출부250: speaker 260: signal transmitter

본 고안은 그립 타입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손목 관절을 보호하고 마우스 버튼 조작시 마우스의 흔들림에 의한 위치 변화를 저감시켜 마우스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그립 타입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type mouse and a grip type mouse which protects the wrist joint and reduces the positional change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mouse when the mouse button is operated.

개인용 컴퓨터의 운용 시스템이 도스(DOS)에서 윈도우로 변화되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의 형태로 개발됨에 따라 입력장치로서 마우스(Mouse)가 필수적인 장치가 되었다.As a personal computer operating system is changed from DOS to Windows,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in the form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 mouse has become an essential device as an input device.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웹서핑을 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종래의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의 높이가 낮아 손목과 지면이 이루는 각이 커져 손목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the time for surfing the web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number of users who use the mouse for a long time has increased. As a result, when the conventional mous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angle between the wrist and the ground increases due to the low height of the mouse. There was a problem going crow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손목 보호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별도의 손목 보호 패드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목 보호 받침대가 구비된 마우스(실용신안 등록공고 20-0206557, 등록일 2000년 10월 2일)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손목 보호 받침대를 접거나 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마우스의 이동시 손목 보호 받침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거나 이러한 받침대에 의해 마우스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져 마우스의 동작 범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ventional wrist protection pad was used. 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a separate wrist protection pad must be purcha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ou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tification 20-0206557, registration date October 2, 2000) equipped with a wrist rest was developed.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folding or extending the wrist rest,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rest is not smooth when the mouse is moved, or the area occupied by the mouse is increased by such a foot, thereby reducing the operation range of the mouse. have.

또한, 손목의 피로를 줄이고 휴대성이 향상되고, 마우스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펜 타입의 마우스(특허공개공보 10-2004-0032477, 공개일 2004년 4월 17일 또는 특허공개공보 10-2005-0113311, 공개일 2005년 12월 2일)가 개발되기도 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fatigue of the wrist and improve portability, and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mouse, a pen-type mouse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32477, publication date April 17, 2004 or Patent Publication No. 10-2005- 0113311, published date 2 December 2005).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펜 타입 마우스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structure of such a conventional pen-type mous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펜 타입 마우스는 펜 형태로 상하로 긴 형상의 마우스 본체(1)와 마우스 본체(1)에 형성된 다수의 마우스 버튼(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pen-type mouse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use body 1 having a pen shape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mouse buttons 2 formed on the mouse body 1.

이러한 종래의 펜 타입 마우스에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 버튼은 소정의 힘을 가하여 눌러야만 버튼의 클릭 여부가 인식된다. 그러나, 펜과 같이 지면과 접촉면이 적은 형태이기 때문에 펜 타입 마우스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마우스 버튼(2)에 힘을 가할 경우 힘을 가하는 방향인 A 방향으로 마우스가 이동하여 본체가 흔들려 클릭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정확한 지점에서의 클릭이 되지 않고, 클릭과 동시에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The mouse button formed in the conventional pen-type mouse needs to be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to recognize whether the button is clicked or not. However, sinc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is small like a pen, when the mouse is held with a pen-type mouse, the mouse moves in the direction A,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and the body is shaken and click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chang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use point is moved at the same time as the click is not clicked at the correct point.

이러한 클릭 버튼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형 마우스(특허공개공보 10-2000-0058684, 공개일 2000년 10월 5일)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터치형 마우스의 경우, 펜 타입의 마우스와는 달리 조작성이 불편하고 손목에 무리가 가며, 조작자의 신체나 의류에 발생한 정전기로 인한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우스를 쥐거나 이동시에 손가락을 휠 버튼의 위치에 얹은 채로 이동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휠 버튼에 힘이 가해져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고, 만약 손가락을 마우스로부터 이격시켜 들고 있는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Touch-type mouse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58684, publication date October 5, 2000)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lick button type, the touch-type mouse, unlike the pen-type mo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bility is uncomfortable, the wrist is unreasonable, and malfunction occurs due to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operator's body or clothing, and must be moved with the finger on the wheel button when the mouse is held or moved. In this case, a force may be applied to the wheel button, and a malfunction may occur. If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mo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joint of the finger is excessive.

또 다른 예로 터치 스위치를 구비한 마우스(특허공개공보 10-2005-0033253, 공개일 2005년 4월 12일)가 있으나, 상기 터치 스위치를 구비한 마우스는 상기 휠 버튼을 없애고 상하좌우 방향의 터치 스위치를 구비하여 마우스를 구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마우스 쥐거나 마우스 이동시 손가락을 마땅히 고정할 곳이 없어 손가락에 무리가 간다. 또한, 마우스 이동시 손가락의 흔들림에 의해 터치 스위치를 잘못 누르는 경우에는 오동작이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역시 조작성이 불편하고 손목에 무리가 가며, 조작자의 신체나 의류 등에 발생한 정전기로 인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 버튼의 경우 웹 페이지의 스크롤 조작에 아주 편리하나 상기 마우스는 이러한 휠 버튼이 없이 터치 스위치로만 구동되게 하므로 스크롤 조작에는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nother example is a mouse provided with a touch switch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3253, published April 12, 2005), but the mouse provided with the touch switch is a touch switc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to remove the wheel button It was equipped to drive the mouse.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no place to hold a finger when moving the mouse or moving the mouse, so it is difficult to finger. In addition, if the touch switch is incorrectly pressed by the shaking of the finger when moving the mouse,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may occur. Also, the operability is uncomfortable and the wrist becomes excessive, and a malfunction may occur due to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operator's body or cloth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In addition, the wheel button is very convenient for scrolling web pages, but the mouse is driven by a touch switch without the wheel button.

또한, 종래의 마우스들은 손가락을 이용하여야만 마우스 버튼을 조작할 수 있어 손가락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ice can only operate the mouse button by using a finger, so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use.

또한, 일반적인 버튼식 마우스는 마우스를 클릭하는 감도나 버튼의 딸깍거리 는 소리를 통해 쉽게 클릭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나, 터치 스위치의 경우에는 클릭 여부를 확인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시각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general button-type mouse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user clicks through the sensitivity of clicking the mouse or the click sound of the button.However, in the case of the touch switch, there is no separate device for checking whether the user clicks. There is a problem that has to be uncomfortabl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우스를 쥐는 경우 손바닥과 손목이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적합한 자연스러운 각도를 이루도록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목을 지지하도록 하여 손목에 가해지는 무리를 방지하고, 마우스 버튼 클릭시에 마우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며, 정전기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the mouse is held by the palm and wrist to support the user's palm or wrist to achieve a natural angle suitable for the user's body structure is applied to the wri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 type mouse that prevents the mouse from being changed when the mouse button is clicked and prevents malfunction due to static electricity.

또한, 본 고안은 사용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세밀하고 정밀한 움직임이 가능한 그립 타입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 type mouse that takes up less space and enables precise and precise movement.

또한, 손가락의 장애가 있는 사람이거나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마우스 클릭이 가능한 그립 타입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 type mouse capable of a mouse click without impairing the finger or having a finger impairment.

또한, 터치 버튼의 클릭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가능하도록 한 그립 타입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 type mouse capable of easily recognizing whether a touch button is click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특징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는 제1 및 제2 터치 버튼과, 휠 버튼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며 손으로 쥘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단면의 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터치 버튼 사이에 손가락 지지대가 형성된다.The grip-type mous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ody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a wheel butt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s curved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by hand The grip portion includes a grip portion, and the main body has a shape in which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nger suppor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 버튼은 각각 손가락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형상의 정전기 방지부를 포함한다.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finger is touched and an antistatic unit having a shap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the sensor.

또한, 상기 그립 타입 마우스는 상기 제1 또는 제2 터치 버튼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 짧은 단음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The grip type mouse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that outputs a short short sound when a finger touches the first or second touch button.

또한, 본 고안의 제 2 특징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는 버튼부가 형성된 본체와, 지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그립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와 상기 그립부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formed with a button portion, the grip portion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joint connecting the grip.

여기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절부를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다.Here, the grip part can be rotated 360 degrees around the joint part.

또한, 상기 관절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관절 구조물들로 구성되고, 상기 관절 구조물들 중 일부는 상기 그립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의 골격을 이룬다.In addition, the joint part is composed of at least two joint structures, and some of the joint structures are formed inside the grip part to form a skeleton of the grip part.

또한, 상기 그립부는 소정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관절 구조물간 결합되는 각도를 변화시켜 그 만곡되는 형상을 조절가능하다.In addition, the grip unit may adjust the curved shape by changing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joint structure by applying a force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가 도시된 배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ight side view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rear view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지면 또는 마우스 패드와 접촉되어 마우스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미도시)가 하면에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후방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소정 길이로 뻗은 그립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7,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or the mouse pad, the position detecting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use (1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body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ip portion 20 is bent to the rear in a predetermined length.

본체(10)는 상하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본체(10)의 하부 단면의 면적은 안정감을 주기 위해 상부 단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상부로 갈수록 그 단면의 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The main body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up and down. The area of the lower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d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cross section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That is,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toward the top.

본체(1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일 수도 있지만, 조작자가 마우스의 버튼 위치를 확인하기 용이하고 마우스의 이동방향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main body 10 may be in the form of a vertical st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form inclined slightly backward as shown in FIG. 4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position of the button of the mouse and easily detec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use. Do.

본체(10)의 밑면에는 칩 LED와 같은 광소자와 센서가 형성되어 마우스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광소자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볼을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optical element such as a chip LED and a sensor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o form a position detecting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use. Here, it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position using a ball without having an optical element or a sensor.

본체(10)의 앞쪽에는 제1 터치 버튼(30) 및 제2 터치 버튼(40)이 형성되고, 그 좌측 또는 우측에는 휠 버튼(50)이 형성된다.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are form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wheel button 50 is formed at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thereof.

여기서, 제 1 터치 버튼(30)과 제2 터치 버튼(40)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휠 버튼(50)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may be formed side by side, and the wheel button 50 may be formed therebetween.

휠 버튼(50)은 검지로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제1 터치 버튼(30) 및 제2 터치 버튼(4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button 50 is formed in the adjacent part of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1st touch button 30 and the 2nd touch button 40 so that operation by index finger may be convenient.

제1 터치 버튼(30) 및 제2 터치 버튼(40)은 검지로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마우스의 정면 또는 약간의 정면 좌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use or a slight front left side so as to be easy to operate with the index finger.

제1 터치 버튼(30) 및 제2 터치 버튼(40)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즉, 제1 터치 버튼(30)의 위쪽에 제2 터치 버튼(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touch button 40 is formed above the first touch button 30.

제1 터치 버튼(30)과 제2 터치 버튼(40) 사이에는 손가락 지지대(70)가 형성된다. 손가락 지지대(70)는 마우스를 이동하거나, 버튼 조작을 하지 않고 대기하는 경우에 손가락을 얹을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불필요한 터치 버튼의 조작을 방지하고, 편안한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 finger support 7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The finger support 70 is a component that can be placed on the finger when the mouse moves or waits without button manipulation, and prevents unnecessary touch button manipulation and allows comfortable movement.

따라서, 손가락 지지대(70)는 불필요한 터치 스위칭 조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 터치 버튼(30) 및 제2 터치 버튼(40) 보다 본체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도가 커야 한다.Therefore, the finger support 70 mus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more than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so that unnecessary touch switching manipulation does not occur.

제1 터치 버튼(30), 제2 터치 버튼(40) 및 휠 버튼은 상기 그립부(20)에 손을 얹은 채로 손가락 하나만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first touch button 30, the second touch button 40, and the wheel button should b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only one finger while placing the hand on the grip part 20.

그립부(20)는 손바닥 또는 손목을 지지하도록 본체(10)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만곡되어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grip part 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body 10 to the rear of the body so as to support the palm or the wrist.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그립부(20)는 본체(10)의 상부에서 본체(10)의 뒤쪽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굽어진 형태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립부(20)의 말단이 지면방향으로 향하도록 연장된다. 즉, 그립부(20)의 말단부분은 본체(10) 및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립부(20)의 연장된 방향은 그립부(20)에 사용자가 손을 얹은 경우, 팔꿈치 방향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아래 방향을 향한다.5 to 6, the grip part 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hape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end of the grip part 20 is It extends toward the ground. That is,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 and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extended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0 faces the elbow direction when the user puts his hand on the grip portion 20. Face down diagonally.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손바닥의 형상을 고려하면 그립부(20)는 마우스 우측 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른손잡이의 경우이며, 왼손잡이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and 7,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palm, the grip part 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bent to the right rear of the mouse. This is the case of the right handed, and in the case of the left handed,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reverse.

손바닥의 형상을 참고하면, 엄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의 골이 검지 손가락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므로, 그립부(20) 역시 같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the shape of the palm, since the bone between the thumb and the little finger is formed obliquely in the direction of the index finger, the grip portion 20 is also preferably formed to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그립부(20)는 바(bar)형상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20 is formed in a bar shape to a predetermined length.

그립부(20) 역시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말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Like the main body 10, the grip portion 20 may also be formed such that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그립부(20)의 상부에는 보조 버튼(60)이 형성될 수 있다.An auxiliary button 60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rip part 20.

보조 버튼(60)은 제1 터치 버튼(30) 또는 제2 터치 버튼(40)과 같은 기능을 하는 버튼으로, 손바닥을 얹는 정도의 무게로는 동작하지 않고, 손바닥에 힘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The auxiliary button 60 is a button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touch button 30 or the second touch button 40. The auxiliary button 60 does not operate at the weight of the palm rest, but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alm with force. It is configured to.

보조 버튼(60)은 손가락이 불편한 사람이나, 장시간의 마우스 동작으로 인한 단순 클릭동작만 필요한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The auxiliary button 60 may be utilized when a finger is inconvenient or only a simple click operation due to a long mouse operation is required.

일반적으로 웹 서핑을 주로 하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구동과는 달리 단순한 클릭 동작만 자주 사용되므로, 손을 얹은 채로 손바닥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보조 버튼(60)을 클릭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general, in the case of mainly surfing the web, unlike software driving, only a simple click operation is frequently used, and thus, the auxiliary button 60 can be click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on the palm with the hand on it.

전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는 코끼리의 머리 부분(본체)에서 길게 뻗어나온 코끼리의 코(그립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In total,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elephant's nose (grip) that extends long from the head (body) of the elephant.

도 8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터치 버튼(30,40)의 구조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겠다.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touch buttons 30 and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10B.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버튼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8b는 그 정면도이다.8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ouch button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front view thereof.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1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터치 버튼(30,40)이 각각 손가락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32,42) 및 상기 센서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정전기 방지부(3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8A and 8B, a first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ors 32 and 42 for detecting whether a finger touches 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30 and 40,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tistatic portion (31,41)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손가락 지지대(70)의 돌출된 높이(h1)는 정전기 방지부(31,41)의 돌출된 높이(h2) 및 센서(32,42)의 돌출된 높이(h3)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마우스 이동시 또는 정지시에 손가락 지지대(70)에 얹은 손가락의 미스 터칭을 방지한다.The protruding height h1 of the finger support 70 is formed high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h2 of the antistatic parts 31 and 41 and the protruding height h3 of the sensors 32 and 42 to move the mouse or It prevents the miss touching of the finger which rested on the finger support 70 at the time of stop.

정전기 방지부(31,41)는 센서(32,42)를 둘러싸듯 도우넛 형태로 형성되며, 손가락이 센서(32,42)를 터치하는 경우, 센서(32,42)보다 먼저 손가락이 정전기 방지부(31,41)에 접촉하도록, 정전기 방지부(31,41)의 돌출된 높이(h2)가 센서의 돌출된 높이(h1)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The antistatic parts 31 and 41 are formed in a donut shape like surrounding the sensors 32 and 42, and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ensors 32 and 42, the finger is the antistatic part before the sensors 32 and 42. The protruding height h2 of the antistatic parts 31 and 41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h1 of the sensor so as to contact the 31 and 41.

정전기 방지부(31,41)는 접지되거나 전기적으로 음(-)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터치 버튼을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 센서보다 먼저 접촉되도록 하여 정전기를 제거한다.The antistatic parts 31 and 41 are grounded or electrically configured to have a negative polarity, so that the touch button is touched before the sensor when the finger touche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즉, 정전기 방지부(31,41)의 돌출된 높이를 센서(32,42)보다 높게 함으로써 버튼 클릭시 정전기로 인한 오동작이 방지되도록 한다.That is, by making the protruding heights of the antistatic parts 31 and 41 higher than the sensors 32 and 42, a malfunction due to static electricity when the button is clicked is prevented.

여기서, 센서(32,42)는 정전용량감지형 터치 센서 또는 저항감지형 터치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nsors 32 and 42 are preferably capacitive sensing touch sensors or resistance sensing touch sensors.

정전용량감지형 센서는 터치 전극에 인체가 접촉하면 전극과 대지간의 커패시턴스가 공기와 접촉했을 때보다 크게 증가하므로, 이를 감지하여 기준 커패시턴스와의 값을 비교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capacitive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and compare the value with the reference capacitance because the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ground increases significantly when the human body contacts the touch electrode than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ir.

또한, 비금속 물질의 뒤쪽에 금속 패드를 구비하여 간접적인 터치시에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etal pad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non-metallic material so that the metal pa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even when indirectly touched.

저항감지형 센서는 저항막의 양단에서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면 저항막이 저항 성분을 갖는 저항체와 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양단에 전압이 걸리게 되어 손으로 접촉을 하게 되면 위쪽 표면의 폴리 에스틸 필름이 휘어 두면이 접속하게 되고, 두면의 저항 성분 때문에 저항의 병렬접속과 같은 형태가 되고, 저항값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양단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전압의 변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전압의 변화 정도로써 접촉 여부를 알 수 있다. When the resistance-sensitive sensor flows a constant current at both ends of the resistive film, the resistive film acts like a resistor having a resistive component. Therefore, a voltage is applied to both ends, and when touched by hand, the polystyrene film on the upper surface is bent. As a result, the resistance components on the two surfaces form a parallel connection of the resistors,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At this time, a change in voltage also occurs due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both ends, and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contact is made by the degree of change in the voltage.

또한, 소형 스피커를 구비하여 터치 버튼(30,40)에 손가락이 터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경우 짧은 단음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버 튼에 터치 동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small speake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hort short sound when recognizing that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buttons 30 and 40.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touch operation is made to the touch button, and the touch feeling can be improved with 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를 손가락 지지대(70)에 올려놓은 뒤 손가락 첫 번째 마디만 살짝 누르거나, 두 번째 마디를 살짝 눌러 제 1 터치 버튼(30) 또는 제 2 터치 버튼(40)에 접촉시키기만 하면 클릭이 되므로, 마우스 본체에 큰 힘을 가해지지 않아 클릭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마우스 본체의 위치변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섬세한 클릭 동작이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8A, the first node of the index finger is placed on the finger support 70, and then only the first node of the finger is slightly pressed or the second node is pressed. Since it is clicked only by lightly pressing the first touch button 30 or the second touch button 40,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use body caused by the clicking force because a larg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mouse body. . Thus, more accurate and detailed click operation is possible.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버튼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9b는 그 정면도이다.9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ouch button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front view thereof.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2 실시예는 제 1 터치 버튼(30) 및 제 2 터치 버튼(40)이 바(bar)형태를 가진다.9A and 9B,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have a bar shape.

각 터치 버튼(30,40)은 각각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가운데에 형성된 센서(32,42)의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정전기 방지부(31,41)가 각각 형성된다.Each of the touch buttons 30 and 40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 antistatic parts 31 and 41 are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of the sensors 32 and 42 formed in the center.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센서(32,42)의 돌출된 높이(h3)는 정전기 방지부(31,41)의 돌출된 높이(h4, h5)보다 낮게 형성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otruding height h3 of the sensors 32 and 42 is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s h4 and h5 of the antistatic parts 31 and 41.

또한, 손가락 지지대(70)와 가까운 부분의 정전기 방지부의 돌출된 높이(h4)는 손가락 지지대(70)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부분의 정전기 방지부의 돌출된 높이(h5)보다 낮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height h4 of the antistatic portion of the portion close to the finger support 70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h5 of the antistatic portion of the portion relatively far from the finger support 70.

나머지 센서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maining sensor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will be omitted.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위치 및 손가락 지지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0b는 그 정면도이다.10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ouch switch and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front view thereof.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2 실시예는 제 1 터치 버튼(30) 및 제 2 터치 버튼(40)이 바(bar)형태를 가지며, 각 터치 버튼(30,40)은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정전기 방지부를 구비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손가락 지지대(70)가 정전기 방지부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10A and 10B,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have a bar shape, and each touch button (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30 and 40 ar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separate antistatic unit, and the finger support 70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istatic unit.

따라서, 손가락 지지대(70)는 접지되거나 전기적으로 음(-)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손가락 지지대(70)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finger support 70 is configured to have a ground or electrically negative polarity, so a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when the finger contacts the finger support 70.

손가락 지지대(70)와 가까운 부분의 제 1 터치 버튼(30) 및 제 2 터치 버튼(40)의 돌출된 높이(h6)는 손가락 지지대(70)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부분의 제 1 터치 버튼(30) 및 제 2 터치 버튼(40)의 돌출된 높이(h7)보다 낮게 형성된다.The protruding height h6 of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near the finger support 70 is relatively far from the finger support 70. ) And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h7 of the second touch button 40.

또한 제 1 터치 버튼(30) 및 제 2 터치 버튼(40)은 손가락과 접촉하는 면의 형상이 손가락의 표면과 같이 곡선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손가락과 접촉시에 보다 밀착감이 높아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touch button 30 and the second touch button 40 are form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nger is curved like the surface of the finger so that the close contact when the contact with the finger is higher.

나머지 센서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maining sensor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will be omitted.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에서는 각 버튼이 터치 타입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버튼이 아닌 일반적인 클릭형 버튼이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third embodiment, each button is a touch type. However,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general click type button may be used instead of the touch button.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관절 구조물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20)는 본체(10)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Referring to FIG. 11, the grip part 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또한, 그립부(20)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 구조물(80)이 형성되어, 소정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하여 그 만곡되는 형상을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그립부(20)의 형상을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게 상하 또는 좌우로 굽혀 사용함으로써 손목과 마우스가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손과 마우스간의 밀착도를 높여 손목의 무리를 줄여준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80 is formed therein, by applying a force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to adjust the curved shape. In other words, by using the shape of the grip portion 20 to bend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ir own body structure, the angle between the wrist and the mouse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hand and the mouse is increased to reduce the group of the wrist.

즉, 그립부(20)는 다수의 관절 구조물(80)에 의해 그 굽어지는 형태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grip part 20 may adjust the bending form or direction by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80.

본 고안에 의한 그립 타입 마우스 조작시 사용자는 그립부(20)에 손바닥을 얹어 그립부(20)를 가볍게 쥐고, 검지 또는 중지를 본체(10)의 앞면에 형성된 버튼에 위치시켜 마우스를 조작한다.When operating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laces a palm on the grip part 20 and lightly grips the grip part 20, and the index finger or middle finger is positioned on a butt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operate the mouse.

이 경우 관절 구조물(80)은 소정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각 관 절 구조물(80)간 결합되는 각과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joint structure 8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and direction that are coupled between each of the joint structure 80 only when a force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즉, 일반적으로 그립부(20)에 손을 얹는 정도의 힘으로는 쉽게 그 결합형태가 변화되지 않으나, 강제로 그 이상의 힘을 가하여 관절 구조물의 결합각을 바꾸는 경우에는 그 결합형태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general, the coupling form is not easily changed by the force of placing the hand on the grip portion 20, but when the coupling angle of the joint structure is changed by forcing more force, the coupling form may be changed. do.

하나의 관절 구조물(80)의 구조를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절 구조물(80)은 구형의 헤드부(81)와, 헤드부(81)와 연결되어 돌출된 스커트부(82)를 포함하고, 스커트부(82)에는 다른 관절 구조물의 헤드부와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홀(83)이 형성된다.The structure of one joint structure 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joint structure 80 includes a spherical head portion 81 and a skirt portion 82 protruding in connection with the head portion 81. And, the skirt portion 8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83 that can be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other joint structure.

헤드부(81)는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고 둥근 형태로 형성되며, 구형의 끝단 일부의 형태가 제거된 형상을 가져도 된다. 다만 구 형상의 표면 중 3/4 이상은 곡면을 가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The head portion 81 is formed in a round shape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a spherical end is removed. However, 3/4 or more of spherical surfaces are preferable to have a curved surface.

스커트부(82)는 일단이 상기 헤드부(81)에 연결되고, 점차 그 단면이 넓어지는 꼬깔 형상 또는 스커트 형상을 가진다. 스커트부(82)의 타단은 다른 관절 구조물의 헤드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83)이 형성된다.One end of the skirt portion 82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81, and has a skirt shape or a skirt shape whose cross section is gradually widened. The other end of the skirt portion 82 is a coupling hole 83 is formed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other joint structure can be coupled.

결합홀(82)이 형성된 스커트부(82)의 말단은 다른 관절 구조물의 헤드부(81)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돌출된 턱을 가진다.The end of the skirt portion 82 in which the coupling hole 82 is formed has a protruding jaw so that the head portion 81 of the other joint structure does not easily fall out.

관전 구조물(80)은 스커트부(82)와 그 스커트부의 결합홀(83)에 끼워진 다른 관절 구조물의 헤드부(81)간의 마찰력의 크기에 따라 그 결합 각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의 크기가 정해진다.The observing structure 80 has a magnitude of a force capable of adjusting the engagement angle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kirt portion 82 and the head portion 81 of another joint structure fitted in the coupling hole 83 of the skirt portion. All.

그립부(20)의 내부에 다수의 관절 구조물(80)이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사용 자 개인의 신체조건에 따라 알맞은 각도로 그립부(20)의 만곡되는 정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개개인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손목을 보호할 수 있다.Since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80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grip part 20, the degree and direction of bending of the grip part 20 can be adjusted at an appropriate angl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thereby adjust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individual. Therefore, the wrist can be adaptively protected.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5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13 is a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 5 실시예는 버튼부(130 내지 170)가 형성된 본체(110)와, 지면 및 본체(110)의 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그립부(120)와, 본체(110)의 상부와 그립부(120)를 연결하는 관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dy 110 having the button parts 130 to 170, the ground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be held by hand. The grip portion 1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joint portion 180 for connecting the grip portion 120 is configured.

상기 버튼부는 제 1 버튼(130), 제 2 버튼(140) 및 휠 버튼(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1 버튼(130)과 제 2 버튼(140) 사이에 형성되는 손가락 지지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버튼부의 구성은 앞서 살펴본 다른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button unit includes a first button 130, a second button 140, and a wheel button 150. In addition, a finger support 17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utton 130 and the second button 140.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un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 1 버튼(130)과 제 2 버튼(140)은 터치 타입 버튼 또는 클릭 타입 버튼이다.Here, the first button 130 and the second button 140 are touch type buttons or click type buttons.

만약 제 1 버튼(130)과 제 2 버튼(140)이 터치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If the first button 130 and the second button 140 are a touch type, they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그리고, 휠 버튼(150)은 손가락 지지대(17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왼손 잡이 또는 오른손 잡이인지에 따라 휠 버튼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 button 15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finger support 17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wheel button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left handed or right handed.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5 실시예의 관절부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14 is a view showing the joint structure of a fifth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그립부(120)는 본체(1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관절부(180)에 의해 본체(110)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4, the grip part 12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by the joint part 180.

관절부(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 구조물로 구성된다. 관절 구조물의 형태나 구성은 도 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Joint portion 18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joint structure. The shape or configuration of the joint structur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FIG.

관절부(180)에 의해 그립부(120)는 관절부(180)를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 될 수 있으며,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도 있다.By the joint part 180, the grip part 120 may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joint part 180, and may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도 14에는 하나의 관절 구조물로 구성된 관절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관절 구조물의 헤드부(181)가 본체에 연결되고, 스커트부(182)가 그립부(120)에 연결된다.In FIG. 14, a joint part composed of one joint structure is illustrated. The head part 181 of the joint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skirt part 182 is connected to the grip part 120.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의 제 6 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xth embodiment of a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는 본체(110)와 그립부(1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관절부(180)에 의해 연결되고, 관절부(180)는 다수의 관절 구조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dy 110 and the grip part 120, and is connected by the joint part 180, and the joint part 180 includes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do.

관절부(180)를 구성하는 관절 구조물들 중 일부는 그립부(12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의 골격을 이룬다.Some of the joint structures constituting the joint part 180 are formed inside the grip part 120 to form a skeleton of the grip part.

그립부(120)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관절 구조물들의 형태 변화에 따라 그립부(120)의 형상도 같이 변할 수 있다.The grip part 120 is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nd the shape of the grip part 120 may also change as the shape of the joint structures changes.

즉, 그립부(120)는 소정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관절 구조물간 결합되는 각도를 변화시켜 그 만곡되는 형상을 조절가능하다. That is, the grip unit 120 may adjust the curved shape by changing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joint structures by applying a force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그립부(20)의 형상을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게 상하 또는 좌우로 굽혀 사용 함으로써 손목과 마우스가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손과 마우스간의 밀착도를 높여 손목의 무리를 줄여준다.By using the shape of the grip 20 to bend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according to its own body structure, the angle between the wrist and the mouse can be properly adjusted, and the hand-mouse adhesion is increased to reduce the burden of the wrist.

본 고안에 따른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에서도 그립부(120)에 보조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grip unit 120.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 구동부의 구조가 도시된 블럭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ip type mous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 구동부는 제 1 버튼 감지부(210) 및 제 2 버튼 감지부(220)와, 마우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230)와 상기 각 감지부(210,220,2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따른 버튼 클릭 여부 및 마우스의 위치 좌표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립 타입 마우스 구동부는 신호 처리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짧은 단음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50)와 상기 터치 버튼 클릭 여부 및 마우스의 위치 좌표에 관한 신호를 컴퓨터로 출력하는 신호 송출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6, the grip type mous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utton detecting unit 210 and a second button detecting unit 220, a position detecting unit 230 detecting whether the mouse is moved, and the angl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processor 240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210, 220, 230) and generates a signal relat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click and the mouse accordingly. The grip type mouse driver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250 that outputs a short short soun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or 240, and a signal transmitter that outputs a signal regarding whether the touch button is clicked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ouse to a computer. 260 is further includ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 구동부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ly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grip type mous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제 1 버튼 감지부(210)는 제 1 버튼이 터치 타입 버튼인 경우에 손가락이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제 1 버튼이 클릭 타입 버튼인 경우에는 클릭 여부를 감지한다.The first button detecting unit 210 detects whether a finger is touched when the first button is a touch type button, and detects whether a click is made when the first button is a click type button.

또한, 제 2 버튼 감지부(220) 역시 제 2 버튼이 터치 타입 버튼인 경우에 손 가락이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제 2 버튼이 클릭 타입 버튼인 경우에는 클릭 여부를 감지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utton detection unit 220 also detects whether a finger touches the touch button when the second button is a touch type button, and detects whether the second button is a click type button.

제 1 버튼 감지부(210) 또는 제 2 버튼 감지부(220)로부터 터치 또는 클릭 동작이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인가받은 신호 처리부(230)는 스피커(250)를 통해 짧은 단음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The signal processor 230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 touch or click operati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button detector 210 or the second button detector 220 outputs a short short sound through the speaker 250.

또한, 신호 처리부(230)는 제 1 버튼 감지부(210) 또는 제 2 버튼 감지부(220)로부터 터치 또는 클릭 동작이 감지되었다는 신호와, 위치 감지부(23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로부터 마우스의 좌표를 계산하여 신호 송출부(26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230 may receive a signal indicating that a touch or click operati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button detector 210 or the second button detector 220, and coordinates of the mouse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ctor 230. Calculate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er 260.

신호 송출부(260)는 신호 처리부(240)의 제어신호들을 컴퓨터로 전송한다. 여기서, 신호 송출부(260)는 유선 마우스의 경우 USB장치와 같은 유선 신호 전송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무선 마우스의 경우 블루투스 모듈이나, RF 모듈과 같은 무선 신호 전송 장치가 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260 transmits control signals of the signal processor 240 to the computer. Here, the signal transmitter 260 may be a wired signal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 USB device in the case of a wired mouse, and may be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 Bluetooth module or an RF module in the case of a wireless mous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그립 타입 마우스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may be appli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technical idea is protec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 타입 마우스는 그립부의 관절 구조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해도 어깨, 팔, 및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마우스 조작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그립 타입으로 구성되어 커서의 미세한 움직임과 정밀한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grip typ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joint structure of the grip part to a state most suitable for its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shoulders, arms, and wrists do not become excessiv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You can feel comfort and it is composed of grip type, which enables the fine movement of the cursor and precise operation.

또한, 터치 방식의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 클릭시 마우스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며, 정전기 방지부를 구비하여 정전기를 제거하여 정전기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touch-type button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mouse body when the button is clicked, more stable and precise work is possible, and has an effect to prevent the malfunction due to static electricity by removing the static electricity with an anti-static part.

또한, 터치 버튼에 터치 여부 감지시 스피커를 통해 짧은 단음의 소리를 내도록 하여 터치 여부를 쉽게 인지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립부의 보조 버튼을 이용하여 손가락이 불편한 경우 또는 단순한 작업에서의 버튼 클릭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스위치 사이의 손가락 지지대를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detecting whether the touch button is touched, a short short sound can be made through the speaker to make it easier to recognize whether the touch is made, and the click feeling can be improved. It is easy to click the button in the work, and by forming a finger support between the switch has an effect that does not overdo the fingers and wrist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Claims (19)

제1 및 제2 터치 버튼과, 휠 버튼이 형성된 본체; 및A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and a wheel button formed thereon; And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며 손으로 쥘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하고,And a grip portion which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can be held by hand.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단면의 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터치 버튼 사이에 손가락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main body has a shape in which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ger suppor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터치 버튼은 본체의 앞면에 서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the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터치 버튼은 각각 손가락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includes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finger is touched; And 상기 센서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형상의 정전기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And an anti-static part having a shap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rround the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센서는 정전용량감지형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 우스.The sensor is a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ive sensing touch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센서는 저항감지형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sensor is a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ive touch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상기 센서보다 상기 본체 표면으로부터 더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And the antistatic portion protrudes higher from the body surface than the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휠 버튼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 버튼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wheel button is a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eft or right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button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접지되거나 전기적으로 음(-)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antistatic part is a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or electrically negative (-) polarit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손가락 지지대는 접지되거나 전기적으로 음(-)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And the finger rest is grounded or electrically negatively polariz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립 타입 마우스는 상기 그립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grip type mouse further comprises a auxiliary button formed on the grip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립 타입 마우스는 상기 제1 또는 제2 터치 버튼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 짧은 단음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grip type mouse further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a short short sound when the finger touches the first or second touch button. 버튼부가 형성된 본체와;A main body formed with a button portion; 지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그립부;A grip portion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and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held by a hand; 상기 본체의 상부와 상기 그립부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A grip type mouse comprising a joint part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grip part.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버튼부는 서로 상하로 형성되는 제 1 버튼 및 제 2 버튼과;The button unit and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formed up and down each other;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 사이에 형성되는 손가락 지지대와;A finger support formed between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상기 손가락 지지대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휠 버튼을 포함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A grip type mouse comprising a wheel button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finger support.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제 1 버튼 및 제 2 버튼은 터치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button.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그립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grip type mouse is formed by bending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절부를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And the grip part is rotatable 360 degrees around the joint part.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관절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관절 구조물들로 구성되고, 상기 관절 구조물들 중 일부는 상기 그립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의 골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And the joint part comprises at least two joint structures, and some of the joint structures are formed inside the grip part to form a skeleton of the grip part. 청구항 1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상기 관절 구조물은 구형의 헤드부와; The articulation structure includes a spherical head portion;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돌출된 스커트부;를 포함하고,And a skirt portion protruding in connection with the head portion. 상기 스커트부에는 다른 관절 구조물의 헤드부와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kir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hat can be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other joint structure.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그립부는 소정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관절 구조물간 결합되는 각도를 변화시켜 그 만곡되는 형상을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타입 마우스.The grip part is a grip type mouse, characterized in that by applying a force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to change the angle between the joint structure to adjust its curved shape.
KR2020070007020U 2007-04-27 2007-04-27 Grip Type Mouse KR2004424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020U KR200442444Y1 (en) 2007-04-27 2007-04-27 Grip Type Mouse
PCT/KR2007/002198 WO2008133366A1 (en) 2007-04-27 2007-05-04 Grip type m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020U KR200442444Y1 (en) 2007-04-27 2007-04-27 Grip Type M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77U KR20080005077U (en) 2008-10-30
KR200442444Y1 true KR200442444Y1 (en) 2008-11-10

Family

ID=3992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020U KR200442444Y1 (en) 2007-04-27 2007-04-27 Grip Type Mou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2444Y1 (en)
WO (1) WO2008133366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45B1 (en) 2012-12-26 2014-02-2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Mouse with automatic changing grip angle function for computer
KR101374881B1 (en) 2012-12-14 2014-03-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ouse for compu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6020A1 (en) * 2016-03-28 2017-10-05 邢皓宇 Wireless mou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5604A (en) * 1999-06-17 2001-01-12 Zaza International:Kk Mouse
KR100384446B1 (en) * 2000-01-24 2003-05-22 이종현 Ergonomic computer mouse
US20030184519A1 (en) * 2002-03-27 2003-10-02 Cheng-Tsung Liu Gripping type computer mouse device
JP2004171120A (en) * 2002-11-18 2004-06-17 Alpha Systems:Kk Grip type control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881B1 (en) 2012-12-14 2014-03-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ouse for computer
KR101366345B1 (en) 2012-12-26 2014-02-2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Mouse with automatic changing grip angle function for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3366A1 (en) 2008-11-06
KR20080005077U (en)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6765B2 (en) Controller for finger gesture recognition an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 gesture
EP1063608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6677927B1 (en) X-Y navigation input device
US20020140668A1 (en) Thumb actuated x-y input device
US20050219355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JP3529354B2 (en) pointing device
US6377244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7898523B1 (en) Device for controlling on-screen pointer
CN103605433A (en) Multifunctional somatological input device
JPH0854981A (en) Pressure-sensitive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200442444Y1 (en) Grip Type Mouse
US6750845B2 (en) Computer pointing device
US20070285400A1 (en) Palm attached touch-pad computer mouse
JP6887021B2 (en) Ring-type user-operated sensing device worn between finger joints
EP3906463A1 (en) Computer mouse for different modes of use
US11307671B2 (en) Controller for finger gesture recognition an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 gesture
KR200369111Y1 (en) Mouse having up/down and right/left scrolling function
GB2464925A (en) Computer mouse that converts a motion signal for left and right hand orientation
KR200215330Y1 (en) Upright pointer device
CN115543109A (en) Hand-held touch mouse
KR200435232Y1 (en) A computer universal design mouse.
WO2022089351A1 (en) Wearable keyboard and mouse, and efficient operating method for mouse
KR200293973Y1 (en) A thumb mouse
TW202026812A (en) Glove-type input device
WO2005017733A1 (en)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