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214Y1 - 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214Y1
KR200439214Y1 KR2020070011966U KR20070011966U KR200439214Y1 KR 200439214 Y1 KR200439214 Y1 KR 200439214Y1 KR 2020070011966 U KR2020070011966 U KR 2020070011966U KR 20070011966 U KR20070011966 U KR 20070011966U KR 200439214 Y1 KR200439214 Y1 KR 200439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view
view mirror
sensor
surface temperatur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9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승호
김근희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1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2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21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실내면에 장착되는 리어뷰미러 지지부와, 리어뷰미러를 구비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과,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부와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을 연결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를 구비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표면 온도 센서와,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습도 센서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향하여 배치되는 전방 포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센서부;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 온도 센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를 구비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view mirror support portion mounted on a vehicle interior surface of a vehicle windshield glass, a rear view mirror housing having a rear view mirror, a rear view mirror connecting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A rear view mirror housing unit having a housing support;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portion, and a front photo sensor disposed toward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A sensor unit disposed; It provides a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an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Description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본 고안은 감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차량 글라스 표면 상에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리어뷰 미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ing module, and to a rear view mirror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generation of fog on a vehicle glass surface and maximizing a driver's forward visibility.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 및 안전 장치의 기능 탑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는 주행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인데, 우기 또는 겨울철과 같이 차량 실내외의 온도 및/또는 습도 차가 커지는 경우 발생하는 차량 실내에서의 글라스 상 김서림은 운전자의 시야를 급격하게 저하시킨다. BACKGROUND ART In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mounting functions of various convenience means and safety devices that allow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Particularly, securing the driver's forward vis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driving safety. The glass-fogging in the vehicle interior, which occurs whe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 or humidity outside the vehicle interior such as rainy season or winter season, increases the driver's vision suddenly. Lowers.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다양한 공조 제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는 공조 장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 차량 실내 온도만을 단순 검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환경 감지가 어려워 김서림 조건 여부 판단 곤란 으로 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차량 글라스 김서림 방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various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However,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only complicated in structure, but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environment by using only the vehicle indoor temperature i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air conditioning device, the steaming conditions Difficulty in determining wheth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more effective vehicle glass fog.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글라스 김서림 방지 장치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표면에 많은 장착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통한 전방 주시 공간 확보를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vehicle glass anti-fo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nhibits the driver to secure the front gaze through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by occupying a lot of mounting space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글라스의 김서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운전자의 전방 주시 공간 확보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리어뷰미러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view mirror unit that can more effectively detect the fog of the vehicle glass and maximize the driver's front gaze spa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실내면에 장착되는 리어뷰미러 지지부와, 리어뷰미러를 구비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과,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부와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을 연결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를 구비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표면 온도 센서와,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습도 센서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향하여 배치되는 전방 포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센서부;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 온도 센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를 구비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ar view mirror support portion mounted on the vehicle interior surfac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 rear view mirror housing having a rear view mirror,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and the rear view mirror A rear view mirror housing unit having a rear view mirror housing support connecting the housing;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portion, and a front photo sensor disposed toward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A sensor unit disposed; It provides a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an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상기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 부에 차량 실내와의 유체 소통을 위한 지지부 소통구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면 온도 센서는,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타단이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표면 온도 센서 바디와, 상기 표면 온도 센서 바디의 타단으로 윈드 쉴드 글라스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표면 온도 센싱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에는, 상기 표면 온도 센서 바디의 관통을 허용하는 센서 관통부와, 상기 표면 온도 센싱소자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에 접하도록 상기 표면 온도 센서 바디를 가압하는 센서 가압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관통부의 내측으로 상기 표면 온도 센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센서 가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서 지지부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communication port for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may have one e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having the other end facing the windshield glass side of the vehicle,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windshield glass. And a sensor penetra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to penetrate therein and a sensor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The sensor support part guide may be further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ress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상기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에 있어서,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향하여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에 배치되는 전방 포토센서와,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의 차량 실내 측을 향한 일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후방 포토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뷰미러는 감광식 미러일 수도 있다. In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 front photosensor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toward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nd on one surface of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facing the vehicle interior 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The rear view mirror may be a photosensitive mirror having a rear photo sensor for communicating.

상기한 바와 같은 해결 수단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olu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는, 차량 실내의 온도와 차량 글라스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개별적인 온도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차량 글라스의 김서림을 예측하여 김서림의 발생 전에 공조 장치의 작동을 통한 김서림 방지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가 리어뷰미러 유니트에서 이루어짐으 로써,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 상 장착 공간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최대화시켜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First, the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glass, respectively, to predict the mist of the vehicle glass more precise air conditioning equipment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rim The glass fog detection, which prevents fog, is achieved in the rear view mirror unit, minimizing the mounting space on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maximizing the driver's visibility and enabling stable driving.

둘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는, 센서 가압부 및/또는 센서 지지부 가이드를 통하여 표면 온도 센서의 센싱소자가 차량 윈드 글라스 표면과의 면착을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표면 온도 측정을 통한 정확한 감지 기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Second, the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element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through the sensor pressing unit and / or the sensor support guide further enhances the adhesion of the surface of the vehicle wind glass surface to achieve a more accurate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 Accurate sensing can also be achieved.

셋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는, 전방/후방 포토센서 및 감광식 미러로 구현되는 리어뷰미러를 구비하여 후방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한 운전자 시야 방해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Third,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ar view mirror implemented as a front / rear photo sensor and a photosensitive mirror, thereby minimizing driver's view disturbance caused by light emitted from the rear vehicle.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10)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에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10)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10)는 차량(미도시)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차량 실내를 향한 일면의 상단부에 장착 배치된다.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10)는 리어뷰미러 하우징부(100)와, 센서부(200)와, 인쇄회로기판(300)을 포함하는데, 리 어뷰미러 하우징부(100)는 리어뷰미러 하우징(110),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120)와 리어뷰미러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리어뷰미러 하우징(110)에는 리어뷰미러(20)가 배치되는데, 리어뷰미러(20)는 일면이 차량의 실내 및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운전자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리어뷰미러 하우징(110)의 상단은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12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데,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어뷰미러 하우징(110)과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120)는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한 구조를 취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명백하다.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120)의 타단은 리어뷰미러 지지부(130)에 연결되는데,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120)와 리어뷰미러 지지부(130) 간에도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irror unit 10, and FIG. 3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10.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rfac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of the vehicle (not shown) facing the vehicle interior.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10 includes a rear view mirror housing 100, a sensor 20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300.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00 includes a rear view mirror. The housing 110 includes a rear view mirror housing support 120 and a rear view mirror support 130. The rear view mirror 20 is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10. The rear view mirror 20 may secure a driver's rear view by disposing one surface of the rear view mirror 20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rear of the vehicle. An upper end of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support 120, although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10 and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support 120 are not clearly shown here. It is appar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a relative rotatable structure. The other end of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support 120 is connected to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30, and it is apparent that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support 120 and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3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Do.

리어뷰미러 지지부(130)는 지지부 베이스(140) 및 지지부 커버(150)를 구비하는데, 지지부 베이스(140)와 지지부 커버(150) 간에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는데, 지지부 베이스(140)와 지지부 커버(150) 간의 체결은 서로 간에 맞물리는 돌기/홈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지지부 베이스(140)와 지지부 커버(15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지지부 베이스(140)와 지지부 커버(150)의 내부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200)이 배치된다.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30 includes a support base 140 and a support cover 150.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ase 140 and the support cover 1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base 140 and the support are supported. The fastening between the covers 150 may take a protrusion / groove structu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in some cases,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provided. The support base 140 and the support cover 150 mesh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base 140 and the support cover 150.

리어뷰미러 하우징(100)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일면으로 차량 실내측을 향한 일면에 장착되는데, 리어뷰미러 하우징(100) 리어뷰미러 지지부(140)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한 일면에는 패드 장착부(141)가 형성되고, 패드 장 착부(141)에 양면 접착성 표면을 구비하는 지지부 접착 패드(160)가 배치됨으로써, 리어뷰미러 지지부(140)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된다. 하지만, 이러한 양면 접착성 표면을 구비하는 지지부 접착 패드에 의한 장착은 본 고안의 일구현예일뿐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착 구성을 취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0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1 toward the vehicle interior side, and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1 of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00 and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unit 140. The pad mounting portion 141 i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supporting portion adhesive pad 160 having the double-sided adhesive surface is disposed on the pad mounting portion 141, such that the rear view mirror supporting portion 140 is formed in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It is mounted to keep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1).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e mounting by the support adhesive pad having such a double-sided adhesive surface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take various mounting configurations.

인쇄회로기판(200)에는 예를 들어 유니트 제어부(210) 및 전원부(미도시)와 같은 각종 전기/전자 요소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들은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된 배선(미도시)에 의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인쇄회로기판(200)은 배선 라인(미도시)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는데, 배선 라인(미도시)은 지지부 베이스(140)의 상단에 형성된 라인 관통구(142)를 관통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쇄회로기판(200)은 안정적인 배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부 베이스(140)의 지지부 커버(150)의 내부 공간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은 명백하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electric / electronic elements such as, for example, a unit control unit 210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which are formed by wiring (not shown)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Electrical communication is achieve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may b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ic device through a wiring line (not shown). The wiring line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line through hole 142 formed at the top of the support base 140. It can also take a structure to. In addition, although not clearly shown here, it is apparent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fixedly disposed in an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cover 150 of the support base 140 to secure a stable placement position. Do.

센서부(300)는 리어뷰미러 하우징부(100)에 배치되는데, 센서부(300)는 표면 온도 센서(340) 및 온습도 센서(330;331,333)을 포함한다. 표면 온도 센서(340)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일면으로 차량 실내를 향한 일면에 접촉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실내측 표면 온도를 감지하고, 온습도 센서(330;331,333)은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데, 표면 온도 센서(340)는 리어뷰미러 지지부(140)로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온습도 센서(330;331,333)는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된다. 온습도 센서(330;331,332)는 별개의 분리된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온습도 센서는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온습도 센서(330;331,333)가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 커버(150)의 측면에는 지지부 베이스(140)와 지지부 커버(150)가 이루는 내부 공간과 차량 실내와의 유체 소통을 이루기 위하여 지지부 소통구(151)가 구비되는데, 지지부 소통구는 지지부 베이스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상기 사항들로부터 명백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통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각을 제한하지 않고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습기/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300 is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unit 100. The sensor unit 300 includes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340 and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330 (331, 333).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340 contacts the one surface of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1 toward the vehicle interior to detect the interior surface temperature of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1,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330; In order to sens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room,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340 is arranged to contact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by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40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330 (331, 333) are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placed on. Alth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330; 331 and 332 are illustrated in FIG. 3 as being implemented as separate component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taking an integrally formed configuration. . In order f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330; 331 and 333 to accurately sens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hicle interior, the space betwee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base 140 and the support cover 150 and the fluid inside the vehicle interior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cover 150. Support communication port 151 is provided to achieve communication, it is apparent from the above that the support communication port may take a structure formed in the support base. Through such a structure, moisture / fogging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can be prevented without restricting the driver's forward viewing angle throug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습기/김서림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온도 센서(340)는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와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을 포함하는데,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는 일단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 고정 배치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하여 배치되는데,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는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의 타단으로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한 일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는 전기 도선(미도시)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전기 도선(미도시)은 표면 온도 센서 바디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개별적으 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for further preventing moisture / fogging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2 and 3,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340 includes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one end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is printed. It is fixed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toward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1 as a free end.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is the other end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to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one surface facing (1). Although not clearly shown here,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makes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through an electrical conductor (not shown), which is one side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or separately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리어뷰미러 하우징부(100)에는 센서 관통부(143)와 센서 가압부(147)가 더 구비된다. 센서 관통구(143)는 리어뷰미러 지지부(140)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고, 센서 가압부(147)도 리어뷰미러 지지부(140)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데, 센서 가압부(147)는 센서 관통구(143)의 인근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가압부(147)는 센서 관통구(143)의 내부에 배치되되, 센서 가압부(147)의 측면이 센서 관통구(143)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00 further includes a sensor penetrating portion 143 and a sensor pressing portion 147. The sensor through hole 14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40 toward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1, and the sensor pressing unit 147 is also formed on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1 of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40. It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the sensor pressing unit 147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nsor through-hole 143.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pressing unit 147 is disposed inside the sensor through hole 143, and the side of the sensor pressing unit 147 is formed in the sensor through hole 143. It may take the structure extended from an inner side surface.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는 센싱소자 장착부(341a)와 바디 경사부(341b)를 포함하는데, 센싱소자 장착부(341a)의 일면에는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가 배치되고, 바디 경사부(341b)는 센싱소자 장착부(341a)를 탄성 지지한다. 리어뷰미러 하우징부(100) 리어뷰미러 지지부(140)의 센서 관통구(143)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센서 가압부(147)의 일단은,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10)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데, 센서 가압부(147)는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의 센싱소자 장착부(341a)의 타면을 가압 지지함으로써 센싱소자 장착부(341a)에 장착된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와 더욱 밀착 접촉되어,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보다 정확한 표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Figure 4 shows a schematic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includes a sensing element mounting portion 341a and a body inclined portion 341b. A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nsing element mounting portion 341a and a body inclination portion 341b is provided. ) Elastically supports the sensing element mounting portion 341a. One end of the sensor pressing portion 147 which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through-hole 143 of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portion 140 and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portion 100 is a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the protrusion 10 is formed to face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and the sensor pressing unit 147 is a sensing element mounting unit 341a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By pressing and suppor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mounted on the sensing element mounting portion 34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thereby detecting a more accurate surface temperatur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can do.

또한,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의 리어뷰미러 지지부(140)는 표면 온도 센서의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의 표면 밀착을 강화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관통구(143)의 내측 상단부에는 센서 관통구(143)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센서 지지부 가이드(145)가 구비되는데, 센서 지지부 가이드(145)는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의 길이 방향으로 센서 가압부(147)와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는 센서 가압부(147)와 센서 지지부 가이드(145)에 의하여 두 개의 지점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에는 센서 가압부(147)와 센서 지지부 가이드(145)에 의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P와 R의 가압력 및/또는 가압반력이 가해짐으로써,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에 보다 밀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센서 지지부 가이드(145)와 센서 가압부(147)와 그리고 표면 온도 센서 바디(341)는 적절한 값이 선택되어 표면 온도 센싱소자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 간에 일정한 소정의 면압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표면 온도 센싱소자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 간에 일정한 면압력으로 소정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rear view mirror support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enhancing surface adhes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upper end of the sensor through-hole 143 is provided with a sensor support guide 14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sensor through-hole 143, the sensor support guide ( The 145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ressing part 14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whereby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is separated by the sensor pressing part 147 and the sensor support guide 145. It consists of applying pressing forces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two points. Accordingly,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element is applied to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by the pressing force and / or the pressing reaction force of P and R, respectively,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sensor pressing portion 147 and the sensor support guide 145. 343 may have a structure that comes closer to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The sensor support guide 145, the sensor pressurizing portion 147, and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341 are selected by appropriate values such that a predetermined surface pressure is applied between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thereby providing a surface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more accurate measurement value by securing a predetermined contact area with a constant surface pressure between the sensing element and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또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는 야간 주행시 후방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리어뷰미러에 반사되어 눈부심으로 인한 운전 방해를 저감 내지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뷰미러 하우징(110)에는 후방 포토 센서(320)가 구비되고, 리어뷰미러(20)는 감광식 미러로 구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전방 포토 센서(310)와 후방 포토 센서(320)는 각각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하여 리어뷰미러 지지부(140)에 그리고 리어뷰미러 하우징(110)의 차량 실내측을 향한 일면에 배치되어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과 후방 차량의 헤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데, 전방 포토센서(310)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직접 그리고 후방 포토센서(320)는 리어뷰미러 지지부(1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0)과 배선 라인(미도시)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어뷰미러 지지부에는 전방 포토센서가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방 포토센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음은 명백하고, 후방 포토센서가 리어뷰미러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우 후방 포토 센서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별도의 리어뷰미러 하우징 인쇄회로기판이 더 배치되고 리어뷰미러 지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와이어를 통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룸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명백한 사항이다. 또한, 전방 포토 센서는 리어뷰미러 지지부에 장착되고 후방 포토 센서는 리어뷰미러 하우징에 장착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전방 포토 센서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후방 포토 센서가 후방 차량의 헤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or removing the driving disturbance caused by glare beca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ar vehicle at night driving is reflected on the rear view mirror,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10 may include a rear photo sensor 320, and the rear view mirror 20 may be implemented as a photosensitive mirror. That is, the front photo sensor 310 and the rear photo sensor 320 respectively face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o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40 and on one surface of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110 toward the vehicle interior side. Arranged to detec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head lamp of the rear vehicle, the front photosensor 3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the rear photosensor 320 Electrical communic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the wiring line (not shown)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140. Here, although not clearly shown, it is apparent that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may have a structure such that the front photosensor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ront photosensor may sense light, and the rear photosensor housing may be rear view mirror housing. When mounted on the rear photo-sensor,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printed circuit board is further dispos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wir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portion is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is is obvious. In addition, the front photo sensor is mounted o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and the rear photo sensor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which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hoto sensor is external throug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Various positions may be selected within a range mounted to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to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rear side, and to perform a function of s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headlamp of the rear vehicle.

또한, 리어뷰미러(20)는 감광식 미러(Electronic chromic mirror)로 구현되 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식 미러로 구현되는 리어뷰미러(20)는 두 개의 유리기판(21,22) 사이에 ITO와 같은 투명 전극(23)/ 크롬과 같은 반사 전극(24)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전극(23,24),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NiO/WO3와 같은 전이금속박막층(25,26), 전이금속박막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질층(27), 두 개의 유리 기판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재(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통상적인 기술에 따른 감광식 미러로 형성될 수 있는데, 투명 전극과 반사 전극으로 구현되는 각각의 전극은 도선을 통하여 외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전방 포토센서(310) 및 후방 포토센서(320)으로부터의 광량 감지 신호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유니트 제어부(210)로 전달되고, 유니트 제어부(210)는 리어뷰미러(20)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rear view mirror 20 is implemented as a photosensitive mirror (Electronic chromic mirror), as shown in Figure 6, the rear view mirror 20 is implemented as a photosensitive mirror has two glass substrates (21, 22, each of the electrodes 23 and 24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23 such as ITO / reflective electrode 24 such as chromium, and a transition metal thin film layer 25 or 26 such as NiO / WO 3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 An electrolyte layer 27 formed between the transition metal thin film layers, a sealing material (not shown) for sealing the sides of the two glass substrates, and the like, which may be formed of a photosensitive mirro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electrode, which is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 reflective electrode,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a conductive line. As su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signals from the front photosensor 310 and the rear photosensor 320 are transmitted to the unit controller 21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the unit controller 210 is the rear view mirror 20.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에 대한 작동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된 온습도 센서(330;331,333)는 사전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 및 검출하고,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에 면착된 표면 온도 센서(340)의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는 열전도를 통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일면 상의 온도를 직접 측정한다.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과 표면 온도 센싱소자(343) 간의 면착은 센서 가압부 및 센서 지지부 가이드를 통한 가압력에 의하여 더욱 공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신호는 배선 라인을 따라 유니트 제어부(210)로 전달된다. 유니트 제어부(210)는 입력된 온습도 센 서(330;331,333)로부터의 차량 실내 온도 및 습도 신호로부터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에서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한다. 또한, 유니트 제어부(210)는 표면 온도 센서(340)로부터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 온도 신호와 상기 산출된 이슬점 온도 및 저장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사전 설정값(계산식 및/또는 록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에서의 김서림 발생 가능성을 판단 예측한다. 여기서, 저장부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유니트 제어부(210)와 통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니트 제어부(210)는 판단된 신호를 제어부(30, 도 5 참조)로 전달하고 ECU 또는 MCU 또는 ETACS를 관장하는 제어유니트로 구현되는 제어부(30)는 유니트 제어부(210)의 신호에 기초하여 공조 제어부(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공조 시스템(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한다. 유니트 제어부(210)와 제어부(30) 간의 전기적 소통은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LIN과 같은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330 and 331 and 333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detect and detec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hicle interior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eriod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340 which is faced to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of FIG. 3 directly measures the temperature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through heat conduc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and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343 may be made more firm by the pressing force through the sensor pressing unit and the sensor support guide. The sensed temperature and humidity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unit controller 210 along the wiring line. The unit controller 210 calculates the dew point temperature at the surfac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from the vehicl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signals fr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330; 331 and 333. In addition, the unit controller 210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surface temperature signal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from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340 and the preset dew point temperature and preset values (calculated and /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not shown)). Or a lockup table) to determine and predict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fog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1. The storage unit may be a separate component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or may be form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unit controller 210. The unit controller 210 transmits the determined signal to the controller 30 (see FIG. 5), and the controller 30 implemented as a control unit that manages the ECU, the MCU, or the ETACS cooperates based on the signal of the unit controller 210.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not shown). It is apparent that the electri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unit control unit 210 and the control unit 30 may be made through a communication such as LIN through the transceiver.

또한, 전방 포토센서(310)와 후방 포토센서(320)는 각각 외부로부터의 빛을 감지하는데, 전방 포토센서(310)는 차량 쉴드 글라스(1)를 통한 외부로터의 빛을 감지하고, 후방 포토센서(320)는 뒷측 외부로부터의 빛을 감지한다. 각각 감지된 광량 신호는 유니트 제어부(210)로 전달되고, 유니트 제어부(210)는 각각의 광량 신호의 차이에 따라 적절한 제어 신호를 감광식 미러로 구현되는 리어뷰미러(20)의 각각의 전극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리어뷰미러(20)의 반사율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리어뷰미러(20)의 제어 과정은 제어부(3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photosensor 310 and the rear photosensor 320 detects light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the front photosensor 310 detects the light of the external rotor through the vehicle shield glass (1), the rear photo The sensor 320 detects light from outside the rear side. Each detected light quantit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nit controller 210, and the unit controller 210 transmits an appropriate control signal to each electrode of the rear view mirror 20 implemented as a photosensitive mirr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each light quantity signal.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he reflectance of the rear view mirror 20 is controlled. The control process of the rear view mirror 2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ler 30.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리어뷰미러 지지부는 표면 온도 센서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와의 면착을 유지하도록 하되 단부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와 접하는 차량 톱루프 측의 단부에 고정 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리어뷰미러 지지부의 지지부 커버는 측면만이 아니라 지지부 커버 표면 전체에 지지부 소통구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표면 온도 센서 및 온습도 센서가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maintains the adhesion wit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but the end portion is fixedly supported at the end portion of the vehicle top roof side in contact wit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In some cases, the support cover of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upport communication hole is provided not only on the side but also on the entire support cover surface, such as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and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range which takes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part.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ttach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a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of FIG. 2.

도 4는 도 3의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의 센서 가압부 및 표면 온도 센서 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between a sensor pressing part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of the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unit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의 제어 및 작동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를 포함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5 is a schematic view of a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system including a schematic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for illustrating a control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diagram.

도 6은 본 고안의 감광식 미러로 구현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6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glass fog detecting rear view mirror implemented by the photosensitive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 10...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1 ... vehicle windshield glass 10 ...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100...리어뷰미러 하우징부 200...인쇄회로기판Rear view mirror housing 200 Printed circuit board

300...센서부 340...표면 온도 센서300 Sensor area 340 Surface temperature sensor

Claims (5)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차량 실내면에 장착되는 리어뷰미러 지지부와, 리어뷰미러를 구비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과,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부와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을 연결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 지지대를 구비하는 리어뷰미러 하우징부;A rear view mirror support mounted to the vehicle interior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 rear view mirror housing having a rear view mirror, and a rear view mirror housing support connecting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and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A rear view mirror housing unit;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표면 온도 센서와,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습도 센서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향하여 배치되는 전방 포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센서부;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portion, and a front photo sensor disposed toward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A sensor unit disposed;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 온도 센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를 구비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an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어뷰미러 지지부에 차량 실내와의 유체 소통을 위한 지지부 소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 And a support communication port for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nterior is provided in the rear view mirror support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면 온도 센서는,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타단이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표면 온도 센서 바디와, 상기 표면 온도 센서 바디의 타단으로 윈드 쉴드 글라스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표면 온도 센싱소자를 구비하고,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may include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vehicle wind shield glass side, and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wind shield glass. Equipped with a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부에는, 상기 표면 온도 센서 바디의 관통을 허용하는 센서 관통부와, 상기 표면 온도 센싱소자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에 접하도록 상기 표면 온도 센서 바디를 가압하는 센서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The rear view mirror housing portion includes a sensor through portion that allows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to penetrate therein and a sensor pressurizing portion that presses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body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sensing element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unit.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센서 관통부의 내측으로 상기 표면 온도 센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센서 가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서 지지부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And a sensor support part guid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pressurization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inwardly of the sensor through par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향하여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에 배치되는 전방 포토센서와, 상기 리어뷰미러 하우징의 차량 실내 측을 향한 일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후방 포토 센서를 구비하고, A front photo sensor disposed in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toward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and a rear photo sensor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one surface of the rear view mirror housing toward the vehicle interior side; 상기 리어뷰미러는 감광식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리어뷰미러 유니트.The rear view mirror is a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sensitive mirror.
KR2020070011966U 2007-07-20 2007-07-20 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KR2004392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966U KR200439214Y1 (en) 2007-07-20 2007-07-20 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966U KR200439214Y1 (en) 2007-07-20 2007-07-20 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214Y1 true KR200439214Y1 (en) 2008-03-27

Family

ID=4164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966U KR200439214Y1 (en) 2007-07-20 2007-07-20 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21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46B1 (en) *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Defog sensor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46B1 (en) *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Defog senso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505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JP4732491B2 (en) Vehicle equipment
US5223814A (en) Sensor for vehicle accessories
US7889086B2 (en) Camera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KR101996191B1 (en) Vehicle composite screen with integrated optical sensor
JP4511969B2 (en) Fixing device for sensor means
US20120103960A1 (en) Disc with a heatable, optically transparent sensor array
JP5475218B2 (en) Compound sensor
CN104125907B (en) Optical sensor with the humidity sensor being incorporated to
KR20010102430A (e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internally mounted compass sensor
JP2009544534A (en) Automotive modular sensor unit
JP5154556B2 (en) Solar sensor
JP2009241812A (en) Vehicle accessory
KR200439214Y1 (en) Rearview mirror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JP2008536733A (en) Sensor device in car door mirror
US2003015158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219029271U (en) Intelligent dimming rearview mirror
CN105974851A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sens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nd vehicle with multifunctional intelligent sensing control system
JP4051571B2 (en) Display device
CN219029273U (en) Anti-dazzle dimming rearview mirror
EP3712581B1 (en) Automobile rain and temperature sensor module
KR200438165Y1 (en) Module unit for protecting Fog on the glass of a vehicle
KR102663942B1 (en) Composite pane glass with integrated light sensor and holographic optical elements
JP200235781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10118432A (en) Composite pane with integrated light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