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313Y1 - Digital disc - Google Patents

Digital dis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313Y1
KR200422313Y1 KR2020060011557U KR20060011557U KR200422313Y1 KR 200422313 Y1 KR200422313 Y1 KR 200422313Y1 KR 2020060011557 U KR2020060011557 U KR 2020060011557U KR 20060011557 U KR20060011557 U KR 20060011557U KR 200422313 Y1 KR200422313 Y1 KR 200422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record
sound source
download
electron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5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이지맥스 주식회사
이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맥스 주식회사, 이영만 filed Critical 이지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1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3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3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음반 형태가 CD 나 tape 등이 아닌 전자 memory ic를 이용하여 음원을 기록 하여 별도의 재생장치가 없어도 재생이 가능한 전자음반이 출현 했다. 이 전자음반은 특정 가수등의 음원을 미리 탑재 하여 시판 하고 구매자는 이 전자음반을 구입과 동시에 바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노래를 다시 내려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오랫동안 전자음반을 들은 경우 그냥 버리거나 집안에 쌓아 두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an electronic record that can be reproduced without a separate playback device by recording a sound source using an electronic memory IC, rather than a CD or tape, has emerged. The electronic record is commercially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singer, etc., and the buyer can purchase the electronic record and immediately listen to the music. However, you can't download new songs again, so if you listen to an electronic record for a long time, you may just throw it away or pile it up in your house.

따라서 본 고안 에서는 그냥 버려지거나 사용 되지 않는 이 전자음반을 계속적으로 사용 하기 위해 고안 되었으며 방법으로는 이 전자음반 내에 내려 받을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다 듣고 나면 특정한 장소에서 이 장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노래를 유료로 내려 받아 다시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gned to continuously use this electronic record which is not discarded or used. As a method, it is equipped with a device that can be downloaded in this electronic record. By downloading a new song for a fee is the advantage that you can listen again.

디지탈 오디오 재생기, 전자음반, 내려받기, 인터넷, 서버 Digital Audio Player, Electronic Record, Download, Internet, Server

Description

내려받기가 가능한 전자음반{Digital disc}Downloadable electronic discs {Digital disc}

도 1은 종래 전자음반의 내부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record

도 2은 종래 전자음반의 외관도2 is an external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record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내부 블록도Figure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외관도4 is an external view of an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과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시스템 연결도 15 is a system connection diagram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과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시스템 연결도 2Figure 6 is a system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re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내려받기 와 관련된 마이콤 흐름도7 is a micom flow diagram related to the down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00: 메모리부 101: mp3디코다100: memory 101: mp3 decoder

102: 오디오 앰프 103: LCD 표시장치102: audio amplifier 103: LCD display

104: 마이콤 105: 전원장치104: micom 105: power supply

106: 키입력부106: key input unit

200: 재생키 201: 앞으로 가기 키200: Play key 201: Forward key

202: 뒤로 가기 키 203: 정지 키202: Back key 203: Stop key

204: 가수의 사진 205: 동작표시 LED204: Photo of singer 205: Operation display LED

206: 외관 케이스 207: 오디오 출력단자206: appearance case 207: audio output terminal

300: 메모리부 301: mp3디코다300: memory unit 301: mp3 decoder

302: 오디오 앰프 303: LCD 표시장치302: audio amplifier 303: LCD display

304: 마이콤 305: 전원장치304: micom 305: power supply

306: 키입력부 307: 외부기기 연결 단자306: key input unit 307: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400: 재생키 401: 앞으로 가기 키400: play key 401: forward key

402: 뒤로 가기 키 403: 정지 키402: back key 403: stop key

404: 가수의 사진 405: 동작표시 LED404: picture of the singer 405: operation display LED

406: 외관 케이스 407: 오디오 출력단자406: appearance case 407: audio output terminal

408: 외부기기 연결 단자408: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500: 음원서버 501: 인터넷 망500: sound source server 501: Internet network

502: 음원 내려받기용 단말기 503: 연결 케이블502: terminal for downloading the sound source 503: connection cable

504: 전자음반 본체 505: 외부기기 연결 단자504: electronic record body 505: terminal for connecting external equipment

600: 음원서버 601: 인터넷 망600: sound source server 601: Internet network

602: 음원 내려받기용 단말기 603-1: 무선통신용 단자 603-2: 무선통신용 단자602: terminal for downloading a sound source 603-1: termi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603-2: termi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604: 전자음반 본체604: electronic record body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음반 형태가 CD 나 tape 등이 아닌 전자 memory ic 를 이용하여 음원을 기록 하여 별도의 재생장치가 없어도 재생이 가능한 전자음반이 출현 했다. 이 전자음반은 특정 가수 등의 음원을 미리 탑재 하여 시판 하고 구매자는 이 전자음반을 구입과 동시에 바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an electronic record that can be played without a separate playback device by recording a sound source using an electronic memory IC, rather than a CD or tape, has emerged. The electronic record is commercially equipped with a pre-loaded sound source such as a singer, and the buyer can purchase the electronic record and immediately listen to music.

그러나 새로운 노래를 다시 내려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오랫동안 전자음반을 들은 경우 그냥 버리거나 집안에 쌓아 두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However, you can't download new songs again, so if you listen to an electronic record for a long time, you may just throw it away or pile it up in your house.

따라서 본 고안 에서는 그냥 버려지거나 사용 되지 않는 이 전자음반을 계속적으로 사용 하기 위해 고안 되었으며 방법으로는 이 전자음반 내에 내려 받을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다 듣고 나면 특정한 장소에서 이 내려 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유료로 내려 받아 다시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려 받는 방식에 있어서 어디서나 쉽게 내려 받는다면 저작권등의 문제가 야기되어 사회적 문제가 되므로 이를 막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디지탈 오디오 재생기가 인터넷을 통해 음원이 있는 서버와 연결 되며 이 서버를 관리 함으로 내려 받은 내용이 기록되며 이 기록내용을 기준으로 하여 내려 받은 음악의 이용료가 청구 된다. 이는 휴대폰 결재나 신용카드 등의 결재로도 이용 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continuously use this electronic record which is not discarded or used. In this method, it is equipped with a device that can be downloaded in this electronic record so that the user can download it at a specific place after listening to music. It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listen to the device by downloading it for a fee. In addition, if you download easily anywhere in such a download method is caused a problem such as copyright is a social problem is required to prevent it. To do this, the digital audio player is connected to the server where the sound source is locate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downloaded contents are recorded by managing the server, and the usage fee of the downloaded music is charged based on the recorded contents. It can also be used to pay for mobile phones or credit cards.

또한, 내려 받는 경우에도 별도의 메니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내려 받을 수 있게 함으로 아무곳에서나 내려 받을 수 있는 경우는 없앨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you download it by using a separate manager program can be downloaded from anywhere can be eliminated.

이렇게 함으로서 불법복제등의 문제점등을 해소 할 수있는 것이다.By doing this, problems such as illegal copying can be solved.

먼저 기존의 전자음반의 블록도를 도 1 에 보였다. 도 1을 보면 우선 [100]은 음원데이터가 들어 있는 메모리로서 이 메모리는 마스킹 롬이나 플레쉬메모리 등의 메모리로도 가능 하며 [101]은 압축되어 기록 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신장 하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 시켜 출력 하는 mp3디코다이다. 여기서는 mp3를 예를 들었지만 실제적으로는 mp3나 wma, OGG 등의 음원 압축 포맷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2]는 [101]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최종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엠프 이고 [103]은 현재 전자음반이 어떤 노래를 출력 하는지 볼 수 있는 LCD 출력장치 이고, [104]는 본 전자음반을 총 콘트롤 하는 통상의 마이컴이며 [105]는 전자음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예로서 밧데리나 충전지를 예로 들 수 있다. [106]은 전자음반을 동작 시키기 위한 동작키 이다. 이 전자음반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 음원을 재생 시키는 장치 이다.First,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record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 first, [100] is a memory containing sound source data, and this memory can be used as a memory such as a masking ROM or flash memory. [101] expands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a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Output mp3 decoder. Here, mp3 is taken as an example, but in practic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udio compression formats such as mp3, wma, and OGG. [102] is an audio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101] and finally outputs it. [103] is an LCD output device which can see what songs are currently output by the electronic record, and [104] [105] is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recording, for example,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106] is an operation key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record. This electronic record is a device that reproduces the digital sound source recorded in the memory.

도2는 상기 전반음반의 실제 예를 보여 주는 제품을 예로 보였다. [200]은 재생키, [201]은 앞으로 감기 키, [202]는 뒤로 감기키, [203]은 앞으로 감기 키, [204]는 전자음반의 주인공인 가수의 사진, [205]는 재생되는 노래의 제목과 가수의 이름 등을 보여 주는 LCD 표시장치, [207]은 오디오 출력단자 이다. 이렇게 구성된 전자음반을 구체적으로 설명 해 보면 [100]에는 압축된 음반의 음원데이터가 기록 되어 있는 것으로 전자음반 제작 시 미리 기록 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101]의 디코더가 필요로 하게 되는데 본 고안 에서는 예로서 mp3로 하였으나 이와 상관 없이 wma 나 OGG 등의 효율 좋은 음원이면 채택 이 가능 하다. 이 [101]의 디코더 에서는 [104]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100]의 메모리에서 입력되는 음원데이터를 원음으로 복원하고 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102]의 오디오 엠프로 출력한다. [102]의 오디오엠프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외부로 내보내고 사용자는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통해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종래의 전자음반을 설명하였다.2 shows an example of a product showing a practical example of the first half. [200] is the playback key, [201] is the forward key, [202] is the forward key, [203] is the forward key, [204] is the picture of the singer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electronic record, and [205] An LCD display showing the title of the song and the name of the singer. [207] is the audio output. Referring to the electronic reco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100],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compressed record is recorded. A decoder of [101] is required to reproduce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mp3 is used. However, any sound source having good efficiency such as wma or OGG can be adop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01], the decoder of [101] recovers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memory of [100] to the original sou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of [102]. The audio amplifier of [102] amplifies the analog audio signal and exports it to the outside, and the user can listen through a speaker or earphone. Up to now, the conventional electronic record has been described.

도3는 본 고안에서의 목적인 외부로 부터 음원을 내려 받을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이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이 연결된 pc에 연결 하여 온라인 상으로 서버에 연결 되어 서버에 있는 음원을 내려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3 is provided with a device that can download a sound source from the outsid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o a PC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this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server online to download the sound source in the server It is.

도 3을 보면 우선 [300]은 음원데이터가 들어 있는 메모리로서 이 메모리는 마스킹 롬이나 플레쉬메모리, 에스램 등의 메모리로도 가능 하며 [301]은 압축되어 기록 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신장 하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 시켜 출력 하는 mp3디코다 이다. 여기서는 mp3를 예를 들었지만 실제적으로는 mp3나 wma, OGG 등의 음원 압축 포맷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02]는 [301]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최종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엠프 이고 [303]은 현재 전자음반이 어떤 노래를 출력 하는지 볼 수 있는 LCD 출력장치 인데, 제품이 따라서는 원가에 따라 이 LCD 장치를 넣을 수도 있고, 넣지 않을 수도 있다. [304]는 본 전자음반을 총 콘트롤 하는 통상의 마이컴이며 [305]는 전자음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예로서 밧데리나 충전지를 예로 들 수 있다. [306]은 전자음반을 동작 시키기 위한 동작키, [307]은 외부로부터 새로운 음원을 내려 받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기존의 USB, IrDA, 브루투스 통신용 단자, 시리얼통신 포트 등 여러 가지 형태 중 하나일 수가 있다. 이렇게 구성된 쓰기가 가능한 전자음반의 실 제품의 예를 도4에 보였다.Referring to FIG. 3, first, [300] is a memory containing sound source data, and this memory may be a memory such as a masking ROM, a flash memory, an SRAM, and the like. It is mp3 decoder which outputs by changing. Here, mp3 is taken as an example, but in practic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udio compression formats such as mp3, wma, and OGG. [302] is an audio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301] and finally outputs it. [303] is an LCD output device that can see what song is currently output by electronic record. This LCD device may or may not be inserted. [304] is a conventional microcomputer for total control of the electronic record, and [305] is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record, for example,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306] is an operation key for operating an electronic record, [307] is a connection device for downloading a new sound source from the outside, and may be one of various types such as a conventional USB, IrDA, Brutu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ial communication port. . An example of a real product of the writable electronic record thus constructed is shown in FIG.

[400]은 재생키, [401]은 앞으로 감기 키, [402]는 뒤로 감기 키, [403]은 앞으로 감기 키, [404]는 전자음반의 주인공인 가수의 사진, [405]는 재생되는 노래의 제목과 가수의 이름 등을 보여 주는 LCD 표시장치, [407]은 오디오 출력단자, [408]은 외부기기와 연결 하여 새로운 음원을 내려 받기 위해 제공되는 외부기기 연결 단자 이다. 이렇게 구성된 전자음반을 구체적으로 설명 해 보면 [300]에는 압축된 음반의 음원데이터가 기록 되어 있는 것으로 전자음반 제작 시 미리 기록 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301]의 디코더가 필요로 하게 되는데 본 고안 에서는 예로서 mp3로 하였으나 이와 상관 없이 wma 나 OGG 등의 효율 좋은 음원이면 채택이 가능 하다. 이 [301]의 디코더 에서는 [304]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300]의 메모리에서 입력되는 음원데이터를 원음로 복원 하고 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302]의 오디오 엠프로 출력한다. [302]의 오디오엠프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외부로 내보내고 사용자는 스피커나 이어폰등을 통해 들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음원들 내려 받기위해 준비된 것이 [307]로 이 단자를 통해 전용의 기기와 연결되어 음원을 내려 받을 수 있다. 이 전용의 기기는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로도 이용될 수 있고, 인터넷이 가능한 별도의 단말기로도 이용 될 수 있다. 또 특이점은 이 전용의 기기들은 전용의 내려받기 용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는 연결이 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기만이 내려되게 할 수 있다. 이 관계를 도5에 보였다.[400] is the play key, [401] is the forward key, [402] is the forward key, [403] is the forward key, [404] is the picture of the singer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record, and [405] LCD display device that shows the title of the song and the name of the singer, [407] is an audio output terminal, [408] is an external device connecting terminal provided to download a new sound source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Referring to the electronic reco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300],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compressed record is recorded. The decoder of [301] is required to reproduce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mp3 is used. However, any sound source such as wma or OGG can be adopted regardless of this.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301], the decoder of [301] recovers the source data input from the memory of [300] to the original sou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of [302]. The audio amplifier of [302] amplifies the analog audio signal and exports it to the outside, and the user can listen through a speaker or earphone. And it is prepared to download the sound sources from the outside [307] is connected to a dedicated device through this terminal can download the sound source. This dedicated device can be used as a computer with Internet, or as a separate terminal with Internet. In addition, the peculiarity is that these dedicated devices have a dedicated download program so that only the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wnloaded without connecting other devices. This relationship is shown in FIG.

[500]은 음원이 보관되어 있는 서버이고, [501]은 인터넷 망, [502]는 내려받기를 시키기 위한 전용의 기기 [503]은 [502]와 [504]의 전자음반을 연결 시키는 케이블 이다.[500] is a server that stores sound sources, [501] is an internet network, and [502] is a dedicated device for downloading. [503] is a cable connecting the electronic record of [502] and [504]. .

이렇게 연결 되어 구성 되는 시스템을 설명 해 보면Describe the system that is connected and configured

먼저 [504]의 전자음반은 새로운 음원을 내려 받기위해 [503]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502]의 전용의 내려받기 기기와 연결 된다. 이 연결은 통상의 USB 방식으로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USB 케이블이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한다면 무선의 방식 이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블은 필요없다. 이 관계는 도6 에 보였다. 도 6에서는 도5의 케이블이 대신 블루투스가 무선통신이므로 [603-1], [603-2]의 송수신 부로 이 케이블을 대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내려받기 방식이 시리얼 통신을 이라면 시리얼 통신 케이블이면 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자음반과 내려받기기기가 연결되면 내려받기 기기에는 인터넷이 연결 되어 있어 사용자 요구에 의해 서버에 연결 되고 원하는 음원을 내려 받을 수 있다. 도 7에는 연결되어 내려받기 될 때 까지 의 흐름도 를 보였다.First, the electronic record of [504]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download device of [502] by using the cable of [503] to download a new sound source. This connection can also be used with a conventional USB method. In this case, it can be a USB cable. If you use the Bluetooth method, you do not need a separate cable because it is wireless. This relationship is shown in FIG. In FIG. 6, since the Bluetooth of FIG. 5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he cable of FIG. 5 can be replaced by the transceiver of [603-1] and [603-2]. If the download method is serial communication, it may be a serial communication cable. In this way, when the electronic record and the download device are connected, the download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at the user can connect to the server and download the desired sound source. 7 shows a flow chart until the connection is downloaded.

이러한 전용의 내려받기 기기는 pc를 베이스로 한 기기로 인터넷이 연결되고 내려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으면 내려받기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내려받기 기기는 레코드 판매점이나 편이점, 도서점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라면 설치가 가능하며, 이 곳에서 전자음반과 연결 하여 새로운 음원을 내려 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전자음반이 내려 받지 못하고 버려 지는 아쉬움 이 있었는데 이렇게 음원을 내려받기가 가능하므로 더 많은 화용Such a dedicated download device can be used as a download device if a PC-based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installed a program for downloading. Such a download device can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such as a record store, a convenience store, a book store, and can download a new sound source by connecting it to an electronic record, so that the existing electronic record cannot be downloaded and discarded. I was able to download a sound source like this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효과를 살펴보면, 시중에 판매되는 전자음반의 경우 내장 되어 있는 노래이외에는 더 이상 새로운 노래를 내려받기를 할 수 없어 싫증이 날 경우 그냥 버려지거나 집에 쌓아 두는 상황이 발생 되나 본 고안의 전자음반은 새로이 내려받기 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 하여 이 내려받기가 가능한 장소에 가서 전용의 기기와 연결 하여 새 음원을 내려받음으로 인해 항상 새 음원을 들을 수 있으므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Looking at the effect of the electronic re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commercially available electronic record can not download any new songs other than the built-in songs, when you get tired of the situation is just thrown away or piled up at home However, the electronic reco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new downloadable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you can always listen to a new sound source by connecting to a dedicated device and downloading a new sound source. There is.

Claims (2)

새로운 음원을 내려 받을 수 있는 전자음반에 관한 것으로,On electronic record which can download new sound source, 음원이 기록되어 있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in which a sound source is recorded; 상기 메모리부 내의 음원 데이터를 읽어 내어 전용의 디코더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디코더부;A decoder unit for reading sound source data in the memory unit and converting the sound source data into an analog signal using a dedicated decoder; 상기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증폭기;An audio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가수의 이름이나 노래의 제목, 가사등의 정보가 표시 가능한 LCD 표시장치나 LED등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간단히 알려주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that simply informs the user by using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display device or an LED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singer's name, a song title, or lyrics; 상기의 전자음반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 제어부;A microcomputer control unit for comprehensively controlling the electronic recording; 상기의 전자음반의 동작을 지시하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record; 상기의 전자음반에 새로운 음원을 내려받을 수 있게 하기위한 내려받기 부;A download unit for downloading a new sound source to the electronic record; 상기의 전자음반에 전원을 공급 하는 전원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반Electronic record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reco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내려받기부가 USB방식과 같은 케이블을 이용한 시리얼통신이나 파라렐통신 또한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반Electronic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load unit includes a serial communication using a cable, such as a USB method, or Pararell communication also enable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Bluetooth, etc.
KR2020060011557U 2006-04-28 2006-04-28 Digital disc KR2004223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57U KR200422313Y1 (en) 2006-04-28 2006-04-28 Digital dis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57U KR200422313Y1 (en) 2006-04-28 2006-04-28 Digital dis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313Y1 true KR200422313Y1 (en) 2006-07-25

Family

ID=4177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557U KR200422313Y1 (en) 2006-04-28 2006-04-28 Digital dis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31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1854T3 (en) COMBINED SYSTEM OF RECORDER AND PLAYER OF COMPACT DISCS.
ES2669025T3 (en) Music distribution system
US7917238B1 (en) Portable music device and systems
US20030014333A1 (en) Portable audio device and network including an audio device
US20060225554A1 (en) Portable music editing system
JP2002092188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study contents
KR200422313Y1 (en) Digital disc
US20110226115A1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KR200403842Y1 (en) Electronics music album
KR200422312Y1 (en) Electronic music album with FM transmitter
KR200426262Y1 (en) Electronic music album
JP2001283516A (en) Method for writing reproducible data on data carrier
KR100356742B1 (en) Car audio system
KR20080003250U (en) Digital memory card
JP2013522675A (en) Button-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KR20060133883A (en) Electronics music album
WO2006137639A1 (en) Electronic music medium
JP3139130U (en) Modeling recording medium
KR20210154374A (en) Electronic album for play of video and music
KR20070037598A (en) Electronic music card
Notomi iPod fan book: go everywhere with iPod
KR200406047Y1 (en) digital Audio Player using Read Only Memory
WO2000065587A1 (en) Solid state audio player in a compact cassette case
Walkman What you can do with
US20060280042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pyrighte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