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026Y1 - Roll Piano for Blind - Google Patents

Roll Piano for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026Y1
KR200421026Y1 KR2020060006052U KR20060006052U KR200421026Y1 KR 200421026 Y1 KR200421026 Y1 KR 200421026Y1 KR 2020060006052 U KR2020060006052 U KR 2020060006052U KR 20060006052 U KR20060006052 U KR 20060006052U KR 200421026 Y1 KR200421026 Y1 KR 200421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tion
visually impaired
key
piano
roll pi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균
김석용
이세민
강승복
윤현식
정재호
이혜영
Original Assignee
다모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모아(주) filed Critical 다모아(주)
Priority to KR2020060006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0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02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눈으로 보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한 손가락과 건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이 조합되어 표시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판형상의 상판과, 상판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판에 표시되는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을 누름에 따라 각각의 건반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음을 소리내는 제어부와, 상판에 표시된 백색 건반의 복수개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인식돌기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를 제공한다.In order to be ab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correct finger and keyboard without seeing with eyes, a plate-shaped top plate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hite keys and black keys and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soft material, and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plate. The circuit is formed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key by pressing the white key and the black key which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ound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and one or more recognition formed by protruding from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whit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p plate. Provided is a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a projection.

피아노, 시각장애인, 손가락, 위치, 음계, 점자, 기준점, 돌기 Piano, blind, finger, position, scale, braille, reference point, spin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Roll Piano for Blind}Roll Piano for the Blind {Roll Piano for Blin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인식돌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ognition proje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인식돌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ognition proje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인식홈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9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ognition gro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반의 표면에 점자나 돌기 등을 표시하여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손가락의 감촉만으로 연주가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d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ed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be played with only the touch of a finger without checking the eye by displaying braille or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keyboard.

일반적으로 피아노, 아코디온, 멜로디온, 올겐 등은 건반을 이용하여 연주를 행하므로 통칭하여 건반악기라고 한다.In general, piano, accordion, melody, and organ are performed by using a keyboard, which is generally called a keyboard instrument.

종래 건반악기의 경우 건반은 다수의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이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흑색 건반은 주로 반음을 연주할 때 사용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keyboard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white keys and black keys, the black key is mainly used when playing a semitone.

종래 건반악기에 있어서 건반의 표면에는 아무런 표시가 되어 있지 않으며, 손가락과 건반 위치를 눈으로 본 상태에서 연주를 행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no marking is made on the surface of the keyboard, and the performance is performed while the finger and the keyboard position are seen.

상기와 같은 종래 건반악기의 경우에 시각장애인은 자신의 손가락 감각에 의지해서만 연주를 행하여야 하므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초기 손가락과 건반 위치를 확인하여야만 연주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should play only on the basis of his or her finger senses,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itial finger and the keyboard position with the help of others.

일부에서는 어린이들이 처음 연주를 배우기 시작할 때에 음계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각 건반에 '도레미파솔라시도' 등의 음계 이름을 인쇄하거나 스티커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도 시각장애인이 인쇄된 음계나 스티커의 음계 를 구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some cases, the names of the scales, such as `` Doremi Pasolassido, '' can be printed or affixed to each key so that children can easily learn the scale when they first learn to play, but even in this case, the scale of the scale or sticker printed by the visually impaired is prin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istinguished.

최근에는 건반부를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그 내부에 흑색 건반 및 백색 건반에 대응하는 회로가 인쇄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을 설치하여 구성한 디지털 피아노의 일종인 롤 피아노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Recently, a roll piano, a kind of digital piano, has been developed by manufacturing a keyboard part using a soft and flexible soft material, and install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n which a circuit corresponding to a black key and a white key is printed. Is being provided.

종래 롤 피아노의 구체적인 구성과 제조방법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1852호, 제10-2005-0064865호, 제10-2004-0072280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47587호 등에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Various technologies for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roll piano, such a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s. 10-2006-0001852, 10-2005-0064865, 10-2004-0072280, Patent No. 10-0447587 Is open to the public.

그러나 상기 롤 피아노에 있어서도 건반에 시각장애인의 연주를 돕기 위한 표시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롤 피아노의 경우에는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의 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손의 감촉만으로는 구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n the roll pian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eyboard is not provided with any indication for assisting the visually impair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oll piano, since the heights of the white keys and the black keys are made the sa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only by the touch of the han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건반의 표면에 시각장애인이 판독할 수 있는 점자나 돌기 등의 표시를 행하므로 눈으로 보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한 손가락과 건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displays braille and projections that can be read by the visually impaired on the surface of the keyboard so that accurate finger and keyboard positions can be identified without see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ll piano for the blind.

본 고안이 제안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는 다수의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이 조합되어 표시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판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판에 표시되는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을 누름에 따라 각각의 건반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음을 소리내는 제어부와, 상기 상판에 표시된 백색 건반의 복수개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인식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plat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hite keys and black keys and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soft material, and formed of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plate and made of a soft and flexible soft material. The lower plate is formed,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 circuit is formed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key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white and black keys displayed on the upper plate, and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flexible material.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sound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and one or more recogni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whit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p plate It is done by

상기 인식돌기는 왼손과 오른손을 중앙쪽에 위치시켰을 때에 엄지 또는 검지가 위치하는 백색 건반에 기준점을 나타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건반의 음계에 해당하는 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cognition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a reference point on a white key where the thumb or index finger is positioned when the left and right hands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r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a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musical scale of each key.

그리고 상기 인식돌기는 각 건반의 음계에 해당하는 점자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by protruding the brail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each key.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ll piano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백색 건반(12)과 흑색 건반(14)이 조합되어 표시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판형상의 상판(10)과, 상기 상판(10)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판(20)과, 상기 상판(10)과 하판(2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판(10)에 표시되는 백색 건반(12)과 흑색 건반(14)을 누름에 따라 각각의 건반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음을 소리내는 제어부(40)와, 상기 상판(10)에 표시된 백색 건반(12)의 복수개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인식돌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white keys 12 and black keys 14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and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soft material The plate-shaped upper plate 10, the lower plate 20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10 and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flexible material,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is installe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flexible material in which a circuit is formed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key as the white key 12 and the black key 14 displayed on the upper plate 10 are pressed. ), A controller 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0 and protruding on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white keyboard 12 displayed on the top plate 10 to sound a corresponding sound according to the generated signal. Formed It comprises one or more recognition projections (50).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은 연질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의 다양한 연성 재질로 형성한다.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are formed of various flexible materials such as soft synthetic resin, silicone, rubber or silicone rubber.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은 여러겹 겹치도록 둥글게 말거나 복수회 접은 다음에 펼칠 경우에도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하며,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is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is possible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it is rolled up or folded a plurality of times so as to overlap several times,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desirable.

상기 상판(10)에는 백색 건반(12)과 흑색 건반(14)의 표시가 피아노의 건반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조합되어 인쇄되거나 부착된다.On the top plate 10, the indications of the white keys 12 and the black keys 14 are printed or attached in combination with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keys of the piano.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의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과 구조는 종래 롤 피아노나 두루마리 피아노 등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specific circuit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0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a variety of configurations used in conventional roll pianos, scroll pianos, etc.,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은 리드부(38)를 통하여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through the lead unit 38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상기 제어부(40)에는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44)와, 선택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46)와, 소리를 내는 스피커부(48) 등이 연결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40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44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a display unit 46 for displaying selected contents, a speaker unit 48 for making a sound,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40)의 구성도 종래 롤 피아노나 두루마리 피아노 등에서 사용하 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40 can also be implemented by applying a variety of configurations conventionally used in roll pianos, scroll pianos, etc.,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인식돌기(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하는 손가락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and 4, the recognition protrusion 50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as not to cause pain in contact with the finger.

상기 인식돌기(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손과 오른손을 상판(10)의 중앙쪽에 자연스럽게 위치시켰을 때에 엄지 또는 검지가 위치하는 백색 건반에 기준점을 나타내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recognition protrusion 50 is configured to show a reference point on the white key where the thumb or index finger is positioned when the left and right hands are natur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

예를 들면, 상기 인식돌기(50)는 상판(10)의 대략 중앙쪽에 자연스럽게 오른손과 왼손을 위치시켰을 때에 각각의 엄지가 위치(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자세에서 양 손을 자연스럽게 들어 건반에 위치시키는 경우 오른손과 왼손의 엄지가 위치)하는 "도"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12)의 표면과 "솔"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12)의 표면에 돌출하여 형성한다. 즉 오른손(2)의 엄지가 위치하는 상기 상판(10)의 대략 중앙쪽에 위치하는 "도"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10)의 표면에 제1기준점 인식돌기(52)를 돌출 형성하고, 왼손(4)의 엄지가 위치하는 상기 상판(10)의 대략 중앙쪽에 위치하는 "솔"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10)의 표면에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를 돌출 형성한다.For example, the recognition protrusion 50 is located on the keyboard by naturally lifting both hands in the basic preparation position for playing the piano when the right and left hands are naturally positioned about the center of the top plate 10. In this case, the right hand and the thumb of the left hand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12 corresponding to the "degree" sound and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12 corresponding to the "brush" sound. That is,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2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10 corresponding to the "degree" sound locat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side of the upper plate 10 where the thumb of the right hand 2 is located, and the left hand A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4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10 corresponding to the "brush" sound located at a substantially center side of the upper plate 10 where the thumb of (4) is located.

상기에서는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를 각각 오른손(2) 엄지와 왼손(4) 엄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백색 건반(10)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대신에 오른손(2) 검지와 왼손(4) 검지가 위치하는 "레"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10)의 표면과 "파"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10)의 표면에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를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4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white keys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right hand 2 thumb and the left hand 4 thumb, respectively. Instead, the first reference point is recognized on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10 corresponding to the "re" sound and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10 corresponding to the "wave" sound in which the right hand 2 and the left hand 4 are located. It is also possible to protrude the projections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jections 54.

상기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양쪽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기준점 인식돌기(52)는 반구형으로 돌출하여 형성하고,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는 반타원구형으로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4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a player can easily distinguish both sides, or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2 may protrude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4 may protrude in a semi-ellipse shape.

또 상기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는 별형상, 하트형상, 사각형상, 십자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4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tar shape, a heart shape, a rectangle shape, and a cross shape. Even when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4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s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as a whole so that the edges do not form a right angle.

그리고 상기 인식돌기(5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건반의 음계에 해당하는 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5, the recognition protrusion 50 is formed by protruding a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musical scale of each key.

예를 들면. 각각의 백색 건반(10) 표면에 "도, 레, 미, 파, 솔, 라, 시" 중에서 해당되는 음계이름을 돌출하여 형성하는 음계 인식돌기(56)를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trude the scale recognition projections 56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white key 10 by protruding the corresponding scale names among "degree, les, me, wave, sole, la, poetry".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계 인식돌기(57)를 영어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C, D, E, F, G, A, B" 중에서 해당되는 음계이름을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scale recognition protrusion 57 may be formed by protruding the corresponding scale name among " C, D, E, F, G, A, B " made of the English alphabet.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계 인식돌기(58)를 "다, 라, 마, 바, 사, 가, 나" 중에서 해당되는 음계이름을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7, the scale recognition protrusion 58 may be formed by protruding the corresponding scale names from among "C, D, D, B, D, D, B".

상기 음계 인식돌기(56), (57), (58)는 전체 백색 건반(12)에 모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중앙쪽의 자주 사용하는 일부 백색 건반(12)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cale recognition protrusions 56, 57, and 58 may be formed on all of the white keys 12, or may be formed only on some of the frequently used white keys 12 on the center side.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음계 인식돌기(56), (57), (58)를 흑색 건반(14)에도 반음 표시인 "#" 또는 "b" 등의 표시와 함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cale recognition protrusions 56, 57, and 58 may also be formed on the black keyboard 14 together with a display such as "#" or "b", which are semitones.

상기 인식돌기(50)는 음계 인식돌기(56), (57), (58),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를 한가지만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2가지 이상을 선택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cognition protrusion 50 may be formed by selecting only one of the scale recognition protrusions 56, 57, 58,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 54.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그리고 상기 인식돌기(5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건반의 음계에 해당하는 점자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the recognition protrusion 50 may be configured by projecting the brail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musical scale of each key.

예를 들면, 각각의 백색 건반(12) 표면에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등의 해당하는 음계이름에 대응하는 점자표시를 돌출시켜 점자 인식돌기(60)를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protruding the braille recognition projection 60 by protruding the braille not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cale name such as "degree, les, me, wave, sole, la, poetry" on each white key 12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상기 점자 인식돌기(60)는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점자의 원리를 적용하여 해당되는 음계이름을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raille recognition protrusion 60 expresses a corresponding scale name by applying a principle of braille used by visually impaired persons.

그리고 상기 점자 인식돌기(60)는 상기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와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ille recognition protrusions 6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s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s 54.

예를 들면 상기 점자 인식돌기(60)는 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상기 제1기준점 인식돌기(52) 및 제2기준점 인식돌기(54)는 상대적으로 크기를 크게 형성한다.For example, the braille recognition protrusions 60 form small sizes, and the first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s 52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ecognition protrusions 54 form relatively large sizes.

상기 점자 인식돌기(60)는 흑색 건반(14)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raille recognition protrusion 60 may be formed on the black keyboard 14.

상기에서는 기준점과 음계이름 등의 인식돌기(50)를 각각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되는 음계이름과 기준점을 오목한 홈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인식홈(70)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protruding the recognition protrusions 50 such as the reference point and the scale name,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9, the corresponding scale name and the reference point are formed as concave groove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 recognition groove 70 made.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에 의하면, 눈으로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도 손가락의 감촉으로 인식돌기 또는 인식홈에 의해 기준점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초기 손가락의 기준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정확하게 연주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who can not see with eye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ference point by the recognition protrusion or the recognition groove by the touch of the finger,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initial finger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and to perform the performance accurately without the help of others.

또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에 의하면, 각 건반에 음계이름이 인식돌기 또는 인식홈에 의해 점자 또는 글씨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각 음계에 해당하는 건반을 찾아서 연주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건반악기의 연주법을 용이하게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ames of the scales are displayed in braille or letters by the recognition protrusion or the recognition groove on each key,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easily find and play a key corresponding to each scale. It is possible to learn how to play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asily.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에 의하면, 불이 꺼진 어두운 상황에서도 손가락의 감촉으로 건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건반악기의 연주가 가능하며, 색다른 연주상황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종 이벤트에 활용가치가 높은 건반악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nd according to the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by the touch of the finger even in a dark situation when the light is off, it is possible to play the keyboard instrumen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ifferent performanc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value keyboard instruments for various events.

Claims (15)

다수의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이 조합되어 표시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판형상의 상판과,A plate-shaped top plate which is display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hite keys and black keys and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soft material, 상기 상판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판과,A lower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and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soft material; 상기 상판과 하판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판에 표시되는 백색 건반과 흑색 건반을 누름에 따라 각각의 건반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회로가 형성되고 부드럽고 유연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circuit formed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key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white key and the black key displayed on the upper plate; ,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음을 소리내는 제어부와,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ound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상기 상판에 표시된 백색 건반의 복수개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인식돌기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one or more recogni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whit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p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식돌기는 표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trusion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form a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식돌기는 왼손과 오른손을 상판의 중앙쪽에 위치시켰을 때에 엄지 또는 검지가 위치하는 백색 건반에 기준점을 나타내도록 구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And the recognition protrusion is configured to indicate a reference point on a white key where a thumb or index finger is positioned when the left and right hands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인식돌기는 상판의 중앙쪽 "도"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의 표면과 "솔"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의 표면에 돌출하여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trusion is a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corresponding to the "degree" sound of the top plate and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corresponding to the "brush" soun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인식돌기는 상판의 중앙쪽 "레"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의 표면과 "파"음에 해당하는 백색 건반의 표면에 돌출하여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trusion is a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white key corresponding to the "re" sound and the "wave" sound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인식돌기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양쪽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jection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form a different height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distinguish between the two side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인식돌기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양쪽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jection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form a different shape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distinguish both side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인식돌기는 반구형, 반타원구형, 별형상, 하트형상, 사각형상, 십자형 상 중에서 선택하여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trusion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formed by selecting from hemispherical, semi-elliptic sphere, star shape, heart shape, square shape, cross sha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인식돌기는 각 건반의 음계에 해당하는 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trusion is a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figured to protrude a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each key.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인식돌기는 각각의 백색 건반 표면에 "도, 레, 미, 파, 솔, 라, 시", "C, D, E, F, G, A, B", "다, 라, 마, 바, 사, 가, 나" 중에서 하나이상의 조합을 선택하여 해당되는 음계이름을 돌출하여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jections on each white keyboard surface are "do, les, me, wave, sol, la, poetry", "C, D, E, F, G, A, B", "da, la, hemp, bar.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by selecting one or more combinations of four, four, one, and one "to protrude the corresponding musical name.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인식돌기는 각각의 흑색 건반에도 반음 표시인 "#" 또는 "b"의 표시와 함께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And the recognition protrusion is formed on each of the black keys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 or "b", which are semitone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인식돌기는 각 건반의 음계이름에 해당하는 점자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The recognition protrusion is a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formed by protruding the brail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musical name of each key.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점자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인식돌기는 상기 기준점을 구성하는 인식돌기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And a recognition protrusion configured to protrude the braille display to have a different size from the recognition protrusion forming the reference point.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점자표시를 돌출시켜 구성하는 인식돌기는 흑색 건반에도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Recognition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the braille display is also formed on a black keyboard roll piano for the blin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식돌기 대신에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지는 인식홈을 형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롤 피아노.      Roll piano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form a recognition groove consisting of a concave groove instead of the recognition projection.
KR2020060006052U 2006-03-07 2006-03-07 Roll Piano for Blind KR2004210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52U KR200421026Y1 (en) 2006-03-07 2006-03-07 Roll Piano for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52U KR200421026Y1 (en) 2006-03-07 2006-03-07 Roll Piano for Bli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026Y1 true KR200421026Y1 (en) 2006-07-07

Family

ID=4176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52U KR200421026Y1 (en) 2006-03-07 2006-03-07 Roll Piano for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02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3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mposing, 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TWI343031B (en) Method an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learning
US8242345B2 (en) Electronic finger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CA2504004A1 (en) Training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US20100288105A1 (en) System to teach music notation and composition
US20140190334A1 (en) Instructional music reading and instrument playing system and method
US3218904A (en) Guitar training device
WO2015113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composing,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US20050045024A1 (en) Color-guiding music teaching system including practice pad, pitch plates, percussion targets & lesson book assembly and method
CN106952510B (en) Pitch calibrator
KR100947991B1 (en) A training device for pressing keyboards
US5902946A (en) Instrument for musical therapy
JP6291689B2 (en)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practice with black keys as landmarks
US7468478B2 (en) Guitar playing assist apparatus
KR20070088129A (en) Roll piano for blind
KR200421026Y1 (en) Roll Piano for Blind
KR101002643B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isplaying staff
RU2799231C1 (en) Musical instrument keyboard
JP7399250B1 (en) Keyboard instrument practice aids
JP2581285Y2 (en) Musical score
US20220392425A1 (en) Musical instrument system
RU2623915C2 (en) Logopedic game "letters and sounds"
WO2018198379A1 (en) Lyrics display apparatus
KR200421287Y1 (en) Sheet for keyboard instrument
KR100861316B1 (en) Music Book Manufacture Method and Music Book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