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154Y1 -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 Google Patents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154Y1
KR200418154Y1 KR2020060006345U KR20060006345U KR200418154Y1 KR 200418154 Y1 KR200418154 Y1 KR 200418154Y1 KR 2020060006345 U KR2020060006345 U KR 2020060006345U KR 20060006345 U KR20060006345 U KR 20060006345U KR 200418154 Y1 KR200418154 Y1 KR 200418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main body
sieve
circumference
m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3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임경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택 filed Critical 임경택
Priority to KR2020060006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1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15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와 본체뚜껑 및 우려낸 차를 따라 마시는 찻잔으로 이루어지는 다구를 구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끊인 물을 부을 시, 정확한 물의 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일체형 거름망을 별도를 분리할 필요없이 차를 마실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어 정식으로 차문화와 예절을 지키면서 차를 음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gut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ieve, which consists of a main body formed integrally with a sieve, a main body lid, and a multi-tea bowl composed of drinking tea along the tea. It is easy to adjust, of course, you can drink tea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integrated sieve can provide a more stable and convenient use can formally enjoy tea while keeping tea culture and etiquette.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가 트이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일측으로 차를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를 형성한 통상의 찻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10)의 상부 내주연을 따라 단차를 갖는 받침턱(12)을 형성하며, 그 내부 중앙에는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15′)을 고르게 형성한 거름망(15)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10);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to the upper and narrower toward the bottom, made of a conventional mug shape formed a spout 11 to follow the car to one side, having a step along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 A main body 10 having integrally formed a strainer 15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이 본체(10)의 받침턱(12)에 덮여지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돌출된 손잡이(21)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를 가볍게 잡아 들어올리고 내리면서 용이하게 개폐가 이루어지는 본체뚜껑(20); Covered by the base 12 of the main body 10,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by forming a protruding handle 21,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handle 21 while opening and lowering the handle 21 lightly ( 20);

상부가 트이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찻잔(30)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다구(40)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a tea ball 40 made of a teacup 3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narrow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다구, 차, 본체, 거름망, 찻잔 Tea ceremony, tea, body, sieve, mug

Description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 Multi-hole with integrated strainer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다구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eneral tea ball.

도 2는 종래의 주전자형태로 이루어진 다관의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tube made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kettl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사시도. Figure 3 is a ful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사시도.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Main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본체 15: 거름망 20: 본체뚜껑 10: main body 15: sieve 20: main body lid

30: 찻잔 40: 다구 30: mug 40: tea

본 고안은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에 관한 것으로, 차를 우려내고자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와 본체뚜껑 및 우려낸 차를 따라 마시는 찻잔으로 이루 어지는 다구를 구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물의 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일체형 거름망을 별도로 분리할 필요없이 차를 마실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어 정식으로 차문화와 예절을 지키면서 차를 음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gut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ieve, which consists of a main body formed integrally with a sieve to brew a tea, a main body lid, and a multi-dish consisting of a teacup to drink along the brewed tea. It is possible to drink tea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integrated sieve, so that it can provide more stable and convenient use and can enjoy tea formally while keeping tea culture and etiquette.

일반적으로 마시는 차에 관하여 살펴보면, 차의 원료가 되는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을 가열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달이거나 이미 끊여져 있는 물에 넣고 우려서 유효물질을 용출시켜 마시는데, 후술된 우려서 마시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티백이라고 하는 망포 또는 부직포의 내부에 담겨져 있는 차잎 등을 티백과 함께 더운 물에 넣어서 용출시키는 방법과 건조된 차잎 등을 직접 더운 물에 넣어서 유효성분을 용출시켜 마시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when drinking tea, put the leaves, stems, roots, etc. of the plant,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the tea, together with water in a heating container and put it in the water that is already sweetened or already cut off, and elutes the effective substance to drink. Many methods are used, and this method is to elute tea leaves, such as tea bags or non-woven fabrics, with tea bags in hot water and to elute dried tea leaves in hot water to elute the active ingredients. Is being used.

상기와 같이 차잎 등이 티백에 의하여 포장되어 시판되는 제품의 경우는 사용상의 편리한 점이 있으나, 기호에 상관없이 획일적으로 동일한 맛이 구현되도록 되어 있다는 점과 티백이 합성섬유로 된 부직포 등으로 제조됨으로 인하여 이를 기피하고, 우리들의 몸 건강에 이로울 뿐만 아니라, 급변하게 돌아가는 현실에서 부족한 사색의 시간을 제공하여 차의 색깔이나 향을 음미하며, 마음의 여유 또는 사색의 시간과 차를 따르는 정성, 예의범절 등을 통해 몸과 마음의 수양을 쌓을 수 있는 건조된 차잎 등을 우려내서 마시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As described above, tea leaves and the like are packaged with a tea bag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but there is a convenience in using them. However, since the same taste is realized uniformly regardless of taste and the tea bag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made of synthetic fibers, etc. To avoid this, benefit not only our health, but also the lack of thoughtfulness in the fast-changing reality to enjoy the color or aroma of tea, and the sincerity and courtesy of following the time and tea of relaxation or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drink dried tea leaves that can build up the body and mind through the back.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구를 통틀어 가리켜 차제구, 또는 다구 혹은 다기(이하 다구라 표기함.)로 표현하며, 이는 끓인 물과 차잎 등을 함께 넣고 우려내는 주전자인 다관을 비롯한 찻잔, 찻잔받침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various utensils used in this method ar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tea tea or tea or tea (hereafter referred to as tea). This is a teapot, tea cup, tea cup, etc. Is done.

그러나 종래의 다구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다구(50)인 경우 찻잔(51)에 거름망(52)을 올려놓은 후 차잎 등을 넣고 끊인 물을 부어 일정시간 동안 차를 우려낸 후 상기 거름망(52)을 제거한 후 차를 마시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경우 찻잔(51)에 거름망(52)이 올려져 있어 내부에 부어지는 물의 량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물이 넘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미리 물의 량을 맞추어 부은 후에 차잎 등을 넣은 상기 거름망(52)을 올려놓다 보면 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점 등을 내포하고 있음은 물론 끊여진 물에 의해 열이 전도되어 뜨거워진 상기 거름망(52)을 별도로 분리하는 일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a ball,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ea ball 50 as shown in FIG. 1, after placing the strainer 52 in the mug 51, put tea leaves, etc. After removing the sieve (52) was made by drinking tea, but in this case, the sieve (52) is placed on the mug 51 can not check the amount of water poured inside the water overflow occurs frequently After pouring the amount of water in advance and putting the sieve (52) into which the tea leaves are pla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overflows, and of course, the heat is conducted by the broken water, and the sieve (52) is heat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전자형태의 다관(60)인 경우에는 차를 따르는 주둥이(61)의 내측에 거름망(62)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이 다관(60)을 사용하여 차를 따르고자 할 경우에 차를 우려내고자 넣어둔 차잎 등이 물에 의해 불려진 상태이기에 상기 주둥이(61)의 거름망(62)을 막아 버리게 되어 차가 원활하게 딸라지기 어려우며, 상기 거름망(62)에 막힌 차잎 등을 제거하고자 수차례 상기 다관(60)을 흔들어서 막힌 차잎을 제거한 후 다시 차를 따르는 행동을 반복해서 이루어짐으로써,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많은 불편함 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eapot 60 in the form of a kettle as shown in FIG. 2, the filter tube 6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pout 61 along the tea. If you want to pour tea using tea leaves put to brew tea, because the state is called by the water to block the strainer (62) of the spout (61) is difficult to carry the tea smoothly, the strainer (62) By removing the blocked tea leaves by shaking the multi-pipe 60 several times to remove the blocked tea leaves, the action of following the tea again is repeatedly performed, resulting in a lot of inconvenience due to the inconvenience.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를 우려내고자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와 본체뚜껑 및 우려낸 차를 따라 마시는 찻잔으로 이루어지는 다구를 구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끊인 물을 부을 때 수면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물이 넘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정확한 물의 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망을 별도를 분리할 필요없이 차를 마실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using a teapot consisting of a main body and a body lid and a teacup to drink along the tea to form a sieve to integrally brew tea,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can be confirmed Of course, the precise amount of water can be easily adjusted so as not to overflow or run out of water,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nvenient use of tea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strainer.

또한, 주전자형태의 다관과 같이 차를 따르는 주둥이의 내측에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차를 우려내고자 넣어둔 차잎 등이 물에 의해 불려져 상기 주둥이의 거름망을 막아버림으로써 발생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식으로 차문화와 예절을 지키면서 차를 음미하는 기분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s a teapot in the form of teapot, the siev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pout following the tea, and the tea leaves placed to brew tea are called by water to block the spout of the spou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eeling of savoring tea while keeping tea culture and etiquette formally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while preventing it.

본 고안은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에 관한 것으로, 차를 우려내기 위한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와, 이 본체의 상면에 덮여지는 본체뚜껑과, 우려낸 차를 따라 마시는 찻잔으로 이루어진 다구를 구성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gut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ieve, which consists of a main body integrally formed with a sieve for brewing tea, a main body lid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multi-drug consisting of drinking tea along the infused tea. do.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as follows.

먼저,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트이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일측으로 차를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를 형성한 통상의 찻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10)의 상부 내주연을 따라 단차를 갖는 받침턱(12)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뚜껑(20)이 덮여질 경우 본체뚜껑(20)의 외주연이 상기 받침턱(12)과 맞닿게 되어 덮여지도록 상기 본체뚜껑(20)의 외주연보다 다소 작은 지름으로 구성하게 된다. First, the main body 10 has an upper portion and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has a conventional mug shape in which a spout 11 is formed to follow a car to one side, and along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 By forming the base jaw 12 having a step, when the main body cover 20 is cover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cover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se jaw 12 to be covered It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periphery.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앙에는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15′)을 고르게 형성한 거름망(15)을 일체로 형성하는데, 이 거름망(15)은 상기 본체(10)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거나 다소 낮은 형태로 제작되어 차를 따를 경우에 상기 거름망(15) 내부의 차잎 등이 상기 주둥이(11)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통공(15′)의 지름은 상기 거름망(15)의 내부에 투입되는 차잎 등과 같은 내용물이 새어 나오지 않을 정도의 지름으로 구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ieve 15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y, the sieve 15 of the main body 10 It has a height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height or is made in a somewhat lower shape so that tea leaves, etc. inside the sieve 15 do not escape toward the spout 11 when the car is followed, a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5 'is It is configured to a diameter such that the contents, such as tea leaves that are introduced into the sieve (15) does not leak.

다음으로, 상기 본체뚜껑(20)은 상기 본체(10)의 받침턱(12)에 덮여지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돌출된 손잡이(21)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의 받침턱(12)에 결합할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를 가볍게 잡아 들어올리고 내리면서 용이하게 개폐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를 기울였을 경우에도 덮여진 본 체뚜껑(20)이 잘 벗겨지지 않도록 안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찻잔(30)의 내부에 담긴 차가 식거나 외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Next, the main body lid 20 is covered with the support jaw 12 of the main body 10, the protruding handle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12 of the main body 10 When combined,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while lifting and lowering the handle 21 lightly, and even when the main body 10 is tilted, the covered body lid 20 is not easily peeled off. It is formed in a shape to prevent the tea contained in the interior of the mug 30 to cool or to prevent dust or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outside.

끝으로, 상기 찻잔(30)은 상부가 트이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외주연과 찻잔(30)의 외주연이 단차없이 나란한 선상으로 유지되게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결합되는데, 우려낸 차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 상기 찻잔(30)을 내려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Finally, the mug 3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narrowed toward the bottom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ug 30 is maintained in a parallel line without a step, the main body 10 It is combi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hen you want to drink the tea tea is configured to be lowered the mug 30 is used.

이와 같이 본체(10), 본체뚜껑(20), 찻잔(30)으로 이루어진 다구(40)를 구성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우선 상기 본체(10)의 거름망(15)내에 적당량의 차잎 등을 넣고 적당한 온도로 끊여진 물을 부어서 채운 다음, 상기 본체뚜껑(20)을 덮어서 일정시간 동안 우려내어 차의 고유한 색깔과 냄새, 유효성분을 차잎 등으로부터 추출이 끝나면 상기 본체(10)로부터 유효성분이 제거된 차잎 등을 상기 거름망(15)내에 담고 있는 상태 그대로 둔 채로 상기 찻잔(30)에 우려낸 차를 따르면 상기 거름망(15)의 통공(15′)에 차잎 등과 같은 내용물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려낸 차만을 통과시켜 상기 주둥이(11)를 통해 상기 찻잔(30)에 따라지고, 이 차의 고유한 색깔과 냄새 등을 음미하면서 마시게 된다. Thus, in constructing and using the multi-hole 40 consisting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lid 20, and the mug 30, first, an appropriate amount of tea leaves or the like is placed in the strainer 15 of the main body 10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Filled with water poured off, and then covered with the main body lid 2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extract the unique color, smell, and active ingredients of tea from the tea leaves, etc. After the tea leaves are removed from the active ingredient 10 According to the tea brewed in the mug 30 while leaving the back in the sieve 15, the tea leaves were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through hole 15 'of the strainer 15 and at the same time. Passing through the spout 11, followed by the teacup 30, and drink while enjoying the unique color and smell of the tea.

한편, 본 고안은 상기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를 우려내기 위한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와 본체뚜껑 및 우려낸 차를 따라 마시는 찻잔으로 이루어지는 다구를 구성하여, 상기 본체내에 끊인 물을 부을 때, 수면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물이 넘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정확한 물의 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일체형의 거름망을 형성하고 있어 별도로 분리할 필요없이 차를 마실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forming a multi-hole consisting of a main body and a body lid and a drinking cup along the infused tea, which integrally formed a sieve for brewing tea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when the water cut in the main body is poured. Of course, it is easy to control the precise amount of water so that water does not overflow or run short, and because it forms an integrated strainer, you can drink a car without having to separate, so that you can get more stable and convenient to use.

또한, 주전자형태의 다관과 같이 차를 따르는 주둥이의 내측에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차를 우려내고자 넣어둔 차잎 등이 물에 의해 불려져 상기 주둥이의 거름망을 막아버림으로써 발생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식으로 차문화와 예절을 지키면서 차를 음미하는 기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a teapot in the form of teapot, the siev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pout following the tea, and the tea leaves placed to brew tea are called by water to block the spout of the spout. It can be used easily while preventing the formality, and you can get a taste of tea while keeping the tea culture and manners formally.

Claims (2)

상부가 트이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일측으로 차를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를 형성한 통상의 찻잔형상으로, 상부 내주연을 따라 단차를 갖는 받침턱(12)을 형성하며, 그 내부 중앙에 거름망(15)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10)와;The upper part is open and narrowed toward the lower part, and has a common mug shape in which a spout 11 is formed to follow a car to one side, and forms a support jaw 12 having a step along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and at the inner center thereof. A main body 10 integrally formed with a sieve 15; 상기 본체(10)의 받침턱(12)에 덮여지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돌출된 손잡이(21)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개폐가 이루어지는 본체뚜껑(20)과; A main body cover 20 which is covered by the support jaw 12 of the main body 10 and has a protruding handle 21 formed on its upper surface to easily open and close; 상부가 트이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찻잔(30);으로 이루어지는 다구(40)를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의 편리하게 차문화와 예절을 지키면서 차를 마실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Teacup 30 made of a shape that is narrowed toward the top and narrowed toward the bottom; consisting of a multi-hole 40 made of, a more stable and convenient use of the integral sieve characterized in that you can drink tea while keeping tea culture and etiquette Tea ceremony with.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름망(15)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그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15′)을 고르게 형성하고, 이 통공(15′)은 상기 거름망(15)내의 내용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소정의 지름을 형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The filter net 15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form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 'even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through holes 15' are fixed so that the contents in the filter net 15 do not leak out. A multi-row equipped with an integrated s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KR2020060006345U 2006-03-09 2006-03-09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KR2004181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45U KR200418154Y1 (en) 2006-03-09 2006-03-09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45U KR200418154Y1 (en) 2006-03-09 2006-03-09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154Y1 true KR200418154Y1 (en) 2006-06-08

Family

ID=4176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345U KR200418154Y1 (en) 2006-03-09 2006-03-09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15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001A (en) * 2019-12-17 2020-04-10 黄晚根 Tea t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001A (en) * 2019-12-17 2020-04-10 黄晚根 Tea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922B2 (en) Instant extraction cup
US6276262B1 (en) System and method of Chinese tea brewing
US5461968A (en) Brewing pot
RU2583366C2 (en) Tea c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ea cup
AU735073B3 (en) Cup plunger
US20150257582A1 (en)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US20210378437A1 (en) Coffee making system
KR101651519B1 (en) Portable drip coffee extracting device
KR200418154Y1 (en)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JP4476316B2 (en) Teapot with tea strainer
ES2928102T3 (en) Stee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preparing a drink
JP2015208668A (en) teapot
KR101610588B1 (en) Coffee extruder
JP3152879U (en) Potable solution extractor
JP2965289B2 (en) Extraction apparatus and extraction method for cup of black tea
JP5994046B2 (en) Tea bag with lid for tea bag
WO2015151382A1 (en) Green tea extraction implement
CN107048913A (en) A kind of three-in-one multiduty teacup for kung-fu tea
KR20100024560A (en) Tea cup with filters
JP3673944B2 (en) How to make tea
KR200404021Y1 (en) A filter provided a paper cup
JPH07298973A (en) Teacup with tea strainer
JPH0642581Y2 (en) Coffee filter
KR200446133Y1 (en) tea infuser
KR200342877Y1 (en) A Teacup With The Filter To Remove The Tealea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