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731Y1 - Head-set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d-set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731Y1
KR200406731Y1 KR2020050031730U KR20050031730U KR200406731Y1 KR 200406731 Y1 KR200406731 Y1 KR 200406731Y1 KR 2020050031730 U KR2020050031730 U KR 2020050031730U KR 20050031730 U KR20050031730 U KR 20050031730U KR 200406731 Y1 KR200406731 Y1 KR 200406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display device
earrings
earphon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73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현찬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20050031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73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73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귀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귀걸이대와 머리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대를 이용하여 음향의 청취뿐만 아니라 영상을 시청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display device, by using the earrings formed to surround the ear and the support formed to surround the back of the head to view the image as well as listening to the sound.

본 고안에 따르면,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귀걸이대가 마련된 복수의 이어폰 유닛과, 머리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이어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유닛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머리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귀걸이대 상호간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큰 중량이 머리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화면을 시청하는데 있어서 집중이 가능하며,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편리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set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earphone units provided with earrings, a display unit provid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head and supported by any one of the earphone units, and form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head. Including the support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arrings to each other, so that a large weight is not applied to the head,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on watching the screen, it is convenient even when using for a long time.

헤드 셋, 디스플레이, 지지대, 귀걸이대 Headset, Display, Support, Earrings

Description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Head-set display apparatus}Headset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이어폰 유닛 101, 300, 400: 스피커100: earphone unit 101, 300, 400: speaker

110, 210, 310, 420 : 귀걸이대 120 : 디스플레이 유닛110, 210, 310, 420: earrings 120: display unit

130 : 연결부재 140 : 신호 입출력 라인130: connecting member 140: signal input and output lines

150 : 마이크 160 : 음향 크기 조절기150: microphone 160: sound volume adjuster

200 : 지지대 410 : 케이스200: support 410: case

본 고안은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귀걸이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대를 연결하며 머리의 후방을 감싸도록 지지대가 형성되어 음향 의 청취뿐만 아니라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arrings, the support is formed to connect the earrings and surround the back of the head to a headset display device that can watch the image as well as listening to sound It is about.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용 컴퓨터 또는 휴대용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의 장치가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점차 소형화, 경량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의 특징상 사용자는 큰 화면으로 원하는 정보를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자의 크기는 작고 가볍지만 많은 양의 정보를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가상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가상화면을 표시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눈 가까이에 디스플레이를 접근시켜야 하는데, 헤드 셋(Head-Set)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눈 가까이 에 디스플레이를 접근시켜 고정할 수 있다.Recently,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ortable computers, or portable DVD (Digital Versatile Disc) players have become smaller and lighter for convenien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watch the desired information on a large scree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evice is small and light, but the virtual screen is displayed by using a micro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n on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desired information. However, in order to use a micro display displaying a virtual screen, the display must be approached close to the eye. By using a head-set display device, the user can freely use his hand and fix the display near the eye.

종래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머리 전체를 감싸며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착이 불편하고, 머리에 큰 중량이 인가되며, 머리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The conventional headset display device is configured to surround and support the entire head to fix the micro display. Due to such a configuration, the conventional headset display device is inconvenient to mount, a large weight is applied to the head,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affecting the hair style.

또는 종래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대를 머리 앞쪽으로 형성하고, 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코 지지대로 인하여 코에 인가되는 중량 때문에 화면을 시청하는데 있어서 집중이 어렵다. 또한, 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불쾌감이나 두통을 느 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Alternatively, a conventional headset display device forms a support toward the front of the head and includes a nose support.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ventional headset display device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viewing the screen due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nose due to the nose suppor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you can feel discomfort or headache when using it for a long time.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큰 중량이 머리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set display device in which a large weight is not applied to the head.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코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화면을 시청하는데 있어서 집중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편리한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set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ncentrated in viewing the screen by using a nose support, and convenient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귀걸이대가 마련된 복수의 이어폰 유닛과, 머리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이어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유닛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머리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귀걸이대 상호간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arphone unit is provided with earrings, a display unit which is provid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head and support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arphone unit, the rear of the head It is formed to wrap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arrings mutually.

상기 지지대는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상기 귀걸이대는 귀를 에워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곡선 형상이며, 상기 이어폰 유닛은 귀걸이대에 지지되는 케이스 및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arring stand has a curved shape with one side open to surround the ear, and the earphone unit includes a case supported by the earring sta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n input voice signal, and the speaker is inside the curved earring st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상기 스피커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aker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utside the curved earrings.

상기 스피커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중심축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aker may be rotated along a central axis to be selectively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curved earring stand.

상기 연결부재는 형상 변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상기 이어폰 유닛은 음성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출력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arphone unit may be connected to a signal input / output line for receiving audio and video signals.

상기 신호 입출력 라인 상에는 마이크와 음성 크기 조절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icrophone and a voice volume adjuster are provided on the signal input / output li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어폰 유닛(100), 귀걸이대(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연결부재(130) 및 신호 입출력 라인(140)을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headset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earphone unit 100, an earring stand 110, a display unit 120, a connection member 130, and a signal input / output line 140.

상기 이어폰 유닛(100)은 귀걸이대(110)가 마련되며, 귀걸이대(110)에 지지되는 케이스 및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01)를 포함한다. The earphone unit 100 includes an earring stand 110, and includes a case supported by the earring stand 110 and a speaker 101 for outputting an input voice signal.

상기 귀걸이대(110)는 일측이 개방된 곡선 형상으로 귀를 에워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귀에 고정되어 안착된다. 이로 인하여 귀걸이대(110)에 지지되는 케이스 역시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The earring stand 110 is configured so that one side can surround the ear in an open curved shape, is fixed to the ear is seated. Due to this, the case supported by the earring stand 110 may also be fixed without shaking.

상기 이어폰 유닛(100)은 스피커(101)와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101)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소자들간의 결합으로 구성되는데,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는 스피커(101)를 감싸고 있다. 그리고 스피커(101)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면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된다. 이로 인하여 스피커(101)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사용자가 청취하는 데 있어서, 명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arphone unit 100 is composed of a speaker 101 and a case. The speaker 101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elements to output the voice, the case surrounding the speaker 101 to protect the elements for outputting the voice. The sound output surface of the speaker 101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This allows the user to clearly hear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1.

상기 스피커(101)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귀걸이대(110)의 개방된 일측을 연결하면 폐곡선이 형성되는데, 상기 형성되는 폐곡선의 내부에 스피커(101)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스피커(101)가 귀걸이대(110)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스피커(101)가 사용자의 귓구멍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The speaker 101 is located inside the curved earring stand 110. That is, when the open side of the earrings 110 is connected, a closed curve is formed, and the speaker 101 is located inside the formed closed curve. As such, since the speaker 101 is positioned inside the earring 110, the speaker 101 may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ear hole of the user.

상기 복수의 이어폰 유닛(100) 중 하나의 이어폰 유닛(10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지지된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오른쪽 귀를 에워싸는 귀걸이대(110)가 마련된 이어폰 유닛(100)에 지지되거나 또는 왼쪽 귀를 에워싸는 귀걸이대(110)가 마련된 이어폰 유닛(100)에 지지된다.The display unit 120 is supported by one earphone unit 100 of the plurality of earphone units 100. That is, the display unit 120 is supported by the earphone unit 100 provided with the earring stand 110 surrounding the right ear, or supported by the earphone unit 100 provided with the earring stand 110 surrounding the left ear.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영상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눈 가까이에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위치하여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가상화면이 표시됨으로써, 디스 플레이 유닛(120)의 화면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에도 사용자는 대형 화면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image.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micro display device, so that the image may be viewed even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located near the eyes of the user. That is, since the virtua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even when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120 is small, the user may obtain an effect such as watching a large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지지되는 이어폰 유닛(100)은 전방 돌출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된다. 즉, 복수의 이어폰 유닛(100) 중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지지되는 하나의 이어폰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하여 이어폰 유닛(100)이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중량을 지지하는 데 있어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earphone unit 100 on which the display unit 120 is supported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art protruding forward. That is, one earphone unit 100 in which the display unit 120 is supported among the plurality of earphone units 100 protru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120 is located. Thus, when the earphone unit 100 supports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20, the earphone unit 100 may be more stably supported.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상기 이어폰 유닛(100)에 돌출 형성된 연장부를 연결한다. 연결부재(130)는 형상이 변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30)는 특정 강성을 갖는 와이어 등과 같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위치가 항상 사용자의 눈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복수의 사용자마다 얼굴 형상에서 눈의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결부재(130)를 형상이 변경 가능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위치가 사용자의 눈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결부재(130)에 일정한 압력을 작용하여 구부리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표시되는 화면의 초점이 정확하게 사용자의 눈에 일치하도록 한다. The connection member 130 connects an exten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earphone unit 100. The connecting member 130 is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130 is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can be changed by external pressure, such as a wire having a specific rigidity.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20 is not always exactly positioned in the eyes of the user.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eyes is different in the shape of the fa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Therefore, by configuring the connecting member 130 of a material whose shape can be change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20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eyes of the user. That is, due to various methods such as bending by applying a constant pressure to the connecting member 130, the focus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is exactly matched to the eyes of the user.

상기 신호 입출력 라인(140)은 일단이 이어폰 유닛(100)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상기 스피커(101)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신호 입출력 라인(140)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상기 신호 입출 력 라인(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된다. 상기 전자기기는 PDA,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이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One end of the signal input / output line 14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unit 100, and provide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speaker 101.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input to the signal input / output line 140 are input from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ignal input / output line 140. The electronic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udio signals and video signals, such as PDAs and portable computers.

상기 신호 입출력 라인(140) 상에는 마이크(150)와 음성 크기 조절기(160)가 마련된다. 상기 마이크(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출력된 음성을 외부의 전자기기로 신호 입출력 라인(140)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음성 크기 조절기(160)는 상기 스피커(101)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The microphone 150 and the voice loudness adjuster 160 are provided on the signal input / output line 140. The microphone 150 outputs the voice out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signal input / output line 140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voice adjuster 160 adjusts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speaker 101.

도 2는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귀걸이대, 이어폰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신호 입출력 라인과 지지대(200)를 포함한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headset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earring stand, an earphone unit, a display unit, a signal input / output line, and a support 200.

상기 귀걸이대, 이어폰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신호 입출력 라인은 상기 도 1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earring stand, the earphone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signal input / output line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이어폰 유닛에 마련된 복수의 귀걸이대(210) 상호간을 연결한다. 즉, 복수의 귀걸이대(210) 각각은 왼쪽 귀와 오른쪽 귀를 에워싸고 있는데, 지지대(200)는 왼쪽 귀를 에워싸고 있는 귀걸이대(210)와 오른쪽 귀를 에워싸고 있는 귀걸이대(210)를 연결한다. 상기 지지대(200)는 머리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지지대(200)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커진다. 상기 지지대(200)의 위치 및 단면적의 변화로 인하여,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귀걸이대(2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200 connects the plurality of earrings 210 provided in the earphone unit.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earrings 210 surrounds the left and right ears, and the support 200 connects the earrings 210 surrounding the left ear and the earrings 210 surrounding the right ear. do. The support 2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back of the hea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200 toward the center. Due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2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arring stand 210 by the external pressure.

즉, 귀걸이대(210)는 귀를 에워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곡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귀걸이대(210)에 지지되는 케이스의 흔들림이 감소한다. 그리고 지지대 (200)가 각 귀걸이대(210) 상호간을 연결하여 머리의 후방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귀걸이대(210)에 지지되는 케이스의 흔들림이 감소한다. 즉, 귀걸이대(21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케이스를 지지하고, 지지대(200)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케이스를 지지함으로써,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되어 안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earring stand 210 is configured in a curved shape with one side open so as to surround the ear, and the shaking of the case supported by the earring stand 210 is reduced. And the support 2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arrings 210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back of the head, the shaking of the case supported on the earrings 210 is reduced. That is, by firstly supporting the case using the earring stand 210 and secondly using the support stand 200,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and stabilized.

도 3은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귀걸이대, 이어폰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신호 입출력 라인과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도 2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since the headset display apparatus is configured as an earpiece holder, an earphone unit, a display unit, a signal input / output line, and a suppor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에서는 상기 스피커(300)가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310)의 외부에 위치한다. 즉, 귀걸이대(310)의 개방된 일측을 연결하면 폐곡선이 형성되는데, 상기 형성되는 폐곡선의 외부에 스피커(300)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스피커(300)가 상기 귀걸이대(310)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스피커(300)가 사용자의 귓구멍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없다. 그러나 스피커(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진동 등을 이용하여 스피커(30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다. In FIG. 3, the speaker 300 is located outside the curved earring stand 310. That is, when the open side of the earrings 310 is connected, a closed curve is formed, and the speaker 300 is positioned outside the closed curve. As such, since the speaker 300 is located outside the earring stand 310, the speaker 300 may not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ear hole of the user. However, the user may listen to the voice output from the speaker 300 by using the vibration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300.

상기 스피커(300)가 귀걸이대(3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은 본 고안에서 도 1과 같이 지지대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peaker 300 is located outside the earring stand 310 is applicable even when the support is omitted 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귀걸이대, 이어폰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신호 입출력 라인과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도 2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since the headset display apparatus is configured as an earpiece holder, an earphone unit, a display unit, a signal input / output line, and a suppor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도 4에서 상기 이어폰 유닛에 포함되는 스피커(400)는 케이스(410)의 외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41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는 일정 압력 이상이 작용하는 경우에 케이스(410)에 고정된 중심축에 따라서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400) 역시 일정 압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케이스(410)에 고정된 중심축에 따라서 회전이 가능하다. However, in FIG. 4, the speaker 400 included in the earphone uni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410 and is connected to the case 410 through a connection part. The connection part may be rotated along a central axis fixed to the case 410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acts. Therefore, the speaker 40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art may also be rotated along a central axis fixed to the case 410 when a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상기 스피커(400)가 회전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스피커(400)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4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한다. 즉, 귀걸이대(420)의 개방된 일측을 연결하면 폐곡선이 형성되는데, 상기 형성되는 폐곡선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스피커(400)가 위치한다. Since the speaker 400 is rotatable, the speaker 400 is selectively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curved earring band 420. That is, when the open side of the earrings 420 is connected, a closed curve is formed, and the speaker 400 is selectively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formed closed curve.

상기 스피커(400)가 귀걸이대(4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구성은 본 고안에서 도 1과 같이 지지대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peaker 400 is selectively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earring stand 420 is applicable even when the support is omitted 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changes can be mad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는 귀걸이대와 머리 후방을 감싸는 지지대를 사용함으로써, 큰 중량이 머리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화면을 시청하는데 있어서 집중이 가능하며,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편리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dse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upporter surrounding the earring stand and the rear of the head, so that a large weight is not applied to the head, the concentration is possible to watch the screen, and is convenient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Claims (10)

귀걸이대가 마련된 복수의 이어폰 유닛; 및 A plurality of earphone units provided with earrings; And 머리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이어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유닛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And a display unit provid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head and supported by one of the plurality of earphone uni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머리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귀걸이대 상호간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Headset display device is formed to surround the head, an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arrings.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대는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Headse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귀걸이대는 귀를 에워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곡선 형상이며, The earring stand has a curved shape with one side open to surround the ear, 상기 이어폰 유닛은 귀걸이대에 지지되는 케이스; 및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The earphone unit is a case supported on the earring sta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n input voice signal. Include, 상기 스피커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speaker is located inside the curved earring stan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귀걸이대는 귀를 에워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곡선 형상이며, The earring stand has a curved shape with one side open to surround the ear, 상기 이어폰 유닛은 귀걸이대에 지지되는 케이스; 및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The earphone unit is a case supported on the earring sta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n input voice signal. Include, 상기 스피커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The speaker is a headse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utside the curved earring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귀걸이대는 귀를 에워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곡선 형상이며, The earring stand has a curved shape with one side open to surround the ear, 상기 이어폰 유닛은 귀걸이대에 지지되는 케이스; 및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The earphone unit is a case supported on the earring sta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n input voice signal. Include, 상기 스피커는 상기 곡선 형상의 귀걸이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중심축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speaker is rotated along a central axis to be selectively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curved earring stan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상기 이어폰 유닛에는 전방 돌출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되고, The earphone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rotruding forward,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by a connecting member.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연결부재는 형상 변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Headse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어폰 유닛은 음성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출력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earphone unit is connected to a signal input / output line for receiving audio and video signals.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신호 입출력 라인 상에는 마이크와 음성 크기 조절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 디스플레이 장치.The headse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phone and the voice adjuster is provided on the signal input and output lines.
KR2020050031730U 2005-11-09 2005-11-09 Head-set display apparatus KR2004067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30U KR200406731Y1 (en) 2005-11-09 2005-11-09 Head-set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30U KR200406731Y1 (en) 2005-11-09 2005-11-09 Head-set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731Y1 true KR200406731Y1 (en) 2006-01-23

Family

ID=4175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730U KR200406731Y1 (en) 2005-11-09 2005-11-09 Head-set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73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9933A1 (en) Non-blocking dual driver earphones
US11240588B2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5988812A (en) Headphone eyeglasses
WO2014003160A1 (en) Stereo earphone
JP2002232525A (en) Body worn display system
WO2015003644A1 (en) Easily stored speaker connecting device and novel eyeglass-type device
KR20070049946A (en) In-ear type earphone with an ear hanger
CN101753221A (en) Butterfly temporal bone conductive communication and/or hear-assisting device
CN110908122A (en) Split type intelligent glasses
WO2019138782A1 (en) Wearable speaker system
Tikander et al. An augmented reality audio headset
JP2007312050A (en) Bone conduction unit wearing implement
JP2017050749A (en) Wearable speaker device
JP7088172B2 (en) headphone
JP2013223213A (en) Cartilage conduction vibration source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KR200406731Y1 (en) Head-set display apparatus
JP4826455B2 (en) Ear speaker device and glasses-type image display device
JPH0888841A (en) Portable video telephone
KR20140106849A (en) Multi purposed wearable computer, It's structure and how to use
CN103974174B (en) Voice transmission module,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50146487A1 (en) Binocular virtual display imaging device
JP3504657B1 (en) Ear wearing structure and rhythm generator
CN211123490U (en) Split type intelligent glasses
EP4300990A1 (en) Audio glasses and audio device
KR101123867B1 (en) Piezoelectric element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supported by sur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