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754Y1 -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 Google Patents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754Y1
KR200402754Y1 KR20-2005-0027380U KR20050027380U KR200402754Y1 KR 200402754 Y1 KR200402754 Y1 KR 200402754Y1 KR 20050027380 U KR20050027380 U KR 20050027380U KR 200402754 Y1 KR200402754 Y1 KR 200402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electr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3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이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주 filed Critical 이병주
Priority to KR20-2005-0027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7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754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베이스 시스템의 패드의 접촉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전자기기로서, 전자기기의 해당 역할을 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단자;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레벨로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된 상태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일정 레벨을 가진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 다수개의 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패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contact terminal of the pad of the external base system for supplying power, the drive unit for performing a role of the electronic device; At least two power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When the pow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terminal comprises a first power supply for generating power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supplying to the drive unit, the pow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 The bas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and includes a pad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기전자기기에 충전기능을 내장하여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없고, 패드위에 전기전자기기를 올려만 놓으면 전원이 공급되므로 전원공급이 편리하게 되며 패드위에 전기전자기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사용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harger by charging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nd power is supplied simply by placing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on the pad, so that the power supply is convenient, and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re placed on the pad. You can use it.

Description

전원공급이 용이한 전기전자기기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이 고안은 전기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 스마트폰(Smart-Phone), 엠피3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선풍기, 독서등(스탠드), 카세트, C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기전자기기에 전원을 편리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nd in particular, to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smart phones, MP3 players, notebook computers, fans, reading lamps, cassettes, CD players,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veniently supplying power.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모든 전기 전자 제품의 경우 휴대 혹은 기타 부가적인 기능의 수요에 따라 새로운 전원공급 및 충전 방식의 필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또한, 기존 전원 공급 혹은 충전 방식의 경우 전원 공급용 및 충전용 컨넥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전원 공급 및 충전용 전원 공급의 경우는 제품의 기종에 따라 각각의 컨넥터에 대한 규격이 상이함에 따라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새로운 제품의 구입시마다 전원 공급용 컨넥터가 포함되어 있거나 혹은 충전용 충전기 혹은 아답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For all commercially availabl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the need for a new power supply and charging method is emerging due to the demand for portable or other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he existing power supply or charging method is used as a method using a power supply and a charging connect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power supply and charging power supply, the compatibility problem occurs as the specifications for each connector differ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product, and a power supply connector is included or charged whenever a new product is purchased. The problem arises that you need to purchase a charger or adapter.

그리고, 플러그를 이용하여 전원 콘센트에 각 제품을 일일이 전원을 꼽아야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because it is possible to use each product only by plugging the power into a power outlet using a plug.

이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공급이 용이한 전기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easy to supply power.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전기전자기기는,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베이스 시스템의 패드의 접촉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전자기기로서,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contact terminal of a pad of an external base system that supplies power.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레벨로 전원을 생성하여 각부에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A first power supply unit which receives external power and generates power at a predetermined level and supplies the power to each unit;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단자;At least two power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전기전자기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충전단자를 통해 전기전자기기의 정보를 알려달라는 신호가 오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기전자기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When a signal to inform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pow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terminal, the power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It includes.

상기 전기전자기기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공급부와 병렬로 상기 배터리 충전부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battery charging unit for charging a battery, wherein the power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charging unit in parallel with the first power supply unit.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The base statio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을 가진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A second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having at least one level;

다수개의 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패드; A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the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configured to transfer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to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접촉단자를 통해 상기 전원 제어부에 배터리 정보를 요구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전자기기 정보를 출력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which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requesting battery information to the power control unit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and output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control unit;

수신된 전기전자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o supply the power of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to the battery.

상기 전기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전기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부가 외부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upport terminal for support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wer supply terminal serves to support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he battery charging unit at least one charge for charging an external battery It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기전자기기는,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베이스 시스템의 패드의 접촉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전자기기로서,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contact terminal of a pad of an external base system that supplies power.

전기전자기기의 해당 역할을 하기 위한 구동부; A driving unit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rol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단자;At least two power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레벨로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When the pow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terminal comprises a first power supply for generating power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supplying to the drive unit,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된 상태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한다.The pow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The base station,

일정 레벨을 가진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A second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다수개의 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패드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and includes a pad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와 베이스 스테이션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전자기기(200)는 전원단자(261, 262)를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300)의 패드(320) 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촉단자(321~326)중 적어도 2개의 접촉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베이스 스테이션(300)은 플러그(311)가 콘센트에 꼽히면, 아답터(310)를 통해 전원(A/C)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입력받아 동작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two contact terminals 321 to 326 formed on the pad 320 of the base station 300 through 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Receive power. When the plug 311 is plugged into an outlet, the base station 300 converts the power A / C into a predetermined voltage and operates through the adapter 310.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구성을 도 2에 도시하였다.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hown in FIG.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는 전원 단자(261, 262), 전원 제어부(210), 메모리(240), 배터리 충전부(250), 전원 공급부(220), 구동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wer terminals 261 and 262, a power controller 210, a memory 240, a battery charger 250, a power supply 220, The driver 230 is included.

구동부(230)는 해당 전기전자기기의 실질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비디오의 경우는 플레이, 리와인드, 녹화 등 다양한 비디오 기능을 하고, 선풍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 또는 정지를 하는 기능, 독서대의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기능 등이다. 이러한 구동부의 역할은 각 전기전자기기마다 다르며,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riving unit 230 is a practical func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nd in the case of video, various video functions such as play, rewind, and record, and in the case of a fan, rotate or stop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 reading table.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role of the driving unit is different for each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nd since it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배터리 충전부(250)는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단자(271, 272)를 통해 외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하며, 선풍기, 독서대, 비디오 등의 배터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기전자기기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충전역할은 일반적인 충전기의 충전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전 단자(271, 272)는 2개로 도시하였으나, 충전 구조에 따라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The battery charging unit 250 serves to charge an external battery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s 271 and 272 when power is supplied, and may be omitted in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battery such as a fan, a reading table, and a video. have. Since the charging role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charg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though two charging terminals 271 and 272 are illustrated, they may be larger depending on the charging structure.

전원단자(261, 262)는 패드(320)의 접촉단자(321~326)중 접촉이 되는 접촉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원단자(261, 262)도 전원 입력 구조에 따라 그 수가 변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receive power from the contact terminal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s 321 to 326 of the pad 320. The number of these power supply terminals 261 and 262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power input structure.

메모리(240)에는 전기전자기기의 아이디 또는 전기전자기기의 사용 전압 또는 전원 정보 등을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생략이 가능하다.The memory 240 stores IDs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or voltages or power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nd may be omitted as necessary.

전원 제어부(210)는 전기전자기기(200)가 상기 패드(320)에 놓일 때, 상기 베이스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전원단자(261, 262)로 전기전자기기(200)의 정보를 알려달라는 신호가 오면,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전기전자기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단자(261, 262)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을 전원 공급부(220) 및 배터리 충전부(250)로 공급하여 해당 전기전자기기를 구동시키거나 부착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한다. The power control unit 210 signals the electric / electronic device 200 to be informed from the base system 300 to 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when the electric /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on the pad 320. When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40 is transmitted, and pow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220 and the battery charging unit 250. Drive the electronics or charge the attached battery.

여기서, 전원 제어부(210)는 메모리(240)를 이용하지 않고, 베이스 시스템의 펄스신호에 대해 이용전압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절차 없이 베이스 스테이션(300)이 같은 전압 레벨을 사용하는 전기전자기기만을 위한 하나의 전압만을 공급하면, 하나의 전압을 공급받아 전원 공급부(220)만으로 구동부(230)를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배터리 충전부(250)를 더 포함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240) 및 전원 제어부(210)가 필요없고, 베이스 스테이션(300)도 간단히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Here, the power control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circuitry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of the base system according to the voltage used without using the memory 240. In addition, if the base station 300 supplies only one voltage only for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ame voltage level without such a procedure, the base station 30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driving unit 230 only with the power supply unit 220 by receiving one voltage. Alternatively, the battery charger 250 may be further included to charge the battery. In this case, since the memory 240 and the power control unit 210 are not required, the base station 300 can also be easily manufactur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그러면, 이러한 베이스 스테이션(3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n, the base station 3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스테이션(300)은 아답터(310), 전원 공급부(330), 마이컴(340), 통신부(350), 패드(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base station 300 includes an adapter 310, a power supply unit 330, a microcomputer 340, a communication unit 350, and a pad 320.

아답터(310)는 A/C 전원을 베이스 스테이션(300)이 필요로 하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330)는 전원을 입력받아 다양한 전압 예를 들면, 20V, 12V, 6V 또는 5V 등의 다양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adapter 310 converts and supplies the A / C power to the DC voltage required by the base station 300. The power supply unit 330 receives power and converts various voltages into various voltages, for example, 20V, 12V, 6V, or 5V, and outputs them.

통신부(350)는 접촉단자(321~326)를 통해 일정한 펄스 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기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마이컴(340)에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50 outputs a constant pulse signal or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tact terminals 321 ˜ 326,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200 to the microcomputer 340.

패드(320)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다수개의 접촉단자(321~326)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접촉단자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하여 설치할 수 있고, 접촉단자까지는 전원선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선은 통신 및 전원 공급이 가능한 선이며, 별도의 통신선 및 전원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pad 32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 rectangle or a circl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321 to 326, and if necessary,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contact terminals. Power lines are installed to the contact terminals. The power line is a line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and may use separate communication lines and power lines.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300)은 다양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되었지만 필요에 따라서 한가지 전압만을 공급할 때에는 마이컴(340)이나 통신부(350)를 생략하고, 전원 공급부(300)와 패드(320)만을 두어 항시 또는 선택적으로 일정한 전압만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300 is configured to supply various voltages. However, when supplying only one voltage as necessary, the microcomputer 3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50 are omitted, and only the power supply unit 300 and the pad 320 are always provided. Alternatively, only a constant voltage may be supplied.

이러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먼저, 전기전자기기(200)가 패드(320)에 놓이면, 접촉단자(321~326)중 2개의 단자와 전원단자(261, 262)가 접촉된다. 추후에 접촉이 안되었다면, 전기전자기기(200)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을 시켜준다.First, whe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on the pad 320, two terminals of the contact terminals 321 to 326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s 261 and 26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f no contact is made later, the posi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200 is changed appropriately.

그러면, 통신부(350)는 패드의 접촉단자(321~326)에 전기전자기기(200)의 전원단자(261, 262)가 접촉되었음을 감지하고, 마이컴(34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전자기기 정보를 알려달라는 메시지를 보낸다.Then, the communication unit 350 detects that 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200 ar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s 321 to 326 of the pad, and controls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340. Send a message to inform

그러면, 전원 제어부(21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전기전자기기의 아이디나 일련번호, 전압극성정보, 충전전압 정보중 하나이상을 알려준다.Then, the power control unit 210 informs one or more of the ID or serial number, voltage polarity information, charging voltag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stored in the memory 240.

그러면, 마이컴(340)은 충전전압 정보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전원 공급부(3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n, the microcomputer 34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upply unit 330 to output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voltage information.

그리고 나서, 전원 공급부(330)는 해당 접촉단자(321, 326)룰 통해 해당 전압을 가진 전원을 공급한다.Then, the power supply unit 330 supplies power having a corresponding voltage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tact terminals 321 and 326.

그러면, 전원 제어부(210)는 전원단자(261, 262)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전원 공급부(220) 및 배터리 충전부(250)로 공급한다.Then, the power control unit 210 supplies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to the power supply unit 220 and the battery charging unit 250.

다음, 구동부(230)는 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동작을 하고, 배터리 충전부(220)는 배터리를 충전시킨다.Next, the driving unit 230 operates when the power is supplied, and the battery charger 220 charges the battery.

이러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는 전기전자기기 자체적으로 충전 기능을 갖추어 충전도 편리하며, 패드(320)에 전기전자기기(200)를 올려놓기만 하면 편리하게 동작도 하고,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harging func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tself, and also convenient to charge, and simply put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200 on the pad 320, it may also operate conveniently and charge the battery. have.

그리고, 전기전자기기(200)는 전원 단자(261, 262)가 2개이지만 필요에 따라 여러개로 구성이 가능하고, 배터리가 지면에 의해 보호되도록 지지 단자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도4에 도시하였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200 has two power terminals 261 and 262, but may be configured as many as necessary, and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terminal so that the battery is protected by the ground. It was.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전자기기 후면에는 전원 단자(261, 262) 및 지지단자(263, 264)가 구비되며, 위치는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데, 사각형 배터리의 경우 3, 4곳에 삼,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안정적이다.Referring to FIG. 4, power terminals 261 and 262 and support terminals 263 and 264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nd the positions thereof are freely deformable. It is stable to form.

그리고, 전원단자(261, 262)는 전원공급 역할뿐만 아니라 지지대의 역할을 함으로써, 전기전자기기(200)를 지면 또는 책상 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terminals 261 and 262 may serve as a supporter as well as a power supply role, thereby protect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200 from the ground or the desk surface.

그리고, 이러한 전기전자기기는 복수개가 베이스 시스템(300)에서 동작 가능하며, 패드(320)의 넓이를 크게 하면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h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may be operated in the base system 300, and the width of the pad 320 may be increased.

이러한 전기전자기기(200)에 전원 단자(261, 262)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드폰의 경우를 도 5에 도시하였다.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is illustrated in FIG. 5.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은 배터리를 제외한 부분의 4측면에 전원단자(261, 262) 및 지지단자(263, 264)를 형성하였다.Referring to FIG. 5, the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power terminals 261 and 262 and the support terminals 263 and 264 formed on four sides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battery.

그리고 배터리(551)는 후면에 충전단자(555)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에 있던 것으로서 종래의 충전기로도 충전을 하기 위함이다.The battery 551 further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555 on the rear surface, which is intended to be charged by a conventional charger as previously existing.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하고, 편리하게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supply power and conveniently charge the battery.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주변 베이스 스테이션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 peripheral base station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지지대 및 전원공급단자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upport and a power supply terminal when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below.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기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베이스 시스템의 패드의 접촉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전자기기로서,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contact terminal of a pad of an external base system that supplies power.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레벨로 전원을 생성하여 각부에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220);A first power supply unit 220 which receives external power and generates power at a predetermined level and supplies the power to each unit;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단자(261, 262);At least two power terminals 261 and 262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전기전자기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40); A memory 240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충전단자를 통해 전기전자기기의 정보를 알려달라는 신호가 오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기전자기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전기전자기기.When a signal to inform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the power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pow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terminal,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2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기전자기기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210)는 상기 제1 전원 공급부와 병렬로 상기 배터리 충전부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battery charging unit (250) for charging a battery, wherein the power control unit 210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charging unit in parallel with the first power suppl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기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단자(263, 2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261, 262)는 상기 전기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And at least one support terminal 263 and 264 for support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wer supply terminals 261 and 262 support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devi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배터리 충전부가 외부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 단자(271, 272)를 더 포함하는 전기전자기기.The battery charg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271, 272) for charging an external battery.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The base statio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을 가진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330);A second power supply unit 330 for supplying power having at least one level; 다수개의 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패드(320); A pad (320)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configured to transfer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to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접촉단자를 통해 상기 전원 제어부에 배터리 정보를 요구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전자기기 정보를 출력하는 통신부(350);A communication unit 350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requesting battery information to the power control unit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and outputting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control unit; 수신된 전기전자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340)을 포함하는 전기전자기기.And a microcomputer (340) for controlling to supply power of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to the battery.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베이스 시스템의 패드의 접촉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전자기기로서,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contact terminal of a pad of an external base system that supplies power. 전기전자기기의 해당 역할을 하기 위한 구동부(230); A driving unit 230 for playing a corresponding rol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단자(261, 262);At least two power terminals 261 and 262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레벨로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220)를 포함하고, When the power is input through the power terminal comprises a first power supply 220 for generating power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supplying to the drive unit, 상기 전원 단자(261, 262)는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된 상태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The power terminal (261, 262) is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기전자기기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210)는 상기 제1 전원 공급부와 병렬로 상기 배터리 충전부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battery charging unit (250) for charging a battery, wherein the power control unit 210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charging unit in parallel with the first power supply.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전기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단자(263, 2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261, 262)는 상기 전기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And at least one support terminal 263 and 264 for support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wer supply terminals 261 and 262 support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devi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The base station, 일정 레벨을 가진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330);A second power supply unit 330 for supplying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다수개의 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패드(320)를 포함하는 전기전자기기.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including a pad 320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device.
KR20-2005-0027380U 2005-07-27 2005-09-23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KR2004027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380U KR200402754Y1 (en) 2005-07-27 2005-09-23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205 2005-07-27
KR20-2005-0027380U KR200402754Y1 (en) 2005-07-27 2005-09-23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471A Division KR100733348B1 (en) 2005-07-27 2005-09-23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754Y1 true KR200402754Y1 (en) 2005-12-05

Family

ID=4370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380U KR200402754Y1 (en) 2005-07-27 2005-09-23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75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148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apparatus using an ear-microphone jack
KR101494900B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charging through discernment charging cable
ES2350840T3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ABLE USB DEVICE.
CN111742459A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oltage magnitud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080076689A (en) Intellect station
KR20020014870A (en) Mobile phone charger using a usb
US8694803B1 (en) Controlling power received through multiple bus interface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150115739A1 (en) Standby-power cutoff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 using power adaptor
EP1181634B1 (en) Entertainment system, cell charging system, entertainment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external cell charger
CN103166287B (en) The base of mobile electronic terminal device
TWM569517U (en) Multifunction wireless charging pad
US20130103878A1 (en) Universal usb charger
KR200402754Y1 (en)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WO2005112220A1 (en)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an extending head of the equipment and a charging interface of the charging device of the equipment
KR100733348B1 (en)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having easy power supply function
TWI463298B (e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204836485U (en) Blue -tooth earphone
KR20030080625A (en) Remote Accessible Memory System
US6684337B1 (en) Charging system incorporated in computer for charging and resetting wireless peripheral devices
KR101245793B1 (en) A computer terminal and keyboard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same
KR200329963Y1 (en) Cable equipment having charge and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computer and potable device
US6456204B1 (en) Data transfer indicator circuit
JP2004056757A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equipped with radio remote control function
KR200379930Y1 (en) A portable feeder of multi-DC voltage
KR20060080652A (en) Portable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