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08Y1 -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 Google Patents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08Y1
KR200401208Y1 KR20-2005-0025332U KR20050025332U KR200401208Y1 KR 200401208 Y1 KR200401208 Y1 KR 200401208Y1 KR 20050025332 U KR20050025332 U KR 20050025332U KR 200401208 Y1 KR200401208 Y1 KR 200401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insole
outsole
heigh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3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헌
Original Assignee
이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헌 filed Critical 이병헌
Priority to KR20-2005-0025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0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0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을 평상시 착용하는 일반형 신발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등산 효과를 갖도록 하는 뒷굽 없는 신발로 활용하거나 키가 커보이도록 하는 키높이 신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 structure that can be used not only as a normal type of shoes to be worn as usual, but also as a shoe without a heel to have a climbing effect as needed, or as a height-height shoe that makes a person look taller.

이를 위한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일정 깊이의 요홈이 후방 상부에 형성된 아웃솔(outsole)과;An outsole in which a recess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upper rear portion;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 삽입부를 후방 하부에 가지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아웃솔의 상단에 놓이는 인솔(inso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It has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n the rear lower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is made to include an insole (insole) which is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삽입부의 재질 및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인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insoles differing in material and height of the insert,

아웃솔의 상단에 놓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서 제거함으로써 분리하고 다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하여 인솔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eparating by removing the insert portion of the insole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in the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lacement of the insole by combining by inserting the insert portion of the other insole into the groove.

Description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A Sole Structure of Multi-Purpose Footwear}

본 고안은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평상시 착용하는 일반형 신발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등산 효과를 갖도록 하는 뒷굽 없는 신발로 활용하거나 키가 커보이도록 하는 키높이 신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and more specifically, the shoe can be used as a normal type of shoes that are normally worn as well as a heel-free shoe that has a climbing effect, if necessary, or a height-height shoe that makes a person look taller. It is about a brush structure that can be used.

신발은 발을 보호하고 보행시 신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Shoes are worn to protect the foot and to mitigate the shock to the body when walking,

사용자의 차림이나 착용 목적에 따라 구두, 운동화 등의 다양한 종류의 신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착용하게 되는데,According to the user's dress or wearing purpose, one of various types of shoes such as shoes and sneakers is selected and worn.

보통의 신발은 평상시 보행에 적합하도록 되어진 것이면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별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었던 바,Ordinary shoes wer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everyday walking, but they could not perform any functions other than the basic functions.

특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일반 신발 외에 특수 목적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개발된 신발, 예를 들어 키높이 신발, 뒷굽이 없는 신발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obtain a special effect, in addition to the general shoes, shoes developed for satisfying a special purpose,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shoes, shoes without a heel had to be prepared separately.

한편, 상기와 같은 특수화 중에서 뒷굽이 없는 신발의 경우 착용시 등산을 하는 것과 같은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일상 생활중에 늘 착용하기에는 신체적인 부담이 따를 뿐 아니라 그 형태가 상당히 독특하여 주위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므로 공개적인 장소에서 착용하기에는 다소의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으며,On the other hand, among the above specializations, shoes without heels can achieve the same athletic effect as when climbing, but it is not only physically burdened to wear it all the time, but also its shape is quite unique, so the attention of people around There was a problem with concentration because it was so difficult to wear it in a public place.

키높이 신발의 경우 그 형태가 다를 뿐 하이힐을 착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일반 신발을 대신하여 평상시 늘 착용하게 되면 신체에 무리가 따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high-height shoes, the shape is different, and the same as wearing high heels, so instead of ordinary sho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dy can follow if you normally wear i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 신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아웃솔 내부에 재질 및 높이가 각기 다른 삽입부가 결합된 인솔을 교체 결합하여, 하나의 신발을 평상시 착용하는 일반형 신발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등산 효과를 갖도록 하는 뒷굽 없는 신발로 활용하거나 키가 커보이도록 하는 키높이 신발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d replaces the insole combined with inserts of different materials and heights inside the outsole of the form commonly found in general shoes, and wears one shoe norm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 structure of a versatile shoe that can be used as a shoe without a heel to have a climbing effect as needed, or as a high-height shoe to make a taller person as nee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는, 일정 깊이의 요홈이 후방 상부에 형성된 아웃솔(outsole)과;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 삽입부를 후방 하부에 가지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아웃솔의 상단에 놓이는 인솔(inso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utsole (outsole) formed in the upper rear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It ha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n the rear lower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comprises an insole (insole)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재질 및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인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아웃솔의 상단에 놓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서 제거함으로써 분리하고 다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하여 인솔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And the insert is made of a plurality of insoles of different materials and heights, separated by removing the insert portion of the insole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in the groove and by inserting the insert of the other insole into the groove is possible to replace the insole. .

한편 상기 아웃솔은 상기 인솔이 상단에 놓이게 되는 제1 아웃솔과; 상기 제1 아웃솔이 상단에 놓이고 보행시 지면에 닿게 되는 제2 아웃솔로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utsole includes: a first outsole in which the insole is placed on top; The first outsole may be composed of a second outsole that is placed on the top and touches the ground when walking.

이때 상기 인솔은 요홈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편평하게 되거나, 요홈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후방이 함몰되거나,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후방이 함몰되거나, 요홈의 깊이보다 높은 높이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후방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ole is flat when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ith the insertion portio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depth of the groove, or when the top of the outsole with the insertion portion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is recessed, or high The back may be recessed by the wearer's load when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ith an elastic insert, or the back may protrude when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ith a height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hav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다른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는, 일정 높이의 요홈이 후방 하부에 형성된 아웃솔(outsole)과; 상기 아웃솔의 상단에 놓이는 인솔(insole)과;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요홈에 삽입되어지되 재질 및 높이가 각기 상이한 다수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요홈에 삽입된 삽입부를 요홈에서 제거함으로써 분리하고 다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하여 인솔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ole structure of another versatil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outsole (outsole) formed in the lower rear groove of a certain height; An insole placed on top of the outsole;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but comprises a plurality of inserts of different materials and heights, separated by removing the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 the groove from the groove and coupled by inserting the insert of the other insole into the groov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insole.

이때 상기 삽입부는 요홈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이 편평하게 되거나, 요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의 후방이 함몰되거나,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되어 요홈에 삽입된 채 착용자의 하중이 인가되면 신발의 후방이 함몰되거나, 요홈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의 후방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portion is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is flat shoes, or the height of the groove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back of the shoe is recessed, or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When the wearer's load is applied while being inserted, the rear of the shoe may be recessed, or the height of the wearer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roove so that the rear of the shoe may protrude.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pecific technical detail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미설명부호 (40)은 갑피이다.Reference numeral 40 is the upper.

신발(A)의 솔 구조는 기본적으로 보행시 지면에 닿게 되는 아웃솔(outsole)과 아웃솔의 상부에 놓이면서 신발 착용자의 발에 닿게 되는 인솔(insole)로 구성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제1 아웃솔과 제2 아웃솔이 결합하여 견고한 하나의 아웃솔을 이루고 그 상단에 인솔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용어의 편의상 각기 외부솔(30), 중간솔(20), 인솔(10)로 명명한다.The sole structure of the shoe (A) is basically composed of an outsole (foot sole) that touches the ground when walking and an insole (foot) placed on top of the outsole while touching the foot of the shoe wear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irst outsole and the second outsole are combined to form a solid one outsole and provided with an insole at the top thereof, and for convenience of terms, respectively, the outer sole 30, the middle sole 20, and the insole 10. Named as

중간솔(20)은 그 후방 상부 즉 착용자의 발꿈치가 위치하게 되는 부위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21)이 마련된 것이고,The middle brush 20 is provided with a recess 21 formed concave at the rear upper portion, that is, the site where the wearer's heel is located,

상기 인솔(10)은 그 후방 하부에 중간솔(20)의 요홈(21)과 일치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별도 삽입부(10a, 10b, 10c)가 부착된 것으로, 각기The insole 10 is attached to the separate insertion portion (10a, 10b, 10c) of the form that can be matched with the groove 21 of the intermediate brush 20 in the lower rear, respectively,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요홈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에어튜브로 되어 일정 충격을 흡수가능한 삽입부(10a)가 부착되어 중간솔(20) 상단에 놓였을 때 편평하게 되는 일반형과,As shown in Figure 3 and the height is equal to the depth of the groove and is preferably an air tube is attached to the insertion portion 10a that can absorb a certain impact is flat when placed on top of the middle brush 20,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요홈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된 삽입부(10b)가 부착되어 중간솔(20) 상단에 놓였을 때 후방이 함몰되거나, 우레탄 등과 같이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된 삽입부(10b)가 부착되어 중간솔(20) 상단에 놓인 채 착용자의 하중이 인가되면 후방이 함몰되는 등산 효과형과, As shown in FIG. 4, when the insertion portion 10b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brush 20, the rear portion is recessed or the insertion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such as urethane. 10b) is attached to the climbing effect type that the back is recessed when the load of the wearer is applied while being placed on the upper middle brush 20,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요홈의 깊이보다 높은 높이로 된 삽입부(10c)가 부착되어 중간솔(20) 상단에 놓였을 때 후방이 돌출되는 키높이형이 각기 마련되어진 것이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insertion portion 10c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brush 20, the key height type protruding from the rear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서 인솔(10)은 사용자 차림이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sole 10 is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dress or purpose,

인솔(10)을 중간솔(20)에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인솔(10)과 중간솔(20)의 전, 후방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인솔(10) 저면이 중간솔(20) 상면에 맞닿도록 하고 인솔(10)의 삽입부(10a, 10b, 10c)가 중간솔(20)의 요홈(21)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하게 된다.When the insole 10 is to be coupled to the middle sole 20, as shown in FIG. 2,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10 is in the state of match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insole 10 and the middle sole 20. 2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is coupl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0a, 10b, 10c) of the insole 10 is located in the groove 21 of the intermediate brush (20).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서 중간솔(20)에 결합되는 인솔(10)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Features according to the insole 10 is coupled to the middle brush 2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신발(A) 내부 즉 요홈(21)이 형성된 중간솔(20) 상부에 일반형 인솔이 적용되었을 경우 이때의 삽입부(10a)는 에어튜브 형태이면서 그 높이가 중간솔(20)과 차등이 없는 것이므로, First, when the general insol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oe (A), that is, the upper middle brush 20 in which the groove 21 is formed, the insertion portion 10a at this time is the shape of the air tube and the height is different from the middle brush 20 As there is not it,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착용자 발꿈치를 편히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는 아무런 불편한 느낌 없이 자유로운 보행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As shown in FIG. 3, the wearer can comfortably support the heel so that the wearer can walk freely without any discomfort.

중간솔이나 아웃솔 중간에 에어튜브가 삽입 설치되는 일반 에어튜브 내장형 신발과는 달리 에어튜브가 인솔 바로 하부에 바로 부착 설치되므로 발꿈치로 전해지는 충격을 손실 없이 최대로 흡수할 수 있어 보다 편한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Unlike general air tube type shoes, in which the air tube i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middle sole or outsole, the air tube is direct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so that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heel can be absorbed to the maximum without loss. It is to make it.

다음으로, 신발(A) 내부 즉 요홈(21)이 형성된 중간솔(20) 상부에 등산 효과형 인솔이 적용되었을 경우 이때의 삽입부(10b)는 일반형 인솔의 삽입부(10a)와 그 형태는 동일한 것이나, 그 재질이 일반형 인솔의 삽입부(10a)에 비해 높은 신축성을 가져 월등히 무르면서도 복원력이 좋은 고탄성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Next, when the climbing effect insol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oe (A), that is, the upper middle brush 20, the groove 21 is formed at this time inserting portion (10b) is the insert portion (10a) and the shape of the general insole The same, but the material is made of a high elastic urethane with excellent elasticity and excellent resilience compared to the insert portion 10a of the general insole,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보행시 착용자 발꿈치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삽입부(10b)는 발꿈치를 받쳐 주지 못하고 그대로 눌리게 되어 보행에 불편함이 따르게 되므로, 착용자는 보행시 불편함이 따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되도록 발꿈치를 들고 걷게 되어 등산시의 보행과 같은 형태의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보행 형태는 운동효과와 더불어 구부정한 허리를 곧게 하는 등의 올바른 자세 형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earer's heel during walking, the inserting portion 10b is pressed as it is without supporting the heel so that inconvenience is caused by walking. In order to walk with the heel as possible to walk in the form of walking is possible to climb the form of walking as described above to achieve the effect of the correct posture formation, such as straightening the waist with exercise effect.

마지막으로, 신발(A) 내부 즉 요홈(21)이 형성된 중간솔(20) 상부에 키높이 인솔이 적용되었을 경우 이때의 삽입부(10c)는 중간솔(20)과 동일 소재이지만 그 높이가 일반형 인솔의 삽입부(10a)에 비해 월등히 높아 중간솔(20) 후방이 소정 높이 솟아오른 형태가 되므로,Finally, when the height height insol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oe (A), that is, the upper middle brush 20, the groove 21 is formed, the insertion portion (10c) is the same material as the middle sole 20, but the height is a general type insole Since it is much higher than the insertion portion 10a of the intermediate brush 20, the rear of the predetermined height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도 5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꿈치를 일반형 인솔에 비해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게 되어 착용자의 키가 커보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wearer's heel is suppor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general insole so that the wearer's height can be seen.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중간솔 없이 아웃솔(30) 후방에 직접 요홈(31)을 형성하여 인솔(10)의 삽입 부(10a, 10b, 10c)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As shown in FIG. 6A, the recess 31 is formed directly at the rear of the outsole 30 without the middle sole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s 10a, 10b, and 10c of the insole 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Effect,

도 6b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중간솔(20) 후방 상부에 요홈(21)이 형성되어 있을 때 삽입부(10b)가 심지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인솔(10)이 요홈에 직접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등산시의 보행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6B, even when the groove 21 is form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middle brush 20, even when the insert 10b is not present, the insole 10 is directly coupled to the groove. The walking effect at the time of mountain climbing can be acquired.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용도 신발의 또다른 솔 구조는 도 7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일정 높이의 요홈(21)이 후방 하부에 형성된 아웃솔(20,30)과; 상기 아웃솔의 상단에 놓이는 인솔(10)과; 상기 요홈(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요홈에 삽입되어지되 재질 및 높이가 각기 상이한 다수의 삽입부(10a, 10b, 10c)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요홈에 삽입된 삽입부를 요홈에서 제거함으로써 분리하고 다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하여 삽입부(10a, 10b, 10c)의 교체가 가능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Meanwhile, another 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sole (20, 30) formed i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groove 21 of a predetermined height as shown in FIG. An insole 10 placed on top of the outsole;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21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but comprises a plurality of inserts (10a, 10b, 10c) different in material and height, separated by removing the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 the groove from the groove And by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other insole into the grooves can be replaced by inserting parts (10a, 10b, 10c) can be obtained the same effect.

이때 상기 삽입부(10a, 10b, 10c)는 요홈(2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이 편평하게 되거나, 요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의 후방이 함몰되거나,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되어 요홈에 삽입된 채 착용자의 하중이 인가되면 신발의 후방이 함몰되거나, 요홈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의 후방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portion (10a, 10b, 10c) is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groove 21 is the shoe is flat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back of the shoe is recessed Alternatively, the back of the shoe is recessed when the load of the wearer is appli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t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or the height of the groov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roove to allow the rear of the shoe to protru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claims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일정 깊이의 요홈이 후방 상부에 형성된 아웃솔(outsole)과;An outsole in which a recess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upper rear portion;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 삽입부를 후방 하부에 가지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아웃솔의 상단에 놓이는 인솔(inso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It has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n the rear lower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is made to include an insole (insole) which is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삽입부의 재질 및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인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insoles differing in material and height of the insert,

아웃솔의 상단에 놓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서 제거함으로써 분리하고 다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하여 인솔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ole can be replaced by removing the insert of the insole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by removing the insole from the groove and inserting the insert of the other insole into the groov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아웃솔에 결합되는 인솔에 따라 일반 보행, 등산 효과 보행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키높이형 인솔이 결합될 경우 착용자의 키가 커보이도록 하므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신발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not only general walking and climbing effect walking according to the insole coupled to the outsole, but also height of the wearer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when the height height insole is combin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hoes. Will be obtain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아웃솔과 인솔의 분리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ole and insol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아웃솔에 일반형 인솔이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general insole is coupled to the outsole

도 4는 아웃솔에 등산 효과형 인솔이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mountain climbing effect insole is coupled to the outsole

도 5는 아웃솔에 키높이형 인솔이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5 is a state of use of the height-insole is coupled to the outsol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또다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인솔(insole) 10a, 10b, 10c : 삽입부10: insole 10a, 10b, 10c: insertion portion

20 : 중간솔 21 : 요홈20: middle sole 21: groove

30 : 외부솔 40 : 갑피30: outer sole 40: upper

A : 다용도 신발A: Versatile Shoes

Claims (9)

일정 깊이의 요홈이 후방 상부에 형성된 아웃솔(outsole)과;An outsole in which a recess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upper rear portion;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 삽입부를 후방 하부에 가지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아웃솔의 상단에 놓이는 인솔(inso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The 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comprising an insole which ha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n the rear lower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삽입부의 재질 및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인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insoles differing in material and height of the insert, 아웃솔의 상단에 놓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서 제거함으로써 분리하고 다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하여 인솔의 교체가 가능한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The sole structure of the utility shoe that can be replaced by removing the insert of the insole on the top of the outsole by removing it from the groove and inserting another insert into the groove to replace the inso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sole is 상기 인솔이 상단에 놓이게 되는 제1 아웃솔과;A first outsole on which the insole is placed; 상기 제1 아웃솔이 상단에 놓이고 보행시 지면에 닿게 되는 제2 아웃솔로 구성되는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The 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consisting of a second outsole is placed on the top and the first outs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walking. 청구항 2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상기 인솔은 요홈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편평하게 되는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The insole is a sole structure of a multi-purpose shoe that is flat when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hile having an insert of the same height as the depth of the groove. 청구항 2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상기 인솔은 요홈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후방이 함몰된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The insole is a 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recessed in the rear when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hile having an insert of a height low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청구항 2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상기 인솔은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후방이 함몰되는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The insole is a multi-purpose shoe sole structure when the back is recessed by the wearer's load when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hile having an inser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asticity. 청구항 2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상기 인솔은 요홈의 깊이보다 높은 높이로 된 삽입부를 가지면서 아웃솔 상단에 놓였을 때 후방이 돌출되는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The insole is a sole structure of a multi-purpose shoe protruding rear when placed on the top of the outsole while having an insertion height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일정 높이의 요홈이 후방 하부에 형성된 아웃솔(outsole)과;An outsole formed at a lower rear portion with a recess of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아웃솔의 상단에 놓이는 인솔(insole)과;An insole placed on top of the outsole;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요홈에 삽입되어지되 재질 및 높이가 각기 상이한 다수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B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but made of a plurality of inserts are different in material and height, 요홈에 삽입된 삽입부를 요홈에서 제거함으로써 분리하고 다른 인솔의 삽입부를 요홈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하여 삽입부의 교체가 가능한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The 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that can be removed by removing the insert inserted in the groove from the groove and replacing by inserting the insert of another insole into the groove. 청구항 8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삽입부는 요홈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이 편평하게 되거나, The insertion portion is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becomes flat shoes, 요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의 후방이 함몰되거나, If the height of the groove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groove, the rear of the shoe is recessed or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되어 요홈에 삽입된 채 착용자의 하중이 인가되면 신발의 후방이 함몰되거나, It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elasticity and when the wearer's load is appli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rear of the shoe is recessed, 요홈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되어 요홈에 삽입되면 신발의 후방이 돌출되는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The sole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shoe that become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roove so that the rear of the shoe protrudes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KR20-2005-0025332U 2005-09-02 2005-09-02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KR2004012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32U KR200401208Y1 (en) 2005-09-02 2005-09-02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32U KR200401208Y1 (en) 2005-09-02 2005-09-02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08Y1 true KR200401208Y1 (en) 2005-11-15

Family

ID=4370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332U KR200401208Y1 (en) 2005-09-02 2005-09-02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0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62B1 (en) 2006-03-24 2006-07-24 박종화 Sole with the base plane of arc shape
KR100798868B1 (en) 2007-05-22 2008-02-01 주식회사 아이비워킹 Healthy sho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62B1 (en) 2006-03-24 2006-07-24 박종화 Sole with the base plane of arc shape
KR100798868B1 (en) 2007-05-22 2008-02-01 주식회사 아이비워킹 Healthy sho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4137T3 (en) Footwear
US8205357B2 (en)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JP5325042B2 (en) Footwear with separable upper and sole structure
US9986784B2 (en) Flexible forefoot protection for insoles and shoes
JP2012501717A (en) Insole of footwear with impact dispersion function and rolling walking function
KR20100014205A (en) Shoe with 3-layer type cushion sole
KR102090974B1 (en) Personalized shoes
KR200401208Y1 (en)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KR100926815B1 (en) A shoe sole of footwear
KR20200035599A (en) Sole for pain relief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20100133329A (en) Mid-sole for a shoes with impact dispersion and round walking function
KR100627676B1 (en) A sole structure of footwear
KR200366524Y1 (en) Pad for stature-rising socks
KR100731511B1 (en) Sole with upward slope in the front and rear
KR101205185B1 (en) Sandal
KR200418471Y1 (en) A Sole Structure of Footwear
CN214283562U (en) Soft rubber shoes that comfort level is high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KR200274113Y1 (en) Mid-sole
KR101478206B1 (en) Sneaker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slippers.
KR20110065581A (en) Funtional sole for shoes
WO2007089122A1 (en) A sole structure of footwear
KR200404224Y1 (en) Footwear
KR20110107247A (en) Functional slip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