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030A -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030A
KR20040092030A KR1020030025842A KR20030025842A KR20040092030A KR 20040092030 A KR20040092030 A KR 20040092030A KR 1020030025842 A KR1020030025842 A KR 1020030025842A KR 20030025842 A KR20030025842 A KR 20030025842A KR 20040092030 A KR20040092030 A KR 20040092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keypad
key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효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030A/en
Publication of KR2004009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03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to input text information easily and quickly with the hand catching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uch as a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by using a joystick. CONSTITUTION: A keypad(101) leading a direction is installed to a part touched by the thumb and a matched character is assigned to each direction of the keypad. One or more key is installed to the part touched by the middle finger to the little finger, and a language mode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or a moving mode on each language mode is assigned to one or more key. As the language mode or the moving mode is selected by manipulating the key with the middle finger to the little finger, and the keypad is manipulated with the thumb, one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direction is selected.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소형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그 손으로 문자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enter text information with his or her hand while holding a small portable wireless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근래 들어, PDA와 같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점차 보급화 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무선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 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이나, 채팅, 전자우편, 문자정보, 그래픽 등의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중 PDA는 노트북보다 휴대성을 더 극대화하고, 정보 수집, 저장, 작성, 각종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이다. 따라서, PDA는 휴대가 간편하면서 인터넷을 활용한 업무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즉,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CPU, 메모리,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 OS), OS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고정된 전자수첩과는 전혀 다른 종류이다.In recent years, as portable wireless terminals such as PD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wireless terminal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designs are emerging. In addition, as the wireless terminal becomes smaller and lighter and shorter, a variety of functions are being highlighte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with the other party, the wireless terminal requires processing of Internet information retrieval function, chat, e-mail, text information, graphics, and the like. Dual PDAs are portable wireless terminals that offer greater portability than laptops, and provide the ability to collect, store, create, retrieve information, and add new applications. Therefore, the PDA is portable and can carry out work using the Internet. In other words, a PDA has a variety of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a CPU, a memory, an operating system (OS), an OS, and an application-based electronic notebook.

이에 따라, 상기 PDA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는 점차 넓어지게 되고, 반면에 단말기의 부피는 점차 소형화되어가고 있다.Accordingly, in the PDA, the display unit is gradually getting wider, while the volume of the terminal is getting smaller.

이때, 상기 PDA는 도 1과 같이 필기구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단부가 첨예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문자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도 2와 같이 별도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된 도 1의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PDA의 터치 스크린을 눌러서 원하는 동작 또는 입력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PDA 본체의 내부에 수납하거나, PDA 후면상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DA has a writing instrument shape as shown in FIG. 1, and inputs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by a touch screen method using a stylus pen with a sharp end, or a separate keyboard as shown in FIG. 2. To input information such as text. In the case of FIG. 1 described above, a desired operation or input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touch screen of the PDA with the stylus pen. At this time, the stylus pen is to be carried separately by the user,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PDA body, or used to be fixed on the back of the PDA.

그러나, 상기된 도 1 및 도 2와 같은 방식은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문자와 같은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한 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거나, 어떤 이유로 한 손을 사용하지 못할 때에는 상기 PDA를 단순히 보는 용도로 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a disadvantage in that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must be input using both hands. In other words, when holding an object in one hand or using one hand for some reason, the PDA can be used only for viewing purposes.

또한 도 1의 경우,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한 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ure 1, if you do not properly manage after using the stylus pen has many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PDA와 같은 휴대용 문선 단말기를 한 손으로 쥐고 그 손으로 용이하고 빠르게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joystick to hold a portable door terminal, such as a PDA with one hand and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at allows you to enter text information easily and quickly with the hand In providing an information input device of the.

도 1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PDA에 정보를 입력하는 예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putting information to a PDA using a conventional stylus pen

도 2는 종래의 손가락에 끼우는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PDA에 정보를 입력하는 예를 보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information into a PDA using a conventional stylus fitted to a fing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가 장착된 PDA 장치의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DA device equipped with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PDA 장치에 설치된 키들의 조합 예를 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example of keys installed in the PDA device of FIG.

도 5a 내지 도 5c는 한글 모드에서 조이스틱의 각 방위에 할당되는 문자의 예를 보인 본 발명의 도면5A to 5C are dia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examples of characters assigned to each orientation of the joystick in the Hangul mode;

도 6은 조이스틱의 각 방위에 할당되는 언어 모드의 예를 보인 본 발명의 도면6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a language mode assigned to each orientation of a joystick;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PDA 본체 101 : 조이스틱100: PDA body 101: Joystick

401 : 조이스틱의 중앙 키401: joystick center ke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엄지가 터치되는 부분에 방위를 지시할 수 있는 키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키패드의 각 방위마다 대응되는 문자를 할당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중지 내지 소지가 터치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키를 설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키에 특수 문자를 포함한 언어 모드 및 각 언어 모드에서의 이동 모드를 할당한 후, 상기 중지 내지 소지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키를 조작하여 언어 모드와 이동 모드를 선택하고, 엄지로 상기 키패드를 조작하여 각 방위에 할당된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inp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keypad that can instruct the direction on the portion where the thumb is touched i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orientation of the keypad Assigning letters to the mobile terminal, and installing one or more keys on the touched portion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ssigning a language mode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and a moving mode in each language mode, The hand holding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language mode and the moving mode by operating the key with one of the stops or the hand, and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assigned to each bearing by operating the keypad with the thumb. The information may be input using a finger.

상기 키패드는 중앙의 키가 선택키 역할을 하고, 이동에 의해 기 설정된 방위별로 지시가 가능한 조이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key serves as a selection key, it is composed of a joystick that can be instructed for each preset direction by movement.

상기 키패드는 중앙의 키가 선택키 역할을 하고, 회전에 의해 기 설정된 방위별로 지시가 가능한 조그 다이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pad may be configured as a jog dial in which a center key serves as a selection key and may be instructed for each preset direction by rot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DA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한글이나 영문, 특수 문자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이스틱과 키 조합의 예를 보이고 있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D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joystick and key combination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Korean, English, special characters in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PDA를 손으로 쥐게 되면, 대부분 엄지손가락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중지와 약지, 새끼(또는 소지) 손가락은 어느 정도 따로 움직일 수가 있다.In general, when a user holds a PDA by hand, most of the thumb can be freely used, and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or the holding finger) can be moved to some extent.

따라서, 도 3과 같이 엄지손가락이 터치할 수 부분(예를 들어, PDA의 우측 상단 부분)에 조이스틱을 설치하고, 중지와 약지 그리고, 소지가 터치하는 부분(예를 들어, PDA의 좌측 중하단 부분)에 각각 키들을 설치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a joystick is installed at a part where a thumb can touch (for example, the upper right part of the PDA), and a middle finger, a ring finger, and a part where the finger touches (for example, the lower left middle of the PDA). Install the keys respectivel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와 같이 중지와 약지 그리고, 소지가 터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키를 각각 KEY1, KEY2, KEY3라 칭하고, 조이스틱을 KEY4라 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shown in FIG. 4, the keys installed in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touched part are referred to as KEY1, KEY2, and KEY3, and the joystick is referred to as KEY4.

즉, 상기 KEY4는 미리 설정된 방위를 선택할 수 있는 조이스틱으로 되어 있으며, 일 예로 좌, 좌상, 상, 우상, 우, 우하, 좌, 좌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KEY4 is a joystick for selecting a preset direction, and for example, the KEY4 may select left, left, top, right, top, right, bottom, left, and bottom directions.

이때, 각 방향에는 한글 모음이나 자음, 외국어, 특수 문자 등을 할당한다. 그리고, KEY4로 방위를 조작할 때마다 해당 방위에 할당된 문자가 PDA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KEY1,KEY2,KEY3에도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KEY1~KEY4의 조합을 이용하여 문자 정보를 PDA를 쥔 손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Korean vowels, consonants, foreign languages, and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direction. And whenever the orientation is operated with KEY4,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orientation are displayed on the PDA screen. In addition, the KEY1, KEY2, and KEY3 can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en, by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KEY1 ~ KEY4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input the character information only by the hand holding the PDA.

여기서, 도 3은 PDA를 오른손으로 쥐었을 경우에 할당되는 키들의 배치를 보인 것이고, 다른 예로 PDA를 왼손으로 쥐었을 때 한 손으로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과 반대로 키를 배치하면 된다. 이때, KEY1~KEY4에 배치 위치는 설계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다 넓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Here, FIG. 3 shows the arrangement of keys assigned when the PDA is held by the right hand. In another example, when keys are held by the left hand, the keys may be arranged in the opposite manner to FIG. 3.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position in the KEY1 ~ KEY4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er, and can be applied to a wider variety of applications will not be limited to the examples presented above.

도 5a 내지 도 5c는 조이스틱의 각 방향에 할당되는 한글 문자의 예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한글 모드라고 할 때, 도 5a에서는 좌 방향에 'ㄱ', 좌상 방향에는 'ㄴ', 상 방향에는 'ㄷ', 우상 방향에는 'ㄹ', 우 방향에는 'ㅁ', 우하 방향에는 'ㅂ', 하 방향에는 'ㅅ', 좌하 방향에는 'ㅇ'을 할당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5A to 5C show examples of Hangul characters allocated to each direction of the joystick. For example, in the current Hangul mode, in Figure 5a 'ㄱ' in the left direction, 'b' in the upper left direction, 'c' in the upper direction, 'ㄹ' in the upper direction, 'ㄹ' in the right direction, 'ㅁ' in the right direction, right An example of assigning 'ㅂ' in the direction, 'ㅅ'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ㅇ' in the lower left direction is shown.

이때, 한글 문자의 경우 자음과 모음을 따로 구분하여 각 방향에 할당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일어의 경우는 히라카나와 다나카나를 순서대로 할당할 수도 있고 구분하여 할당할 수도 있으며, 영어의 경우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순서대로 할당할 수도 있고, 구분하여 할당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Hangul characters may be assigned to each direction by separat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separately. Similarly, in the case of Japanese, hiragana and tanakana may be assigned in order or separately. In the case of English,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may be allocated in order, or separately.

그리고, 도 6은 조이스틱의 방위마다 각 언어 모드를 할당한 예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좌 방향에는 한글, 좌상 방향에는 영어, 상 방향에는 일어, 우상 방향에는 특수 일반, 우 방향에는 특수 로마, 우하 방향에는 특수 원/괄호, 하 방향에는 특수 도량, 좌하 방향에는 특수 도형을 할당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each language mode is allocated for each direction of the joystick. For example, Korean characters in the left direction, English in the upper direction, Japanese in the upper direction, special general in the upper direction, special Roman in the right direction, special circle / brackets in the lower direction, special measure in the lower direction, and special figures in the lower direction. Shows the case of assigning.

여기서, 상기 특수 문자를 포함한 각 언어 모드의 선택은 KEY1 내지 KEY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언어에서의 문자들의 숫자는 대개 8개를 넘어서기 때문에 상기 언어 모드를 위한 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를 이용하여 해당 언어에서의 이동 모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selection of each language mode including the special character may be selected using any one of KEY1 to KEY3.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haracters in each language is generally more than eight, it is possible to select a movement mode in the corresponding language by using keys other than the key for the language mode.

예를 들어, KEY1은 언어 모드 선택키로, KEY2는 이동 모드 선택키로 할당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KEY3은 예비로 두거나 다른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KEY1 is a language mode selection key and KEY2 is a movement mode selection key. And, KEY3 can be reserved or assigned another function.

따라서, 사용자가 중지를 이용하여 상기 KEY1을 선택하면 도 6과 같은 문자 배열이 PDA 화면에 도시되고, 이때 조이스틱(KEY4)이 가리키는 방향의 언어 모드는하이라이트되게 된다. 여기서, 하이라이트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일 예로 해당 문자가 역상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해당 문자를 깜박이게 하거나, 또는 해당 문자열에 커서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만일 도 6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한글을 선택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한글을 하이라이트시킨 후 조이스틱의 중앙에 있는 키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 한글 모드가 선택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KEY1 by using the middle finger, the character array as shown in FIG. 6 is shown on the PDA screen, and the language mod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joystick KEY4 is highlighted. Here, the highlighting may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haracter may be displayed in reverse, the character may blink, or the cursor may be positioned in the character string. If the user wants to select the Hangul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the user operates the joystick with the thumb to highlight the Hangul and then presses the key in the center of the joystick with the thumb.

그리고 나서, 약지를 이용하여 KEY2를 선택하면 이동 모드에 의해 원하는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할당된 PDA에서 '가'를 입력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는 중지로 KEY1을 조작하여 한글 모드를 선택하였으므로, PDA 화면에는 도 5a와 같은 문자열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ㄱ'을 선택하고, 다시 약지로 KEY2를 조작하여 도 5b와 같은 문자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나서 엄지손가락으로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ㅏ'를 선택한다. 그러면, '가'라는 문자가 완성된다.Then, if you select KEY2 using the ring finger, you can enter the desired Hangul characters by the movement mode. For example, assume that 'ga' is entered in the assigned PDA as shown in FIG. 5. At this time, since the user selected the Hangul mode by manipulating KEY1 as a stop, the character string as shown in FIG. 5A will be displayed on the PDA screen. Here, the user manipulates the joystick with the thumb to select 'ㄱ', and again operates the KEY2 with the ring finger to display a string as shown in FIG. 5B. Then operate the joystick with your thumb to select 'ㅏ'. This completes the letter 'a'.

나머지 일어나 영어 또는, 특수 문자의 경우도 상기된 과정으로 입력할 수 있다.The rest can be inputt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the case of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그리고, 각 언어 모드를 8개 이상으로 세분화하고 싶다면 상기 KEY1과 KEY2 또는, KEY3을 이용하여 8개 이상으로 세분화하고 선택할 수 있다.And if you want to subdivide each language mode into 8 or more, you can subdivide and select into 8 or more using KEY1 and KEY2 or KEY3.

여기서, KEY4에 할당되는 언어나 각 문자열 그리고, KEY1~KEY3에 할당되는 기능은 변형될 수 있으며, 보다 넓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Here, the language assigned to KEY4 or each character string, and the functions assigned to KEY1 to KEY3 may be modified and may be applied in a wider variety.

이와 같이, KEY1 내지 KEY3의 조합과 KEY4의 방위 수에 따른 조합을 이용하면 한 손으로 PDA를 쥐고, PDA를 쥔 손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모든 문자 정보를 PDA에 손쉽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combination of the combination of KEY1 to KEY3 and the combination of the orientation of KEY4 is used, all the character information can be easily input to the PDA using only the finger of the hand holding the PDA.

즉, 중지 내지 소지가 터치되는 부분에 할당된 키를 이용하여 언어 모드나 이동 모드를 선택하고, 엄지손가락이 터치되는 부분에 할당된 조이스틱을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여 각 방향을 지정한 후, 조이스틱의 중앙 키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 조이스틱이 가리키는 방향에 할당된 메뉴 또는 문자가 선택된다.That is, a language mode or a movement mode is selected by using a key assigned to a part where the middle finger is touched or touched, and each direction is specified by operating a joystick assigned to the part where the thumb is touched with a thumb, and then the center of the joystick is selected. Pressing the key with the thumb selects the menu or text assigned to the direction the joystick points.

여기서, 도 5의 경우는 한글 문자를 PDA에 직접 입력하는 예이고, 도 6은 일종의 언어 모드를 선택하는 메뉴이다. 다른 메뉴도 상기된 과정을 적용하여 할당하고 선택할 수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directly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to a PDA, and FIG. 6 illustrates a menu for selecting a language mode. Other menus can also be assigned and selected by applying the above procedure.

한편, 본 발명은 조이스틱 대용으로 조그 다이얼을 사용해도 가능하다. 조그 다이얼은 사용자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마다 미리 설정된 방위에 할당된 문자가 하이라이트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can also use a jog dial instead of a joystick. The jog dial is rotated left or right by the user, and each time it moves left or right, the letter assigned to the preset orientation is highligh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하면, 중지 내지 소지가 터치되는 부분에 적어오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설치 및 할당하여, 상기 기능키를 이용하여 특수 문자를 포함한 언어 모드 및 각 언어 모드에서의 이동 모드를 선택하며, 엄지손가락이 터치되는 부분에 조이스틱을 설치하고 상기 조이스틱을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여 각 방향을 지정한 후, 상기 조이스틱이 가리키는 방향에 할당된 메뉴 또는 문자를 엄지손가락으로 선택함으로써, 한 손은자유롭게 사용하면서 PDA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PDA에 문자나 메뉴와 같은 정보를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즉, PDA를 쥔 손만으로 각종 문서작업, 전자우편, 채팅, 인터넷 정보 검색 등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nguage mode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by using one or more function keys by installing and assigning one or more function keys is written in a portion where the middle finger is touched. And selecting a movement mode in each language mode, installing a joystick on the part where the thumb is touched, manipulating the joystick with the thumb to specify each direction, and then thumbing a menu or character assigned to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joystick. By selecting with a finger, one hand can freely enter text and menu information into the PDA easily and quickly with the fingers of the hand holding the PDA.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various document operations, e-mails, chats, and internet information search with only a hand holding a PDA.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입력을 위한 키들 및 조이스틱이 PDA 화면에 직접 장착되므로, 사용 후 분실할 가능성이 없다. 특히, 본 발명은 키패드가 없는 휴대폰 같은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keys and joystick for information input is mounted directly on the PDA screen,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sing after us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without a keypa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4)

무선으로 정보 입력, 인터넷 검색 등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wirelessly inputting information, searching the Internet, etc.,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엄지가 터치되는 부분에 방위를 지시할 수 있는 키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키패드의 각 방위마다 대응되는 문자를 할당하며;Installing a keypad for indicating a bearing on a portion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where a thumb is touched, and assigning a corresponding letter to each bearing of the keypad;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중지 내지 소지가 터치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키를 설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키에 특수 문자를 포함한 언어 모드 및 각 언어 모드에서의 이동 모드를 할당한 후;Installing at least one key on a part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uched by a pause or holding, and assigning at least one key a language mode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and a movement mode in each language mode; 상기 중지 내지 소지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키를 조작하여 언어 모드와 이동 모드를 선택하고, 엄지로 상기 키패드를 조작하여 각 방위에 할당된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The hand holding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language mode and the moving mode by operating the key with one of the stops or the hand, and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assigned to each bearing by operating the keypad with the thumb. Information inp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input is possible using a fi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pad is 중앙의 키가 선택키 역할을 하고, 이동에 의해 기 설정된 방위별로 지시가 가능한 조이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The information inp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key serves as a selection key, and is composed of a joystick that can be instructed for each preset bearing by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pad is 중앙의 키가 선택키 역할을 하고, 회전에 의해 기 설정된 방위별로 지시가 가능한 조그 다이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An information inp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key serves as a selection key, and is configured with a jog dial which can be instructed for each preset direction by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패드의 각 방위에는 특수 문자를 포함한 각 언어 모드를 메뉴 형태로 할당하고 상기 중지 내지 소지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키를 조작하여 언어 모드를 선택하고, 엄지로 상기 키패드를 조작하여 각 방위에 할당된 언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메뉴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Assign each language mode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to each bearing of the keypad in the form of a menu, select a language mode by operating the key with any one of the stops and the hand, and operate the keypad with a thumb to assign a language to each bearing. And selecting a menu using a finger of a hand holding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modes.
KR1020030025842A 2003-04-23 2003-04-23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400920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842A KR20040092030A (en) 2003-04-23 2003-04-23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842A KR20040092030A (en) 2003-04-23 2003-04-23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030A true KR20040092030A (en) 2004-11-03

Family

ID=3737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842A KR20040092030A (en) 2003-04-23 2003-04-23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03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13B1 (en) * 2005-09-09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media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e
KR100742188B1 (en) * 2005-07-05 2007-07-25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KR101299883B1 (en) * 2007-01-08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the character input in portab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88B1 (en) * 2005-07-05 2007-07-25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KR100677613B1 (en) * 2005-09-09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media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e
KR101299883B1 (en) * 2007-01-08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the character input in port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338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input
Masui POBox: An efficient text input method for handheld and ubiquitous computers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JP3191284B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3597060B2 (en) Japanese character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7002553B2 (en)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898527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tilizing a reduced number of selectable inputs
US7414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JP2005521969A (en) Reduced keyboard system that emulates QWERTY type mapping and typing
JP2004534425A6 (en) Handheld device that supports rapid text typing
US6766179B1 (en) Cross-shape layout of chinese stroke labels with lyric
JP2004534425A (en) Handheld device that supports quick text typing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JP2005235188A (en) Data entry device
JP2003196007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40092030A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882451B2 (en) Screen object placement optimized for blind selection
JPH11327762A (en) Input device provided with mouse function
JP4614505B2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JP3071751B2 (en) Key input device
JP2003150299A (en) Input device with one-hand operation
KR20100025628A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JP2004310543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3109642U (en) Portable Korean input device
KR20070070871A (en) Mobile terminal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