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900A -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900A
KR20040089900A KR1020030023740A KR20030023740A KR20040089900A KR 20040089900 A KR20040089900 A KR 20040089900A KR 1020030023740 A KR1020030023740 A KR 1020030023740A KR 20030023740 A KR20030023740 A KR 20030023740A KR 20040089900 A KR20040089900 A KR 2004008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aic
image
mask block
area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04139B1 (en
Inventor
김순진
김시찬
백용대
최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139B1/en
Publication of KR2004008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13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screen to mosaic in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display a selected photo image of a mobile terminal as a mosaic-processed photo image. CONSTITUTION: When a display mode for displaying image data is selected(311), a user selects a photo(312). When a function key for an mosaic effect is selected(313), a controller determines a size of a mask block and initializes variables x and y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mask block in the region of the photo image(314). The controller checks the position of the mask block(315) and then calculates the sum of pixel data of the mask block(317). An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pixel data is calculated(318) and stored(319).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mask block is positioned at the last of the Y coordinate of the photo image(320). If the mask block is positioned at the last of the Y coordinat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mask block is positioned at the last of the X coordinate(322). If the mask block is positioned at the last of the X coordinate, the corresponding region is determined as a mosaic region, processed to mosaic, and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photo region(326,327).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모자이크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How to handle mosaic of video screen in mobile device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영상화면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화면을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a video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osaicing a video screen.

현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Currently,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vert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may be packet data and image data.

현재 휴대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화면을 저장하거나 또는 획득한 영상화면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가 영상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Currently, the mobile terminal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Therefore, the video scree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s stored or the acquired video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scree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e camera may use a CCD or a CMOS sensor, and the display unit may use an LCD. In addition, with the miniaturization of the camera device, the device for capturing the im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miniaturized. The portable terminal may capture a video screen and display the moving picture and the still picture, and transmit the captured video screen to the base station.

상기와 같이 현재 영상 메일에 관하여 사업자 및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또한 향후 크게 증가될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편집하는 기능들도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에서 저장하고 있는 사진 영상의 크기를 조절(zoom in, zoom out)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진 영상들을 합성하는 기술들이 구현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needs of operators and consumers are increased with respect to video mails, the above-mentioned services are implemented, and the trend is to be greatly increas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editing a video screen by a user's oper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re also increasing. For example, technologies for adjusting (zoom in, zoom out) or synthesizing a plurality of photographic images stored in a portable terminal are implemen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영상을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osaicing a photographic imag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저장 중인 사진 영상을 선택한 후, 선택된 사진 영상의 설정한 영역에 모자이크 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osaicing a predetermined region of a selected photo image after selecting the photo image being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영상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전체 이미지 데이터의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특정영역 내 화소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기 위한 마스크 블록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이미지 데이터의 영역에 상기 마스크 블록을 이동시키며, 위치한 블록 내 평균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크 블록이 마지막에 위치하면, 모자이크 처리를 위해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평균값을 입력하여 모자이크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osaicing and displaying a photographic image of a mobi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setting a region of all image data, setting a mask block for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pixel data in a specific region, and Moving the mask block to an area of the entire image data, storing an average value in a located block; and if the mask block is located last, inputting an average value corresponding to an area set for mosaic processing to display a mosaic. Characterized in that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화면의 모자이크 기능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implementing a mosaic function of an imag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unit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화면의 모자이크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saic process of an image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 도 4e는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A to 4E are views for explaining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자이크가 표시될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area where a mosaic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 도 6e는 원 영상화면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자이크 처리된 영상화면을 도시하는 도면.6A-6E illustrate an original video screen and a mosaic screened video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하기 설명에서 모자이크를 구현하기 위한 사진 영상의 크기, 마스크 블록의크기, 마스크 블록이 위치에 따른 평균값, 모자이크 처리를 위한 설정영역의 모양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size of the photographic image for implementing the mosaic, the size of the mask block, the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sk block, the shape of the setting area for the mosaic processing, etc. are shown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lso by their mod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구성이 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a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3은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F unit 23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The RF unit 2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he like. That is, the data processor 20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COD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25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a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20 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20.

키 입력부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자이크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영상들을 저장하는 영상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60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메모리는 사진 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거나 또는 모자이크 처리된 사진 영상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The key input unit 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27 may include function keys for implementing a mosaic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30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a data memory, and image memories for storing photographic ima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and programs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applied to the display unit 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The image memory is a memory for storing photo image data or for storing mosaic image data.

제어부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27로부터 설정되는 모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진영상에서 모자이크의 구현 기능을 처리하는 동작들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operations of implementing a mosaic function in the photo image according to a mode command set from the key input unit 2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부(camera module)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The camera module 4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mage processor 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40. The image processor 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6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상기 표시부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6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재생되는 동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60 displays a fram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5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a video signal reproduc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he display unit 6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LC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통신 인터페이스부70은 외부의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와 사진 영상을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통신장치는 스캐너,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상기 외부의 통신장치들과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저장중인 사진 영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사진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a function of communicating a picture image with a portable terminal.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scanner, a computer, a digital camera, or the lik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7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output a stored picture image or to receive a picture image.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전화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부40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4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4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카메라부40에 촬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에서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와 동기신호들을 상기 영상처리부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신호는 수평동기신호(Hsync: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및 수직동기신호(Vsync: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isplaying or transmitting a person or a surrounding environment on a video screen. First, the camera unit 40 may be mounted on a portable telephone or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utside. That is, the camera unit 40 may be an external camera or an internal camera. The camera unit 40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4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 internal CCD sensor, and then the signal processor converts the image signal into digital image data. The converted digital image signal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are output to the image processor 50.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영상처리부5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인터페이스211은 상기 카메라부40으로부터 영상데이터 및 동기 신호(HREF, VREF)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HREF는 수평유효기간플래그로써, 라인동기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HREF는 상기 카메라부40 내의 라인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리드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동기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REF는 수직유효기간플래그로써 프레임 동기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VERF는 카메라부40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상기 신호처리부60이 송출 가능하게 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VREF는 1프레임 단위로 발생되며, 수직동기신호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amera interface 211 interfaces the image data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s HREF and VREF from the camera unit 40. The HREF is a horizontal validity period flag, which is used as a line synchronization signal. The HREF may be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reading image data stored in a line memory in the camera unit 40 on a line basis. The VREF is used a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s a vertical validity period flag. The VERF is used as a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signal processor 60 which process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40. The VREF is generated in units of one frame and may be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상기 LCD인터페이스217은 상기 제어부10 및 표시화면생성부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선택기219의 절환에 의해 억세스할 수 있다.The LCD interface 217 may access the image data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display screen generator by switching the selector 219.

스케일러213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6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크기로 스케일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촬영되는 1프레임의 영상신호의 화소수와 표시부60에서표시할 수 있는 1프레임 영상신호의 화소수가 다르다. 상기 스케일러213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촬영된 1프레임의 화소수를 상기 표시부60에 표시할 수 있는 1프레임의 화소수로 축소(제거: decimation)하거나 또는 상기 촬영된 1프레임의 적정 화소수를 설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scaler 213 performs a function of scaling the magnitude of the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40 to the magnitude of the image signal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That is, the number of pixels of the one-frame video signal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40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pixels of the one-frame video signal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The scaler 213 reduces (decimates) the number of pixels of one fram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40 to the number of pixels of one fram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or sets an appropriate number of pixels of the photographed one frame.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영상코덱231은 상기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하거나 또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코덱231은 JPEG 코덱으로 가정한다. 상기 영상코덱8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JPEG 압축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로 상기 제어부10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으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스케일러213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mage codec 231 compresses the captured image signal or restores the compressed image signal to the original image sig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odec 231 is assumed to be a JPEG codec. The image codec 80 performs JPEG compression on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unit 40 and outputs the encoded data to the control unit 10 or restores the compressed coded data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0 to the scaler 213. Perform.

소화면처리부221은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소화면으로 재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소화면 처리부221은 상기 표시부60에서 표시되는 영상화면의 좌우단 및 상하단을 각각 설정된 크기로 절취한 후, 상기 절취된 영상화면의 화소들을 데시메이션하여 소화면으로 생성한다.The small screen processing unit 221 reconstruct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the set small screen. The small screen processing unit 221 cuts the left and right ends and the top and bottom ends of the video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decimates the pixels of the cut video screen to generate a small screen.

상기 제어인터페이스221은 상기 영상처리부50 및 제어부10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표시부60과 제어부10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인터페이스221은 상기 제어부10과 영상처리부50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인터페이스221은 상기 영상처리부50의 억세스, 그리고 영상처리부50을 통해 표시부60을 억세스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이다.The control interface 221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image processor 50 and the controller 10, and also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60 and the controller 10. That is, the control interface 221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controller 10 and the image processor 50. The control interface 221 is a common interface for accessing the image processor 50 and the display unit 60 through the image processor 50.

선택기219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부6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제어신호는 상기 영상처리부50과 표시부60 간의 버스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2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10과 표시부60 간의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선택기219를 통해 상기 표시부60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lector 219 selects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50 o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and outputs the data to the display unit 60. Here, the first control signal refers to a signal for activating a bus between the image processor 50 and the display 60,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signal to activate a path between the controller 10 and the display 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perform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60 through the selector 219.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는 카메라40, RF부23, 통신인터페이스부70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화면을 수신하여 메모리30에 사진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되는 사진영상들은 영상처리부50의 소화면처리부241을 통해 소화면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30의 영상메모리 영역에는 사진 영상 및 이에 대응되는 소화면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may receive a video screen obtained from the camera 40, the RF unit 23,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 and the like and store the picture image in the memory 30 as a picture image. They may be stored as a small screen through the small screen processor 241 of the image processor 50. Therefore, a picture image and a corresponding small screen image may be stored in the image memory area of the memory 3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있는 사진 영상을 확인하여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은 화면표시모드 시 상기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있는 소화면 영상들을 억세스하여 상기 표시부60에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들을 확인한 후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모자이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user may check and edit the photo image stored in the memory 3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0 accesses the small screen images stored in the memory 30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unit 60 in the screen display mode, and the user checks the small screen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and selects a desired image to edit the mosaic. Can be performed.

일반적으로 사진 영상에서 모자이크 처리는 사진영상의 특정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한 영역의 사진 영상을 선명하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자이크 효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 내부 또는 외부영역에 해당 화소의 평균값을 채워 사진영상을 선명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general, mosaic processing in a photographic image means setting a specific region of the photographic image and making the photographic image of the set region not clear. That is, the mosaic effect fills the averag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ixel in the internal or external region set as shown in FIG. 6 to make the photographic image unclea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사진영상에 모자이크 처리 과정을나타내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며, 도 4는 도 3에서 사진영상의 영역에 마스크 블록을 이용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mosaic process on a selected photographic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obtaining an average value using a mask block in an area of the photographic image of FIG. 3. Drawing.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11단계에서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는 3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사진을 선택한 후 모자이크 효과를 위한 기능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4단계에서는 상기 사진영상의 특정영역 내 화소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기 위한 마스크 블록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사진영상 영역에서 상기 마스크 블록의 이동에 따른 X, Y 변수들을 초기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마스크 블록의 사이즈는 3x3으로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a display mode capable of displaying image data is selected in step 311, the user proceeds to step 312 in which a user selects a desired picture. If a function key for a mosaic effect is selected after selecting a photo in step 312,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in step 313 and proceeds to step 314. In step 314, a size of a mask block for determining an average value of pixel data in a specific region of the photo image is determined, and X and Y parameters are initializ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sk block in the photo image reg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ize of the mask block is 3x3.

먼저 상기 제어부10은 315단계에서 상기 사진영상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크 블록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마스크 블록 내의 화소데이터들 합을 계산하는 317단계로 진행한다. 그런 후 318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화소데이터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평균값을 상기 마스크 블록 내의 중심 화소의 값으로 저장하는 319단계로 진행한다. 도 4b는 X, Y 변수가 0일 때, 상기 사진영상에 위치하는 마스크 블록330을 보이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은 3x3 사이즈의 마스크 블록330 내에 있는 9개의 화소데이터들을 더하여 합을 구한 후, 상기 합을 상기 마스크 블록의 사이즈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평균값은 마스크 블록 내의 중심 화소(1)의 값이 되어 메모리30에 저장된다.First, in step 315,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sk block located in the area of the photo image, and then proceeds to step 317 in which the sum of the pixel data in the mask block is calculated. Thereafter, in step 318,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pixel data is calculat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9 in which the average value is stored as a value of the center pixel in the mask block. 4B shows a mask block 330 positioned in the photographic image when the X and Y variables are 0. FI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 obtains a sum by adding nine pixel data in a 3x3 mask block 330, and then divides the sum by the size of the mask block to obtain an average value. The average value thus obtained becomes the value of the center pixel 1 in the mask block and is stored in the memory 30.

상기 319단계에서 평균값을 저장한 후, 상기 마스크 블록이 상기 사진영상의Y좌표의 마지막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마지막에 위치하지 아니하면 3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Y변수의 값을 '1'증가하는 321단계를 진행한다. 그런 후 다시 315단계 - 320단계를 반복한다. 도 4c는 마스크 블록330이 상기 도 4b를 진행 후 이동하여 다음 특정 영역의 화소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After storing the average value in step 31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sk block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Y coordinate of the photographic image. If it is not located at the end, it is detected in step 320 and the value of the Y variable is increased by '1'. Proceed to step 321. Then repeat steps 315-320 again. 4C illustrates that the mask block 330 moves after the process of FIG. 4B to obtain an average value of pixel data of a next specific region.

상기 315단계 - 320단계를 반복 수행 중, 상기 마스크 블록이 상기 사진영상의 Y좌표의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은 3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마스크 블록이 상기 사진영상의 X좌표의 마지막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마스크 블록이 상기 사진영상의 X좌표의 마지막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32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X변수를 '1'증가하고 Y변수를 초기화하는 323단계로 진행한다. 그런 후 다시 상기 315단계-32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315단계 - 322 단계를 반복 수행 중 상기 마스크 블록이 상기 사진영상의 X좌표의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은 32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6단계로 진행한다.If the mask block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Y coordinate of the photographic image while repeating steps 315 to 320,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at step 320 and the mask block is the last of the X coordinate of the photographic image. Determine if it is located at If the mask block is not located at the end of the X coordinate of the photographic image, the control unit 10 detects it in step 322 and proceeds to step 323 in which the X variable is increased by '1' and the Y variable is initialized. Thereafter, steps 315 to 322 are repeated again. If the mask block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X coordinate of the photographic image during steps 315 to 322,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is in step 322 and proceeds to step 326.

그러나, 상기 사진영상 영역에서 마스크 블록을 사용하여 평균값을 구할 때 상기 마스크 블록을 사용할 수 없는 영역이 생겨 평균값을 가지지 못하는 화소들이 발생한다. 상기 도 4b는 X, Y변수가 '0'일 때 상기 마스크 블록을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상기 도 4c는 Y변수를 '1' 증가하여 상기 마스크 블록을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X변수가 '0'일 때 Y변수를 증가시키며 마스크 블록을 사용 시, 상기 사진영역의 첫 X좌표 라인들(A)의 화소들은 평균값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사진영역의 마지막 Y좌표에서는 3x3 사이즈의 마스크 블록을 적용할 수 없어 마지막 Y좌표 라인들(B')의 화소들은 평균값을구하지 못하게 된다. 도 4e는 X변수가 '1'증가하여 마스크 블록을 사용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상기 도 4e에서 보듯이 첫 Y좌표 라인들(B')의 화소들은 평균값을 구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사진영역에서 첫 X좌표 라인들(A), 마지막 X좌표 라인들(A'), 첫 Y좌표 라인들(B), 및 마지막 Y좌표 라인들(B')의 화소들은 평균값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평균값을 가지지 못하는 화소들에게 주위의 화소가 가지는 평균값을 해당 값으로 가져 저장하도록 하며, 324단계 - 319단계에서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However, when the average value is obtained using the mask block in the photo image area, an area in which the mask block cannot be used is generated and pixels that do not have an average value occur. 4B illustrates a process of using the mask block when the X and Y variables are '0', and FIG. 4C illustrates a process of using the mask block by increasing the Y variable by '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X variable is '0', the Y variable is increased and when the mask block is used, the pixels of the first X coordinate lines A of the photo area do not have an average valu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D, a 3 × 3 mask block cannot be applied to the last Y coordinate of the photo region, so that pixels of the last Y coordinate lines B ′ cannot obtain an average value. 4E illustrates a process of using a mask block by increasing an X variable by '1'. As shown in FIG. 4E, the pixels of the first Y coordinate lines B 'do not obtain an average value. As a result, the pixels of the first X coordinate lines (A), the last X coordinate lines (A '), the first Y coordinate lines (B), and the last Y coordinate lines (B') in the photograph area do not have an average value. .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xels having no average value are stored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surrounding pixels as the corresponding value, and the process is performed in steps 324 to 319.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 모양의 영역이 내부에 모자이크 처리되어 상기 사진영역의 중심에 표시되는 것을 디폴트로 가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315단계 - 322단계 수행 후, 상기 제어부10은 326단계 - 327단계를 통해 디폴트로 정한 원의 내부영역에 해당 화소들이 가지는 평균값을 채워 넣는다. 그러면 도 6b에서와 같이, 원의 영역 내부에만 모자이크 처리된 사진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모자이크 처리를 위한 영역의 모양, 크기, 위치 등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circle-shaped area is displayed as a mosaic inside the center of the photo area. Therefore, after performing steps 315 to 322, the controller 10 fills the averag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ixels in the inner region of the circle determined as the defaults in steps 326 to 327. Then, as shown in FIG. 6B, the mosaic-processed photographic image is displayed only inside the circle region. The shape, size, position, etc. of the region for the mosaic processing may be chang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선택된 사진영상 전체의 화소에 대한 평균값을 저장해 둔 후, 설정된 영역에 해당 화소의 평균값을 채워 모자이크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뿐만 아니라 먼저 영역을 설정한 후 설정된 영역의 화소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여 채워 넣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erforming a mosaic process by storing an average value of pixels of the entire selected photographic image and then fill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ixel in the set area is described. The average value of the pixels may be obtained and fill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자이크가 표시될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상기 도 3의 326과정을 상세화 한 것이다.FIG. 5 is a process of setting a region in which a mosaic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진을 선택한 후 모자이크 효과를 위한 기능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2단계에서는 상기 도 3의 과정을 수행 후, 일부영역이 모자이크 표시가 된 사진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 6b와 같이 원 영역 내부의 모자이크가 처리된 사진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하기 위하여 해당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해당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한 사이드 키 또는 방향 키등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영역 변경키를 통해 원의 외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모자이크를 표시할 외부영역을 설정하는 417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원의 크기, 내부 또는 외부 영역 설정등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제어부10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10은 하기 <수학식 1>를 통해, 상기 설정된 원의 외부 영역에 모자이크를 표시하는 418단계로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a function key for a mosaic effect is selected after selecting a picture,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in step 411 and proceeds to step 412. In operation 412, after performing the process of FIG. 3, a photographic image in which a partial region is displayed as a mosaic is display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B, it is assumed that a photographic image in which a mosaic inside the original area is processed is displayed. If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key to change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413. The corresponding key for changing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may be used by setting a side key or a direction key locat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user selects the outside of the circle through the area change key,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in step 414 and proceeds to step 417 to set an external area to display the mosaic.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circle, the internal or external region setting, etc. can be known by the controller 10 through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Therefore,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418 i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on the outer region of the set circle through Equation 1 below.

F = ((k - y좌표)*(k - y좌표)) + ((l - x좌표)*(l - x좌표)) - (모자이크 원 크기)F = ((k-y coordinate) * (k-y coordinate)) + ((l-x coordinate) * (l-x coordinate))-(Mosaic circle size)

여기서 k = x좌표 + 마스크 블록의 가로 사이즈Where k = x coordinate + horizontal size of mask block

l = y좌표 + 마스크 블록의 세로 사이즈l = y coordinate + height of mask block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F'값이 '0'보다 큰 값(화소)에만 해당 평균값을 채워 넣음으로써 도 6d 및 상기 418단계에서와 같이 원의 외부 영역에 모자이크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D and step 418, the mosaic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region of the circle by filling the average value only in a value (pixel) whose 'F' value is greater than '0' through Equation (1).

또한, 상기 사용자가 영역 변경키를 통해 원의 내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모자이크를 표시할 내부영역을 설정하는 415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수학식 1>를 통해, 'F'값이 '0'보다 작은 값(화소)에만 해당 평균값을 채워 넣음으로써 도 6b와 같이 원의 내부 영역에 모자이크를 표시할 수 있는 416단계로 진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inside of the circle through the area change key,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in step 414 and proceeds to step 415 in which an internal area for displaying a mosaic is set. Then, the controller 10 may display a mosaic in the inner region of the circle as shown in FIG. 6B by filling the average value only in a value (pixel) whose 'F' value is smaller than '0' through Equation (1). Proceed to step 416.

상기 41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모양을 변경하기 위하여 해당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모양을 변경하기 위한 해당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한 사이드 키 또는 방향 키등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모자이크 표시 모양을 원 모양 또는 사각형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그 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사용할 수 있다.In step 412, when the user selects a corresponding key to change the shape i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419. The corresponding key for changing the shape i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may be used by setting a side key or a direction key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aic display shape is assumed to be a circle shape or a rectangle, but various shape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상기 사용자가 모양 변경키를 조작을 통해 사각형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모자이크를 표시할 사각형의 영역을 설정하는 423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원 또는 사각형에 따른 영역 설정등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제어부10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10은 하기 <수학식2> 통해, 상기 <수학식 2>에 해당하는 값(화소)에만 해당 평균값을 채움으로써 도 6c와 같이 사각형 내부에 모자이크를 표시하는 424단계로 진행한다.If the user selects a rectangle by manipulating a shape change key, the control unit 10 detects it in step 420 and proceeds to step 423 in which an area of a rectangle to display a mosaic is se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 may determine the area setting according to the circle or the rectangle through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Therefore,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424 i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inside the rectangle as shown in FIG. 6C by filling the average value only in the value (pixel) corresponding to Equation 2 through Equation 2 below.

여기서 k = x좌표 + 마스크 블록의 가로 사이즈Where k = x coordinate + horizontal size of mask block

l = y좌표 + 마스크 블록의 세로 사이즈l = y coordinate + height of mask block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각형의 외부에 모자이크를 표시하기 위하여, 모자이크 표시 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413단계 및 4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17단계에서 모자이크를 표시할 사각형의 외부영역을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하기 <수학식 3> 통해, 상기 <수학식 3>에 해당하는 값(화소)에만 해당 평균값을 채움으로써 도 6e와 같이 사각형 외부에 모자이크를 표시하는 418단계로 진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key for changing the mosaic display area in order to display the mosaic on the outside of the rectangle, the controller 10 detects it in steps 413 and 414 and proceeds to step 417. If the external area of the rectangle to display the mosaic is set in step 417, the control unit 10 fills the average value only with a value (pixel) corresponding to Equation 3 through Equation 3, as shown in FIG. The flow proceeds to step 418 i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outside the rectangle.

여기서 k = x좌표 + 마스크 블록의 가로 사이즈Where k = x coordinate + horizontal size of mask block

l = y좌표 + 마스크 블록의 세로 사이즈l = y coordinate + height of mask block

또한, 상기 42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모자이크 표시 영역의 크기 변경은 방향키 등으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 모자이크 모드에서 설정된 키를 이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방향키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가 방향키를 통해 모자이크가 표시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영역을 확대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2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표시영역을 확장하는 427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원 또는 사각형의 영역 내부에 모자이크가 표시된 상태에서 확대되었다면, 상기 415단계- 416단계를 통해 확대된 원 또는 사각형의 내부영역에 모자이크가 표시될 것이다. 또는 원 또는 사각형의 영역 외부에 모자이크가 표시된 상태에서 확대되었다면, 상기 417단계 - 418단계를 통해 확대된 원 또는 사각형의 외부영역에 모자이크가 표시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key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in step 421,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425. If the size of the mosaic display area can be changed using a direction key, the key set in the mosaic mode may b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ion key. If the user enlarges the area by changing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through the direction key, the control unit 10 detects it in step 426 and proceeds to step 427 to expand the display area. At this time, if the mosaic is displayed inside the circle or rectangle area, the mosaic will be displayed on the inner area of the circle or rectangle, which is expanded through steps 415 to 416. Alternatively, if the mosaic is displayed outside the area of the circle or rectangle, the mosaic is displayed on the outside area of the circle or rectangle, which is enlarged through steps 417 to 418.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향키를 통해 모자이크가 표시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영역을 축소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2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표시영역을 축소하는 429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원 또는 사각형의 영역 내부에 모자이크가 표시된 상태에서 축소되었다면, 상기 415단계- 416단계를 통해 축소된 원 또는 사각형의 내부영역에 모자이크가 표시될 것이다. 또는 원 또는 사각형의 영역 외부에 모자이크가 표시된 상태에서 축소되었다면, 상기 417단계- 418단계를 통해 축소된 원 또는 사각형의 외부영역에 모자이크가 표시될 것이다.If the user reduces the area by changing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through the direction key, the control unit 10 detects it in step 426 and proceeds to step 429 to reduce the display area. At this time, if the mosaic is displayed inside the circle or rectangle area, the mosaic is displayed on the reduced area of the circle or rectangle in steps 415 to 416. Alternatively, if the mosaic is displayed outside the area of the circle or the rectangle, the mosaic is displayed on the outside area of the circle or the rectangle reduced in steps 417 to 418.

또한, 상기 42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영역을 이동하기 위한 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영역 이동키는 상기 모자이크 표시 영역의 크기 변경은 방향키 등으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 모자이크 모드에서 이동을 위해 설정된 키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사용자가 432단계에서 상기 영역 이동을 위한 키를 조작하여 모자이크가 표시된 영역을 이동시킬 때마다 상기 제어부10은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받아 이동된 해당영역에 평균값을 채워 넣으며 모자이크 표시를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key for moving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in step 421,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431. The area shift key o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may use a key set for movement in the mosaic mode if the size change of the mosaic display area can be used as a direction key. Whenever the user moves the area i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key for moving the area in step 432, the controller 10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fills the average value in the moved area to display the mosaic.

이때 상기 사용자는 이동된 위치에서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영역의 모양을 변경하는 433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433단계에서는 상기 420단계 - 424단계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434단계에서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는 상기 426단계 - 429단계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435단계에서 모자이크가 표시되는 내부 또는 외부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는 상기 414단계 - 418단계가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변경되어 설정된 모자이크는 436단계에서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된다.In this case, the user may proceed to step 433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at the moved position. In step 433, steps 420 through 424 are performed. In operation 434, the user may change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mosaic is displayed. In this case, steps 426 to 429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an internal or external area in which the mosaic is displayed in step 435, in which steps 414 to 418 are performed. The mosaic changed and set as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in step 436.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선택된 사진영상을 모자이크 처리된 사진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진영상을 다양한 영상화면으로 재편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모자이크 처리된 사진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저장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다른 가입자에 전송할 수 있어 단말기의 표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ected photographic image may be displayed as a mosaic-processed photographic image in the mobile terminal storing the photographic image. As a result, the photographic image may be re-edited into various image screens. In addition, the mosaic image can be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or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and transmitted to other subscribers,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terminal.

Claims (5)

휴대 단말기의 사진영상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displaying a mosaic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전체 이미지 데이터의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the area of the entire image data; 특정영역 내 화소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기 위한 마스크 블록을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a mask block for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pixel data in a specific region; 상기 전체 이미지 데이터의 영역에 상기 마스크 블록을 이동시키며, 위치한 블록 내 평균값을 저장하는 과정과,Moving the mask block in the area of the entire image data and storing an average value in the located block; 상기 마스크 블록이 마지막에 위치하면, 모자이크 처리를 위해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평균값을 입력하여 모자이크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when the mask block is positioned last, displaying a mosaic by inputting an average value corresponding to an area set for mosaic proces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자이크 처리를 위해 설정되는 영역이 원 또는 사각 형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Wherein the area set for the mosaic processing is a circle or a squa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자이크 처리를 위해 설정된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모자이크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Wherein the mosaic is displayed inside or outside the area set for the mosaic proces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자이크 처리를 위해 설정된 영역의 크기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area set for the mosaic processing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자이크 처리를 위해 설정된 영역의 위치가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Wherein the position of the area set for the mosaic processing is moved.
KR10-2003-0023740A 2003-04-15 2003-04-15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504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740A KR100504139B1 (en) 2003-04-15 2003-04-15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740A KR100504139B1 (en) 2003-04-15 2003-04-15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900A true KR20040089900A (en) 2004-10-22
KR100504139B1 KR100504139B1 (en) 2005-07-27

Family

ID=3737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740A KR100504139B1 (en) 2003-04-15 2003-04-15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1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21B1 (en) * 2008-06-30 2014-11-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ular phone capable of creating mosaic image and method thereof
US20140355905A1 (en) * 2013-05-30 2014-12-04 Michael William Lipton Photo mosaic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21B1 (en) * 2008-06-30 2014-11-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ular phone capable of creating mosaic image and method thereof
US20140355905A1 (en) * 2013-05-30 2014-12-04 Michael William Lipton Photo mosaic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139B1 (en)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28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umbnail screen in wireless terminal having a camera
KR100689480B1 (en) Method for resizing image size in wireless terminal
KR100651521B1 (en) Method for clocking speed in wireless terminal
KR1006177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 and image edition method using that
KR100575924B1 (en) Method for compositing picture with background scenes of device having camera
KR100663430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zoom screen in wireless telephone having camera
KR10133695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mode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thereof
KR1006894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unding taken?image in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KR101075720B1 (en) Method for edit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US7606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umbnail image data on a mobile terminal
KR100557154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504139B1 (en) Method for processing mosaic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735330B1 (en) Method for editing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08B1 (en) Method for saving and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520625B1 (en)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using histogram equaliza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641176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three dimensions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06079B1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465962B1 (en) Method for processing emboss filter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20070009237A (en) Method for comparing motion
KR1005855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lurality of pictures simultaneously i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16255B1 (en) Method for processing lighting effect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64154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picture mov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106544A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EP17177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image state in wireless terminal
KR100557094B1 (en) Method for adjusting inverted image in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