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784A - 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784A
KR20040083784A KR1020030018423A KR20030018423A KR20040083784A KR 20040083784 A KR20040083784 A KR 20040083784A KR 1020030018423 A KR1020030018423 A KR 1020030018423A KR 20030018423 A KR20030018423 A KR 20030018423A KR 20040083784 A KR20040083784 A KR 2004008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efrigerator
stored
storage bo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철웅
Original Assignee
최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웅 filed Critical 최철웅
Priority to KR102003001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3784A/en
Publication of KR2004008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784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0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in a refrigerator are provided to store contents and places receiving the contents in a large-scaled refrigerator to a database. CONSTITUTION: A system for managing contents in a refrigerator includes a front display part(400) provided at a side of a door,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cases(200) mounted in freezing and refrigerating compartments with inner displays(3) and microphones(4a) attached to respective front surfaces thereof. A recognition unit(300)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to move laterally. The recognition unit has a conveying die(9) mounted with cameras(6), flashes(7) and information recognition sensors(8) at each height where each door pocket(5) is mounted.

Description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식음료 등의 보관물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관물의 수납과 동시에 보관물의 종류와 보관일자 및 보관위치를 데이타베이스화하고, 찾고자 할 때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외부에서 무선통신에 의해 냉장고 속에 수납된 보관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유통기한의관리 등이 용이한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storage of food and beverages,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easily found when the database of the type of storage and the storage date and storage loc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storage of the stor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refrigerator, which can confirm the contents of the storage housed in the refrigerator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and which can easily manage the expiration date.

냉장고는 점차 대형화되고, 할인점에서의 대량 구매 등에 의해 냉장고에 장기간 보관하여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냉장고는 식음료의 저장기능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면에 인터넷 연결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외장 또한 점차 고급화되고 있다.Refrigerators are gradually larger and tend to be stored in refrigerators for a long time due to mass purchase at discount stores.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has a storage function for food and beverage as well as an internet connection display on the front for convenience of users, and the exterior is gradually being upgraded.

이러한 추세에 의해 한번 물건을 사게 되면 대형의 냉장고에 수납보관되는 기간이 늘어나고, 이에 의해 유통기한의 관리가 요구되며, 필요시 식음료가 대형의 냉장고 속의 어느 수납함에 보관되어 있는 지를 정확히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As a result of this trend, once a product is purchased, the storage period of the large refrigerator is increased, thereby managing the expiration date, and if necessary, the necessity of knowing exactly which box of the large refrigerator is stored in the refrigerator is necessary. Will be.

따라서,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종래의 냉장고는 수납되는 물건의 종류를 전면에 부착된 터치패널로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보관되는 식음료 등의 보관물을 유통기한 별로 관리할 수 없고, 대형화된 냉장고의 많은 수납함의 어느 곳에 보관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할인점 등에서 식음료를 구매할 때 지금 냉장고에 구매하려고 하는 물건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동종의 물품을 재구매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has been developed a method for directly inputting the type of the object to be stored in the touch panel attached to the front, but it is not possible to manage the storage of food and beverages stored by the expiration date,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Not only do not know where the storage of many refrigerators of the old refrigerator, and when purchasing food and beverages at a discount store, etc. can not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tem to be purchased in the refrigerator now has a problem of repurchasing the same kind of good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매한 식음료들을 대형의 냉장고에 보관할 때에 각각 보관되는 수납함과 내용물 명칭을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과, 상기의 시스템을 통해 식음료를 인식하여 수납함에 대응시키고 찾고자 할 때 용이하게 수납함을 표시해 주는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of the refrigerator that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to correspond to the storage box and the contents name respectively stored when the purchased food and beverage in a large refrigera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management method of a refrigerator that recognizes food and beverage through the above system and corresponds to the storage box, and easily displays the storage box when looking for it.

도 1은 발명인 냉장고의 전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or of the refrigerator

도 2는 수납함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box

도 3은 수납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내부디스플레이의 상세도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internal display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도 4는 인식장치를 도시한 수납함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storage box showing the recognition device;

도 5는 수납함의 이동식 인식장치의 설치 상태도5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removable recognition device of the storage box

도 6은 수납함의 이동식 인식장치의 다른 실시 예시도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movable recognition device of the storage box

도 7은 도어포켓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인식하는 인식장치의 예시도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the storage stored in the door pocket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외부디스플레이 상태도9 is an external display state diagram

도 10은 수납홈및날짜출력부의 상태도10 is a state diagra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date output unit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순서도11 is a flow char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2는 수납함의 이동식 인식장치의 또다른 실시 예시도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recognition device for a storage box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3 : 내부디스플레이 4a, 4b : 마이크 5 : 도어포켓3: internal display 4a, 4b: microphone 5: door pocket

6 : 카메라 7 : 플래시 8 : 정보해독센서6: camera 7: flash 8: information decoding sensor

9 : 이송대 11 : 수납홈 12 : 외부디스플레이9: transfer tray 11: receiving groove 12: external display

13 : 제어부 14 : 냉장고 벽체 15 : 가이드홈13 control unit 14 refrigerator wall 15 guide groove

16 : ON/OFF스위치 17 : 수납함변경스위치 18 : 스피커16: ON / OFF switch 17: Box change switch 18: Speaker

19 : 음성입력스위치 20 : 시계 21 : 외부통신수단19: voice input switch 20: clock 21: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22 : 데이타베이스 23 : 기억장치 24 : 중앙처리장치22: database 23: storage 24: central processing unit

25 : 타이머 26 : 수납홈및날짜출력부25: timer 26: storage groove and date output unit

27 : 보관물이미지출력부 28 : 냉장/냉동실 표시부27: storage image output unit 28: refrigerator / freezer display unit

29 : 수납함식별기호 30 : 수납홈식별번호29: storage box identification symbol 30: storage groove identification number

31 : 보관일수카운팅부 32 : 유통기한표시부31: storage days counting part 32: expiration date display part

100 : 냉장고 200 : 수납함 300 : 인식장치100: refrigerator 200: holder 300: recognition device

400 : 전면표시부400: front display

이하 본 발명인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 및 이에 의한 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frigerator and a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냉장고(100)의 전제 사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전면의 도어 일측에 전면표시부(400)가 설치되고, 냉동실 및 냉장실에 설치된 다수개의 수납함(200) 각각의 전면에 내부디스플레이(3)와 마이크(4a)가 부착되며, 도어포켓(5)의 설치 높이마다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가 각각 설치된 이송대(9)로 구성된 인식장치(300)가 냉장고(100)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전체 냉장고(100)가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front display unit 4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door, the internal display 3 and the microphone 4a are attached to the fro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200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door pocket 5 Recognition device 300 consisting of a camera (6), a flash (7) and a transfer table (9) in which the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is installed for each installation height of the) is installed to move from side to side in the refrigerator (100). The entire refrigerator 100 is configured.

도 2는 수납함(200)의 사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수납함(200)은 다수의 열(列)과 행(行)으로 구획되어 다수개의 수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1)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식별번호를 표시하는 내부디스플레이(3) 및 보관물을 찾고자 할 때 보관물 명칭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4a)가 전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구획되는 열과 행의 갯수는 후술하는 외부디스플레이(12)의 출력화면의 모양과 같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200. According to this, the storage box 2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and rows to form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11, and the inside displaying a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storage groove 11. When the display 3 and the storage are to be found, a microphone 4a for receiving a voice of the storage name is installed at the front. The number of partitioned columns and rows is the same as that of the output screen of the external display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도 2의 수납함(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내부디스플레이(3)의 상세도이다. 각각의 수납함(200)에 구획된 수납홈(11)을 각각 지시하는 일대일로 대응되는 식별번호가 점등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찾고자 하는 보관물을 음성입력하면 제어부(13)에 의해 해당 보관물이 수납된 수납홈(11)이 점등되게 된다.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internal display 3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box 200 of FIG. 2. The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one-to-on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orage grooves 11 partitioned in each holder 200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In other words, when the stored object is voice input, the control unit 13 turns on the receiving groove 11 containing the stored object.

도 4는 수납함(200)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인식하는 인식장치(300)를 도시한 수납함(200)의 정면도이다. 수납함(200)의 각각의 수납홈(11) 저부에는 보관물을 스캔하는 카메라(6)와 조명의 역할을 하는 플래시(7)와 보관물에 부착된 상품정보칩(chip)의 정보를 해독하는 정보해독센서(8)가 설치되어 있다.4 is a front view of the storage box 200 showing the recognition device 300 for recognizing a storage stored in the storage box 200. At the bottom of each storage groove 11 of the storage box 200, the camera 6 scanning the storage, the flash 7 serving as an illumin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chip attached to the storage are decoded. The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is provided.

도 5는 수납함(200)의 이동식 인식장치(300)의 설치 상태도이다. 수납함(200)의 상측에 얹혀 슬라이딩되는 이송대(9)에 하나의 열에 위치되는 수납홈(11)의 갯수만큼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로 구성된 세트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의 수납함(200)은 3행 2열의 수납홈(11)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두개의 세트가 필요하게 된다.5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mobile recognition device 300 of the holder 200. A set consisting of a camera 6, a flash 7, and an information reading sensor 8 is installed on the transfer tray 9 that slides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box 200 and the number of the receiving grooves 11 positioned in one row. It is. Since the storage box 200 is composed of three rows and two columns of storage grooves 11, two sets are required.

도 6은 수납함(200)의 이동식 인식장치(300)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냉장고 벽체(14)에 가이드홈(1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5)에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가 부착된 이송대(9)가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있다.6 is another exemplary view of the mobile recognition device 300 of the holder 200. A guide groove 15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wall 14, and the transfer tray 9 to which the camera 6, the flash 7, and the information readout sensor 8 are attached to the guide groove 15 is slid. It is.

도 7은 도어포켓(5)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인식하는 인식장치(3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냉장고(100)의 내부에서 이송되게 이송대(9)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가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작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냉장고(100)의 도어측 내부 안쪽에 위치되며, 도어포켓(5) 높이의 위치마다 각각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가 설치되어 이동식 도어포켓용 인식장치(300)가 구성된다.7 is an exemplary view of a recognition device 300 for recognizing a stored object stored in the door pocket (5). As shown in FIG. 1,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ransfer table 9 are guided to be transferr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100, respectively, and when not in opera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ransfer table 9 are located inside the door side of the refrigerator 100, and the door pocket (5) The camera 6, the flash 7, and the information readout sensor 8 are installed for each position of the height, and the recognition device 300 for the movable door pocket is constructed.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보관물의 위치정보와 보관일자 등을 수납함(200)별로 표시하는 외부디스플레이(12)와, 외부디스플레이(12)를 끄고 켜는 ON/OFF스위치(16)와, 수납함(200)별로 외부디스플레이(12)의 화면을 변경하여 출력시키는 수납함변경스위치(17)와, 관리용 음성(예를 들어 "이것이 무엇입니까?")을 녹음하여 저장시키는 마이크(4b)와, 상기 입력된 관리용 음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18)와, 상기 마이크(4b)를 통해 관리용 음성을 입력할 때 조작하는 음성입력스위치(19)와, 현재의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시계(20) 등이 구비되어 구성된 전면표시부(400)와; 전면에 다수개의 구획된 수납홈(11)을 모두 나타내는 내부디스플레이(3)와 음성입력하는 마이크(4a)가 전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수납함(200)과; 수납함(200)과 도어포켓(5)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스캔하여 그 종류를 인식하는 카메라(6)와, 카메라(6) 스캔시 조명의 역할을 하는 플래시(7)와, 보관물의 포장지에 부착된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품정보칩(chip)을 판독하는 정보해독센서(8)와, 상기의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가 설치된 이송대(9)로 구성된 인식장치(300)와; 외부의 휴대전화 등과 통신할 수 있는 송수신안테나를 포함한 외부통신수단(21)과; 보관물 등 각종 식음료의 상품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저장하고, 새로운 종류의 보관물일 경우 이를 특정하여 스캔한 이미지와 입력받은 명칭을 업데이트시키는 데이타베이스(22)와; 저장기간과 일자를 계산하기 위한 타이머(25)와, 작동에 따라 필요한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장치(23)와, 처리 등의 연산작용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어부(13);로 구성되고,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isplay 12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age date of the storage for each storage box 200, the ON / OFF switch 16 for turning off and on the external display 12, and the external display for each storage box 200 A storage box change switch 17 for changing and outputting the screen of (12), a microphone 4b for recording and storing a management voice (for example, "What is this?"), And the input of the management voice. A speaker 18 for output, a voice input switch 19 for inputting a management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4b, a clock 20 for displaying a current time and date, and the like. A front display unit 400; A plurality of holders 200 having an inner display 3 showing all of the plurality of compartments 11 on the front and a microphone 4a for voice input; The camera 6 which scans the storage stored in the storage box 200 and the door pocket 5 and recognizes the type thereof, the flash 7 serving as an illumination when the camera 6 is scanned, and the package of the storage Transfer table 9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for reading a product information chip that stores attache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camera 6, flash 7 and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installed above. Recognition device 300 consisting of; An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21 inclu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ellular phone and the like; A database 22 for storing product information of various foods and beverages with the image, and updating the scanned image and the input name by specifying the case of a new kind of the archive; A control unit 13 including a timer 25 for calculating a storage period and a date, a storage unit 23 for storing necessary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24 f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such as processing. );

상기의 전면표시부(400)와 제어부(13)의 상호작용은 마이크(4b)로 통해 음성입력된 음성정보가 기억장치(23) 또는 데이타베이스(22)에 저장되고, 저당된 음성정보는 다시 스피커(18)로 송출되며, 타이머(25)에 의한 시간 및 날짜는 시계(20)를 통해 외부에 표시되고, ON/OFF스위치(16) 및 음성입력스위치(19)는 제어부(13)에 의해 통제되고; 상기 각각의 수납함(200)의 내부디스플레이(3)는 제어부(13)의 명령에 의해 각각의 수납홈(11)을 지시하는 식별기호가 점등되고; 상기의 인식장치(300)의 이송대(9)는 제어부(13)의 통제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카메라(6)가 보관물을 스캔하게 되고, 스캔된 이미지 및 정보해독센서(8)에 의해 판독된 정보는 중앙처리장치(24)에 의해 데이타베이스(22)의 자료와 비교연산되어 일치하는 데이타 이미지를 메칭시키고, 일치되는 데이타가 없을 경우에 기억장치(23)에 음성 기록된 "이것은 무엇입니까?"를 송출하게 되며; 상기의 외부통신수단(21)은 외부에서 접속되는 휴대전화를 제어부(13)의 기억장치(23) 및 데이타베이스(22)와 연계시켜 휴대전화로 요청하는 데이타를 송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interaction between the front display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13 is that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b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3 or the database 22, and the stored voice information is again stored in the speaker. And the time and date by the timer 25 are displayed externally through the clock 20, and the ON / OFF switch 16 and the voice input switch 19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 Become; The internal display (3) of each holder (200) is illuminated with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respective receiving groove (11)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3); The transfer table 9 of the recognition device 300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 so that the camera 6 scans the storage, and the scanned image and the information reading sensor 8 The read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database 22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to match the matching data image, and in the absence of the matching data, voice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23 "What is this? Are you sure? "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21 transmits data requested by the mobile phone by connecting the mobile phone conn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storage device 23 and the database 22 of the control unit 13.

도 9는 도 8의 전면표시부(400)의 외부디스플레이(12)의 상세도이다. 전체화면 하나는 하나의 수납함(200)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납함(200)의 구조와 같이 구획되고 각각의 한 구획은 수납함(200)의 각각의 수납홈(11)을 나타내며, 각각의 구획은 수납홈및날짜출력부(26)와 보관물이미지출력부(27)로 이분되어 있고, 하나의 전체 화면은 수납함변경스위치(17)에 의해 전체가 변경되게 된다. 즉, 수납함변경스위치(17)에 의해 외부디스플레이(12)는 다른 수납함(200) 전체를 출력하게 된다.FIG. 9 is a detailed view of the external display 12 of the front display unit 400 of FIG. 8. One full screen represents one storage box 200, which is partitioned like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box 200, and each one partition represents each storage groove 11 of the storage box 200, and each partition is a storage groove. And a date output section 26 and a storage image output section 27, the entire screen is changed by the box change switch 17. That is, the external display 12 outputs the whole other storage box 200 by the storage box change switch 17.

도 10은 도 9의 수납홈및날짜출력부(26)의 상세도이다. 표시된 화면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 중 어디에 설치된 수납함(200)인가를 표시하는 냉장/냉동실표시부(28)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몇 번째 칸의 수납함(200)인가를 나타내는 수납함식별기호(29)와, 상기에 의해 지정된 수납함(200)의 어느 수납홈(11)인가를 나타내는 수납홈식별번호(30)와, 상기 수납홈(11)이 수납된 경과 일수를 나타내는 보관일수카운팅부(31)와, 보관된 보관물의 상품정보칩(chip)에 의해 읽힌 유통기한을 표시하는 유통기한표시부(32)로 구성됨이 도시되어 있다.10 is a detailed view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date output unit 26 of FIG. The refrigerator / freezer compartment display unit 28 which indicates whether the displayed screen is the storage compartment 200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the storage box identifier 29 which indicates the number of compartments 200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and A storage groove identification number 30 indicating which storage groove 11 of the storage box 200 designated by the above, a storage days counting unit 31 indicating an elapsed days in which the storage groove 11 is stored, and The expiration date display portion 32 which displays the expiration date read by the product information chip of the stock is show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순서도다.11 is a flowchar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2는 수납함(200)의 이동식 인식장치(300)의 또다른 실시예시도이다. 즉, 냉장고(100)에 설치되는 모든 수납함(200)의 전면부 하단에 열의 수만큼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로 구성된 인식장치(300)의 세트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냉장고(100)의 수납함(200)에 보관물을 담아서 밀어넣을 때 위에 설치된 수납함(200)의 전면부 하부에 설치된 인식장치(300)가 보관물을 스캔하게 되는 구조이다. 물론 이 경우에는 최상측에 설치되는 수납함(2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방식의 인식장치(300)를 채택하면 된다.12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recognition device 300 of the holder 200. That is, a set of a recognition device 300 composed of a camera 6, a flash 7, and an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part of all the storage boxes 200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0. have. Therefore, when storing the object in the storage box 200 of the refrigerator 100, the recognition device 30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torage box 200 installed above scans the storage. Of course, in this case, the holder 200 installed on the uppermost side may adopt the recognition apparatus 300 of the other method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방법을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orage management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11.

우선, 사용자는 음성입력스위치(19)를 작동시켜 마이크(4b)로 관리용 음성을 녹음한다. 예로서 "이것이 무엇입니까?"라고 녹음한다. 상기 관리용 음성은 기억장치(23) 또는 데이타베이스(22)에 저장되고, 스캔한 보관물을 특정하지 못할 경우 송출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First, the user operates the voice input switch 19 to record the management voice with the microphone 4b. For example, record "What is this?" The voice for management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3 or the database 22, and when the scanned object cannot be specified, it is sent out and waits for the user's input.

사용자가 구매한 식음료 등의 보관물은 다수의 수납함(200)의 수납홈(11)에보관된다. 보관물인 상품의 각각은 그 상품의 정보를 수록한 상품정보칩이 부착되어 있을 수가 있는데, 이 때에는 정보해독센서(8)가 상품정보를 해독하게 된다.Storage such as food and beverage purchas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storage groove 11 of the plurality of holders (200). Each of the commodities that are stored may be attached with a commodity information chip that contains the commodity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decodes the commodity information.

상품정보칩은 상품의 명칭과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 등을 수록한 것으로 바코드에 수록되는 정보량보다 많은 정보를 수록할 수 있고, 상품의 이미지 등도 함께 수록할 수 있어 점차 실용화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품정보칩이 실용화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상품정보칩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는 데이타베이스(22)에 업데이트 된다.The product information chip contains the name of the product, the date of manufacture, and the expiration date.It can contain more information tha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 the bar code, and can also contain images of the pro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product information chip is put into practical use,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chip is updated in the database 22.

모든 보관물이 수납되면 인식장치(300)가 작동하게 되는데, 인식장치(300)는 상기 도면의 설명에서 본 바와 같이 고정식과 이동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우선 도 4와 같은 고정식인 경우는 각각의 수납홈(11)의 하부에 인식장치(300)가 설치되는데, 카메라(6)와 플래시(7) 및 정보해독센서(8)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한다. 정보해독센서(8)는 상기의 설명과 같고, 카메라(6)는 수납된 보관물의 색상, 모양, 크기 등을 스캔하게 되고, 스캔된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22)의 것과 비교판단하게 된다.Recognition device 300 is operated when all the objects are stored, the recognition device 300 can be implemented in a fixed and mobile as seen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rst, in the fixed type as shown in FIG. 4, a recognition device 300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each storage groove 11, and the camera 6, the flash 7, and the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constitute one set. do. The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camera 6 scans the color, shape, size, etc. of the stored object, and compares the scanned data with that of the database 22.

따라서, 스캔한 데이타와 60~70%가 동일하면 같은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데이타베이스(22)에 상기와 동일한 것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용 음성을 스피커(18)로 송출한다. 여기서의 관리용 음성은 전단계에서 입력한 "이것이 무엇입니까?"라는 내용이고, 사용자는 이에 의한 응답으로써 보관물의 명칭을 마이크(4b)를 통해 입력하게 된다. 보관물의 명칭이 입력되면 음성으로 된 명칭의 데이타와 카메라(6)가 스캔한 이미지 데이타는 데이타베이스(22)에 저장되어데이타베이스(22)는 새로운 추가항목을 더하여 업데이트되게 된다.Therefore, if 60 to 70% of the scanned data is the same, it is recognized as the sa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ame thing as the above in the database 22, the management voice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18. The management voice here is the content " what is this? &Quot; input in the previous step, and the user inputs the name of the object through the microphone 4b as a response. When the name of the stored object is input, the data of the voiced name and the image data scanned by the camera 6 are stored in the database 22, and the database 22 is updated by adding new additional items.

즉, 데이타베이스(22)의 내용은 보관물을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타와 음성 및 텍스트의 명칭 데이타를 동시에 가지고 있고, 사용자가 응답하는 음성 명칭 데이타와 카메라(6)가 스캔한 이미지 데이타를 축적하여 계속 업데이트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식하지 못하는 보관물의 종류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That is, the contents of the database 22 simultaneously contain image data for specifying the archive, name data of voice and text, and accumulate voice name data to which the user responds and image data scanned by the camera 6. As it continues to be updated, the type of archives that are not recognized over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동식 인식장치(300)인 경우는 수납홈(11)에 보관물을 넣고 수납함(200)을 밀어 넣어 닫을 때 상측에 설치된 수납함(200)의 전면부 저부에 설치된 인식장치(300)에 의해 보관물을 스캔하여 인식한다.In the case of the mobile recognition device 300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recognition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torage box 2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storage container is placed in the storage groove 11 and the storage box 200 is pushed in and closed. Scan the archive by 300 to recognize it.

그리고, 도 5와 도 6 및 도 7의 이동식 인식장치(300)의 경우는 모든 보관물을 수납함(200)에 넣은 후 도어를 닫았을 때 행한다.In the case of the mobile recognition apparatus 300 of FIGS. 5, 6, and 7, all the objects are stored in the storage box 200 and the door is closed.

상기의 인식 단계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를 닫으면 외부디스플레이(12)에 전원이 들어오고, 이는 인식하지 못한 보관물이 있을 때 외부디스플레이(12)에 전원이 들어오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외부디스플레이(12)에 전원이 들어오면 모든 보관물을 순서적으로 수납함(200)별 또는 도어포켓(5)별로 보여주고 인식하지 못한 이미지를 가진 수납홈(11) 또는 도어포켓(5)을 지정하여 "이것이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 이 방법은 물어보는 수납홈(11) 부분을 깜박이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디스플레이(12)에 출력된 카메라(6)가 스캔한 이미지를 보고 어느 수납함(200)의 어느 수납홈(11)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보면서 음성으로 "김치다" 등의 그 명칭을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3)는 스캔된 이미지를 입력된 명칭으로 인식하여 데이타베이스(22)에 저장시키게 된다.The above recognition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door is closed, power is supplied to the external display 12, because the external display 12 is set to be powered on when there is an unrecognized storag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xternal display 12, all storage items are sequentially displayed by the storage box 200 or the door pocket 5, and the storage groove 11 or the door pocket 5 having an unrecognized image is designated. "What is this?"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blinking the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 to ask. The user inputs a name such as "kimchi" by voice while viewing the scanned image of the camera 6 output to the external display 12 and which storage groove 11 of which storage box 200 is stored. Done. Then, the controller 13 recognizes the scanned image as the input name and stores the scanned image in the database 22.

상기와 같이 하나의 수납함(200)에 보관된 모든 것을 인식하게 되면, 다른 수납함(200)을 외부디스플레이(12)에 출력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all of the items stored in one storage box 200 are recognized, another storage box 200 is output to the external display 12 to repeat the above process.

보관물의 스캔은 인식장치(300)의 작동으로 수행되는데, 이의 방법에는 고정식과 이동식으로 구분되어 실시할 수가 있다. 고정식은 모든 수납홈(11)에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이동식은 하나의 수납함(200)의 상부에 하나의 인식장치(300)를 설치하여 이동됨에 따라 수납홈(11)의 보관물을 순차적으로 스캔하는 것이다. 즉, 이동의 방식에는 도 5와 도 6 및 도 12의 방식 등으로 가능한데, 도 5의 경우 수납함(200)의 상부에 얹혀 이동하면서 스캔하고, 도 6의 경우는 냉장고 벽체(14)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이송대(9)를 끼워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실시할 수 있으며, 도 12의 경우는 상부측의 인식장치(300)에 의해 하부의 수납함(200)에 보관된 물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Scanning of the object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device 300, the method can be divided into fixed and removable. The fixed type is to install and use the camera 6, the flash 7 and the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in all the storage grooves 11, the movable type is one recognition device 300 on the top of one holder 200 As it moves by installing the storage of the receiving groove 11 is to sequentially scan. That is, the method of movement is possible in the manner of Figures 5, 6 and 12, etc., in the case of Figure 5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200 to scan while moving, in the case of Figure 6 guide wall in the refrigerator wall 14 It can be implemented by sliding the feed table (9) in the guide groove to form a sliding, in the case of Figure 12 recognizes the object stored in the lower holder 200 by the recognition device 300 of the upper side You can do it.

그리고, 도어포켓(5)의 보관물 스캔은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입설된 이송대(9)가 가로로 이송되면서 스캔한다. 그리고 이송대(9)에는 도어포켓(5)의 높이에 카메라(6)와 플래시(7)와 정보해독센서(8)가 설치되어 모든 도어포켓의 보관물을 스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scan of the door pocket 5 is scanned while the transport table 9 vertically placed as shown in FIGS. 1 and 7 is transferred horizontally. In addition, the transfer table 9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door pocket 5, the camera 6, the flash 7 and the information reading sensor 8 is able to scan the storage of all the door pocket.

상기의 과정으로 모든 보관물의 인식이 끝나면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외부디스플레이(12)의 표시화면에는 어느 수납함(200)의 어느 수납홈(11)에 무엇이저장되어 있고, 보관 경과 일수와 유통기한이 표시되게 된다.After the recognition of all the storage in the above process,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isplay 12, what is stored in any storage groove 11 of any storage box 200, the number of days of storage and distribution The deadline will be displayed.

여기서, 냉장실과 냉동실의 구분은 냉장/냉동실 표시부(28)로 하는데 문자나 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수납함(200)의 구별은 수납함식별기호(29)로 하는데 숫자 또는 설치위치의 도형화로 표시할 수도 있다. 수납함(200)의 특정을 앞과 같이 하고, 특정된 수납함(200)의 어느 수납홈(11)인가는 수납홈식별번호(30)로 가능한데, 각각의 수납홈(11)에는 그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식별번호가 있다. 그리고, 유통기한의 표시는 유통기한표시부(32)에서 하게 되는데, 상품정보칩에 기록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터치패널 등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Her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classified into a refrigerating / freezing compartment display unit 28, which can be divided into letters and figures. The differentiation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200 installed therein is referred to as the storage box identification symbol 29, and may be represented by a figure of a figure or an installation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storage box 200, and any storage groove 11 of the specified storage box 200 can be provided by the storage groove identification number 30, and each storage groove 11 corresponding to one-to-one. There is an identification number. In addition, the expiration date is displayed on the expiration date display part 32.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chip may be extracted and displayed, or the user may input it through a touch panel.

그리고, 보관물을 담는 용기는 투명하고 규격화된 것이 바람직하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가지면 족하다.And,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storage is preferably transparent and standardized, but enough to have a transparency enough to confirm the contents.

상기 모든 단계를 거쳐 모든 보관물이 특정되어 데이타베이스(22)에 저장된 후, 사용자가 필요한 보관물을 찾고자할 경우에는 외부디스플레이(12)을 통해 검색할 수 있는데, 방법은 각각의 수납함(200)을 표시하여 확인하는 방법과, 마이크(4a)를 통해 "김치" 등의 찾고자 하는 보관물의 명칭을 입력하면, 제어부(13)에서 이에 맞는 수납함(200)을 표시함과 동시에 수납홈(11)을 지정하여 깜박이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정할 수 있다.After all the above steps are specifi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22, the user can search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2, if the user wants to find the required storage, the method is the respective storage box 200 And inputting the name of the object to be searched for such as "kimchi" through the microphone 4a,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storage box 200 corresponding thereto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storage groove 11. You can specify it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making it flash.

그리고, 도어를 열고 수납함(200)의 전면에 설치되 마이크(4a)를 향해 "김치" 등의 찾고자 하는 보관물의 명칭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수납함(200)의 수납홈(11)부의 내부디스플레이(3)부분이 점등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name of the object to be searched for, such as "kimchi", is installed toward the microphone 4a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200, the internal display 3 of the storage groove 11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box 200 is opened. ) Lights up.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외부통신수단(21)을 구비함으로서, 외부 할인점 등에서 사용자가 휴대전화 등으로 냉장고(100)에 접속하여 냉장고(100)에 보관되고 있는 보관물의 전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게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이중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21, the user can access the refrigerator 100 by a mobile phone or the like at an external discount store so as to check the entire list stored in the refrigerator 10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purchasing goods in duplic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형화되는 냉장고(100)에서의 식음료의 보관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storage of food and beverage in the refrigerator 100 to be enlarged.

이와같이 본 발명은 구매한 식음료들을 대형의 냉장고(100)에 보관할 때에 각각 보관되는 수납함과 내용물을 일대일로 대응시킴으로써 냉장고(100)의 보관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보관물의 정보가 데이타베이스에 축적되고 새로운 보관물의 유입시 갱신되어 사용기간이 지날수록 모든 보관물을 식별할 수 있어 더욱 더 편리하게 되고, 찾고자 하는 보관물의 위치를 그것이 보관된 수납함의 전면에서 수납된 수납홈을 점등으로 표시함으로써 대형 냉장고(100)의 사용과 관리가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torage of the refrigerator 100 to be efficiently managed by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orage boxes and the contents stored one-to-one when the purchased food and beverage is stored in the large refrigerator 100. Accumulated in the base and updated when new materials are introduced, it is more convenient to identify all the objects as the usage period passes,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searched for is turned on by turning on the storage groove stored in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By displaying,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large refrigerator 100 are effective.

Claims (8)

수납함(200)에 보관된 물건의 이미지와 저장 기간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외부디스플레이(12)와, 외부디스플레이(12)를 온오프하는 ON/OFF스위치(16)와, 다수개의 수납함(200)을 순차적으로 외부디스플레이(12)에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수납함변경스위치(17)와, 관리용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4b) 및 음성입력스위치(19)와, 음성을 송출하는 스피커(18)를 포함한 냉장고(100) 전면의 일측에 설치된 전면표시부(400)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4a)와, 다수개의 수납홈(11)의 각각을 지시하도록 구획된 내부디스플레이(3)가 전면부에 설치되어 냉장고(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납함(200)과; 수납함(200)의 수납홈(11)에 저장되는 보관물을 스캔하는 인식장치(300)와; 보관물의 이미지 데이타를 포함한 정보를 수록하고 새로운 정보로 갱신되는 데이타베이스(22)와; 외부 통신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통신수단(21)과; 전면표시부(400)와 수납함(200)과 인식장치(300)와 데이타베이스(22) 및 외부통신수단(21)을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An external display 12 for displaying an image of an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box 200 and a storage period, an ON / OFF switch 16 for turning the external display 12 on and off, and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200. A storage box change switch 17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ound to the external display 12 sequentially, a microphone 4b for inputting management voice and a voice input switch 19, and a speaker 18 for transmitting voice. A front display unit 400 installed on one side of a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100 including; Microphones 4a for receiving voice and internal displays 3 partitioned so as to indicate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11 ar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200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0. and; Recognition apparatus 300 for scanning the storage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of the holder 200; A database 22 containing information including image data of the archive and updated with new information;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21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 unit (13) for controlling the front display unit (400), the storage box (200), the recognition device (300), the database (22),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21). 제 1항에 있어서, 인식장치(300)는 보관물을 스캔하는 카메라(6)와 스캔시 조명의 역할을 하는 플래시(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각의 수납홈(11)에 설치되는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The refrig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device 300 includes a camera 6 for scanning an object and a flash 7 serving as an illumination when scanning, and installed in each storage groove 11. Archive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인식장치(300)는 보관물을 스캔하는 카메라(6)와 스캔시 조명의 역할을 하는 플래시(7) 및 상기 카메라(6)와 플래시(7)가 설치된 이송대(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납함(200)의 상측에서 이송기능하게 설치된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The apparatus 300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apparatus 300 includes a camera 6 for scanning an object, a flash 7 serving as an illumination when scanning, and a transfer table 9 on which the camera 6 and the flash 7 are installed. Storage system of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figured to transf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box (200). 제 1항에 있어서, 인식장치(300)는 수직으로 입설되어 좌우로 이송되게 설치된 이송대(9)와, 이송대(9)에 도어포켓(5)의 높이마다 설치된 카메라(6) 및 플래시(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포켓(5)에 보관된 보관물을 인식하는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Recognizing device 300 is a carriage (9) installed vertically to be transported to the left and right, the camera 6 and the flash (installed for each height of the door pocket 5 in the carriage 9) 7) storage management system of the refrigerator configured to include, to recognize the storage stored in the door pocket (5). 제 1항에 있어서, 인식장치(300)는 수납함(200)의 전면부로부터 첫번째 수납홈(11)의 각각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고, 아래쪽에 설치되는 수납함(200)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스캔하는 카메라(6)와 스캔시 조명의 역할을 하는 플래시(7)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The storag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device 300 is installed at an outer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s 11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storage box 200, and scans the storage stored in the storage box 200 installed below. A storage management system of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amera (6) and a flash (7) serving as illumination during scanning.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식장치(300)는 상품정보를 수록하여 상품에 부착되는 상품정보칩의 수록 내용을 추출하는 정보해독센서(8)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recognition apparatus 300 stores the refrigerator including an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for storing product information and extracting contents of the product information chip attached to the product. Water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디스플레이(12)는 수납함(200)의 수납홈(11)의 구성과같이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부는 수납홈및날짜출력부(26)와 보관물이미지출력부(27)로 구성된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2. The external display (1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display (12) is partitioned like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 of the holder (200), each parti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and a date output unit (26) and a storage image output unit (27). Storage management system of the refrigerator consisting of). 수납함(200)에 수납된 보관물을 카메라(6)로 스캔하여 데이타베이스(22)에 수록된 내용과 비교하여 보관물을 인식하거나, 정보해독센서(8)가 상품정보칩에 내장된 정보를 추출하여 보관물을 인식하는 단계와; 데이타베이스(22)에 해당하는 보관물의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스캔된 이미지를 표시하여 음성으로 그 명칭을 물어보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보관물의 명칭을 음성으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의 스캔 이미지와 음성입력된 명칭을 데이타베이스(22)에 저장하여 갱신하는 단계와; 수납함(200)의 각각의 수납홈(11)과 이에 보관된 보관물 정보를 일대일로 대응시켜 기억장치(23)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물품을 보관하고; 마이크(4a)를 통해 찾고자 하는 물품명을 입력하는 단계와; 찾는 보관물이 보관된 수납함(200)의 전면에 설치된 내부디스플레이(3)에 수납홈(11)을 나타내는 위치를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보관물을 찾는;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방법.Scan the storage stored in the storage box 200 with the camera 6 to recognize the storage in comparison with th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22, or the information decoding sensor 8 extracts the information embed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chip. Recognizing the storage; If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archive corresponding to the database 22, displaying the scanned image to the user and asking the name by voice, and thus the user inputting the name of the archive by voice; Storing and updating the scanned image and the voice input name in a database (22); Storing the goods in the storage device 23 by correspondingly storing each storage groove 11 of the storage box 200 and the storage information stored therein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Inputting a product name to be searched through the microphone 4a; Finding the storage including the step of lighting the position indicating the receiving groove 11 in the internal display (3)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200 is stored storage to find; How to care for your refrigerator.
KR1020030018423A 2003-03-25 2003-03-25 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KR200400837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23A KR20040083784A (en) 2003-03-25 2003-03-25 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23A KR20040083784A (en) 2003-03-25 2003-03-25 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84A true KR20040083784A (en) 2004-10-06

Family

ID=3736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423A KR20040083784A (en) 2003-03-25 2003-03-25 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3784A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214B1 (en) * 2005-05-27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Living information supply apparatus of refrigerator
KR100660697B1 (en) * 2005-04-21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managing refrigerator using rfid
KR100673707B1 (en) * 2005-05-2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managing refrigerator using rfid
KR100722490B1 (en) * 2005-08-17 2007-06-04 박정일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nformation of the foods in refrigerator and method of the same
KR100889119B1 (en) * 2007-09-13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112202B1 (en) * 2010-05-28 2012-02-24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torage food of refrigerator
KR101245294B1 (en) * 2011-11-16 2013-03-19 (주) 웨스넷 Refrig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71820B1 (en) * 2007-09-18 201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sition using Ultra Wide Band
KR20140081267A (en) * 2012-12-21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US8823523B2 (en) 2007-09-1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nput voice commands and output voice messages
US10018402B2 (en) 2013-03-12 2018-07-10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camera device
US10951863B2 (en) 2013-03-12 2021-03-16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Refrigerator, camera device, refrigerator door pocket, and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97B1 (en) * 2005-04-21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managing refrigerator using rfid
KR100605214B1 (en) * 2005-05-27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Living information supply apparatus of refrigerator
KR100673707B1 (en) * 2005-05-2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managing refrigerator using rfid
KR100722490B1 (en) * 2005-08-17 2007-06-04 박정일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nformation of the foods in refrigerator and method of the same
US8823523B2 (en) 2007-09-1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nput voice commands and output voice messages
KR100889119B1 (en) * 2007-09-13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371820B1 (en) * 2007-09-18 201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sition using Ultra Wide Band
KR101112202B1 (en) * 2010-05-28 2012-02-24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torage food of refrigerator
KR101245294B1 (en) * 2011-11-16 2013-03-19 (주) 웨스넷 Refrig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81267A (en) * 2012-12-21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US10018402B2 (en) 2013-03-12 2018-07-10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camera device
US10951863B2 (en) 2013-03-12 2021-03-16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Refrigerator, camera device, refrigerator door pocket, and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US11143450B2 (en) 2013-03-12 2021-10-12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camera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819B1 (en) Voice programmable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devices and system
KR20040083784A (en) The managing system and its process for the an article in custody of refrigerator
US10525865B2 (en) Temperature-controlled delivery vehicle
US20220270430A1 (en) Interactive vending machine
US20190213419A1 (en) Interactive touch screen device for wine
US94120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ed product data management
US69197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a check on the storage time for goods in a storage
CN106679327B (en) Intelligent refrigerator based on RFID scanning and containing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4110935A (en)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852405B2 (en) Refrigerator system
JP2000310476A (en) Containing compartment
US20200363125A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system
TWI698198B (en) Object storing apparatus and object access method thereof
KR102017980B1 (en) Refrigerator with displaying image by identifying go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of displaying thereof
KR20120118376A (en) Controlling method of a refrigerator
JPH1130472A (en) Refrigerator with display for managing preservation period for object to be housed
CN106724405A (en) A kind of multifunction commodity manages display systems automatically
CN110969763A (en) Horizontal refrigeration equipment and purchase, sales and storage management and use method thereof
KR20190066852A (en) Smart wine cellar
KR20190097903A (en) Refrigerator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input pattern and method of processing thereof
CN113384090A (en) Wine cabinet and control method for same
KR101245294B1 (en) Refrig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90105256A (en) A food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10007663A (en) The refrigerator substance confirmation system uses lcd display and support the reader
JP2006213486A (en) Automatic book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