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275A -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275A
KR20040082275A KR1020040003110A KR20040003110A KR20040082275A KR 20040082275 A KR20040082275 A KR 20040082275A KR 1020040003110 A KR1020040003110 A KR 1020040003110A KR 20040003110 A KR20040003110 A KR 20040003110A KR 20040082275 A KR20040082275 A KR 2004008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category
sub
subcategories
categ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원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4000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2275A/ko
Publication of KR2004008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검색 카테고리 및 그 서브 카테고리를 효과적으로 배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은, 검색 카테고리를 소정의 검색어와 연관시키고, 상기 검색 카테고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서브 카테고리 목록과 연관시키는 단계와,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요구에 상응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를 함께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결과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웹사이트를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찾아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RRANGING A SEARCH RESULT LIST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검색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카테고리 및 그 서브 카테고리를 효과적으로 배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통신망을 통한 정보 검색이 매우 일반화되고 있다.
도 1은 검색자의 검색 요구에 따라 검색 결과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정보 검색을 위하여 검색자는 PC 등의 단말기(110, 120)로써, 인터넷(130)을 통해 검색 엔진 서버(140)에 접속하고,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검색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제공자는 검색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 또는 개인으로서, 네트워크 정보 제공자 웹 서버(160, 170)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된다. 검색 데이타베이스(150)는 네트워크 정보 제공자에 대한 복수의 검색 리스팅을 저장하고 있으며, 검색 리스팅의 각각은 웹사이트(Website) 의 제목, 웹사이트의 네트워크 주소로서의 URL, 웹사이트에 대한 설명, 검색어 등을 포함한다. 검색자가 검색 요청한 검색어와 검색 리스팅에 포함된 검색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검색 엔진 서버(140)는 해당하는 검색 리스팅을 검색 결과로서 검색자에게 제공한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검색 엔진 서버로서 네이버(http://www.naver.com)가 있다.
검색 엔진 서버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는 검색어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웹사이트를 나열하고 있다.
수많은 웹 서버를 통하여 검색자에게 제공되는 웹사이트 정보는 너무나도 방대하여 검색자가 진정 필요로 하는 정보가 저장된 웹사이트를 검색 결과 내에서 어떻게 찾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다.
이에, 검색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다수의 웹사이트를 효과적으로 배열하는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도 2a, 2b는 인터넷 검색 엔진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종래의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색창에 예를 들어 "음식점"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그 검색 결과로서 음식점과 연관된 웹사이트들이 다양한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된다.
웹사이트 표시 방법 중의 하나로서 카테고리 별로 웹사이트들을 분류하는 표시하는 방법이 네이버 검색 엔진 서버를 비롯한 여러 검색 엔진 서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2a의 "검색 카테고리" 영역은 검색어와 연관된 수많은 웹사이트들을 표시함에 있어, 웹사이트의 내용에 따라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상기 검색 카테고리의 목록만을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검색 카테고리 목록 중에서 카테고리의 명칭을 참조하여 원하는 검색 카테고리를 조회(click)할 경우, 검색 카테고리에 속한 보다 자세한 서브 카테고리 목록이 다음 화면에 표시된다. 도 2b는 도 2a에서 "비스니스, 경제 > 기업 > 음식점"이라는 검색 카테고리를 조회한 경우의 다음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 2a,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은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 검색 카테고리와 서브 카테고리의 선택을 두 단계로 나누거나 또는 서로 다른 화면에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검색 결과 화면으로 제공되는 검색 카테고리의 목록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검색 카테고리를 다시 조회(클릭)하고, 조회 결과로서 제공되는 다음 화면상에서 서브 카테고리의 목록들을 다시 확인한 후에야 해당 웹사이트를 찾아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야후 등 검색 엔진의 초기 화면에 대표 카테고리와 그서브 카테고리를 함께 표시하여 주고 있으나, 실제 검색 결과 화면에서는 검색 카테고리와 그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를 동일한 화면에 함께 제공하여 주는 검색 엔진이 제공되지 않아 상기와 같은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 요구에 대한 검색 결과 출력 화면에서 검색 카테고리 및 그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를 함께 표시하여 주는 인터넷 검색 엔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의 목록이 많은 수의 서브 카테고리들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 원하는 웹사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서브 카테고리를 쉽게 찾아내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검색 요구에 대한 검색 결과 화면에서 검색 카테고리 및 그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를 함께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어떤 서브 카테고리를 어떤 순서로 배열할 지가 문제된다. 즉, 통상의 경우 하나의 검색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는 서브 카테고리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이 서브 카테고리들 중 어떤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할지 또한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들을 어떤 순서로 배열할 지가 중요하게 된다. 특정 서브 카테고리가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될 서브 카테고리 목록에 포함되느냐, 또는 전체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얼마나 앞자리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사용자에 대한 노출 빈도 및 조회 횟수가 큰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할 서브 카테고리를 어떻게 선정하고, 이들을 어떻게 배열할 지에 관한 효율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검색 요구에대한 검색 결과 출력 화면에서 검색 카테고리 및 그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를 함께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웹사이트를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되는 서브 카테고리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검색자의 검색 요구에 따라 검색 결과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2a, 2b는 인터넷 검색 엔진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종래의 인터넷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검색 카테고리 상호간의 계층 구조 및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검색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의 연결 구조에 대한 실제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a, 5b는 검색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검색 결과 표시 시스템
710 : 검색 요구 수신부
720 : 저장부
730 : 검색 수행부
740 : 검색 결과 제공부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를 동시에 포함하는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색 카테고리를 소정의 검색어와 연관시키고, 상기 검색 카테고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서브 카테고리 목록과 연관시키는 단계와,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요구에 상응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를 함께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색 카테고리를 소정의 검색어와 연관시키는 단계와,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요구에 상응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요구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와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를 연관시켜 하나의 검색 결과 화면에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구를 수신하는 검색 요구 수신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서브 카테고리 목록 및 상기 서브 카테고리 목록과 연관된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소정의 검색어와 연관시키고, 상기 저장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을 상기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시키고, 상기 검색 요구에 상응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검색 수행부,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를 연관시켜 함께 배열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목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점" 이라는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한 결과 화면으로서, "비즈니스, 경제 > 기업 > 음식점", "비즈니스, 경제 > 기업 > 음식점 안내", "비즈니스, 경제 > 기업 > 프랜차이즈, 체인점 > 음식, 외식업"의 3개의 검색 카테고리가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검색 카테고리 아래에는 여러 개의 서브 카테고리가 일렬로 배열된다. 배열되는 서브 카테고리는 검색 카테고리에 따라 결정되며, 검색 카테고리마다 서브 카테고리의 종류, 개수 및 배열 순서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 표시된 서브 카테고리를 클릭한 경우에도, 상기 서브 카테고리를 표시함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이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서브 카테고리로 "한식", "중식", "일식" 등이 있고, 상기 "한식"이라는 서브 카테고리의 서브서브 카테고리(sub-sub category)로 "한정식", "회집", "궁중식", "분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서 "음식점"을 클릭한 경우, "한식", "중식" 등의 서브 카테고리가 표시되는데, 상기 서브 카테고리도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속하는 서브-서브 카테고리들 중 일부를 상기 서브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한다. 즉, 도 3에서 "음식점"을 클릭한 경우 "한식", "중식" 등의 서브 카테고리를 표시하면서 "한식"의 아래에 "한정식", "회집", "궁중식", "분식" 등의 서브서브 카테고리를 표시한다. 이는 어느 단계의 카테고리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4a는 검색 카테고리 상호간의 계층 구조 및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 보듯이 "음식점"이라는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카테고리는 음식점(410), 음식점 안내(420), 프랜차이즈,체인점(430) 등이 있으며 이들 검색 카테고리는 상호 연관성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경제", "기업"의 검색 카텍고리 아래에 계층화된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음식점(410), 음식점 안내(420), 프랜차이즈, 체인점(430)의 검색 카테고리는 서브 카테고리 목록(440)과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서브 카테고리 목록(440)은 한식(441), 중식(442), 양식(443), 일식(444), 유럽식(445), 패밀리레스토랑(446), 패스트푸드(447), 프랜차이즈(448) 등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검색 카테고리는 그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적어도 일부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를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배열한다. 검색자의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함에 있어서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되는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선택의 기준에 대한 일례로서, 서브 카테고리와 연관된 웹사이트의 개수를 고려하여 보다 많은 웹사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이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다수의 서브 카테고리는 각각 서브-서브 카테고리(sub-sub category)를 더 포함하며, 이와 같이 계속하여 하위 단계의 카테고리를 찾아서 내려가다 보면 최종적으로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된 웹 사이트 정보를 찾게 된다. 이때,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된 전체 웹 사이트의 개수를 계산하여 그 웹 사이트 수가 많은 일정한 개수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검색 카테고리 선택 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음식점" 아래에 있는 서브 카테고리들 중, 웹 사이트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서브 카테고리들을 소정의 개수만큼 선택하여 도 3에서 "음식점"과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함하고 있는 웹 사이트의 수가 많은 순으로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때문에 그 내용이 풍부한 서브 카테고리의 순으로 선택하여 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조회(click) 횟수를 고려할 수 있다. 즉, 검색자로부터 보다 많은 조회 횟수를 기록한 서브 카테고리의 순으로 일정한 개수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소정의 기간 동안 조회 횟수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검색자들의 조회 횟수가 많은 경우는 검색자들이 많이 조회하는 카테고리로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하여 줌으로써 검색자들이 추가 클릭을 하는 불편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서브 카테고리 명칭의 가나다순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개수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현이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검색자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다. 즉, 검색자들로부터 카테고리에 대한 평가 점수 등을 수신하고 그 선호도를 매겨 선호도가 높은 카테고리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함으로써, 검색자들이 선호도가 높은 서브 카테고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카테고리 선택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이상의 기준에 대하여각각에 가중치를 주어 계산값이 높은 순서로 선택하여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변함에 따라 서브 카테고리와 연관된 웹사이트의 개수가 변하거나,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조회 횟수의 순위가 바뀌거나, 사용자의 선호도가 변하거나, 서브 카테고리의 명칭이 변함에 따라 선택 기준 역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선택 기준은 소정의 기간마다 갱신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선택되는 서브 카테고리도 소정의 기간마다 바뀔 수 있다.
또한, 서브 카테고리를 배열함에 있어 배열 순서에 대하여 소정의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서브 카테고리의 배열 순서에 관한 소정의 기준은 서브 카테고리의 선택과 마찬가지로,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웹사이트의 개수,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조회 횟수, 서브 카테고리 명칭의 가나다순,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자의 선호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배열 순서에 관한 기준 역시 소정의 기간마다 갱신이 이루어지고 갱신 결과에 따라 배열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검색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의 연결 구조에 대한 실제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검색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401)는 검색 카테고리 및 그와 연관된 하위 단계의 서브 카테고리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도 4b는 테이블 형태로 구성된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였으나, 연결 리스트(linked list)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검색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401) 내의 각각의 검색 카테고리 레코드는 그와연관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브 카테고리 목록 중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배열하기 위하여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들을 저장하고 있는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 및 검색 카테고리와 함께 배열되지 않는 서브 카테고리들을 저장하고 있는 "선택되지 않은 서브 카테고리"로 나누어져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 안내(420)의 검색 카테고리 레코드는 소정의 선택 기준에 따라, 한식(441), 유럽식(445), 패밀리레스토랑(446) 등의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와 중식(442), 양식(443)의 선택되지 않은 서브 카테고리를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또다른 일례로서, 상기 "한식(441)", "유럽식(445)", "패밀리레스토랑(446)"를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로서 저장함에 있어,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 배열 순서를 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웹사이트 데이터베이스(402)는 검색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401)에서 저장하고 있는 서브 카테고리의 배열에 따라, 실제 서브 카테고리가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웹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저장된 웹사이트 관한 정보로서 웹사이트의 제목, URL, 웹사이트 설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번호가 441인 "한식"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된 첫 번째 웹사이트로서, 441a 란에는 웹사이트의 제목이 "네이버 음식점"이고, URL이 http://restraurant.naver.com"이고, 웹사이트 설명이 "음식점 찾기, 온라인 배달, 예약, 쿠폰, 추천맛집 수록"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서브 카테고리의 표시 방법으로 하나의 검색 결과 화면에 검색 카테고리에 이어서 서브 카테고리가 이웃하여 배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5a는 표시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서, 서브 카테고리의 내용에 따라서 서브 카테고리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주제와 함께 서브 카테고리를 분류, 배열하고 있다. 도 5a에서는 "메뉴별", "모임별", "지역별"이라는 주제를 예시하고 있다. 도 5a에 따르면, 서브 카테고리를 주제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검색자가 자신이 원하는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서브 카테고리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b는 서브 카테고리의 주제별 표시 방법에 따른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서는 도 5a에 도시한 "메뉴별", "모임별", "지역별"의 주제들을 풀 다운(pull-down) 방식을 사용하여 배열하고, 상기 주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그 선택한 주제에 상응하는 서브 카테고리들을 역시 풀 다운 방식으로 이웃하여 배열하고 있다. 도 5b에 따르면, 검색 결과 화면에 보다 많은 서브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적은 공간에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610)에서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검색 카테고리를 소정의 검색어와 연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검색어와 관련 있는 웹사이트를 분류한 검색 카테고리들이 서로 계층 구조를 가지면서 검색어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는 검색 카테고리를 서브 카테고리 목록과 연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카테고리 목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브 카테고리 목록은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다.
단계(S620)에서는 검색자(또는 네트워크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구를 수신하게 된다.
단계(S630)에서는 검색자로부터의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검색 요구에 상응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카테고리를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식별하게 된다.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 및 데이타베이스간의 프로세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단계(S640)에서는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도 함께 배열하게 된다.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소정의 기준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를 소정의 기준에 의해서 그 배열 순서를 정하게 된다. 서브 카테고리의 선택 및 배열 순서에 관하여는 앞서의 실시예들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부분을 참조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색 결과 표시 시스템(700)은 검색 요구 수신부(710), 저장부(720), 검색 수행부(730), 검색 결과 제공부(740)를 포함한다.
검색 요구 수신부(710)는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구를 수신한다.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검색 요구 수신부(710)는 검색자의 PC와 연결된다.
저장부(720)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 목록을 포함한다. 검색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검색 카테고리는 서브 카테고리 목록과 연결되어 있다. 서브 카테고리 목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서브 카테고리를 주제별로 배열하기 위하여, 저장부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검색 수행부(730)는 저장부(720)에 저장된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소정의 검색어와 연관시키고, 저장부(720)에 저장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을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시킨다. 또한, 검색자로부터 수신한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검색 요구에 상응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 카테고리를 식별한다.
검색 결과 제공부(740)는 검색 수행부(730)에서 식별한 검색 카테고리를 배열하게 된다. 즉,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를 소정의 기준에 따른 배열 순서에 따라 배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02)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자가 자신이 원하는 웹사이트를 적은 조회 횟수를 통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찾아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카테고리의 선택 및 배열 순서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서 결정함으로써, 검색자로부터 접근 용이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결과 화면에 보다 많은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검색자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입력된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색 카테고리를 소정의 검색어와 연관시키고, 상기 검색 카테고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서브 카테고리 목록과 연관시키는 단계;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요구에 상응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와 연관된 서브 카테고리 목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를 함께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 및 상기 식별된 검색 카테고리를 함께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웹사이트의 개수;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조회 횟수;
    상기 서브 카테고리 명칭의 가나다순; 및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자의 선호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40003110A 2004-01-15 2004-01-15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82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110A KR20040082275A (ko) 2004-01-15 2004-01-15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110A KR20040082275A (ko) 2004-01-15 2004-01-15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669 Division 2003-03-18 2003-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275A true KR20040082275A (ko) 2004-09-24

Family

ID=3736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110A KR20040082275A (ko) 2004-01-15 2004-01-15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22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90B1 (ko) * 2005-03-03 2007-04-10 (주)첫눈 내용 및 형식 체계로 구현된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및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7137289A2 (en) * 2006-05-23 2007-11-29 Notebookz.Com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organizing search results
WO2008094371A1 (en) * 2007-01-30 2008-08-07 Microsoft Corporation Search results clustering in tabbed browsers
KR101030189B1 (ko) * 2008-12-03 2011-04-20 (주) 팝스포유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
US10229201B2 (en) 2014-07-31 2019-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face for simultaneous display of selected items from search engine result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90B1 (ko) * 2005-03-03 2007-04-10 (주)첫눈 내용 및 형식 체계로 구현된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및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7137289A2 (en) * 2006-05-23 2007-11-29 Notebookz.Com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organizing search results
WO2007137289A3 (en) * 2006-05-23 2011-09-15 Notebookz.Com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organizing search results
WO2008094371A1 (en) * 2007-01-30 2008-08-07 Microsoft Corporation Search results clustering in tabbed browsers
US7747626B2 (en) 2007-01-30 2010-06-29 Microsoft Corporation Search results clustering in tabbed browsers
KR101030189B1 (ko) * 2008-12-03 2011-04-20 (주) 팝스포유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
US10229201B2 (en) 2014-07-31 2019-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face for simultaneous display of selected items from search engine results
US10339186B2 (en) 2014-07-31 2019-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face for simultaneous display of selected items from search engine resul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5419B2 (en) Personalized search
KR100478019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51710B1 (ko) 측면 검색
JP5425140B2 (ja) サーチ結果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603337B2 (ja) バーティカル提案により検索要求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91531B1 (ko) 인라인 문맥 질의들을 사용하는 검색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8484184B2 (en) Navigation assistance for search engines
KR101123426B1 (ko) 서브도메인 힌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생성하고서브도메인에 의해 스폰서되는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US10423668B2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organization and searching information
US8484179B2 (en) On-demand search result details
US200600369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links associated with a requested website
KR100672277B1 (ko) 개인화 검색 방법 및 검색 서버
US201200544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hierarchy of cache layers of different types for intext advertising
US20140143243A1 (en) Infinite browse
US9323859B2 (en) Dynamic client side name suggestion service
US20090006311A1 (en) Automated system to improve search engine optimization on web pages
US82393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centered information searching
US201202465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ed content harvesting for contextualizing
EP26950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visible area detection and contextualization
US9697281B1 (en) Autocomplete search methods
KR100672278B1 (ko)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 리스트를 이용한 개인화 검색 방법및 검색 서버
KR20040082275A (ko) 인터넷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909561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
WO20040840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rranging a search result list using internet
KR20100115409A (ko) 컨텐츠 관련 정보 출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