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066A -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066A
KR20040072066A KR20030007991A KR20030007991A KR20040072066A KR 20040072066 A KR20040072066 A KR 20040072066A KR 20030007991 A KR20030007991 A KR 20030007991A KR 20030007991 A KR20030007991 A KR 20030007991A KR 20040072066 A KR20040072066 A KR 2004007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subscriber
message service
database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구
이길행
김대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03000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066A/ko
Publication of KR2004007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066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발신자 단말로부터 단문메시지 전달 의뢰가 들어오면, 전달 의뢰된 단문메시지에 수신자가 미리 정의해 놓은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수신거부단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한다. 그 결과, 수신자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단문메시지가 사전에 차단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Short message service cent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short message service based on contents search of the message}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메시지의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SME(Short Message Entity)라 부르는 최종 단말간에 제한된 길이의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중계하는 시스템이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가입자가 단문메시지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수신자가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수신자가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면 해당 수신자가 위치한 곳으로 단문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신자가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있으면 해당 단문메시지를 저장하였다가 수신 가능할 때 해당 단문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문메시지 전달 방법은 수신자의 메시지 수신 의지와 상관없이 수신자의 수신상태에 문제가 있지 않는 한, 발신 의뢰된 모든 단문메시지들을 수신자에게 무조건 전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 같은 단문메시지의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광고나 불건전한 정보들을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발신 의뢰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검색하여 수신자에 의해 정의된 수신거부단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상에서 삭제시킴으로써, 수신자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구비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문메시지 서버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신거부단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모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12 :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SMDB)
13 : 수신거부 데이터베이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자 단말로부터 발신 의뢰된 단문메시지들이 저장되는 제 1 데이터베이스; 및 가입자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거부 단어들이 저장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발신 의뢰된 상기 단문메시지 내에 해당 수신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문메시지를 삭제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단문메시지의 해당 수신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가입자별로 설정된 단문메시지 수신거부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제 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 단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문메시지 내에 상기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문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0)를 구비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UMTS 망은 크게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 Center ; SC)(10), SMS-IWMSC(Interworking MSC for SMS)/SMS-GMSC(Gateway MSC for SMS)(30), MSC(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50), 및 SME(70)로 구성된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0)는 단문메시지가 저장되는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Short Message database ; SMDB)(12), 수신자들에 의해 설정된 수신거부단어들이 저장되는 수신거부단어 데이터베이스(13), 및 인터페이스(14)로 구성된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0)는 인터페이스(14)를 통해 UMTS 망과 연결되고, 지능망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IP(Intelligent Peripheral ; 20) 및 IN(Intelligent Network ; 80)과 연결된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0)는 단문메시지 사업자들이 정한 프로토콜을 통하여 해당 수신자에 의해 지정된 수신거부단어를 수신거부단어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문메시지의 발신 의뢰시 수신거부단어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 정보를 획득하고, 발신 의뢰된 단문메시지가 수신거부단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단문메시지의 발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0)는 단문메시지의 발송이 의뢰되면 SMS-GMSC(30)로 단문메시지의 전송을 의뢰하게 되고, 단문메시지 전송 의뢰를 받은 SMS-GMSC(30)는 해당 수신자의 HLR(Home Location Registry)(40)에게 해당 수신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얻게 된다. 그리고 획득된 수신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MSC/SGSN(50)에게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은 MSC/SGSN(50)은 VLR(Visit Location Registry ; 60)에게 수신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단문메시지 전달을 위해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얻어내고, 요청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SME(70)에게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문메시지 서버(10)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문메시지 서버(10)가 발신자 단말로부터 압축된 형태의 단문메시지를 수신한다(1001 단계). 이어서,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서버(10)에 구비되어 있는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1002 단계), 수신자 정보를 추출한다(1003 단계).
그리고, 추출된 수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를 저장하고 있는 수신거부 데이터베이스(13)에게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 정보를 요청한다(1004 단계).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 정보가 저장된 수신거부 데이터베이스(13)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신거부단어 데이터베이스(13)의 테이블 모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거부단어 데이터베이스(13)는 각 가입자별 관리번호(131), 가입자 단말 식별 번호(132), 최종 변경일(133), 및 N 개의 수신거부단어(134) 필드를 포함한다.
가입자별 관리번호(131)는 지능망 서비스와 연계시 관리번호를 부여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번호로서, 해당 서비스의 가입시 각 가입자에게 부여된 가입자 ID(identification number) 등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 식별 번호(132)는 각 가입자 단말을 구별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번호로서, 도 3과 같이 가입자의 단말 번호가 사용될 수도 있고, 해당 사업자가 사용하는 국제표준 형식의 단말 식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사업자가 사용할 수 있는 국제표준으로는 정보통신 전반에 걸친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에서 제정한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최종 변경일(133)은 가입자가 지능망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거부단어를 설정한 마지막 일시를 나타낸다. 그리고, 수신거부단어들(1341-134N)은 사업자가 제한한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N개의 범위) 내에서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거부단어들을 나타낸다. 이들 수신거부단어들은 각 가입자별로 자유롭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문메시지 서버(10)가 수신거부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단문메시지 서버(10)는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어 있는 단문메시지를 추출해 낸다(1005 단계).
이어서, 수신된 수신거부단어 정보와 발신 의뢰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비교하여, 해당 단문메시지 내에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1006 단계). 1006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발신 의뢰된 단문메시지 내에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삭제한다(1007 단계). 그리고, 1006 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발신 의뢰된 단문메시지 내에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12)에 그대로 유지시킨 채, 일반적인 단문메시지 전송 절차를 따르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의하면,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10)는 발신자 단말로부터 단문메시지 전달 의뢰가 들어오면 수신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수신거부단어 정보를 조회하여 단문메시지의 전달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수신자가 수신하기를 원치 않는 불건전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에 의하면, 수신자가 미리 정의해 놓은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므로, 수신자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단문메시지가 사전에 차단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자 단말로부터 발신 의뢰된 단문메시지들이 저장되는 제 1 데이터베이스; 및
    가입자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거부 단어들이 저장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발신 의뢰된 상기 단문메시지 내에 해당 수신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문메시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망에 연결되어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는
    지능망 서비스와의 연계를 위해 부여된 가입자별 관리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별 관리번호 필드;
    각 가입자 단말을 구별하는 가입자 단말 식별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단말 식별번호 필드;
    상기 각 가입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거부 단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거부단어 필드; 및
    상기 각 가입자가 상기 수신거부단어를 설정한 마지막 일시를 저장하기 위한 최종변경일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별 관리번호는 상기 서비스 가입시 상기 각 가입자에게 부여된 가입자 ID(identification 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식별 번호는 상기 각 가입자의 단말 번호 및 해당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하는 국제표준 형식의 단말 식별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거부단어는 상기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가입자가 자유롭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7.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단문메시지의 해당 수신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가입자별로 설정된 단문메시지 수신거부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제 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 단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문메시지 내에 상기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문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e) 상기 단문메시지 내에 상기 해당 수신자의 수신거부단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해당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는
    지능망 서비스와의 연계를 위해 부여된 가입자별 관리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별 관리번호 필드;
    각 가입자 단말을 구별하는 가입자 단말 식별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단말 식별번호 필드;
    상기 각 가입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거부 단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거부단어 필드; 및
    상기 각 가입자가 상기 수신거부단어를 설정한 마지막 일시를 저장하기 위한 최종변경일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별 관리번호는 상기 서비스 가입시 상기 각 가입자에게 부여된 가입자 ID(identification 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식별 번호는 상기 각 가입자의 단말 번호 및 해당 서비스사업자가 사용하는 국제표준 형식의 단말 식별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거부단어는 상기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가입자가 자유롭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30007991A 2003-02-08 2003-02-08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 KR20040072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7991A KR20040072066A (ko) 2003-02-08 2003-02-08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7991A KR20040072066A (ko) 2003-02-08 2003-02-08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066A true KR20040072066A (ko) 2004-08-18

Family

ID=3744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7991A KR20040072066A (ko) 2003-02-08 2003-02-08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0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20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presence, location and availability data from a communication device deployed in a network
US9532195B2 (en) Location based messaging
US8649314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US8526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ent-controlled short message service
US20070004333A1 (en) Broadcast messag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373384B2 (en) Short message (SMS) storage system
EP21492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dvertisement content into a text message
US6917806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system
CN102572751A (zh) 用于在无线发射/接收单元中使用的方法
CN101577867A (zh) 多媒体消息业务中的推送消息发送方法、设备及系统
US9420438B2 (en) Method, system and server for feeding back state of receiving end
KR101054218B1 (ko) 원하지 않는 메시지들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985530B (zh) Wlan上建立多媒体信息服务的无线通信方法及系统
KR20040072066A (ko) 단문메시지 내용 검색을 통한 선택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방법
KR101021755B1 (ko) 이동 통신망에서 메시지를 분류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090045978A (ko) 스팸 필터링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79222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통지 메시지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20040009107A (ko)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4045231A1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s
KR20050046880A (ko) 비동기식 3세대 이동통신 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108403A (ko) 이동통신 단문메시지전용 식별번호 추가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