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096A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096A
KR20040070096A KR1020040006264A KR20040006264A KR20040070096A KR 20040070096 A KR20040070096 A KR 20040070096A KR 1020040006264 A KR1020040006264 A KR 1020040006264A KR 20040006264 A KR20040006264 A KR 20040006264A KR 20040070096 A KR20040070096 A KR 2004007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terface
interface module
power
se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877B1 (ko
Inventor
크란츠앤톤더블유.
아비섹아비섹
아야가리애런
루안지안동
무어티모시엠.
가이거아비알.
바클리워런브이.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7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3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안된다. 전력 관리 모듈은 다른 모듈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소정의 비콘 간격 동안 도즈 상태에 놓이게 되는 때를 결정한다.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장치 내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스캔이 수행되고, 지연된 슬립 시간이 경과하고, 비콘 송신이 완료되고 장치에 대해 버퍼링될 트래픽이 없는 경우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후에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 상기 지연된 슬립 시간은 패킷의 추정된 왕복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NETWORK INTERFACE MODUL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전력 관리에 관한 것이다.
랩탑 컴퓨터, PDA 장치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킹 장치와 인프라스트럭처의 발전과 전개와 함께, 소비자들과 기업들은 점점 실제 모바일 컴퓨팅, 협력, 및 정보 교환의 유용성을 실감할 수 있게 되고 있다. 기업 업무자들은 더이상 이메일 메세지 검색, 파일 다운로드, 또는 정보 교환을 위해 네트워크에 단순히 접속하기 위해 케이블을 가지고 다니거나 가능한 데이터 포트를 끝없이 찾아야 할 필요가 없다. 기업과 가정의 소비자들은 더이상 벽에 설치된 이더넷 잭의 위치로 인해 네트워크 액세스가 제한될 필요가 없다. 관련인들과 친구들 그룹을 만나는 것은 이제 그들 자체들 간의 유선 접속을 하거나 기존의 네트워크에 로그인하지 않고 그들 자신의 애드혹(ad hoc)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들은 배터리에 전력이 있는 한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 네트워크에 로그인하여, 이동성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컴퓨팅의 개념이 잘 수용되고 있는 반면, 이 개념을 구현하는 데는 많은 형태를 취해 왔다. 즉, 현재는 여러 개의 다른 무선 프로토콜 표준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이들 표준은 802.11b(Wi-Fi로도 알려짐), 802.11a(Wi-Fi5로도 알려짐), 802.11g, HomeRF, Bluetooth, Wireless 1394, HiperLAN2, UWB, ZigBee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표준들 각각은 특정한 유용성을 갖고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에 맞게 개발되었고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준들에서 공통된 것은 통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로 구현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동 근무자들이 조직 내에서나 이동 중에 더 큰 이동성을 요구함에 따라, 무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수명에 의한 제약을 받는다. 배터리 수명은 이동성을 제약하는 주된 요인이다. 무선 NIC는 랩탑에서 세번째로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것이다. SFF(small form factor) 장치에서, 무선 NIC는 랩탑에서 보다 더 큰 퍼센트의 배터리 전력을 소모한다. 이 에너지의 대부분은 무선 데이타 전송에 사용되어 무선 NIC가 데이타 전송에 관여하지 않는 때에도 NIC에 전력 공급이 유지되도록 한다.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력의 양이 한정되기 때문에, 배터리로 구동하는 장치의 작동 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이러한 장치에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무선 NIC가 수행하는 기능들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행해지고 있는 하나의 방법은 어느 장치가 무선 네트워킹 장치의 범위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스캐닝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을 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02, 12, 18에 출원되고 본 출원의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0/323,043은 스캔들 간의 시간을 스캐닝 기록에 기초한 지수 함수와 최후 스캔의 스캔 결과를 사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스캔들 간의 시간의 증가가 전력을 보존하지만, 배터리 전력을 보전하기 위한 더 많은 방법들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장치의 아키텍처를 일반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절전 메카니즘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대기(listening) 간격이 어떻게 비콘 간격에 관련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어떤 전력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 관리 모듈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태 머신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형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력 관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처리부
120: 전원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202: 전력 관리 모듈
221, 222, 223: 무선 장치
본 발명은 컴퓨팅 장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전력 관리 모듈은 컴퓨팅 장치의 다른 모듈에서 받은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 상태를 제어한다. 컴퓨팅 장치가 배터리나 연료 전지와 같은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있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절전 모드로 동작하여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끌어 오는 전력을 절약한다. 일실시예에서, 절전 모드는 고속 절전 모드 또는 최대 절전 모드가 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스캐닝을 하거나 스캔이 요구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완전히 충전된 전원 상태로 동작한다. 일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지 않고 스캔을 수행하지 않거나 스캔을 완료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저전력 상태(즉, 도즈(doze) 상태)로 들어간다.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스캐닝을 하거나 스캔이 요청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동작하는데 최소 전력이 사용되는 도즈 상태에 있었다면 전원 상태로 설정된다. 컴퓨팅 장치가 전d원선(power line source)(ac 전원, 배터리 충전기, 등)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전원이 완전히 공급되는 전원 상태로 남는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레퍼런스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비절전(즉, 일정 어웨이크 모드(constant awake mode)), 중간 범위 절전(즉, 고속 모드), 또는 최대 절전(즉, 최대 절전 모드)을 원하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가능한 선호도에 더하여, 애플리케이션은 패킷을 부착하여 빠른 응답이 필요하고 전력 관리 모듈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을 조절하여 일정 어웨이크 모드나 고속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를 나타낼 수 있다.
고속 절전 모드에서, 전력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언제 도즈 상태로 들어가는지를 결정하고 액세스 포인트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설정될 것이라는 통지를 보낸다. 전력 관리 모듈은 이 통지가 보내어진 뒤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도즈 상태로 설정한다. 비콘(beacon) 간격이 끝나기 전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전원 상태(즉, 온(on) 상태)로 설정되어 각 비콘 간격동안 비콘을 수신한다. 비콘이 액세스 포인트나 피어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에 대해 큐잉된 패킷이 없다고 표시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도즈 상태로 다시 들어간다. 비콘이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컴퓨팅 장치에 대해 버퍼링된다고 표시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버퍼링된 패킷을 수신하고 다음에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delayed sleep timer) 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판정하는단계, 스캔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비콘이 컴퓨팅 장치에 대해 큐잉되는 트래픽이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전원이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전원선으로 변경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대 절전 모드에서, 전원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여러 비콘 간격(즉, 대기(listening) 간격)동안 도즈 상태로 들어가도록 한다. 전력 관리 모듈은 이 통지가 발송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도즈 상태로 설정한다. 대기 간격이 끝나기 전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온 상태로 설정되어 비콘을 수신한다. 비콘이 컴퓨팅 장치에 대해 큐잉된 패킷이 없다고 표시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대기 간격 동안 다시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 만일 비콘이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컴퓨팅 장치에 대해 버퍼링된다고 표시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버퍼링된 패킷을 수신한 다음 남은 대기 간격 동안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
전력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온 상태와 도즈 상태 중 하나로 설정되는 때를 결정하는 전력 관리 백엔드(backend) 모듈이고, 이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과 통신하는 시스템 상태 모듈은 장치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로 제공하고,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리스트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를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로 제공한다.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은 언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온 상태, 도즈 상태, 오프 상태로 설정될지 상태 머신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전력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하고, 스캔이 완료되고, 혹은 비콘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절전 모드에서 동작할 때 컴퓨터 장치에 대해 큐잉되는 트래픽이 없다는 것을 표시한 뒤에 도즈 상태로 설정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지연된 슬립 타임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설정되기 전에 패킷이 송신되고 난 뒤 특정 시간 동안 대기함으로써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스루풋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는 수신자가 이 지연 슬립 기간 내에 응답을 보내면 다음 비콘 간격이나 대기 간격을 기다릴 필요없이 애플리케이션이 응답을 수신하도록 한다. 지연 슬립 타이머는 타이밍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지연 슬립 타이머는 분산을 위해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된 후에 설정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지연 슬립 타이머의 시간이 만료된 뒤에 도즈 상태로 설정된다. 지연 슬립 타이머가 계수되는 동안 다른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로 보내지면 지연 슬립 타이머는 리셋된다. 지연 슬립 타임은 각 패킷에 대해 결정되고 보내진 패킷의 추정 왕복 시간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은 목적과 효과와 함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배터리 팩 등의, 제한된 양의 에너지를 갖고 있는 제한된 에너지 전원을 갖는 컴퓨팅 장치에서동작한다. 현재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보내지 않을 때에 필요한 것보다 오래동안 고전력 상태(송신, 수신, 혹은 대기)로 남는다. 이 시간은 전력 낭비이고, 배터리 팩의 수명을 줄인다. 그로 인하여 배터리 팩을 보다 자주 바꾸거나 재충전해야 한다. 트래픽을 보내거나 스캐닝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고전력 상태로 있는 시간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배터리 전력을 보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구현되는 컴퓨팅 장치의 예를 도 1을 참조로 먼저 기술한다.
본 발명은 셀 폰, 휴대용 장치, 무선 감시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프로그램 가능한 주문형 전자장치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계를 채용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타 타입을 구현하는 루틴, 객체, 콤포넌트, 데이타 구조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여기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엘리먼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은 적절한 컴퓨팅 환경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은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통상의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로 기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루틴, 프로그램, 객체, 콤포넌트, 데이타 구조 등,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타 타입을 구현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이 휴대용 장치,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혹은 프로그램 가능한 주문형 전자장치,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된 원격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태스크가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00)를 도시한다.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적어도 처리부(102)와 메모리(104)를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의 정확한 구성과 타입에 따라, 메모리(104)가 활성(RAM 등), 불활성(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다른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구성이 도 1에 점선(106)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장치(100)는 부가적인 특징/기능을 가질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추가의 저장장치(분리형 및/또는 비분리형)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는 자기 또는 광 디스크나 테이프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부가적인 저장장치가 도 1에 분리형 저장장치(108) 및 비분리형 저장장치(110)로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 데이터 구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어떠한 방법이나 기술로 구현되는 활성과 비활성, 분리형과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104), 분리형 저장장치(108)와 비분리형 저장장치(110)는 모두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적 저장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장치, 혹은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장치(100)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모든 다른 매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임의의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장치(100)의 일부가 될 것이다.
장치(100)는 그 장치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접속(112)을 또한 포함한다. 통신 접속(112)는 통신 매체의 예이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타 신호 또는 다른 통신 메카니즘 내의 다른 데이타를 가지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변조된 데이타 신호"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특성 세트를 갖거나 신호 내의 정보를 인코드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나 직접 유선 접속, 및 음파,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와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장치(100)는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들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116)도 포함될 것이다. 이러한 모든 장치들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들이므로 더 이상 논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로 구성한다. 이를 위해, 장치(100)에는 휴대용의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으로서, 배터리 팩, 연료 전지와 같은 것들이 장착된다.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은 장치(100)에 의한 데이타 전송과 계산을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은 다른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송신기(122)를 포함하는데, 이는 안테나(206)에 결합되어 데이타를 적절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한다. 장치가 통신하는 네트워크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통신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206)에 수신기(126)가 또한 결합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과 안테나(206)는 도 1의 통신 접속(112)의 일부이다. 일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IEEE802.11 무선 접속을 통해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즈 네트워크(ease network) 구성에 무선 접속하는 무선 구성 서비스를 채용한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PCMCIA 무선 카드이다. 인터페이스 타입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물리적 구성이 본 발명에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타입은 PCI나 다른 타입이 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분리된 카드에 상주할 필요는 없다. 이것은 컴퓨터의 마더보드에 포함될 수도 있고 장래에는 프로세서 내부에 장착될 가능성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컴퓨팅 장치(100)는 다른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환경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컴퓨팅 장치(100)는 그의 액세스 포인트(213)를 통해 무선으로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230)에 접속된 장치이다.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221, 222,223)과 같은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라고도 하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220)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나 애드혹 네트워크(220)의 액세스 포인트(231)에 접속하기 전에,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브 요청을 보냄으로써 능동적으로 주기적으로 스캐닝을 하고 그 액세스 포인트나 다른 장치에서 송신되는 프로브 응답 신호를 스캐닝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속하는 장치를 검색하는 상태일 것이다. 그렇지 않고,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비콘을 스캐닝함으로써 수동적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드라이버(2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버(203)는 컴퓨팅 장치(100)의 운영 시스템의 일부이거나 컴퓨팅 장치(100)에서 구동하는 별도의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다. 네트워크 드라이버의 예로는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가 있다. 네트워크 드라이버(203)는 전력 관리 모듈(202)과 통신하는데, 이는 동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전력 상태를 기술한 바와 같이 변경시키도록 한다. 전력 관리 모듈(202)은 일부 콤포넌트와 통신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어떠한 전력 상태가 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콤포넌트들은 스캐닝 엔진(204), API(application programmnig interface)을 통한 애플리케이션(206), 전원 표시기(208), 전원 설정기(210), 패킷 분석기(212), 통계 분석기(214)를 포함한다.
스캐닝 엔진(204)은 전력 관리 모듈(202)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스캔을 하기 위해 필요한 때 고전력 상태로 들어가도록 요청한다. 이는 스캔이 완료되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고전력 상태로 더이상 유지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보낼 것이다. 스캐닝 엔진(204)은 스캔 기록과 스캔 결과에 기초한 지수 함수를 사용하여 스캔들 간의 시간을 조정한다. 스캐닝 엔진(204)의 더 자세한 내용은 2002년 12월 18일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 참조된 미국 특허출원 제10/323,043호에 나와 있다. 애플리케이션들은 API 206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타가 저전력 또는 고전력 상태로 전송되도록 요청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선호도를 갖고 있지 않다면, API 206을 호출하지 않는다.
장치(100)의 운영 시스템나 다른 모듈(도시되지 않음)은 전력이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 혹은 ac 소스로부터 공급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전력 관린 모듈(202)과 통신하는 전원 공급 표시기(208)를 사용하여 장치(100)가 ac 소스나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사용자는 전력 설정기(210)를 통해 원하는 전력 설정을 특정할 것이다. 이 전력 설정은 고, 중, 저이다. 고전력 설정은 일정 어웨이크 모드(constant awake mode)에, 저전력 설정은 최대 절전 모드에, 중전력 설정은 고속 절전 모드에 대응하고 이들 전력 설정이 여기서 기술된다. 패킷 분석기(21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언제 도즈 상태에 놓여지는지를 판정한다. 패킷 분석기(21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통해 송신된 패킷을 관찰하여 클라이언트가 트래픽을 보내지 않는 때는 판정한다. 패킷 분석기(212)는 통계 분석기(214)에 접속에 대한 통계를 결정하도록 질의하여 전력 레벨이 조절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데이타를 보내는 사이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했을 때, 패킷 분석기(212)는 전력 관리 모듈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2)을 도즈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는 통지를 한다. 패킷 분석기(212)는 전력 레벨이 조절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접속에 대한 통계를 결정하는 통계 분석기(214)에 질의를 한다. 이 통계는 수신된 신호 강도, 송신된 프래그먼트 카운트, 실패 카운트, 재시도 카운트, 다중 재시도 카운트, 프레임 복사 카운트, RTS 성공 카운트, RTS 실패 카운트, ACK 실패 카운트, FCS 오류 카운트, 전송된 프레임 카운트를 포함한다.
전력 관리 모듈(202)과 콤포넌트(204-214)는 도 1의 시스템 메모리(104), 분리형 저장장치(108) 혹은 비분리형 저장장치(110)에 위치한다. 전력 관리 모듈(202)과 콤포넌트들은 명확히 하기 위해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모듈(202)와 콤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컴퓨팅 장치(100)의 운영 시스템나 다른 모듈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달리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의 액트나 기호적 표현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액트와 동작들은 때때로 컴퓨터 실행가능한 것으로 나타내어지며, 구조화된 형태로 데이타를 나타나는 전기 신호를 장치의 처리부에 의해 조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조작으로 데이타를 변형하거나 그것을 컴퓨터의 메모리 시스템의 위치에 유지시키는데, 이는 본 기술의 숙련자가 잘 이해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동작을 달리 변형하거나 재구성한다. 데이타가 유지되는 데이타 구조는 데이타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 성질을 갖는 메모리의 물리적 위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상과 같이 기술되고 있으나, 이후에 기술되는 다양한 액트와 동작들이 또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부가적으로, 액세스 포인트가 본 발명의 동작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피어를 갖는 애드혹 모드와 액세스 포인트와 피어와 같이 거동하는 콤포넌트를 갖는 다른 시스템에서 작동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상호작용(예컨대, 메세지와 통지)은 피어 등 간에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에 대한 전력을 3개의 주요 레벨로 제어한다. 이 레벨들은 온 상태, 도즈 상태, 오프 상태이다. 세 레벨이 기술되지만, 운영 시스템에 따라 임의의 수의 레벨이 사용될 수 있다. 도즈 상태에서,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스스로 유지되는데 필요한, 그러나 트래픽을 보내지는 않는 최소 전력 레벨로 전력이 공급되는 아이들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트래픽을 송수신하거나 스캐닝 하지 않을 때 도즈 상태에서 가능한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에 대한 방법을 제공한다.
온 상태에서는 세개의 전력 레벨이 있다. 이 전력 레벨들은 CAM 모드(constant awake mode), Max PSP 모드(maximum power saving mode), Fast PSP 모드(fast power saving mode)이다. CAM 모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완전히 전력이 공급되고 절전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Max PSP와 Fast PSP를 정의하기에 앞서, 비콘 간격과 대기 간격 간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도 3으로 돌아가면, 많은 무선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시간 정보와 트래픽 표시 맵(TIM: traffic indication map)을 포함하는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스테이션은 수신된 시간이 스테이션 자체의 시간보다 느리면 수신된 비콘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타이머 값을 채용한다. 방송들 간의 주기는 비콘 간격으로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비콘 간격은 100ms이다.
도 3은 비콘 간격들(300, 302, 304, 306, 308)을 도시한다. 대기 간격은 다수의 비콘 간격으로서 정의된다. 도 3에서, 대기 간격(310)은 네 비콘 간격이다. 대기 간격에는 임의의 수의 비콘이 사용될 수 있다. 비콘 간격과 대기 간격이 설명되었으므로, 이제 Max PSP와 Fast PSP가 정의될 것이다. Max PSP 모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트래픽을 송수신하지 않을 때 도즈 상태에 놓이게 되고 매 대기 간격에서만 어웨이크 상태가 된다. Fast PSP 모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트래픽을 송수신하지 않을 때 도즈 상태에 놓이게 되고 매 비콘 간격에서 어웨이크 상태가 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내의 TIM을 주기적으로 보내어 절전 모드를 사용하는 어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버퍼에서 기다리는 데이타 프레임을 갖는지를 식별한다. TIM은 관련 프로세스동안 액세스 포인트가 장치(100)에 할당한 관련 ID에 의해 스테이션을 식별한다. 오프 상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꺼진다.
이제 각 상태들이 기술되었으므로, 전력 관리 모듈(202)의 전반적인 동작을 기술한다. 도 4에서, 전력 관리 모듈(202)은 장치(100)가 제한된 에너지전원(120) 혹은 전원선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는지를 판정한다(단계 400). 장치(100)가 전원선로부터 전력을 사용하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CAM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단계 402). 장치(100)가 에너지 스타(energy star) 호환 장치(혹은 그와 유사한 것)이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에너지를 보전하기 위해 장치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을 소모하는 것처럼 동작시킨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사용자는 장치(100)가 전력 설정(210)을 통해 CAM 모드로 들어가게 강제할 수 있다.
장치(100)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404).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면 절전 모드(즉, Max PSP 또는 Fast PSP) 중 하나의 모드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동작시킨다(단계 406). 장치(100)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장치(100)가 스캐닝 모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408). 스캐닝 엔진(204)은 이 정보를 모듈(202)에 제공한다. 장치(100)가 스캐닝을 하고 있으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CAM 모드로 동작시킨다(단계 410). 장치(100)가 스캐닝 모드에 있지 않으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도즈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412).
전력 관리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서, 전력 관리 모듈(202)은 정보를 모듈(204-214)로부터 받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의 전력 레벨을 설정한다. 패킷 분석기(212)로부터의 패킷 분석기 세팅은 스캐닝 엔진(204)으로부터의 스캐닝 세팅이나 API(206)으로부터 받은 애플리케이션 세팅을 따른다. 패킷 분석기가 지지된 데이타 전송 레이트를 위해 적절한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카드가 이 데이타 전송 레이트를 얻기 위해 완전 전력보다 적은 전력을 요구하면, 전력이 절약된다는 것이 원리이다. 스캐닝 엔진(204)이나 애플리케이션이 고전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예외인데, 이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고전력 상태에 대한 클라이언트 요청이 없으므로 저전력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어느 콤포넌트도 입력을 전력 관리 모듈(202)에 제공하지 않으면, 전력 설정은 현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송신할 데이타가 없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해 계속 어웨이크 모드로 설정될 것이다. 패킷 분석기(212)는 최종 전송으로부터 트래픽을 되돌려 받을 기대 왕복 시간을 결정한다. 지연 슬립 시간이라고 하는 이 시간은 장치(100)에 의해 송신되는 각 패킷과 관련되어 있다. 패킷이 송신되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지연 슬립 시간을 위핸 타이머를 설정한다. 타이머가 만료하고 수신된 트래픽이 없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전력을 절약하는 도즈 상태로 설정된다. 송신할 트래픽이 더 많으면, 타이머가 리셋된다. 지연 슬립 시간은 왕복 시간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동적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다중 세션들로부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세션으로부터의 패킷 전송은 다른 왕복 전송(RTT: round trip transmission) 지연을 가질 것이다. 지연 슬립 시간은 모든 세션으로부터의 패킷 전송에 대한 최대 RTT에 기초하는 동적인 값이다. 예를 들어, 한 세션으로부터 현재의 패킷 전송은10msec 이하의 RTT를 갖고, 다른 경우는 50msec의 RTT를 갖는데, 이 경우 지연 슬립은 두 경우 사이의 최대값에 기초할 것이다(예컨대, 50msec). 또한, 한 세션에 대한 RTT는 패킷이 여러 위치로 보내지는 상황에서 다 다를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미국으로의 전송은 미국에서 미국 내의 다른 위치로의 전송의 경우보다 더 긴 지연 슬립 시간을 가질 것이다. 왕복 시간이 비콘 간격보다 더 길면, 전력 관리 모듈은 반환 패킷 소실 위험, 왕복 시간 등과 같은 인자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비콘 간격보다 오래동안 도즈 상태로 남을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전력 관리 모듈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이 비콘 간격보다 오래 도즈 상태로 유지될 수 없다고 판정하면, 전력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비콘을 수신할 전력 증가 상태로 설정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지연 슬립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도즈 상태로 남는다.
지연 슬립 시간은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스루풋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수신자가 지연 슬립 시간 내에 응답을 송신하면 다음의 비콘 간격이나 대기 간격을 기다리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이 응답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이 응답을 버퍼링할 필요가 없어, 자원을 절약하게 된다. 이 동작 모드가 만족되는 애플리케이션은 API(206)을 호출할 필요가 없고 선택된 전력 설정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빠른 응답을 특히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은 API(206)을 태그 패킷에 따라서 사용한다. 전력 관리 모듈(202)은 애플리케이션이 API(206)을 호출했을 때 트래픽을 반환할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의 전력을 적극적으로 낮추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얼마간의 비콘 간격 동안 CAM 모드에 놓일 수 있고 혹은 지연 슬립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이머 기능을 가지고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을 의도적으로 끌어 내리도록 애플리케이션이 패킷을 계속 태깅(tagging)하는 것으로부터 장치(100)를 보호한다. 애플리케이션이 API(206)을 호출하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타이머를 개시한다. 애플리케이션(혹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더이상의 패킷을 송신하지 않으면, 타이머는 트래픽을 위한 다수의 왕복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시간이 만료되고, 전력 관리 모듈(202)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도즈 상태로 설정하도록 한다.
전력 관리 모듈(202)은 객체 식별자(예컨대, OID)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통신한다. OID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의 전력 상태를 설정하거나 질의하고 송신된 트래픽에 대한 지연 슬립 시간을 설정하거나 질의한다. 전력 상태 OID는 OID_802_11_Power_State이고 지연 슬립 OID는 OID_802_11_Delayed_Sleep이다. OID_802_11_Power_State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하는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도즈 상태로 변경하는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설정이다. OID_802_11_Delayed_Sleep에 대한 파라미터는 밀리초 단위의 지연 슬립 세팅이다.
이제 전반적인 동작이 기술되었으므로, 전력 관리 모듈(202) 내의 모듈들이 기술될 것이다. 도 5에서, 전력 관리 모듈(202)은 전력 관리 백엔드(500), 시스템상태 모듈(502), 인터페이스 리스트 모듈(504)을 포함한다. 전력 관리 백엔드(500)는 현재 장치(100)의 상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의 전력 상태를 관리한다. 상태 정보는 시스템 상태 모듈(502)로부터의 전역(global) 시스템 상태 정보와 인터페이스 리스트 모듈(504)로부터의 인터페이스별(per-interface)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전역 시스템 상태 정보는 장치(100)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이나 ac 소스로부터 동작하는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별 상태 정보는 장치(100)가 인터페이스 상에서 접속되어 있는지, 스캔이 요청되는지와, 플러그 및 플레이 이벤트를 포함한다. 전력 설정(210)은 또한 전력 관리 백엔드(500)에 대한 입력이다.
상태 머신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전력 관리 모듈(20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여러 조건에 있어 온 상태(600)에서 도즈 상태(602)로 설정할 것이다. 이들 조건은 최후에 송신된 패킷 이래로 지연 슬립 타이머가 만료하는 때를 포함한다(선 604). 지연 슬립 시간이 비콘 간격보다 길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도즈 상태(602)로 설정된다. 다른 조건들은 스캔이 완료되는 때(선 60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어웨이크 상태가 되고 장치(100)에 송신될 트래픽이 없는 때(선 608), 장치(100)가 전원선에서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으로 전환하고 트래픽이 흐르지 않는 때(선 610)이다.
전력 관리 모듈(20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여러 조건에 대해 도즈 상태(602)에서 온 상태(600)로 설정할 것이다. 이들 조건은 장치(100)가 송신할 패킷을 가질 때(선 61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해 스캔이 필요할 때(선 6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어웨이크 상태가 될 필요가 있을 때(선 616)와 장치(100)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에서 ac 전력으로 전환할 때(선 618)를 포함한다. 장치(100)가 에너지 스타 호환 장치 등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장치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에서 ac 전력으로 전환할 때 도즈 상태로 유지된다. 전력 관리 모듈은 아이들 타이머가 만료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도즈 상태(620)에서 오프 상태(620)로 설정할 것이다(선 622). 전력 관리 모듈(201)은 장치(100)가 송신할 패킷을 가지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오프 상태로 들어가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오프 상태(620)에서 온 상태(600)로 설정할 것이다(선 62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Max PSP나 Fast PSP 모드에서 동작할 때의 전형적인 동작 시나리오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100)가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으면, 장치는 지연 슬립 시간이 경과한 뒤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 도즈 상태로 들어가기 전에,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231)로 송신되어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도즈 상태로 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선 7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도즈 상태에 있는 동안 액세스 포인트(231)는 장치(100)를 위해 패킷을 버퍼링한다(선 702로 나타냄). 액세스 포인트(231)는 주기적으로 비콘을 보낸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비콘은 절전 모드를 사용하는 어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서 대기하는 데이타 프레임을 갖는지를 식별하는 트래픽 표시 맵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Fast PSP 모드에서 동작하면 비콘 간격이 지난 후에(또는 Max PSP의 경우, 대기 간격이 경과한 후에)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온 상태로 설정될 때, 비콘 패킷을 수신하고(선 704) 트래픽 표시맵을 통해 장치(10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231)에서 버퍼링되는지를 알게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트래픽 표시 맵이 장치(100)에 대한 패킷이 버퍼링되는지를 나타내면 어웨이크 상태라는 것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보낸다(선 706). 메세지를 수신한 뒤, 액세스 포인트(231)는 버퍼링된 패킷을 장치(100)에 보낸다(선 708). 버퍼에 큐잉된 패킷이 더 많으면, 액세스 포인트(231)는 송신된 제1 패킷에 표시를 제공하고 이 모든 패킷을 송신한다. 송신된 최종 패킷은 장치(100)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더이상의 데이타가 없다는 표시를 갖는다. 패킷들이 모두 수신된 뒤, 액세스 포인트(231)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패킷이 송신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현재 송신된 패킷이 없는 경우에만 도즈 상태로 다시 들어갈 것이다. 송신용 패킷이 있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먼저 계류중인 모든 패킷을 보낼 것이고 송신 큐를 다 송신한 뒤에만 액세스 포인트에게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는 표시를 송신할 것이다. 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도즈 상태에 있을 동안 액세스 포인트나 피어에 송신될 패킷을 큐잉했을 경우를 처리한다. 이 프로세스는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231)와 접속되는 동안 스스로 반복한다. 패킷을 송신할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패킷을 패킷의 목적지를 라우팅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231)에 송신하고 만료되기까지지연 슬립 시간동안 기다린다. 지연 슬립 시간이 경과한 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모듈(201)이 도즈 상태로 들어가고 있다는 메세지를 액세스 포인트(231)에 송신한 뒤 모듈(201)은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
모든 네트워크 매체 타입은 전력 관리 수행이 요구거나 요구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전력 관리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가 동작 환경(800)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모듈(802)은 전력 관리 모듈(802)로 입력을 제공하고 특정 네트워크에 특정되지 않는 콤포넌트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한다. 설명을 위해 이들 콤포넌트들을 전력 설정 콤포넌트라고 한다. 전력 관리 모듈(802)은 이 커맨드를 변환하고 네트워크 어댑터/인터페이스에 전력 설정을 제공한다. 이는 전원 표시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사용자 전력 설정 등과 같은 전력 설정 콤포넌트가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에 대한 요건을 특정할 필요 없이 그 전력 관리 요건을 전력 관리 변환기(802)로 특정하도록 한다. 각 전력 관리 콤포넌트는 또한 적용가능하다면, 어느 장치에 이 세팅이 적용될 것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어떤 네트워크에 특정한 콤포넌트들, 예를 들어 스캐닝 엔진(204), 패킷 분석기(212), 통계 분석기(214)와 같은 콤포넌트들은 802.11 WLAN에 대한 전력 관리 모듈(202)과 같은 네트워크 특정 전력 관리 모듈에 있다.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에 특정한 콤포넌트들은 WWAN 전력 관리 모듈(814)로, GPR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816)의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유사하게 LAN에 특정한 콤포넌트들은 LAN 어댑터(820)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이더넷 전력 관리 모듈(818)에 있다.
장치(100)의 운영 시스템이나 다른 모듈(도시되지 않음)은 제한된 에너지 전원(120) 혹은 ac 소스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지를 판정한다. 이것은 전원 표시기(804)를 사용하여 장치(100)이 ac 전원에 의해서 혹은 제한된 에너지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있든지 전력 관리 변환기(802)와 통신한다. 애플리케이션들은 API(806)을 사용하여 그것이 송신하는 데이타가 저전력 또는 고전력 상태로 송신되어야 한다는 요청을 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선호도가 없다면, API(806)을 호출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전력 설정(808)을 통해 원하는 전력 설정을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설정은 고, 중, 저전력 관리, 혹은 전력 관리 없음이다. 이러한 전력 설정들은 더 많은 전력 설정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부가적인 설정들로 확장될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장치(100)에 ac 소스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때, 사용자 설정은 무시된다. 또한, 호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이 있고 사용자가 특정 고전력 관리를 가지고 있으면,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일시적으로 이 사용자 설정보다 우선될 것이다.
기본 전력 설정기(810)는 열적 조건이 초과되거나 사용자가 전역 전력 설정을 특정하였다면 전력 관리 모듈이 장치(100)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다운시키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로밍 콤포넌트(812)도 전력 관리에 영향을 준다.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이 활성 네트워크 접속이면,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다른 전력 관리 모듈(814, 818, 822)에 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전력이 오프되어야 한다고 특정한다. 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동시에 활성이면(예컨대, LAN과 WAN)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관련 전력 세팅을 그 둘 다에특정하고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원이 오프되어야 한다고 특정한다. 각 전력 관리 콤포넌트는 전력 관리 변환기(802)에 의해 제공된 전력 레벨 설정을 사용하여 전력 관리 모듈이 제어하는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요구되는 전력 관리 레벨을 결정한다.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시스템 상태 모듈과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시스템 상태 모듈은 전원 표시기(804), API(806), 사용자 전력 설정(808), 기본 전력 설정(810), 로밍 콤포넌트(812)와 통신한다. 인터페이스 모듈은 전력 관리 모듈(202, 814, 818, 822)과 통신하고 전원 표시기(804), API(806), 사용자 전력 설정(808), 기본 전력 설정(810), 로밍 콤포넌트(812)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설정을 전력 관리 모듈(202, 814, 818, 822)에 제공한다. 802.11 전력 관리 모듈(202)을 예를 들어 사용하면,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802.11 전력 관리 모듈(202)에 설정 H/M/L/Idle/Off(고전력 설정, 중전력 설정, 저전력 설정, 전력 관리 없음, 혹은 오프)를 보낸다. 802.11 전력 관리 모듈(202)은 이 세팅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에 대한 정확한 전력 상태(온/도즈/오프)로 변환하고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에 특정한 동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변환기에서 전력 관리 모듈(202)에 저전력이 설정되면, 전력 관리 모듈(20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상술한 대기 간격 동안(예를 들어, 스캔이 수행되지 않고 있거나, 지연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는 등) 도즈 상태로 설정한다. 유사하게, 전력 관리 변환기(802)가 전력 관리 모듈(202)을 중전력으로 설정하면, 전력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술한 비콘 간격 동안 도즈 상태로 설정한다.
다른 매체 타입에 대한 전력 관리 모듈은 그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적합한 전력 관리 설정을 사용하기 위하여 전력 관리 변환기(802)에 의해 제공된 전력 설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무선 WAN은 세개의 전력 설정 정도를 지원할 것인데, 그러면 WWAN 전력 관리 모듈(814)은 전력 관리 변환기(802)에 의해 제공된 전력 설정을 사용하여 GPR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816)에 대한 정확한 전력 관리 설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의 장치에 대한 전력 설정은 아이들이거나 완전 전력 공급이다. 이 장치가 트래픽 호출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때, 장치는 완전히 전력이 공급된다. 장치가 호출 상태에 있지 않거나 호출 상태이고 송수신을 하지 않을 때, 장치는 저전력 설정에 있게 된다.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새로운 매체 타입을 무리없이 부가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새로운 매체 타입은 API를 호출하고 전역 고유 식별자(GUID: globally unique identifier)와 적절한 이름을 제공함으로서 전력 관리 변환기(802)를 등록한다.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이들을 사용하여 매체 타입에 대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 관리 모듈(822)에 일반적인 설정을 제공한다. 전력 관리 변환기(802)는 특정 전력 관리 모듈(822)의 기능을 알 필요가 없다. 유사하게, 단일 설정으로 변환되므로 개별 전력 관리 모듈(822)은 상층 콤포넌트(804)의 전력 관리 요건을 알고 있을 필요가 없다.
컴퓨팅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함으로써 절전을 하는 방법이 소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이 802.11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시간 간격으로 기술되었지만, 이 방법은 다른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이를테면, Bluetooth, GPRS, Hiperlan, 및 비콘 간격 등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타입과 이더넷 LAN과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이 적용될 가능한 많은 실시예의 관점에서, 도면과 관련하여 이상 기술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취급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모듈은 이 시능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턴 오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혹은 전력 관리 모듈)은 수신 경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택되고 송신 경로는 저전력 상태로 놓인다. 이 메카니즘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능동적으로 프로브 요청을(IEEE 802.11 등에 의해) 송신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범위의 노드로부터 비콘과 방송 프로브 응답을 수신함으로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수동적으로 수집하는 수동적 스캔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소프트웨어로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이 하드웨어로 그리고 그 반대로 구현될 수 있고 혹은 도시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그 구성과 세부 사항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항과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구현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컴퓨팅 장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9)

  1. 모바일 장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듈 장치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모바일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있으면 고속 절전 모드 및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스캐닝을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스캐닝을 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일정 어웨이크 모드(constant awake mode)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스캐닝을 하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도즈(doze)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전원선(power line source)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일정 어웨이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일정 어웨이크 모드, 고속 절전 모드 및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접속되어 있거나 상기 스캔이 요구되었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일정 어웨이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패킷이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고속 응답이 요구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이 패킷에 태그를 달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네트워크와 접속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되었다는 통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통지가 송신된 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d) 각 비콘 간격 동안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queue)된 패킷이 없다고 표시하면 단계 b-f를 반복하는 단계;
    f)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큐된다고 표시하면 단계 a-f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분리되어 있거나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이 상기 일정 어웨이크 모드와 상기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변경될 때까지 단계 a-f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스캔이 완료되었고,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트래픽이 없다고 표시하고, 전원이 제한된 에너지 전원에서 전원선으로 전환하는지 중 하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되었다는 통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는 계류중인 모든 패킷이 송신된 뒤에 상기 통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가 송신된 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송신 경로를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수신 경로를 전원이 공급된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설정되었다는 통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통지가 송신된 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d) 대기(listening) 간격이 경과한 뒤에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온(on)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패킷이 없다고 표시하면 단계 b-f를 반복하는 단계; 및
    f)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큐된다고 표시하면 단계 a-f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분리되어 있거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이 상기 일정 어웨이크 모드와 상기 고속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변경될 때까지 단계 a-f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스캔이 완료되었고,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트래픽이 없다고 표시하고, 전원이 제한된 에너지 전원에서전원선으로 전환하는지 중 하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어웨이크 모드, 최대 절전 모드, 및 고속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전력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온 상태와 도즈 상태 중 하나로 설정되는 때를 결정하는 전력 관리 백엔드(backend) 모듈;
    상기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과 통신하여 시스템 상태 정보를 상기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에 제공하는 시스템 상태 모듈; 및
    상기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를 상기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리스트 모듈
    을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과 통신하는 패킷 분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 분석기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트래픽을 송신하지 않는 때를 판정하는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과 통신하는 전원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표시기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에서 떨어져서 동작하는지에 대한 표시를 상기 전력 관리 모듈에 제공하는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과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패킷이 고속 응답을 요구하거나 패킷이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는 표시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과 통신하는 전력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설정 모듈은 상기 전력 상태의 사용자 선호도 표시를 제공하는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과 통신하는 스캐닝 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 엔진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스캔을 위해 온 상태에 놓여야 하는 때에 대한 표시를 상기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제공하는 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백엔드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태 머신을 사용하여 온 상태와 도즈 상태 중 하나로 설정되는 때를 결정하는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스캔이 완료되었고,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트래픽이 없다고 표시하는 것 중 하나의 뒤에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될 것으로 판정하는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스캔이 완료되었고,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트래픽이 없다고 표시하는 것 중 하나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스캔이 완료되었고,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트래픽이 없다고 표시하고, 전원이 제한된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전원선으로 전환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송신할 패킷을 가지고 있다는통지가 수신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가용 네트워크에 대해 스캔할 필요가 있다는 통지가 수신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비콘을 수신할 필요가 있다고 표시하도록 타이머가 만료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제한된 에너지 전원에서 전원선으로 전환한다는 통지가 수신되는 것 중 하나의 뒤에,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될 것이라고 판정하는 시스템.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객체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객체 식별자들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상기 전력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상기 전력 상태를 판정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질의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는 전력 상태 객체 식별자; 및
    지연 슬립 시간을 설정하고 현재 지연된 슬립 시간을 판정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질의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는 지연된 슬립 객체 식별자
    를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객체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온 상태로 전환하는 온 설정,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전환하는 도즈 설정,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오프 설정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팅들을 갖는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된 슬립 시간 객체 식별자는 상기 지연 슬립 시간 설정을 밀리초 단위로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갖는 시스템.
  31. 제1항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전원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일정 어웨이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일정 어웨이크 모드, 상기 고속 절전 모드, 상기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접속되어 있거나 상기 스캔이 요구되었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일정 어웨이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5. 제31항에 있어서,
    고속 응답이 요구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이 패킷에 태그를 달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고속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설정되었다는 통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는 계류중인 모든 패킷이 송신된 뒤에 상기 통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가 송신된 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송신 경로를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수신 경로를 전원이 공급된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 및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b) 지연된 슬립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된다는 통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통지가 송신된 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e) 각 비콘 간격에 대해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패킷이 없다고 표시하면 단계 c-g를 반복하는 단계;
    g)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큐된다고 표시하면 단계 a-g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분리되어 있거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이 상기 일정 어웨이크 모드와 상기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변경될 때까지 단계 a-g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스캔이 완료되었고,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트래픽이 없다고 표시하고, 전원이 제한된 에너지 전원에서 전원선으로 전환하는지 중 하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고속 절전 모드 및 최대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b) 지연된 슬립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설정된다는 통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통지가 송신된 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e) 대기 간격이 지난 후 각 비콘 간격에 대해 비콘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패킷이 없다고 표시하면 단계 c-g를 반복하는 단계;
    g) 상기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큐된다고 표시하면 단계 a-g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분리되어 있거나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동작이 상기 일정 어웨이크 모드와 상기 고속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변경될 때까지 단계 a-g를 반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된 슬립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스캔이 완료되었고, 비콘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해 큐된 트래픽이 없다고 표시하고, 전원이 제한된 에너지 전원에서 전원선으로 전환하는지 중 하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5.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 장치에 패킷들을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배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에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지연 슬립 시간 뒤에 시간이 만료되도록 지연 슬립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연 슬립 타이머의 시간이 만료된 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도즈 상태로 들어간다고 표시하는 메세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상기 도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슬립 타이머가 계수되고 있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킷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보내지면 상기 지연 슬립 타이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킷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킷에 대해 지연 슬립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에 대해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추정된 왕복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왕복 시간이 비콘 간격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상기 추정된 왕복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왕복 시간이 적어도 한 비콘 간격 시간이면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비콘 간격 시간보다 작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복수의 세션으로부터 패킷들을 송신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세션에 대한 최대 왕복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상기 최대 왕복 시간에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상기 최대 왕복 시간에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왕복 시간이 비콘 간격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상기 최대 왕복 시간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왕복 시간이 적어도 한 비콘 간격 시간이면 상기 지연 슬립 시간을 비콘 간격 시간보다 작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4. 모바일 장치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전력 설정 명령들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관리 변환기(power management traslator)로서,
    전력 설정 콤포넌트들로부터 전력 설정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상태 모듈; 및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한 전력 설정을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변환기.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설정 콤포넌트들은 전원 표시기 콤포넌트, API 콤포넌트, 사용자 전력 설정 콤포넌트, 기본 전압 설정 콤포넌트, 및 로밍(roaming) 콤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변환기.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고전력 설정, 중전력 설정, 및 저전력 설정 중 하나를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제공하는 전력 관리 변환기.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변환기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ac 전원로부터 전원 공급되면 사용자 전력 설정을 무시하는 전력 관리 변환기.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변환기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이 호출(call)에 관여하면 사용자 전력 설정을 무효로 하는(override) 전력 관리 변환기.
  59.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변환기는 상기 전력 설정 콤포넌트로들부터의 전력 설정들을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한 단일 전력 설정으로 변환하는 전력 관리 변환기.
KR1020040006264A 2003-01-31 2004-0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전력 관리 설정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패킷 송신 방법,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122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55,412 US7340615B2 (en) 2003-01-31 2003-01-31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network interface modules
US10/355,412 2003-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096A true KR20040070096A (ko) 2004-08-06
KR101122877B1 KR101122877B1 (ko) 2012-03-20

Family

ID=3273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264A KR101122877B1 (ko) 2003-01-31 2004-0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전력 관리 설정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패킷 송신 방법,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7340615B2 (ko)
EP (1) EP1450240A3 (ko)
JP (3) JP4489452B2 (ko)
KR (1) KR101122877B1 (ko)
CN (1) CN100363866C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753B1 (ko) * 2005-05-30 2008-04-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휴대 단말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7908502B2 (en) 2006-08-03 2011-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ard,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36255A1 (en) * 2011-09-09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Wake pattern management
US8681672B2 (en) 2007-04-13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itioning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of user equipment to idle state, system therefor, and the same user equipment
US8806250B2 (en) 2011-09-09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management of network interface devices
US8892710B2 (en) 2011-09-09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Keep alive management
WO2018026138A1 (ko) * 2016-08-01 2018-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102017568B1 (ko) 2018-12-26 2019-09-06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2146056A1 (ko)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WO2023075271A1 (ko)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6795B2 (ja) *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US7865744B2 (en) * 2002-09-04 2011-01-04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environment
DE60305817T2 (de) * 2002-09-04 2007-01-11 Broadcom Corp., Irvine System und Verfahren zur Optimierung von Stromverbrauch in einer mobilen Umgebung
US7286844B1 (en) 2003-01-31 2007-10-23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 dimensional antenna selection and power control in an Ad-Hoc wireless network
EP1592176B1 (en) * 2003-02-03 2017-04-1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0665457B1 (ko) * 2003-04-3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에서의 상태 천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080269B2 (en) * 2003-05-15 2006-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ower-saving sleep mode in design with multiple clock domains
US20050048960A1 (en) * 2003-09-03 2005-03-03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power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7782894B2 (en) * 2003-09-12 2010-08-24 Nokia Corporation Ultra-wideband/low power communication having a dedicated removable memory module for fast data downloads—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7319867B2 (en) * 2003-09-15 2008-01-15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ke on wireless systems
US7542437B1 (en) 2003-10-02 2009-06-02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serving energ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4543657B2 (ja) * 2003-10-31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085595B2 (en) * 2003-12-16 2006-08-01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50165909A1 (en) * 2003-12-19 2005-07-28 Cromer Daryl C.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mitting a server to remotely access asset information of a mobile client
US20050198257A1 (en) * 2003-12-29 2005-09-08 Gupta Ajay 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devices
US10419996B2 (en) * 2004-01-06 2019-09-17 Vasu Networks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cellular and wifi networks
WO2005067635A2 (en) * 2004-01-06 2005-07-28 Hava Corp. Telephone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cellular and voip networks
US7281144B2 (en) * 2004-02-17 2007-10-09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in communication devices
US7551892B1 (en) * 2004-02-26 2009-06-23 Bbn Technologies Corp Low-power ad hoc network entry
US20050190714A1 (en) * 2004-02-28 2005-09-01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network aware dynamic power management
US7231530B1 (en) * 2004-04-06 2007-06-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power in a wireless network by reducing power to a wireless station for a time interval if a received packet fails an integrity check
JP4628162B2 (ja) * 2004-04-16 2011-02-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US7822412B2 (en) * 2004-04-21 2010-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US7586951B2 (en) * 2004-04-27 2009-09-08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dle state definition for power management
US7181190B2 (en) 2004-04-30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maintaining wireless network response time while saving wireless adapter power
US20050255833A1 (en) * 2004-05-13 2005-11-17 Mobile (R&D) Ltd. Message aggreg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50270993A1 (en) * 2004-06-07 2005-12-08 Krishnan Rajamani Efficient partitioning of MAC (media access control) functions
US7697893B2 (en) * 2004-06-18 2010-04-13 Nokia Corporation Techniques for ad-hoc mesh networking
JP2006014167A (ja) * 2004-06-29 2006-01-12 Nec Corp 無線lanにおける省電力化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端末局、無線lanシステム
EP1787432A1 (en) * 2004-08-30 2007-05-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lan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supporting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s
US7881694B2 (en) * 2004-08-31 2011-02-01 Nxp B.V. Cycled receiver for mobile wireless devices
US9001801B2 (en) * 2004-09-07 2015-04-0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w power mode management for complex Bluetooth devices
US8732808B2 (en) * 2004-09-08 2014-05-20 Cradlepoint, Inc. Data plan activation and modification
US8477639B2 (en) * 2004-09-08 2013-07-02 Cradlepoint, Inc. Communicating network status
US9294353B2 (en) * 2004-09-08 2016-03-22 Cradlepoint, Inc. Configuring a wireless router
US7764784B2 (en) * 2004-09-08 2010-07-27 Cradlepoint, Inc. Handset cradle
US9237102B2 (en) * 2004-09-08 2016-01-12 Cradlepoint, Inc. Selecting a data path
US9232461B2 (en) * 2004-09-08 2016-01-05 Cradlepoint, Inc. Hotspot communication limiter
US8249052B2 (en) * 2004-09-08 2012-08-21 Cradlepoint, Inc. Automated access of an enhanced command set
US7962569B2 (en) * 2004-09-08 2011-06-14 Cradlepoint, Inc. Embedded DNS
US20090172658A1 (en) * 2004-09-08 2009-07-02 Steven Wood Application installation
US20070254727A1 (en) * 2004-09-08 2007-11-01 Pat Sewall Hotspot Power Regulation
US9584406B2 (en) * 2004-09-08 2017-02-28 Cradlepoint, Inc. Data path switching
JP4579629B2 (ja) * 2004-09-16 2010-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TWI303364B (en) * 2004-09-30 2008-11-21 Mitac Int Corp Power managing method for reducing error of data on communication
US7409482B2 (en) * 2004-10-26 2008-08-0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er and method for on-demand network access control
DE102004053597B4 (de) * 2004-11-05 2008-05-29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rzeugen und/oder Steuern einer Telekommunikations-Konferenz mit einer Vielzahl von Teilnehmern, Telekommunikations-Konferenz-Endgerät und Telekommunikations-Konferenz-Servereinrichtung
US20060114892A1 (en) * 2004-11-29 2006-06-01 Woojong Han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mit state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link
US8532002B1 (en) * 2004-12-07 2013-09-10 Dust Networks, Inc. Self managing a low power network
US7330736B2 (en) * 2004-12-17 2008-02-12 Bbn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ed energy communication in an ad hoc network
US8145201B2 (en) * 2004-12-17 2012-03-27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ed energy communication in an ad hoc network
US20070168292A1 (en) * 2004-12-21 2007-07-19 Fabrice Jogand-Coulomb Memory system with versatile content control
US8504849B2 (en) * 2004-12-21 2013-08-06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for versatile content control
US8051052B2 (en) * 2004-12-21 2011-11-01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control structure for versatile content control
US8601283B2 (en) * 2004-12-21 2013-12-03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for versatile content control with partitioning
US7468966B2 (en) * 2004-12-30 2008-12-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ighbor track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005032B2 (en) * 2005-01-21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intaining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periods on a per-wireless client device basis
US20050181734A1 (en) * 2005-01-21 2005-08-18 Knightsbridge Wireless Inc. Automatic connection of a mobile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US7593417B2 (en) 2005-01-21 2009-09-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broadcast and multicast traffic as unicast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US20050107038A1 (en) * 2005-01-21 2005-05-19 Coutts Daryl D. Automatic connection of a mobile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US10320989B2 (en) 2005-02-11 2019-06-11 Vasu Networks Corporation Access point with controller for billing and generating income for access point owner
US7385959B1 (en) * 2005-02-28 2008-06-10 Marvell International Ltd. Power-efficient channel condition feedback for OFDM channels
JP4438013B2 (ja) * 2005-02-17 2010-03-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713145B1 (ko) * 2005-02-1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US7933623B1 (en) * 2005-03-11 2011-04-26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dressing dispatch stations
US7742444B2 (en) *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02352B2 (en) * 2005-05-13 2010-04-20 Intel Corporation Network node power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US8467325B2 (en) * 2005-06-13 2013-06-18 Intel Corporation Multiple-input network node with power-saving state
US8750908B2 (en) *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9055552B2 (en) *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7650522B2 (en) * 2005-06-28 2010-01-19 Symbol Technologies, Inc. Mobility policy manager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8856311B2 (en) 2005-06-30 2014-10-07 Nokia Corporation System coordinated WLAN scanning
KR100620012B1 (ko) 2005-07-05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7748031B2 (en) * 2005-07-08 2010-06-29 Sandisk Corporation Mass storage device with automated credentials loading
FR2889394A1 (fr) * 2005-07-26 2007-02-02 France Telecom Dispositif d'interception et d'analyse de trafic pour terminal
JP4507104B2 (ja) * 2005-08-03 2010-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用プログラム
US20070070983A1 (en) * 2005-09-28 2007-03-29 Bbn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efficiency communication
JP4640812B2 (ja) 2005-09-29 2011-03-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4906866B2 (ja) 2005-10-27 2012-03-2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他チャネル干渉を監視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47226A1 (en) * 2005-10-27 2007-06-28 Aamod Khandekar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flexible bandwidth using variable guard bands
KR100976301B1 (ko) 2005-10-28 2010-08-1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US7660273B2 (en) * 2005-11-08 2010-02-09 Via Technologies Inc. WLAN data reception method and WLAN device
US8195247B2 (en) * 2005-11-08 2012-06-05 Broadcom Corporation Cable sense mode for intelligent power saving in absence of link pulse
US8311048B2 (en) * 2008-05-09 2012-11-13 Roundbox, Inc. Datacasting system with intermittent listener capability
JP4983033B2 (ja) * 2006-02-08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79691B2 (ja) * 2006-02-15 2011-09-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チャンネルサーチ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4867475B2 (ja) * 2006-05-31 2012-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700105B2 (en) * 2006-06-22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device protocol
US8018884B2 (en) 2006-06-21 2011-09-13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network controller
US9323311B2 (en) * 2006-06-22 2016-04-2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acket based signaling between A Mac and A PHY to manage energy efficient network devices and/or protocols
US8245031B2 (en) * 2006-07-07 2012-08-14 Sandisk Technologies Inc.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certificate revocation lists
US8140843B2 (en) * 2006-07-07 2012-03-20 Sandisk Technologies Inc.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certificate chains
US8266711B2 (en) * 2006-07-07 2012-09-11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supplied from memory device
US8639939B2 (en) * 2006-07-07 2014-01-28 Sandisk Technologies Inc. Control method using identity objects
US8613103B2 (en) * 2006-07-07 2013-12-17 Sandisk Technologies Inc.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versatile control structure
US20080010449A1 (en) * 2006-07-07 2008-01-10 Michael Holtzman Content Control System Using Certificate Chains
US20100138652A1 (en) * 2006-07-07 2010-06-03 Rotem Sela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certificate revocation lists
WO2008027310A2 (en) 2006-08-25 2008-03-06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conscious communication in wireless ad-hoc networks
US8130705B2 (en) 2006-09-15 2012-03-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capability modification
CN101507339A (zh) * 2006-09-28 2009-08-12 高通股份有限公司 移动端接的信令上数据消息的处理
WO2008048883A2 (en) * 2006-10-13 2008-04-24 Conexant Systems, Inc. Facilitating transmissions in a plurality of protocols
US8162230B2 (en) 2006-10-17 2012-04-24 Powerid Ltd. Method and circuit for providing RF isolation of a power source from an antenna and an RFID device employing such a circuit
WO2008047352A1 (en) * 2006-10-17 2008-04-24 Powerid Ltd. Method and circuit for providing rf isolation of a power source and an rf device employing such a circuit
EP2092771B1 (en) 2006-10-25 2018-06-27 QUALCOMM Incorporated Uniform out-of-service search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650433B2 (en) * 2007-01-05 2010-01-19 Microsoft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multi-interface device clusters
SE531657C2 (sv) 2007-01-31 2009-06-23 Nanoradio Ab Bakgrundsavsökningsmetod för WLAN-klientenheter
US8644272B2 (en) * 2007-02-12 2014-02-04 Cradlepoint, Inc. Initiating router functions
US9021081B2 (en) * 2007-02-12 2015-04-28 Cradlepoin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ndividualized network usage data in a personal hotspot wireless network
US9711041B2 (en) 2012-03-16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N-phase polarity data transfer
US9112815B2 (en) 2012-06-15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Three-phase-polarity safe reverse link shutdown
US9231790B2 (en) 2007-03-02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N-phase phase and polarity encoded serial interface
US8064535B2 (en) 2007-03-02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Three phase and polarity encoded serial interface
US8064390B2 (en) 2007-04-27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Uplink scheduling and resource allocation with fast indication
BRPI0721638A2 (pt) * 2007-06-01 2013-02-13 Thomson Licensing aparelho e mÉtodo para realizar gerenciamento de energia em um receptor
MX336172B (es) 2007-06-15 2016-01-06 Blackberry Ltd Sistema y metodo para programacion semi-persistente y dinamica y control de recepcion discontinuo.
WO2008151409A1 (en) 2007-06-15 2008-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overhead reduction
US8005061B2 (en) * 2007-06-28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a connection with a first network while processing communications with a second network by a communication device
US8014329B2 (en) * 2007-07-03 2011-09-06 Cisco Technology, Inc. Path selection and power management in mesh networks
US8149716B2 (en) 2007-08-20 2012-04-03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routing in mobile ad-hoc networks and disruption tolerant networks
ES2784190T3 (es) 2007-08-20 2020-09-23 Blackberry Ltd Sistema y método para control de DRX y NACK/ACK
ES2558744T3 (es) 2007-09-14 2016-02-08 Blackberry Limited Sistema y método para el tiempo de inicio de control de recepción discontinua
TWI361579B (en) * 2007-09-17 2012-04-01 Htc Corp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etwork search method thereof
US7904739B2 (en) * 2007-10-08 2011-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a power state for a peripheral
WO2009063417A1 (en) * 2007-11-16 2009-05-22 Nokia Corporation Power save mode transition for wireless networks
US8891458B2 (en) * 2007-12-05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apability update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230436B2 (en) * 2008-01-10 2012-07-24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ng recurrent schedules to optimize resource consumption
US8059570B2 (en) * 2008-01-11 2011-11-15 Apple Inc. Mobile network device battery conservation system and methods
WO2009098628A1 (en) * 2008-02-05 2009-08-13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receiving unit
JP5178230B2 (ja) * 2008-02-19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06762A (ja) * 2008-02-27 2009-09-10 Panason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受信方法
US8848810B2 (en) * 2008-03-0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transmitter system and method
US20090259865A1 (en) * 2008-04-11 2009-10-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Using At Least One Of A Special Purpose Processor And Motion Sensing
US8063762B2 (en) * 2008-05-23 2011-11-22 Goren Trade Inc. Alarm system for monitoring at rural locations
US8185767B2 (en) * 2008-06-27 2012-05-2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management of a power state of a device with network connections
US9185654B2 (en) * 2008-07-16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US8588151B2 (en) * 2008-08-08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capability update
US8412288B2 (en) * 2008-09-03 2013-04-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Optimization of power conservation with respect to application requirements
US8181059B2 (en) * 2008-09-26 2012-05-15 Apple Inc.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power-down functionality
US8638701B2 (en) * 2008-09-26 2014-01-28 Nxp, B.V.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personal area networks
US8356200B2 (en) * 2008-09-26 2013-01-15 Apple Inc. Negotiation between multiple processing units for switch mitigation
US8300056B2 (en) 2008-10-13 2012-10-30 Apple Inc. Seamless display migration
US8468377B2 (en) * 2008-10-22 2013-06-18 Microsoft Corporation Conserving power using predictive modelling and signaling
US9104618B2 (en) * 2008-12-18 2015-08-11 Sandisk Technologies Inc. Managing access to an address range in a storage device
US20100164966A1 (en) * 2008-12-31 2010-07-01 Apple Inc. Timing controller for graphics system
US8508538B2 (en) * 2008-12-31 2013-08-13 Apple Inc. Timing controller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graphics processing units
US9542914B2 (en) * 2008-12-31 2017-01-10 Apple Inc. Display system with improved graphics abilities while switching graphics processing units
KR101535437B1 (ko) * 2009-01-15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56162B1 (ko) * 2009-02-18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동작 방법
US8498230B2 (en) * 2009-03-03 2013-07-30 Noki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00226309A1 (en) 2009-03-03 2010-09-09 Nokia Corporation Beaconing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023522B2 (en) * 2009-03-30 2011-09-20 Intel Corporation Enabling long-term communication idleness for energy efficiency
US8630592B2 (en) * 2009-04-14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 wireless connection
TWI411331B (zh) * 2009-04-23 2013-10-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具有省電功能的網路系統之裝置及相關方法
JP5131243B2 (ja) * 2009-05-11 2013-01-30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及び伝送装置の休止方法
US9055105B2 (en) * 2009-05-29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in a service or activity using an ad-hoc mesh network
KR101576142B1 (ko) * 2009-06-12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랜 모듈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JP5095682B2 (ja) * 2009-07-03 2012-12-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9232441B2 (en) * 2009-08-31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based rate selection
KR101086540B1 (ko) 2009-11-03 2011-11-23 주식회사 팬택 소형 기지국 진입을 위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8842605B2 (en) * 2009-12-10 2014-09-23 Nokia Corporation Network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142028A1 (en) * 2009-12-10 2011-06-16 Nokia Corporation Synchronization via additional beacon transmission
US8774021B2 (en) 2009-12-10 2014-07-08 Nokia Corporation Data-related task sup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341738B1 (en) * 2009-12-29 2017-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Wi-Fi module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and providing an AP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terminal
US8648868B2 (en) 2010-01-06 2014-02-11 Apple Inc. Color correction to facilitate switching between graphics-processing units
US8797334B2 (en) * 2010-01-06 2014-08-05 Apple Inc. Facilitating efficient switching between graphics-processing units
US8240572B2 (en) * 2010-03-25 2012-08-14 Hand Held Products, Inc. Terminal with radio transceiver having power output
WO2011154587A1 (en) * 2010-06-08 2011-12-15 Nokia Corporation Data access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US8510583B2 (en) * 2010-07-01 2013-08-13 Intel Corporation Asynchronous sleep mode for host controller
US20120127902A1 (en) * 2010-11-23 2012-05-24 Alaa Muqattash System and method for mac layer clock drift compensation
JP5704904B2 (ja) * 2010-11-29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66979A (ko) * 2010-12-15 2012-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JP5664273B2 (ja) * 2011-01-21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20282875A1 (en) * 2011-05-02 2012-11-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isabling transceivers while servicing emergency messages
JP2012232539A (ja) * 2011-05-09 2012-11-29 Canon Inc 印刷装置、データ処理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80565A (zh) * 2011-05-13 2012-1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管理方法、系统及通信设备
CN102790950B (zh) * 2011-05-18 2016-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接口终端邻居拓扑发现、协作通信方法和多接口终端
KR101796532B1 (ko) * 2011-06-22 2017-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모드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8932412B2 (en) 2011-06-29 2015-01-1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ppliance with a power saving mode
CN102938926A (zh) * 2011-08-16 2013-02-2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网络中实现接入点节能的方法及接入点
US8804589B2 (en) 2011-10-14 2014-08-12 Nokia Corporation Adaptive awake window
CN103891383A (zh) * 2011-11-01 2014-06-25 汤姆逊许可公司 分析Wi-Fi信道拥塞和干扰以优化信道选择
US8812884B2 (en) * 2011-12-23 2014-08-19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r driven configuration sets for energy efficient networks
US9110668B2 (en) * 2012-01-31 2015-08-18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buffer-batch management for energy efficient networking based on a power mode of a network interface
JP5861496B2 (ja) * 2012-02-28 2016-02-16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プロセッサ装置、及びマルチプロセッサ装置の電力制御方法
US9756571B2 (en) * 2012-02-28 2017-09-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ergy efficient maximization of network connectivity
US9491704B2 (en) * 2012-03-23 2016-11-08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munication subsystem
US20130265922A1 (en) * 2012-04-09 2013-10-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a power saving request
US9813987B2 (en) 2012-06-07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power save notification
US8996740B2 (en) 2012-06-29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N-phase polarity output pin mode multiplexer
WO2014016912A1 (ja) * 2012-07-24 2014-01-3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5808719B2 (ja) * 2012-08-30 2015-11-1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9510280B2 (en) * 2012-09-06 2016-11-29 Apple Inc. Transmitting beacon frames over a wireless data link
JP6273724B2 (ja) * 2012-09-18 2018-02-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電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9042828B2 (en) 2012-11-26 2015-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ptimized discovery between mobile devices
US9513662B2 (en) 2013-01-04 2016-12-0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US20140307601A1 (en) * 2013-04-16 2014-10-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enhancements with low latency 802.11
GB2519804A (en) * 2013-10-31 2015-05-06 Nec Corp Power saving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9578601B2 (en) * 2013-11-12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modem power based on a present state of charge of battery
CN103813426A (zh) * 2014-02-27 2014-05-21 长安大学 面向车载设备的Wi-Fi Direct周期性数据接收方法
US9654999B2 (en) * 2014-06-20 2017-05-16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a rate of receiving data
US9942842B1 (en) * 2014-07-31 2018-04-10 Rockwell Collins, Inc. Power saving mode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10383055B2 (en) 2015-01-26 2019-08-1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egulating a power consumption state of a cellular radio
US10320576B1 (en) 2015-03-30 2019-06-11 Amazon Technologies,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CN108028762A (zh) * 2015-08-31 2018-05-11 飞利浦照明控股有限公司 用于控制网络应用的系统、设备和方法
US10728164B2 (en) 2016-02-12 2020-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aware network communication
US10142085B2 (en) 2016-05-31 2018-11-27 At&T Mobility Ii Llc Assigning an access point based upon a power state of a mobile device
US10511542B2 (en) 2016-06-10 2019-1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interface power-aware networking
US10705591B2 (en) 2016-10-31 2020-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ed electronic device power management
US11115921B2 (en) * 2019-05-24 2021-09-07 California Eastern Laboratories, Inc. Battery powered wireless node reporting
KR20230135536A (ko) * 2022-03-16 2023-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mlsr을 지원하는 무선랜에서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738B1 (ko) * 1987-02-20 1991-10-19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밧데리 절약 채널 스캔 기능을 갖고 있는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
US5673031A (en) * 1988-08-04 1997-09-30 Norand Corporation Redundant radio frequency network having a roaming terminal communication protocol
JPH0616601B2 (ja) * 1988-09-07 1994-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受信電波処理回路のパワーセイブ回路及びそのパワーセイブ方法
US6002918A (en) * 1989-06-29 1999-12-14 Symbol Technologies, Inc. Power-sav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bile units in communications network
US5949776A (en) * 1990-01-18 1999-09-07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emises, peripheral and vehicular local area networking
GB2250892A (en) * 1990-12-14 1992-06-17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 method of operating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EP0522211B1 (en) * 1991-06-12 1996-01-24 Hewlett-Packard Company Testing a packet-based network
JP3096489B2 (ja) * 1991-07-09 2000-10-10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GB9321657D0 (en) * 1993-10-20 1993-12-08 Ncr Int In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wireless network
US6292508B1 (en) * 1994-03-03 2001-09-18 Proxi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a frequency hopping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US5560022A (en) * 1994-07-19 1996-09-24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coordinator system and interface
JP3208305B2 (ja) * 1995-11-14 2001-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3629077B2 (ja) * 1995-12-08 2005-03-1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用基地局および間欠電源投入型移動局
US6236674B1 (en) * 1996-02-23 2001-05-22 Teletransactions, Inc.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US5838720A (en) * 1996-02-23 1998-11-17 Teletransactions, Inc.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US5991883A (en) * 1996-06-03 1999-11-2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wer conservation method for a portable computer with LCD display
US6691236B1 (en) * 1996-06-03 2004-0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altering operation of a graphics subsystem during run-time to conserve power upon detecting a low power condition or lower battery charge exists
US5822582A (en) * 1996-07-19 1998-10-1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Boot drive selection and hibernation file detection
US6138032A (en) * 1996-08-12 2000-10-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battery saving interval in a messaging system
JPH1097353A (ja) * 1996-09-19 1998-04-14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レジューム処理方法
JP3763903B2 (ja) * 1996-10-29 2006-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
US5991287A (en) * 1996-12-30 1999-11-23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handover in a wireless computer network
US5974310A (en) * 1997-03-20 1999-10-26 Omnipoint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for a user of a central communication center
US6473803B1 (en) * 1997-06-02 2002-10-29 Unisys Corporation Virtual LAN interface for high-speed communications between heterogeneous computer systems
US5944831A (en) * 1997-06-13 1999-08-31 Dell Usa, L.P.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application to individual circuit cards
JPH117345A (ja) * 1997-06-18 1999-01-12 Toshiba Corp 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に対する電源供給制御方法
US6473419B1 (en) * 1998-03-26 2002-10-29 Nokia Corporation Stat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ontrolling packet data communication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11313370A (ja) *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移動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とそのデータ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US6590588B2 (en) * 1998-05-29 2003-07-08 Palm, Inc. Wireless, radio-frequency communications using a handheld computer
US6141763A (en) * 1998-09-01 2000-10-31 Hewlett-Packard Company Self-powered network access point
US6480476B1 (en) * 1998-10-15 2002-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sleep mode for mobile st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US6549517B1 (en) * 1998-12-11 2003-04-15 Nortel Networks Limited Explicit rate computation for flow control in compute networks
JP4154508B2 (ja) * 1999-05-25 2008-09-24 竹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無線データ識別装置
US6870890B1 (en) * 1999-08-31 2005-03-22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in communication terminals
US6608818B1 (en) * 1999-11-10 2003-08-19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protocol enhancements to reduce setup time for data calls
CN1298137A (zh) * 1999-11-24 2001-06-06 郑国书 主动扫描的周边装置省电方法
US6445937B1 (en) * 1999-12-02 2002-09-0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phone power management
US7433702B2 (en) * 2000-01-28 2008-10-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st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560453B1 (en) * 2000-02-09 2003-05-06 Ericsson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ynamically adjusting the paging channel monitoring frequency of a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US20010024968A1 (en) * 2000-02-15 2001-09-27 David Gibbons Remote wireless unit having reduced power operating mode
WO2002001837A2 (en) * 2000-06-27 2002-01-03 Matsushita Mobile Communication Development Corporation Of U.S.A. Scan wait mode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JP2002044725A (ja) * 2000-07-24 2002-02-08 Sony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無線通信装置と基地局間の通信制御方法
FI109628B (fi) * 2000-08-21 2002-09-13 Nokia Corp Menetelmä langattoman päätelaitteen tehonkulutuksen pienen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 ja langaton päätelaite
US7200111B2 (en) * 2000-08-31 2007-04-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over wireless links
JP2002099470A (ja) * 2000-09-25 2002-04-0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設定方法
EP1342339A2 (en) * 2000-12-08 2003-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power save in a mobile terminal
JP2002197051A (ja) * 2000-12-11 2002-07-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通信先を決定するための通信アダプタの選択方法、通信アダプタの設定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携帯情報機器、および記憶媒体
US7072975B2 (en) * 2001-04-24 2006-07-04 Widera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EP1263160A1 (en) * 2001-06-01 2002-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transmitter for an efficient packet data transfer in a transmission protocol with repeat requests
JP4801849B2 (ja) * 2001-06-25 2011-10-2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式切替方法
JP3837312B2 (ja) * 2001-09-18 2006-10-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ピュータ装置、無線通信モジュール、無線通信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3576525B2 (ja) * 2001-11-09 2004-10-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3886795B2 (ja) *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CN2522923Y (zh) * 2002-01-16 2002-11-27 英群企业股份有限公司 省电控制装置
US6944687B2 (en) * 2002-04-19 2005-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 device
US7263078B2 (en) * 2002-12-18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in wireless computing devices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753B1 (ko) * 2005-05-30 2008-04-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휴대 단말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7908502B2 (en) 2006-08-03 2011-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ard,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55727B2 (en) 2006-08-03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ard,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88518B2 (en) 2007-04-13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itioning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of user equipment to idle state, system therefor, and the same user equipment
US9420625B2 (en) 2007-04-13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itioning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of user equipment to idle state, system therefor, and the same user equipment
KR101381475B1 (ko) * 2007-04-13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단말기의 무선 자원 제어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천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단말기
US10687382B2 (en) 2007-04-13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itioning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of user equipment to idle state, system therefor, and the same user equipment
US8681672B2 (en) 2007-04-13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itioning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of user equipment to idle state, system therefor, and the same user equipment
US9544213B2 (en) 2011-09-09 2017-0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eep alive management
WO2013036255A1 (en) * 2011-09-09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Wake pattern management
US9294379B2 (en) 2011-09-09 2016-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ke pattern management
US9049660B2 (en) 2011-09-09 2015-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ke pattern management
US8892710B2 (en) 2011-09-09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Keep alive management
US9596153B2 (en) 2011-09-09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ke pattern management
US9736050B2 (en) 2011-09-09 2017-08-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eep alive management
US9170636B2 (en) 2011-09-09 2015-10-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erating system management of network interface devices
US8806250B2 (en) 2011-09-09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management of network interface devices
US9939876B2 (en) 2011-09-09 2018-04-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erating system management of network interface devices
WO2018026138A1 (ko) * 2016-08-01 2018-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11277788B2 (en) 2016-08-01 2022-03-15 Samsung Electonics Co., Ltd Scan method in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KR102017568B1 (ko) 2018-12-26 2019-09-06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2146056A1 (ko)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WO2023075271A1 (ko)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53676A1 (en) 2004-08-05
US7340615B2 (en) 2008-03-04
EP1450240A3 (en) 2012-11-07
JP2010171987A (ja) 2010-08-05
EP1450240A2 (en) 2004-08-25
CN100363866C (zh) 2008-01-23
US7529957B2 (en) 2009-05-05
US20070162773A1 (en) 2007-07-12
US7555663B2 (en) 2009-06-30
JP2013084288A (ja) 2013-05-09
JP4489452B2 (ja) 2010-06-23
US7451331B2 (en) 2008-11-11
CN1519680A (zh) 2004-08-11
JP5232812B2 (ja) 2013-07-10
US20060112291A1 (en) 2006-05-25
US7506188B2 (en) 2009-03-17
JP2004234667A (ja) 2004-08-19
US20060120314A1 (en) 2006-06-08
US20060107081A1 (en) 2006-05-18
KR101122877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877B1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전력 관리 설정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패킷 송신 방법,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P2444875B1 (en) Transitioning from MIMO to SISO to save power
KR101398339B1 (ko) 동적 휴면을 갖는 방법 및 장치
KR10157614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랜 모듈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US7085595B2 (en)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190364503A1 (en)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CA2716353A1 (en) Wireless network including post groupcast time
US20160112947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wireless device performance
KR20030082392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력 효율적인 채널 스케줄링
CN101395844A (zh) 无线网络中站的待机时间改进
JP2015505192A (ja) アクセス・ポイント省電力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1834490A (zh) 利用強化學習的自我調整功率節省
WO2019125425A1 (en) Power saving for wireless device
Peng Implementing ZigBee-assisted power saving management for short-delay traffics
Ruci et al. MDSA, MULTI DECISION SCHEDULING ALGORITHM FOR UE ENERGY POWER SAVING ON MOBI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