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058A -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058A
KR20040060058A KR1020020086576A KR20020086576A KR20040060058A KR 20040060058 A KR20040060058 A KR 20040060058A KR 1020020086576 A KR1020020086576 A KR 1020020086576A KR 20020086576 A KR20020086576 A KR 20020086576A KR 20040060058 A KR20040060058 A KR 2004006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put
simultaneous
television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034B1 (ko
Inventor
안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0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텔레비전의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과정에 의해서 제한되는, 동시화면의 선택이 가능한 경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동시 화면으로 텔레비전의 동시화면 기능이 선택되어 화면 상에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이 적용됨으로써, 동시화면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작업이 줄어들게 되어, 동시화면의 입력을 선택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동시화면을 선택하기 위해서 필요한 복잡한 절차 및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Selecting method of multi-input in television}
본 발명은 텔레비전으로 입력되는 다수의 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하도록 하는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다수의 화면이 동시에 화면 상에 출력되는 동시화면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동시화면의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텔레비전은 공중파를 수신하여 시청하는 종래 텔레비전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비디오 시청,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시청, 유선 방송의 시청 및 디지털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수신신호를 시청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영상 신호 표준이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는 컴포지트(Composite Video Broadcast Signal : CVBS), S-Video, YPbPr, RGB등의 입력신호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는 ITU-R 601, ITU-R 656등의 다양한 형태의 영상신호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형태에 맞추어, 텔레비전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되는 신호처리 방식은 텔레비전의 시스템 설계에 따라 다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 신호로 구분될 수 있고, 유사한 형태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가 되는 과정이 일부분 만이다르고,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같은 회로를 경유하며 같은 절차로 신호처리가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이와 같은 다양한 신호에 의한 화면 출력이 가능하여 짐에 따라, 다른 형태의 영상 신호로서 입력되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신호가 텔레비전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PIP/DW(Picture In Picture / Double-multi Window)기능으로 일컬어지는 동시 화면의 기능이 텔레비전에서 수행되고 있다.
상기 동시 화면(PIP/DW) 기능은 다른 형태의 영상 신호로 입력되는 다수의 영상이 텔레비전의 화면 상에서 구분되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으로서, 시청자는 두 가지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가 증진된다.
상기된 동시화면의 기능의 구체적인 실현 형태로는 시청자가 직접 시청하고자 하는 대화면의 주화면과, 상기 주화면보다 작게 화면의 구석진 부분에 조그맣게 출력되는 부화면이 동시에 출력되는 주/부화면의 형태가 있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은 동시화면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직접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을 선택하는 일련의 방법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도 1은 종래 동시화면의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부화면을 선택하여 동시에 다수의 화면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부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창을 온 시킨다(St 11). 그리고, 기능창을 통해서 자신이 주 화면으로 시청을 하고자 하는 입력신호를 선택하고(St 12), 주화면을 선택한 다음에는 부화면으로서 시청을 하고자 하는 입력신호를 선택한다(St 13).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주화면 및 부화면이 화면에 출력됨으로서, 동시화면의 선택이 종료된다(St 14).
그러나, 동시화면(예를 들면 주/부화면)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의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과정이 각각의 화면을 직접 선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화면의 입력을 선택하는 시간 동안에 음소거가 되어 사용자는 불편을 느끼게 되고, 각각의 입력신호를 직접 사용자가 선택하여야 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고, 사용자는 복잡한 절차를 수행하여야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신호처리를 위해서 같은 회로를 사용하는 유사 신호의 형태에 대해서는 동시 화면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는데, 종래의 동시화면 선택방법에서는 시청자가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을 미리 알고, 동시화면을 선택하여야 만이 동시화면의 기능을 제대로 이용할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텔레비전의 화면에 동시출력이 가능한 동시화면의 경우의 수가 미리 설정되고, 사용자는 설정되는 동시화면을 선택하기만 함으로써, 동시화면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진할 수 있는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텔레비전 내부의 회로구성 및 텔레비전에 접속되어 있는 입력영상신호를 미리 파악하여 사용자의 선택 가능한 동시화면이 미리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 시간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동시화면의 선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텔레비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제시되는 시스템에서 입력단자의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 제시되는 시스템에서 입력단자의 점유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입력화면 선택방법의 기능창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화면 선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터 입력부 11 : DVI 입력단자 12 : TMDS 처리부
13 : RGB 입력단자 14 : 스위치
15 :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20 : 비디오 입력부
21 : 콤포넌트 입력단자 22 : 비디오 디코더
23 : 디-인터레이서 24 : S-VHS 입력단자
25 : 컴포지트 입력단자 26 : 스위치 27 : 콤 필터
30 : 스케일러 41 : 동시화면종류선택창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텔레비전의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과정에 의해서 제한되는, 동시화면의 선택이 가능한 경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동시 화면으로 텔레비전의 동시화면 기능이 선택되어 화면 상에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은 비디오 입력부에 의해서 처리되는 하나의 영상신호 및 데이터 입력부에서 처리되는 하나의 영상신호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가능한 동시화면의 종류가 OSD의 화면으로 제시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동시화면 중에서 특정의 동시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동시 화면으로 텔레비전에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방법에 의해서, 텔레비전 시청자는 보다 편리하게 동시화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텔레비전의 사용상의 편의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제시되는 실시예로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는 않으면, 구성요소의 변경, 추가, 삭제등에 의해서 본 발명의 사상이 미치는 범위 내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텔레비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입력단자가 입력되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내부에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신호의 형태별로 분리되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0)및 비디오 입력부(20)가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20) 및 비디오 입력부(20)에 의해서 처리된 영상 신호의 출력이 정하여 지고, 해상도가 지정되도록 하기 위한 스케일러(scaler)(30)가 더 포함된다.
특히, 상기 데이터 입력부(10)는 주로 디지털 신호로 입력되거나, 디지털로 처리되는 영상 신호가 처리되고, 상기 비디오 입력부(20)는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되거나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처리되는 영상신호가 처리된다.
상세하게, 상기 데이터 입력부(10)는 영상신호의 입력단자로서 디지털 신호 입력단자(Digital Video Interface input)(11)와, RGB 입력단자(RBG input)(12)가 포함되고, 상기 DVI 입력단자(11)로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TMDS RGB(Transient Minimum Differential Signal RGB) 신호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처리되는 TMDS 처리부(13)와, 상기 DVI 입력단자(11)를 통해서 아날로그 RGB 신호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RGB 입력단자(12)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스위칭되는 스위치(14)와, 상기 스위치(14)를 통해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15)가 포함된다. 상기 TMDS 처리부(13)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15)를 통한 영상 신호는 스케일러(3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비디오 입력부(20)는 영상신호의 입력단자로서 콤포넌트 입력단자(21)와, S-VHS 입력단자(24)와, 컴포지트(Composite Video Broadcast signal : CVBS) 입력단자(25)가 포함되고, 상기 컴포넌트 입력단자(21)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코딩되는 비디오 디코더(22) 및 디-인터레이서(de-interlacer)(23)와, 상기 S-VHS 입력단자(24) 및 콤포지트 입력단자(25)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각기 입력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치(26)와, 비디오 화질의 개선을 위한 콤 필터(Comb Filter)(27)가 더 포함된다.
예시된 바와 같은 텔레비전 시스템의 구성을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부(10)에서 처리되는 영상 신호로서, DVI 입력단자(11)와 RGB 입력단자(12)를 통한 영상신호는 동일한 회로를 경유하여 처리되기 때문에, 동시에 처리되어 스케일로(30)로 전송될 수 없다.
그리고, 아날로그 입력부(20)에서 처리되는 영상 신호로서, 콤포넌트 입력단자(21)와 S-VHS 입력단자(24)와 콤포지트 입력단자(25)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동일한 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두가지 이상의 영상신호가 동시에 처리되어 스케일러(30)로 입력되어 처리될 수 없다.
그러므로, 동시화면으로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경우는 여섯가지가 될 수 있다. 상세히는, 데이터 입력부(10)에서 처리될 수 있는 두가지의 경우 및 비디오 입력부(20)에서 처리될 수 있는 세가지의 경우가 곱하여지는 여섯 가지의 경우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주/부화면의 선택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주/부화면으로 분리되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로서 여섯가지 각각의 경우별로 두 가지의 경우가 추가되어 생길 수 있게되어 열 두가지의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체적인 사양은 개별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제안되는 바와 같은 예로서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나아가서, 상기되는 바와 같은 입력단자(11)(12)(21)(24)(25)가 모두 활용되어 텔레비전으로 접속되지는 않을 것이며, 사용자의 텔레비전 이용 상태에 따라서 접속되어 사용되는 입력단자가 있고, 미접속되어 사용되지 않는 입력단자도 존재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제시되는 시스템에서 입력단자의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VI 입력단자(11)는 점유되어 사용되고 있고(Connected), RGB 입력단자(12)는 접속되지 않고(Unconnected), 컴포넌트 입력단자(21)는 접속되지 않고(Unconnected), S-VHS 입력단자(24) 및 CVBS 입력단자(25)는 점유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컴포넌트 입력단자(21)는 인터레이싱 주사 방식(비월주사)(예를 들면, 480i)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주사 방식이 있으며, 상기 인터레이싱 주사 방식은 데이터 입력부(10)에 의해서 처리되고, 상기 프로그레시브 주사 방식은 비디오 입력부(20)에서 처리되어, 두가지의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어 처리될 수 있으며, 다만, 도 3에서는 이들이 모두 점유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신호의 선택에 사용되지 않게된다.
이같은 경우에 DVI 입력단자(11) 및 RGB 입력단자(12)는 데이터 입력부(10)에서 처리되고, 컴포넌트 입력단자(21)와 S-VHS 입력단자(24) 및 CVBS 입력단자(25)는 비디오 입력부(20)에 의해서 처리가 된다. 그러므로, S-VHS 입력단자(24)와 CVBS 입력단자(25)가 동시에 동시화면으로 선택되어 출력될 수 없게 되고, 이러한 것은 시스템의 사양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하는 사용자는 알 수가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시스템의 구성 및 입력단자(11)(12)(21)(24)(25)의 점유상태에 의해서 화면상에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경우는 도 4에 제시되는 바와 같다.
상세하게는, DVI 입력단자(11)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주화면으로 출력되고, S-VHS 입력단자(24) 및 CVBS 입력단자(25)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부화면으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S-VHS 입력단자(24) 또는 CVBS 입력단자(25)의 입력영상신호가 주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DVI 입력단자(11)가 부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동시화면 내지는 주/부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시스템의 사양 점검 및 접속상태의 점검에 의해서 알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된 바와 같은 출력 가능 상태의 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를 통해서 확인을 하고서, 이를 선택하기만 함으로써, 텔레비전에 출력되는 동시화면 또는 주/부화면을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입력화면 선택방법의 기능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제시되는 시스템의 사양 및 접속상태에 의해서 가능한 동시화면의 종류를 볼 수 있고, 사용자가 기능창을 통해서 동시화면을 선택하게 되면, 텔레비전 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본연적으로 제한되는 제한 사양과, 입력단자의 사용상태에 의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 출력의 모든 경우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시화면종류선택창(41)이 포함된다.
도 5에는 도 4에서와 같이, DVI 입력단자(11)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주화면으로 출력되고, S-VHS 입력단자(24) 및 CVBS 입력단자(25)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두가지의 경우와, S-VHS 입력단자(24) 또는 CVBS 입력단자(25)의 입력영상신호가 주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DVI 입력단자(11)가 부화면으로 각각 출력되는 두가지의 경우를 합하여, 모두 네가지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되는 동시화면의 종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되는 화면 출력으로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 선택방법을 전체적인 흐름으로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화면 선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동시화면을 선택하기 위하여 동시화면을 선택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이동한다(St 21). 사용자가 동시화면의 선택창으로 이동하게 되면, 시스템은 연결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의 상태에서 다수의 입력단자(11)(12)(21)(24)(25) 중에서 점유되어 있는 입력단자를 확인한다(St 22).
그리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의 구성과 점유되어 있는 입력단자를 확인하여 출력이 가능한 화면의 종류를 모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종류의 화면이 OSD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St 23).
사용자가 이러한 동시화면종류선택창(도 5의 41참조)을 통해서 동시화면을 선택하면, 다음 단계로 계속해서 이행하게 되고, 동시화면을 선택하지 않으면 종료된다(St 24). 사용자가 동시화면을 새로이 선택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동시화면 내지는 주/부화면으로 출력이 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하고(St 25), 또 다른 동시화면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동시화면을 선택하는 경우로 피드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동시화면의 종류 선택이 종료된다(St 26).
본 발명의 사상은 동시화면의 종류로서 선택이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가 시스템의 구성 및 입력단자의 연결 상태에 의해서 파악되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능한 경우를 확인한 다음에 선택하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입력화면이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입력화면의 선택이 종료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상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는 동시화면의 선택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도 있으나, 그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이 적용됨으로써, 동시화면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작업이 줄어들게 되어, 동시화면의 입력을 선택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동시화면을 선택하기 위해서 필요한 복잡한 절차 및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한 모든 경우의 수를 기능창을 통해서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의 구체적인 사양 또는 입력단자를 미리 확인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텔레비전의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과정에 의해서 제한되는, 동시화면의 선택이 가능한 경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동시 화면으로 텔레비전의 동시화면 기능이 선택되어 화면 상에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화면은 주/부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화면은 비디오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화면,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또 다른 하나의 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화면 선택방법.
  4. 비디오 입력부에 의해서 처리되는 하나의 영상신호 및 데이터 입력부에서 처리되는 하나의 영상신호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가능한 동시화면의 종류가 OSD의 화면으로 제시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동시화면 중에서 특정의 동시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동시 화면으로 텔레비전에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은 동시화면으로 가능한 모든 화면의 구성이 제시되는 동시화면종류선택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KR10-2002-0086576A 2002-12-30 2002-12-30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및 장치 KR10049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576A KR100499034B1 (ko) 2002-12-30 2002-12-30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576A KR100499034B1 (ko) 2002-12-30 2002-12-30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058A true KR20040060058A (ko) 2004-07-06
KR100499034B1 KR100499034B1 (ko) 2005-07-01

Family

ID=3735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576A KR100499034B1 (ko) 2002-12-30 2002-12-30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0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519B1 (ko) * 2005-10-10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케일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0781529B1 (ko) * 2005-08-05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80014329A (ko) * 2006-08-10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7898600B2 (en) 2005-08-05 2011-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29B1 (ko) * 2005-08-05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
US7898600B2 (en) 2005-08-05 2011-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US7903176B2 (en) 2005-08-05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US8013937B2 (en) 2005-08-05 2011-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US8208072B2 (en) 2005-08-05 2012-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KR100744519B1 (ko) * 2005-10-10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케일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4329A (ko) * 2006-08-10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9034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245B1 (ko) 동시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10142B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다중 비디오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장치 및 방법
US5815216A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external signals and information data using a double-picture type screen
JP3969387B2 (ja) 映像信号出力装置
JP470825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2359714A (en) Assisting a user to connect a main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US20060221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4280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US2004010566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US20090128452A1 (en) Single Integrated Monitor with Networking and Television Functionality
US200600073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video modes in consumer electronics
KR100499034B1 (ko) 텔레비전의 입력화면 선택방법 및 장치
KR100331832B1 (ko) 외부입력 연결인식장치 및 입력선택방법
WO2005107272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sharing video input jacks
KR100561386B1 (ko) Tv의 외부기기 소스 인터페이싱 시스템
US2005001808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a sub-picture into a main picture
KR20060057058A (ko) 최적의 외부입력을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방법
KR10040806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070268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video input jacks
KR100607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비 설정방법
US20020015029A1 (en) On-screen display device
JPH0974528A (ja) 二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二画面表示方法
KR100294233B1 (ko) 화면비변환기능을 구비한 디지털tv수상기
EP184930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video input jacks
JP2005117306A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