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436A -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436A
KR20040058436A KR1020020084461A KR20020084461A KR20040058436A KR 20040058436 A KR20040058436 A KR 20040058436A KR 1020020084461 A KR1020020084461 A KR 1020020084461A KR 20020084461 A KR20020084461 A KR 20020084461A KR 20040058436 A KR20040058436 A KR 2004005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u
application data
data
buffer unit
strea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540B1 (ko
Inventor
방건
이용주
최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5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pplication Data Access Unit : ADAU)을 새롭게 정의하고 상기 ADAU를 이용하여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에 있어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입력받아 소정의 데이터 전송률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퍼링 수단; 상기 전송 버퍼링 수단에 의해 전송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DAU)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위한 중간 버퍼링 수단; 상기 중간 버퍼링 수단에 의해 전송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코딩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초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링 수단; 및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상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링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uffering Sychronized Non_stream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에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더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에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함께 처리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아래의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은 동기화 데이터(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정의를 하고 있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는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섹션을 통해 전송되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위한 DAU(Data Acess Unit) 단위로 데이터 버퍼에저장된다. 따라서, 모든 DAU는 PES 헤더 바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DAU(Data Access Unit)는 화면에 출력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표현시간스탬프 (Presentation Time Stamp : PTS)가 포함되어 있는 PES 패킷부터 시작하여 다음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PTS가 없는 PES 패킷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는 DSM-CC(Digital Storage Media - Command and Control) 섹션을 통해 전송되며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위한 DAU 단위로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다. 따라서, 모든 DAU는 DSM-CC 섹션 헤더 바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DAU는 DSM-CC 섹션들 중 PTS를 가지고 있는 섹션 번호 0부터 시작하여 동일한 버전인 여러 개의 DSM-CC 섹션들로 구성된 단일 데이터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버퍼(DEB)의 최소 크기를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한다.
최소 DEB의 크기 = n*(최대 데이터 전송률/최대 데이터 전송 횟수) = 120,120 bytes
n : 3
최대 데이터 전송률 : 19.2Mbit/sec
최대 데이터 전송 횟수 : 60번
따라서, 1/60초 동안 전송될 수 있는 이상적인 DAU의 크기는 40,040 바이트가 된다. 여기서, 이상적인 DAU의 크기는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의 특정 비디오 필드(even/odd field)와 연관시켰을 때 동기를 맞추면서 보여질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데이터 크기를 의미한다.
도 1 은 종래의 동기화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버퍼링 장치의 구성도로서, 전송 버퍼부(11), 중간 버퍼부(12), 데이터 버퍼부(13)로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엠펙-2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동기화 스트림/비스트림 데이터는 역다중화 과정을 통해 데이터 패킷 형태로 전송 버퍼부(11)에 입력된다. 이후, 전송 버퍼부(11)는 상기 데이터를 정해진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중간 버퍼부(12)로 전송하고 상기 중간 버퍼부(12)는 전송받은 상기 데이터를 DAU 단위로 데이터 버퍼부(13)에게 전송한다. 이후, 데이터 버퍼부(13)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PTS에 맞춰 DAU 단위로 화면 구성을 위해 전송한다.
도 2 는 종래의 동기화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버퍼링 장치의 데이터 버퍼부에 대한 상세 구조도이다.
먼저, 중간 버퍼부(12)는 DAU1을 데이터 버퍼부(13)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데이터 버퍼부(13)에는 이미 DAU4, DAU3 및 DAU2가 입력된 상태이고 입력된 순으로 처리된다. 상기 데이터 버퍼부(13)에 여유 용량이 없을 경우 동기화 데이터는 상기 중간 버퍼부(12)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PES 패킷이나 DSM-CC 섹션을 통하지 않을 경우도 상기 중간 버퍼부(12)로부터 상기 DAU1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는 결과적으로 데이터 버퍼부(13)의 오버플로우(Overflow) 현상을 막아준다.
이후, 상기 데이터 버퍼부(13)에 있는 가장 먼저 입력된 DAU4는 PTS 필드에 기록된 시간값을 의미하는 표현시간(The Presentation Time : TPn)일 때 데이터 디코딩부에서 디코딩된 후, 초기 화면 구성을 위해 전송된다. 이 때, 데이터 버퍼부(13)에서 DAU4가 제거된다. 이와 동시에, 데이터 버퍼부(13)에 있던 DAU3, DAU2는 데이터 버퍼부(13)의 상위 영역으로 이동하고 DAU3는 자신의 표현시간을 기다리게 된다. 이 때, 데이터 버퍼부(13)에 여유공간이 생기게 되어 중간 버퍼부(12)는 DAU1을 데이터 버퍼부(1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언더플로우(Underflow) 현상을 막아준다.
상기와 같은 DAU의 정의, 버퍼링 장치의 구조 및 동작으로 인해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의 버퍼링 장치에서 실제적으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비스트림 데이터의 구성은 XML이나 자바(Java) 프로그램과 관련된 링크 파일, 그림 파일 및 주변 클래스 파일 등으로 이루어져 DSM-CC 섹션을 통해 각각의 파일이 여러 개의 모듈로 나뉘어져 전송되기 때문에 단일 데이터 모듈인 DAU를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에 적용한다면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는 매우 단순한 데이터만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소 데이터 버퍼의 크기와 이상적인 DAU의 크기에 대한 정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에 알맞은 수치이며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일 경우 기존의 버퍼링 장치의 동작 및 DAU의 크기는 맞지 않는다. 그 이유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처럼 연속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소비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닌 정적인 데이터로서 서비스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시간에 동기를 맞춰 보여진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를 유지시켜야 주어야 하지만 기존의 버퍼링 장치는 그러한 구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pplication Data Access Unit : ADAU)을 새롭게 정의하고 상기 ADAU를 이용하여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동기화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버퍼링 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동기화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버퍼링 장치의 데이터 버퍼부에 대한 상세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전송 버퍼부 32 : 중간 버퍼부
33 : 응용 데이터 버퍼부 34 :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
35 :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
36 :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에 있어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입력받아 소정의 데이터 전송률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퍼링 수단; 상기 전송 버퍼링 수단에 의해 전송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DAU)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위한 중간 버퍼링 수단; 상기 중간 버퍼링 수단에 의해 전송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코딩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초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링 수단; 및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상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에 적용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송 버퍼부로부터 소정의 전송률로 전송받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ADAU 단위로 나누어 응용 데이터 버퍼부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에 저장된 상기 ADAU 중 현재 표현시간이 된 ADAU를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에서 디코딩된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ADAU가 가지고 있는 상세 정보를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를 통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상세 정보를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중지 요청을 받거나 다음 동기를 맞출 ADAU의 표현시간이 되었을 때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있는 ADAU를 제거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유지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버퍼링 장치에, 전송 버퍼부로부터 소정의 전송률로 전송받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ADAU 단위로 나누어 응용 데이터 버퍼부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에 저장된 상기 ADAU 중 현재 표현시간이 된 ADAU를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에서 디코딩된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2 기능;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ADAU가 가지고 있는 상세 정보를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를 통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상세 정보를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3 기능; 및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중지 요청을 받거나 다음 동기를 맞출 ADAU의 표현시간이 되었을 때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있는 ADAU를 제거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유지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정의를 한다.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는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pplication Data Access Unit : ADAU) 단위로 처리된다. 여기서, ADAU는 다수 개의 파일 형태로 구성된 하나의 응용 데이터를 의미하며 여러 개의 모듈들로 나뉘어 전송된다. 또한, 각각의 ADAU를 구분하기 위한 PTS는 ADAU에 포함되어 있는 모듈들 중 첫번째 모듈의 첫번째 DDB(Data Download Block)에만 기록한다.
또한, 응용 데이터 버퍼의 최소 크기는 (최소 ADAU의 크기)*n이 되고, 이 때, 최소 ADAU의 크기는 모듈의 최대 크기가 된다. 여기서, 일예로 n=3 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퍼링 장치는, 역다중화 과정을 통해 데이터 패킷 형태로 입력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정해진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중간 버퍼부(32)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퍼부(31), 상기 전송 버퍼부(31)로부터 전송받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ADAU 단위로 나누어 DSM-CC를 통해 응용 데이터 버퍼부(33)로 전송하기 위한 중간 버퍼부(32), 상기 중간 버퍼부(32)로부터 전송받은 ADAU 형태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버퍼부(33),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에 저장되어 있는 ADAU 형태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코딩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34),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33)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초기 정보만을 저장하는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35), 및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33)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상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36)를 포함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33)를 3개의 영역(A 영역, B 영역, C 영역)으로 나누었지만, 상기 영역의 수는 본 발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먼저, 중간 버퍼부(32)에서 ADAU3가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의 C 영역으로입력된다. 이후, 처리를 위해 B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중간 버퍼부(32)에서 ADAU2가 C 영역으로 입력된다. B 영역으로 이동한 ADAU3는 B 영역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자신의 표현시간(PTn)이 되면 상기 B 영역에 있는 DAU3는 전사되어 A 영역으로 이동하고 또한,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34)로 전송되어 디코딩된 후,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35)를 거쳐 화면 설정을 위해 전송된다. 하지만 상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35)에는 초기 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만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상세한 정보를 요구할 경우, A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ADAU3를 다시 디코딩하여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36)를 거쳐 전송한다. 여기서,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에 저장하는 이유는 특정 시간에 동기를 맞춰 보여진 후에도 사용자의 조작 또는 다음 ADAU2의 표현시간(TPn)이 되기전까지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때문이다.
이후, ADAU2는 C 영역에서 B 영역으로 이동하고 자신의 PTn을 기다리게 된다. 이 때, 중간 버퍼부(32)로부터 ADAU1이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의 C 영역으로 전송된다.
이후, ADAU2의 표현시간(PTn)이 되면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35)와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36)에 있는 모든 데이터는 제거되며, 또한 A 영역에 있는 ADAU3도 제거된다. 그리고, ADAU2는 상기 ADAU3가 처리되는 과정과 같이 처리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에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버퍼링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전송 버퍼부(31)는 역다중화 과정을 통해 데이터 패킷 형태로 입력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정해진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중간 버퍼부(32)로 전송한다(401). 상기 중간 버퍼부(32)는 전송 버퍼부(31)로부터 전송받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ADAU 단위로 나누어 DSM-CC를 통해 응용 데이터 버퍼부(33)로 전송한다(402). 그러면, 응용 데이터 버퍼부(33)는 상기 중간 버퍼부(32)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ADAU 단위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후,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은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에 저장되어 있는 ADAU들을 검색하여 현재 표현시간이 된 ADAU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403).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재차 검색을 하고, 존재할 경우는 상기 표현시간이 된 ADAU를 전사하여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의 A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34)로 이동시켜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34)에서 디코딩되어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35)를 거쳐 화면 구성을 위해 출력된다(404).
이후, 사용자가 현재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35)를 거쳐 화면으로 구성되고 있는 정보에 대해 상세 정보를 요구하는지 판단한다(405). 판단결과, 사용자가 상세 정보를 요구하면,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의 A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ADAU를 디코딩하여 상세 정보를 얻은 후, 상기 상세 정보를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36)를 거쳐 출력한 후, 407 과정으로 진행하고, 사용자가 상세 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면 바로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중지 요청의 유무 또는 다음 ADAU의 표현시간을 검색한다(407).
상기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중지 요청이 없거나, 다음 표현시간이 된 ADAU가 없을 경우,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의 A 영역에 있는 ADAU를 유지하고 상기 407 과정으로 진행한다. 반면,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요청이 있거나, 다음 표현시간이 된 ADAU가 존재하면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의 A 영역에 있는 ADAU를 제거한다(409).
이후, 응용 데이터 버퍼부(33)에 ADAU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410), 존재할 경우 상기 403 과정으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에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버퍼 구조가 사진이나 문자 등을 따로 따로 제공했던 것과는 달리, 사진과 문자가 혼합된 다양한 양식의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방송 수신시스템에서 제공된 다양한 양식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서비스받을 수 있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에 있어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입력받아 소정의 데이터 전송률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퍼링 수단;
    상기 전송 버퍼링 수단에 의해 전송된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DAU)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위한 중간 버퍼링 수단;
    상기 중간 버퍼링 수단에 의해 전송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코딩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초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링 수단; 및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ADAU 단위의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상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링 수단
    을 포함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은,
    새로운 ADAU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발생하면 상기 중간 버퍼링 수단으로부터 ADAU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최상위 영역에 있는 ADAU가 표현시간이 되면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을 통하여 상기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링 수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가 가지고 있는 상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최상위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ADAU를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 수단을 통하여 상기 응용 데이터 실행화면 구성 버퍼링 수단으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중지 명령이나 다음 초기 화면 구성을 위한 ADAU의 표현시간이 되면 상기 최상위 영역에 있는 ADAU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DAU)은,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된 구조로서, 디에스엠-씨씨(DSM-CC) 섹션을 통해 전송되며, 각각의 ADAU를 구분하기 위한 표현시간스템프(PTS)가, ADAU에 포함되어 있는 모듈들 중 첫번째 모듈의 첫번째 데이터다운로드블럭(DDB)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링 수단은,
    최소 크기가 (최소 ADAU의 크기)*n 인 것(여기서 n은 자연수, 최소 ADAU의 크기 = 모듈의 최대 크기)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5.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에 적용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송 버퍼부로부터 소정의 전송률로 전송받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ADAU 단위로 나누어 응용 데이터 버퍼부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에 저장된 상기 ADAU 중 현재 표현시간이 된 ADAU를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에서 디코딩된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ADAU가 가지고 있는 상세 정보를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를 통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상세 정보를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중지 요청을 받거나 다음 동기를 맞출 ADAU의 표현시간이 되었을 때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있는 ADAU를 제거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유지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응용 데이터 엑세스 유닛(ADAU)은,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된 구조로서, 디에스엠-씨씨(DSM-CC) 섹션을 통해 전송되며, 각각의 ADAU를 구분하기 위한 표현시간스템프(PTS)가, ADAU에 포함되어 있는 모듈들 중 첫번째 모듈의 첫번째 데이터다운로드블럭(DDB)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링부는,
    최소 크기가 (최소 ADAU의 크기)*n 인 것(여기서 n은 자연수, 최소 ADAU의 크기 = 모듈의 최대 크기)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 처리 방법.
  8.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버퍼링 장치에,
    전송 버퍼부로부터 소정의 전송률로 전송받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ADAU 단위로 나누어 응용 데이터 버퍼부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에 저장된 상기 ADAU 중 현재 표현시간이 된 ADAU를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에서 디코딩된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응용 데이터 초기 화면설정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2 기능;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ADAU가 가지고 있는 상세 정보를 상기 응용 데이터 디코딩부를 통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상세 정보를 응용 데이터 실행 화면구성 버퍼부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제 3 기능; 및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중지 요청을 받거나 다음 동기를 맞출 ADAU의 표현시간이 되었을 때 상기 응용 데이터 버퍼부의 최상위 영역에 있는 ADAU를 제거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최상위 영역의 ADAU를 유지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84461A 2002-12-26 2002-12-26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그 방법 KR10046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461A KR100461540B1 (ko) 2002-12-26 2002-12-26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461A KR100461540B1 (ko) 2002-12-26 2002-12-26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436A true KR20040058436A (ko) 2004-07-05
KR100461540B1 KR100461540B1 (ko) 2004-12-17

Family

ID=3735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461A KR100461540B1 (ko) 2002-12-26 2002-12-26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5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540B1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6581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1900077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etadata including multiple segments of an audiovisual stream
US6438145B1 (en) Transport packe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cal header
KR100398610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동기화된 메타데이터 전송 장치 및방법
CN100401784C (zh) 数字多媒体数据接收机的数据同步方法和设备
JP2002010182A (ja) データ蓄積方法およびそれを実現した受信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JP7200329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6444016B1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519441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050022556A (ko) 고신뢰 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75264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ption,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digital audio stream
KR100461540B1 (ko)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장치 및그 방법
JP7054828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US200500365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packet substitution
JP6958645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01230980A (ja) 同期放送データ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
JP6658944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7012257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10531132B2 (en) Methods and techniques for reducing latency in changing channels in a digital video environment
JP2006019997A (ja) 動画データ転送システム
KR20240062731A (ko) Av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
KR2003008037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pts 관리 방법
JP2005217556A (ja) 番組送信方法、番組送信装置、番組送信システム、および、番組送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