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393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393A
KR20040053393A KR1020020079940A KR20020079940A KR20040053393A KR 20040053393 A KR20040053393 A KR 20040053393A KR 1020020079940 A KR1020020079940 A KR 1020020079940A KR 20020079940 A KR20020079940 A KR 20020079940A KR 20040053393 A KR20040053393 A KR 20040053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mobile communication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emergency res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3393A/ko
Publication of KR2004005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3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상황 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제1 과정과, 전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의 위성과 위성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위성으로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계산된 위치정보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경보를 상기 위성으로 송신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EMERGENCY CALLING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야흐로 미국에서 911테러가 발생하고 세계 각처에서 그 뒤를 잇는 테러들이 속속 발생함에 따라 전 세계는 전쟁의 시대가 아닌 테러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테러의 위협을 느끼고 있으며, 테러가 일어났을 때는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 119 또는 병원응급실 등과 같은 구조기관으로의 긴급한 응급구조 요청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및 PDA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도 다양해지고 그 성능도 점점 발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중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긴급한 응급구조 요청의 필요성에 따라 응급구조 요청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응급구조 요청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예컨대 테러, 교통사고, 조난발생과 같은 갑작스러운 위험상황에 처하는 경우 119등과 같은 구조기관에 긴급히 응급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갑작스럽게 위험상황에 처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응급구조 요청을 하더라도 자신의 위치를 모르거나 의식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신속한 구조를 받기가 어렵다. 또한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상기 단말기에서 분리되거나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전원공급이 되지 않아 응급구조 요청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응급구조 기관으로의 구조요청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배터리가 단말기에서 분리되거나 용량이 부족한 경우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응급구조 요청을 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세계 위치 측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을 통해 위치발신 및 응급구조기관으로 전화연결하여 응급구조 요청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응급상황 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제1 과정과, 전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의 위성과 위성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위성으로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계산된 위치정보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경보를 상기 위성으로 송신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위성통신 시스템간의 연결 구성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 시 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구조 요청을 위해 GPS를 통한 위치발신 및 응급구조기관으로의 전화연결 하는데 따르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2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응급구조 요청 시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무선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음성처리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무선부(18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180)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무선부(180)에 수신된 착신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스피커 SPK를 통해 벨소리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4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각종 기능 키 및 통화 또는 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는 개인정보모듈 카드로서 가입자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호 연결 시 등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저장하고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단말기(100)의 각 부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한다. 전원선택부(162)는 보조배터리(170) 및 주배터리(172)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주배터리(172)의 연결상태를 검사하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전원공급부(160)와 배터리를(170, 172) 선택적으로 스위칭 연결한다. 상기 주배터리(172)는 착탈식으로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보조배터리(170) 단말기(100)와 착탈 가능하거나 단말기(100) 본체에 내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응급구조 요청시 전원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GPS처리부(202)는 안테나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정보를 해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Local Position)를 계산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 2000), 위성이동전화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어느 특정 시스템의 이동통시 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위성통신 시스템간의 연결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도 1에서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보조 배터리(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GPS 위성통신을 통해 응급구조 요청 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GPS위성(200)으로부터 다운링크(Down Link)(202)를 통해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GPS위성(200)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 예컨대 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현재 국부적인 위치(Local Position)를 계산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자신의 현재 국부적인 위치정보를 링크(202)를 통해 다시 GPS위성(200)으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정확한 국부적인 위치를 얻기 위해 수신된 GPS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 GPS위성(20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다운링크(204,206)를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210,212)으로 다시 전송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210,212)은 예를 들면 SAN(Satelite Access Node) 등이 될 수 있으며, GPS위성(200)으로부터 다운링크(204,206)를 통해 전송된 위치정보를 다시 유무선링크(214,216)를 통해 전화통신 등을 이용하여 응급구조기관(25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위성단말기(100)의 정확한 위치정보가 응급구조기관(250)으로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신속한 연락이 가능하게 되어 긴급히 구조대를 파견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노출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응급구조 요청 시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보조배터리(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도 3의 3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40)에 구비된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를 눌러서 응급상황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응급상황은 사용자가 테러, 조난 또는 자동차 사고 등으로 위험에 처한 상태이다. 상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는 키입력부(140)에 사용하지 않는 방향키 내지는 특정한 숫자키나 "#"키 또는 "*"키에 기능을 주어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키+END키"와 같이 특정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응급구조 요청키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0)는 도 3의 302단계로 진행하여 전원을 보조배터리(170)로 전환시키고 응급모드로 진입한다. 즉, 제어부(110)는 전원선택부(16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공급부(160)로 공급되는 경로를 주배터리(172)에서 보조배터리(170)로 전환하게 하고, 단말기(100)의 모드를 응급모드로 전환시킨다. 단말기(100)가 응급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표시부(150) 등과 같이 응급구조 요청하는데 불필요한 부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응급구조 요청 시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비하도록 하여 보조배터리(170)의 용량소모를 줄이기위한 것이다.
전원을 보조배터리(170)로 전환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를 응급모드로 전환시키고 나서 제어부(110)는 도 3의 304단계에서 GPS 위성(200)과 위성통신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약 GPS 위성(200)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면 제어부(110)는 도 3의 306단계에서 GPS 위성(200)으로 위치정보를 요구한다. 즉, 제어부(110)는 GPS 처리부(190)를 제어하여 GPS 위성(200)으로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10)는 도 3의 308단계에서 GPS 위성(200)으로부터 요구된 위치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GPS 위성(200)으로부터 상기 요구된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도 3의 306단계로 되돌아가서 다시 상기 306단계 내지 308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GPS 위성(200)으로부터 상기 요구된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도 3의 31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10)는 도 3의 310단계에서 GPS 처리부(190)를 제어하여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국부적인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10)는 도 3의 312단계로 진행하여 계산된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와 응급상황을 알리는 응급상황 경보신호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위성(200)으로 전송한다. GPS 위성(200)은 GPS위성(20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210,212) 예컨대 위성통신사업자를 통해 응급구조기관(250)으로 전송한다.
한편, GPS 위성(200)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도 3의 314단계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급구조기관(250)의 전화번호 예컨대119, 112등으로 전화연결을 시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구조 요청을 위해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과 같은 응급구조기관의 전화번호 예컨대 112, 119를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구조기관(250)과 전화연결을 시도한 후 제어부(110)는 도 3의 316단계에서 통화연결이 되는지 검사한다. 만약 응급구조기관(250)과 통화연결이 되지 않으면 도 3의 314단계로 되돌아가 314 내지 316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응급구조기관(250)과 통화연결이 되면 제어부(110)는 도 3의 318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응급구조기관(250)으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음성메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음성메시지는 예컨대 "전화번호 011-123-4567 김유진 긴급상황 발생 구조요청바람" 등의 내용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주배터리(172)와 보조배터리(170) 중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도 4의 4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응급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40)에 구비된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를 눌러서 응급상황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응급상황은 사용자가 테러, 조난 또는 자동차 사고 등으로 위험에 처한 상태이다. 상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는 키입력부(140)에 사용하지 않는 방향키 내지는 특정한 숫자키나 "#"키 또는 "*"키에 기능을 주어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키+END키"와 같이 특정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응급구조 요청키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0)는 도 4의 402단계에서 주배터리(172)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원공급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10)는 전원선택부(162)를 통해 주배터리(172)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정확히 장착되었는가와 주배터리(172)의 용량이 일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주배터리(172)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분리되어 있거나 주배터리(172)의 용량이 일정치 이하일 경우에는 도 4의 404단계로 진행하여 404단계부터 414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4의 404단계 내지 414단계의 동작은 전술한 도 3의 301 내지 312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다.
한편, 주배터리(172)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정확히 장착되어 있고 주배터리(172)의 용량이 일정치 이상이면 제어부(100)는 도 4의 406단계로 진행한다. 즉, 제어부(110)는 전원공급부(160)로 공급되는 경로를 주배터리(172)로 유지하면서 도 4의 406단계부터 414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4의 406단계 내지 414단계의 동작은 전술한 도 3의 304내지 312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응급상황 발생 시 배터리 소모가 다 된 상황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GPS를 통한 위치발신 및 응급구조기관으로의 전화연결 하도록 하여 응급구조 요청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테러 또는 교통사고 등의 응급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응급구조 요청을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보다 더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구매욕구를 일으켜 이동통신 제조사의 이익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응급상황 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전원을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제1 과정과,
    전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의 위성과 위성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위성으로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계산된 위치정보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경보를 상기 위성으로 송신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 후,
    전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의 위성과 위성통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응급구조기관과 통화연결하여 사용자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제5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
  3. 주배터리 및 응급상황 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응급구조 요청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주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주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하면 전원을 상기 주배터리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전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의 위성과 위성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위성으로 위치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위치정보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경보를 상기 위성으로 송신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전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의 위성과 위성통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응급구조기관과 통화연결하여 사용자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주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하지 않으면 전원을 보조배터리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배터리 및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응급구조 요청방법.
KR1020020079940A 2002-12-14 2002-12-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 KR20040053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940A KR20040053393A (ko) 2002-12-14 2002-12-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940A KR20040053393A (ko) 2002-12-14 2002-12-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393A true KR20040053393A (ko) 2004-06-24

Family

ID=3734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940A KR20040053393A (ko) 2002-12-14 2002-12-1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33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0926A2 (ko) * 2010-08-10 2012-02-16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비상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US11004451B2 (en) 2018-03-19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sound data and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0926A2 (ko) * 2010-08-10 2012-02-16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비상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2020926A3 (ko) * 2010-08-10 2012-05-03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비상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US11004451B2 (en) 2018-03-19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sound data and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57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62011B1 (en)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333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a mobile device with position location capability
US8064378B2 (en) Location-based broadcast messaging for radioterminal users
JP2003530770A (ja) 信号送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06028995A2 (en) Two-way distress alert and emergency 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693928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US20090061891A1 (en) Method for requesting rescue by receiving disaster alarm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JP4273068B2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AU200233946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in particular an emergency-call device, emergency-call system and an emergency-call device
WO2001010152A1 (en) Automatic message transmission to a remote party
KR2004005339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요청방법
KR100827157B1 (ko)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JP3806642B2 (ja) 携帯通信機器及び通信方法
JPH10229455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を利用した緊急通知システム
US7146173B2 (en) Method and network for answering calls to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user-defined response modes
JP3578208B2 (ja) 緊急信号発信装置付き携帯電話
KR100689387B1 (ko) 휴대전화 단말장치의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수신 경보 방법
KR20050011612A (ko) 이동통신 단말기(핸드폰, pda 등)를 이용한 주변인물 신원확보를 통한 비상구호 시스템
KR200188857Y1 (ko) 위치확인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2702B1 (ko)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JP2003152867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呼通知方式
KR10074920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4001370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접여부 알림 방법
KR20040049928A (ko) Gps 탑재폰을 이용한 긴급 상황 시의 도움 요청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