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192A -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192A
KR20040041192A KR1020020069093A KR20020069093A KR20040041192A KR 20040041192 A KR20040041192 A KR 20040041192A KR 1020020069093 A KR1020020069093 A KR 1020020069093A KR 20020069093 A KR20020069093 A KR 20020069093A KR 20040041192 A KR20040041192 A KR 2004004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ata
user information
item nam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509B1 (ko
Inventor
류종렬
Original Assignee
류종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렬 filed Critical 류종렬
Priority to KR102002006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5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509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기 모바일을 통해 이동통신업체 또는 서비스업체에 접속하여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별 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모바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정보가 일련번호로 기록된 저장수단에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통신모드가 적외선 통신인 경우, 수신측에서 상기 적외선통신을 위해 구비된 버튼을 눌러 송출된 체크비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측 모바일이 수신상태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모바일이 수신모드이면 모바일에 사용자정보의 전송 항목들을 각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되는 사용자정보 공개여부를 지정 또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의 등급이 지정 또는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항목명과 상기 항목명에 해당되는 항목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변환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항목명을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여 패킷데이터의 전체길이를 헤드부분에 삽입한 후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Dat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other emphysema mobile}
본 발명은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업체 또는 서비스 업체로부터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기종별 사용자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변환된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의 사용자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상기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시 상기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정보를 변환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포맷형식의 다른 점으로 인한 이기종 간의 통신제약을 해소하도록 하는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은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 동일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과정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참고도 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은 특정 이동통신 업체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로써, 적외선 통신포트가 구비된 모바일 간의 근거리 통신(적외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는 동일한 데이터포맷 형식을 갖는 기종들은 상기 특정 이동통신 업체에서 제공되는 부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는 모바일 전화번호와 함께 특정 코드 값을 갖는 키를 통해 동일 모바일 간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은 동일 기종인 모바일 간(예를 들어, 011 스카이 기종끼리 적외선 통신) 또는 동일 이동통신업체를 이용하는 사용자끼리(016의 부가통신망인 매직엔 이용한 통신)만 가능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PDA 등의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통신으로 이용되고 있는 Palm desktop 프로그램은 그 내부 "Hot sync"모듈을 통해 휴대폰과 컴퓨터간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나 상기 휴대폰 및 컴퓨터에 상기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휴대폰·PDA 및 컴퓨터간을 "Hot sync"모듈을 통해 적외선으로 동기화시켜야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PDA에서 사용되는 Palm desktop 프로그램은 휴대폰 및 컴퓨터에 적용되는 프로그램이 영문으로 되어 있어, 이기종 간의 데이터통신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업체 또는 서비스 업체로부터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기종별 사용자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변환된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의 사용자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상기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시 상기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정보를 변환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포맷형식의 다른 점으로 인한 이기종 간의 통신제약을 해소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시 해당 기종별 변환 프로그램을 이동통신업체로부터 다운받는 과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기종별 공통 포맷 변환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을 통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모바일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종래 동일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과정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바일110 : 패킷데이터
111 : 데이터 길이 값112 : 항목명
114 : 항목데이터200 : 이동통신업체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모바일을 통해 이동통신업체 또는 서비스업체에 접속하여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별 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모바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정보가 일련번호로 기록된 저장수단에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통신모드가 적외선 통신인 경우, 수신측에서 상기 적외선통신을 위해 구비된 버튼을 눌러 송출된 체크비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측 모바일이 수신상태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모바일이 수신모드이면 모바일에 사용자정보의 전송 항목들을 각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되는 사용자정보 공개여부를 지정 또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의 등급이 지정 또는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항목명과 상기 항목명에 해당되는 항목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변환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항목명을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여 패킷데이터의 전체길이를 헤드부분에 삽입한 후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상기 전송된 패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측 모바일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길이가 판독되면 상기 데이터의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의 사용자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된 사용자정보의 항목명과 항목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도면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모바일로는 휴대폰, PDA, 컴퓨터 및 IMT-2000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내부에 장착된 공지의 수단들 즉, 키패드, 제어수단, 저장수단 및 송수신수단을 인용하며, 상기 본 발명에서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송수신)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시 해당 기종별 변환 프로그램을 이동통신업체로부터 다운받는 과정의 흐름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100)의 키패드를 통해 이동통신 업체(200) 또는 이동통신업체의 부가통신 서비스업체에 접속(S102)한 후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 기종이 선택(S104)되면 상기 선택된 기종에 대한 변환프로그램을 다운로드(S106)받고, 상기 다운로드받은 변환테이블의 해당되는 변환프로그램을 사용자 모바일에 설치(S108)한다.
상기 단말기 기종 선택(S104)은 이동통신업체 또는 서비스업체에서 접속된 사용자의 모바일(100) 단말기의 고유 코드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를 자동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의 기종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기종별 공통 포맷 변환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정보의 공개여부에 따라 사용자 개인정보를 지정하거나 선택하도록 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은 제조회사의 기종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항목명(예를 들어, 이름·주소·전화번호·휴대폰전화·이메일 등)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전 정의된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시키는 변환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게 되면 상기 변환프로그램은 저장수단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변환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기종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항목명을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공통 항목명을 항목명으로 변환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공통 포맷용 변환테이블은 모바일 기종(예를 들어, SCH-X590, PC-3100, M-V731 및 DD-600)에 따라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정보를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통 항목명 즉, 이름 또는 성명으로 기록되는 사용자정보는 "N"으로 표현하고, 주소 또는 집형상으로 기록되는 사용자정보는 "A"로 표현하며, 전화번호 또는 Tel 및 전화기형상으로 기록되는 사용자정보는 "T" 등으로 표현되도록 정의한다.
따라서,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통신시 사용자정보를 제조회사의 단말기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사용자정보를 공통 항목명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통 포맷용 변환테이블은 PDA 및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 정의함으로써 상기 휴대폰을 통해 PDA 또는 컴퓨터간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에 기록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공개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정보 등급 레벨을 하기와 같이 구분한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의 메모리에 저장 관리되는 개인정보에서 임의의 개인정보를 선택하면 그 다음 사용자정보에서 그 등급 레벨을 지정하여 개인정보의 공개정도를 지정하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임의의 개인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개인정보가 모바일의 화면으로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추가 삭제하여 공개정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의 경우, 상기 레벨은 그 등급이 구분되고 상기 구분된 레벨에서 레벨1은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를, 레벨2는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휴대폰전화번호를, 레벨3은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휴대폰전화번호,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여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는 그 레벨의 등급을 지정하는 것이다.
상기 후자의 경우, 상기 사용자가 임의의 개인정보를 선택하면 모바일의 화면으로 선택된 정보는 표시하고, 사용자자 모바일 화면에서 개인정보의 개별적으로 추가 삭제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통신시 사용자정보는 패킷으로 전송되며, 상기 패킷 전송되는 사용자정보는 모바일의 저장수단에 사용자정보가 일련번호 순으로 기록된 사용자정보에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모바일의 제어수단에서는 선택된 이름·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항목명과 항목데이터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항목명을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한 다음 패킷데이터의 헤드부분에 데이터 길이를 삽입한 후 전송된다.
즉, 이름· 주소 및 전화번호 등 각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항목명을 공통 포맷 변환테이블의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하는 변환프로그램에 의해 변환된 공통 항목명(112)과, 상기 항목명에 해당되는 데이터(114) 및 상기 공통 항목명 및 항목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길이(111)를 표현된 패킷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통신방법을 통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100)의 키패드를 통해 저장수단에 사용자정보가 일련번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에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S110)한 후,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드를 선택(S112)한다.
상기 선택한 통신모드가 적외선통신인 경우, 상기 적외선통신(근거리 데이터통신)을 위해 구비된 버튼을 수신측에서 누르게 되면 체크비트가 송출되고, 송신측에서는 체크비트를 수신하여 수신측 모바일이 수신상태(S114)일 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측 모바일(100)이 수신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정보 전송을 대기하고, 상기 수신측 모바일(100)이 수신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정보의 공개여부에 따라 사전 정의된 등급 레벨에서 해당 레벨을 선택(S115)하거나, 상기 모바일의 저장수단에 기록 관리되는 임의의 사용자정보을 선택한 후 상기 모바일의 화면으로 표시되는 항목에서 개인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사용자가 지정 또는 선택한 개인정보의 이름·주소 및 전화번호 등의 항목명과 상기 항목명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체크(S120)하고, 상기 변환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지정 또는 선택한 해당 기종의 사용자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S122)한다.
상기 공통 포맷으로 변환된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여 패킷데이터의 전체길이 값을 헤드부분에 삽입(S123)한 다음 상기 데이터를 전송(S124)한다.
한편, 상기 선택한 통신모드가 이동통신망인 경우 상기 사용자정보의 공개여부에 따라 사전 정의된 등급 레벨에서 해당 레벨을 선택하거나, 상기 모바일의 저장수단에 기록 관리되는 임의의 사용자정보을 선택한 후 상기 모바일의 화면으로 표시되는 항목에서 개인정보를 선택(S116)한다.
수신측 모바일(100)의 휴대폰번호를 입력(S117)한다.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 입력은 사용자가 휴대폰번호를 눌러 입력하거나 상기 모바일(100)의 저장수단에 기록 관리되는 휴대폰번호에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키패드의 통화키를 선택(S118)하면 상기 사용자가 지정 또는 선택한 개인정보의 이름·주소 및 전화번호 등의 항목명과 상기 항목명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체크(S120)하며, 상기 변환프로그램에 의한 해당 기종의 사용자 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S122)한다.
상기 공통 포맷으로 변환된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여 패킷데이터의 전체길이 값을 헤드부분에 삽입(S123)한 다음 상기 데이터를전송(S124)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모바일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측 모바일은 송신측 모바일로부터 전송된 패킷데이터(110)를 수신(S126)하고, 상기 패킷데이터(110) 수신이 완료(S128)되면 수신된 데이터의 길이를 판독(S130)한다.
상기 데이터의 길이가 판독되면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해당되는 각각의 공통 항목명과 상기 공통 항목명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체크(S132)하고,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의 사용자정보로 변환(S134)한 후 상기 변환된 사용자 개인정보 데이터를 저장(S136)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통신시 이름·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및 이-메일 등과 같이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항목명이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공통 포맷 변환테이블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이동통신업체 또는 이동통신업체의 부가통신 서비스업체를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다음, 상기의 이름·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게 될 때 상기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항목명들을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공통 항목명을 해당 기종의 항목명으로 변환함으로써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통신시 모바일 기종에 따른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름,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및 이-메일 등의 사용자정보를 온라인 상에서도 주고받을 수 있는 동시에 개인별 사용자정보를 모바일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모바일을 통해 이동통신업체 또는 서비스업체에 접속하여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별 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모바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정보가 일련번호로 기록된 저장수단에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통신모드가 적외선 통신인 경우, 수신측에서 상기 적외선통신을 위해 구비된 버튼을 눌러 송출된 체크비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측 모바일이 수신상태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모바일이 수신모드이면 모바일에 사용자정보의 전송 항목들을 각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되는 사용자정보 공개여부를 지정 또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의 등급이 지정 또는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항목명과 상기 항목명에 해당되는 항목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변환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항목명을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여 패킷데이터의 전체길이를 헤드부분에 삽입한 후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패킷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측 모바일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길이가 판독되면 상기 데이터의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의 사용자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된 사용자정보의 항목명과 항목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포맷 변환테이블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프로그램은 모바일을 통해 이동통신업체 또는 서비스업체로 접속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 코드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에 해당되는 기종의 변환테이블에 해당되는 변환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개인정보의 등급을 지정 또는 선택하는 단계에는 모바일에서 관리되는 전송 항목그룹의 레벨을 선택하거나, 상기 전송 항목들을 사용자가 모바일 화면에서 개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바일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5. 모바일을 통해 이동통신업체 또는 서비스업체에 접속하여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자정보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공통 포맷을 해당 기종별 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모바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정보가 일련번호로 기록된 저장수단에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통신모드가 이동통신망인 경우, 상기 모바일에 사용자정보의 전송 항목들을 각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되는 사용자정보 공개여부를 지정 또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의 등급이 지정 또는 선택하면 수신측 모바일의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번호를 입력한 다음 통화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정보의 등급이 지정 또는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명과 상기 항목명에 해당되는 항목데이터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변환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항목명을 공통 항목명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항목명과 항목데이터의 길이를 판독하여 패킷데이터의 전체길이를 헤드부분에 삽입한 후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20020069093A 2002-11-08 2002-11-08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054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093A KR100543509B1 (ko) 2002-11-08 2002-11-08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093A KR100543509B1 (ko) 2002-11-08 2002-11-08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192A true KR20040041192A (ko) 2004-05-17
KR100543509B1 KR100543509B1 (ko) 2006-01-20

Family

ID=3733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093A KR100543509B1 (ko) 2002-11-08 2002-11-08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62B1 (ko) * 2007-02-21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Ip 단말기에서 이종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백업 장치 및방법
KR101599213B1 (ko) * 2014-12-23 2016-03-04 주식회사 윈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서 탐지규칙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7948T1 (de) * 1984-07-13 1989-11-15 Motorola Inc Cellulares stimme- und datenfunkfernuebertragungssystem.
KR20000008415A (ko) * 1998-07-13 2000-02-07 구자홍 서로 다른 기종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000030918A (ko) * 1998-09-14 2000-06-05 허진호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KR20010075966A (ko) * 2000-01-21 2001-08-11 정성자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KR20030013914A (ko) * 2001-08-10 2003-02-15 조진형 핸드폰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KR100628454B1 (ko) * 2002-02-07 2006-09-28 (주)지온네트웍스 컴퓨터를 이용한 이기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사용자 데이터 변환 전송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62B1 (ko) * 2007-02-21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Ip 단말기에서 이종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백업 장치 및방법
US7899790B2 (en) 2007-02-21 2011-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ing up of heterogeneous terminal user information in (internet protocol) IP terminal
KR101599213B1 (ko) * 2014-12-23 2016-03-04 주식회사 윈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서 탐지규칙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3509B1 (ko) 200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1961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unit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an external unit
US8005952B2 (en) Method for intelligently selecting wireless access point
US20040162108A1 (en) Communication adapter and method
JP2007066159A (ja) 電子機器、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CN101484884A (zh) 用于多端口通信分配的系统和方法
KR100543509B1 (ko) 이기종 모바일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JP2000174894A (ja) 携帯電話機
KR10063160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7694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2792B1 (ko)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
KR20020088951A (ko) 휴대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408751B1 (ko) 사진을 포함하는 전자 명함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4791561B2 (ja) 端末機種提示システム
KR100832337B1 (ko) 인터넷 가상저장공간을 이용한 휴대폰의 데이터 관리방법
KR10060668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폰 정보 관리 방법
KR2007005576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폰북 관리 방법
KR1007090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KR10064489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KR100687492B1 (ko) 도움말 인덱스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구동하는 방법 및이동단말기에서 도움말을 제공하는 방법
KR20020010011A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개인정보관리 시스템 및그 관리방법
KR100585767B1 (ko) 원폰의 블루투스 ap 확장코드 삽입 방법 및 장치
KR100681178B1 (ko)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송수신 방법
KR100680747B1 (ko) 가입자 상태정보를 홈위치등록기에 보다 용이하게업데이트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592770B1 (ko) 주소록 규격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데이터 변환방법
KR101063530B1 (ko) 폰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