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972A -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972A
KR20040036972A KR1020020065573A KR20020065573A KR20040036972A KR 20040036972 A KR20040036972 A KR 20040036972A KR 1020020065573 A KR1020020065573 A KR 1020020065573A KR 20020065573 A KR20020065573 A KR 20020065573A KR 20040036972 A KR20040036972 A KR 2004003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owel
consonant
key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왕돈
Original Assignee
최왕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왕돈 filed Critical 최왕돈
Priority to KR102002006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6972A/en
Publication of KR2004003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97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multilanguage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PURPOS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a character input unit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easily remember letters allocated to each key by allocating consonants in similar forms to one consonant key and vowels in similar forms to one vowel key. CONSTITUTION: A mobile phone(100) includes an LCD panel(110) and a key pad(120). The key pad(120) includes numeric keys corresponding from 1 to 0 and '*' key and '#' key. The numeric keys, '*' key and '#' key are allocated consonants and vowels for inputting Hangul. A group of consonants are allocated to keys 1, 4, 5, 7, 8 0 and '*', and a group of consonants are allocated to keys corresponding to 2, 3, 6, 9 and '#'. Consonants and vowels that have such a similar form that users can easily associate with each other are allocated to one consonant group and vowel group. If a user remembers a position of a representative consonant, the user can easily find positions of glottalized sounds and aspired sounds. One vowel can be inputted by pressing a key one time, and if the user remembers a position of a representative vowel,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other remaining vowels in the similar forms.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a character input devic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문자 정보에 따라 디지털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글, 알파벳과 같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cessing digital information according to charact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a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such as Korean and alphabet.

일반적으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근저로 한 한글은 초성 19개, 중성 21개 및 종성 28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해당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이론상의 글자 수는 11,172(즉, 19×21×28)개가 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약 2,500개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형 코드의 경우에는 1,800 개부터 1,900개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In general, Hangul, which i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consists of 19 consonants, 21 neutrals, and 28 consonants. The theoretical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formed by combining the consonants, neutrals, and species is 11,172 (i.e., 19 x 21 x 28) pieces.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characters commonly used is about 2,500, and in the case of a commonly used completed code or combined code, 1,800 to 1,900 Korean characters can be expressed.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인 컴퓨터 시스템은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를 구비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는 101키 또는 그 이상의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글 입력을 위해서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및 'ㅉ' 그리고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및 'ㅖ'이 각각 할당된 키들을 구비한다. 휴대용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인 휴대용 전화기 및 PDA(Personal Digita Assistants) 등은 15 개 내외의 키들을 구비하므로 한글 입력을 위해 모음과 자음을 각각 하나의 키에 할당하는데 어려움이 있다.A computer system, which is a representativ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s a keyboard as an input device. The keyboard of a computer system has 101 or more keys, and the consonants'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and ㅉ and the vowel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TT ',' ㅠ ',' ㅡ '' ㅣ ',' ㅐ ',' ㅒ ',' ㅔ 'and' ㅖ 'has assigned keys, respectively. Since portabl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such as portable tele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ve about 15 keys, it is difficult to assign vowels and consonants to one key for Korean input.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전자 수첩, 문자 메시지 전송 그리고 무선 인터넷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제한된 키들을 이용하여 한글을 쉽고 빠르게 입력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used as means for electronic notebooks, text message transmission, and wireless Internet. Therefore, methods for easily and quickly entering Korean characters using limited keys have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천지인' 방식의 키 패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천지인' 방식의 키 패드는 삼성전자가 출원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0-4131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키 패드(10)에는 숫자 1부터 0에 각각 대응하는 10 개의 숫자키들과 * 및 #에 각각 대응하는 키들이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키 패드(10)에 구비된 각 키들은 할당된 숫자에 따라서 명명한다. 즉, 숫자 1이 할당된 키는 1번 키라 부르기로 약속한다. 각 숫자 키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들과 모음들이 할당된다. 예컨대, 1번 키에 'ㅡ', 2번 키에 '·', 3번 키에 'ㅣ', 4번 키에 'ㄱ'과 'ㅋ', 5번 키에 'ㄴ'과 'ㄹ', 6번 키에 'ㄷ'과 'ㅌ', 7번 키에 'ㅂ'과 'ㅍ', 8번 키에 'ㅅ'과 'ㅎ', 9번 키에 'ㅈ'과 'ㅊ', 0번 키에 'ㅇ'과 'ㅁ'이 각각 할당된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 Cheonjiin '' type keypad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heonjiin' keypa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41317 filed by Samsung Electronics. Referring to FIG. 1, the keypad 10 includes ten numeric key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1 to 0 and keys corresponding to * and #,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keys provided in the keypad 10 are named according to the assigned numbers. That is, the key assigned to the number 1 promises to be called the number 1 key. Each numeric key is assigned consonants and vowels for Hangul input. For example, key 1, 'ㅡ', key 2, '·', key 3, 'ㅣ', key 4, 'ㄱ' and 'ㅋ', key 5 and 'B' and 'ㄹ', Key 6, 'ㄷ' and 'ㅌ', Key 7, 'ㅂ' and 'ㄷ', Key 8, 'ㅅ' and 'ㅎ', Key 9 and 'ㅈ' and 'ㅊ', Key 0 The keys are assigned 'ㅇ' and 'ㅁ' respectively.

자음의 입력은 각 키에 할당된 두 개의 자음들 중 앞에 위치한 자음은 해당하는 키를 짧게 1회 누르는 것에 의해 가능하고, 뒤에 위치한 자음은 해당하는 키를 연속해서 2회 누르는(즉, 2회 클릭) 것에 의해 가능하다.Input of consonants is possible by pressing one key briefly in front of the two consonants assigned to each key, and the next consonan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twice in succession (ie two clicks) It is possible by).

모음의 입력은 1번 키, 2번 키 그리고 3번 키의 조합으로 입력하는데, 예를 들어 3번 키의 'ㅣ'와 2번 키의 '·'을 연속적으로 누르면 모음 'ㅏ'가 입력되고, 3번 키 및 2번 키를 두 번 누르면 모음 'ㅑ'가 입력된다.The vowel input is a combination of the 1st, 2nd and 3rd key.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ㅣ' of the 3rd key and the '·' of the 2nd key consecutively, the vowel 'ㅏ' is entered. Press key 3 and key 2 twice to input vowel 'ㅑ'.

이와 같은 한글 입력 방법은 3 개의 키들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므로, 입력 방법이 단순하고, 기억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들을 여러 번 눌러야 한다는 번거러움이 있다. 특히, 'ㅙ', 'ㅝ', 'ㅖ'와 같은 모음의 경우에는 모음 하나를 입력하기 위해서 4 ~ 5회 키를 눌러야 한다. 예를 들어, '뭘'은 숫자 키 0, 0, 3, 2, 2, 1, 5, 5의 순으로 8번을 눌러야 하며, '봐'는 숫자 키 7, 2, 3, 1, 3의 순으로 5번을 눌러야 하며, '왜'는 숫자 키 0, 2, 3, 1, 2, 1의 순으로 6번을 눌러야 한다. 즉,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횟수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This Korean input method has a merit of inputting a vowel using three keys, so that the input method is simple and easy to remember. However, there is a hassle of pressing keys several times in order to enter a vow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vowels such as 'ㅙ', 'ㅖ', '4', the user must press the key four or five times to enter one vowel. For example, 'what' must press 8 in the sequence of number keys 0, 0, 3, 2, 2, 1, 5, 5, and 'look' for number keys 7, 2, 3, 1, 3. Press five times in order, and 'why' should press six times in order of number keys 0, 2, 3, 1, 2, 1. That i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key presses for inputting one letter is many.

도 2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나랏글 2000' 방식의 키 패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나랏글 2000' 방식의 키 패드는 엘지전자가 출원한 국내공개특허번호 제2000-5156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키 패드(20)에는 숫자 1부터 0에 각각 대응하는 10 개의 숫자키들과 * 및 #에 각각 대응하는 키들이 구비된다. 각 숫자 키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들과 모음들이 할당된다. 예컨대, 1번 키에 'ㄱ', 2번 키에 'ㄴ', 4번 키에 'ㄹ', 5번 키에'ㅁ', 7번 키에 'ㅅ', 8번 키에'ㅇ', 3번 키에 'ㅏ', 'ㅓ', 6번 키에 'ㅗ', 'ㅜ', 9번 키에 'ㅣ', 0번 키에 'ㅡ', * 키에 덧쓰기 기능 그리고 # 키에 경음 변환 기능이 각각 할당된다. 숫자 키들에 할당되지 않은 자음들과 모음들은 * 키와 #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 'ㅋ'은 1번 키를 이용하여 'ㄱ'을 입력한 후 * 키를 누르면 입력되고, 'ㄲ'은 1번 키를 이용하여 'ㄱ'을 입력한 후 # 키를 누르면 입력된다. 모음 'ㅑ'는 3번 키를 이용하여 'ㅏ'를 입력한 후 * 키를 누르면 되고, 모음 'ㅒ'는 3번 키를 이용하여 'ㅏ'를 입력한 후 * 키를 누르고 다시 9번 키를 이용하여 'ㅣ'를 누르면 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of a naragle 2000 system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way of example. The keypad of the Naragle 2000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0-51568 filed by LG Electronics. Referring to FIG. 2, the keypad 20 includes ten numeric key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1 to 0 and keys corresponding to * and #, respectively. Each numeric key is assigned consonants and vowels for Hangul input. For example, the first key is 'ㄱ', the second key is 'B', the fourth key is 'ㄹ', the fifth key is 'ㅁ', the seventh key is 'ㅅ', the eighth key is 'ㅇ', 'ㅏ', 'ㅓ' on key 3, 'ㅗ', 'TT' on key 6, 'ㅣ' on key 9, 'ㅡ' on key 0, 'ㅡ' on key 0, * overwrite on the # key The horn conversion function is assigned to each. Consonants and vowels not assigned to numeric keys can be entered using the * and # keys. For example, the consonant 'ㅋ' is entered by pressing the * key after entering 'ㄱ' using the 1 key, and 'ㄲ' is entered by pressing the # key after entering 'ㄱ' using the 1 key. Is entered. For vowel 'ㅑ', enter '키' using the 3 key and press the * key. For 'vowel', enter the 'ㅏ' using the 3 key and press the * key. Press 'ㅣ' using.

그런데, 이런 한글 입력 방법은 'ㄷ', 'ㅂ', 'ㅈ', 'ㅊ', 'ㅋ', 'ㅌ', 'ㅍ', 및 'ㅎ'과 같이 키에 적혀져 있지 아니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그러한 자음과 관련된 자음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ㅍ', 'ㅊ', 'ㅎ', 'ㅃ', 'ㅉ', 'ㄸ' 등의 자음과 여러 이중 모음 등은 3번 이상 눌러야 입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짜'는 7, *, #, 3의 순으로 4번을 눌러야 하며, '팥'는 5, *, *, 3, 2, *, *의 순으로 7번을 눌러야 한다.However, this Hangul input method is to input consonants that are not written on the keys such as 'ㄷ', 'ㅂ', 'ㅈ', 'ㅊ', 'ㅋ', 'ㅌ', 'ㅊ', and 'ㅎ'. In order to know the consonants associated with such consonants in advance, you should press more than three consonants, such as 'ㄷ', 'ㅊ', 'ㅎ', 'ㅃ', 'ㅉ', 'ㄸ' The disadvantage is that you can type. For example, 'ja' should press 4 in the order of 7, *, #, 3, and 'red bean' should press 7 in the order of 5, *, *, 3, 2, *, *.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국내특허공보 2002-9780에 개시된 키 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키 패드 숫자 1부터 0까지에 대응하는 숫자 키들 각각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자음들과 하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된다. 그리고 지우기 기능을 위한 키(31)가 별도로 할당되고, # 키에는 띄우기 기능이 할당된다.3 is a view showing a keypad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9780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3, one or two consonants and one vowel are assigned to each of the numeric keys corresponding to the keypad numbers 1 to 0, respectively. A key 31 for erasing is separately assigned, and a floating function is assigned to #.

이와 같이 배열된 키들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성 입력 상태에서 각 키가 눌러지면 각 키에 할당된 자음들 중 하나가 입력된다. 즉, 각 키에 할당된 2 개의 자음들 중 키의 상측에 기재된 자음은 한 번 클릭으로 입력 가능하고, 키의 하측에 기재된 자음은 더블 클릭으로 입력 가능하다. 7번 키와 같이 하나의 자음이 할당된 키는 클릭 형태와 무관하게 그 키에 할당된 자음이 입력된다. 한편, 중성 입력 상태에서 각 키가 눌러지면 이 때에는 각 키에 할당된 모음이 입력된다. 그리고, 모음 'ㅏ', 'ㅓ', 'ㅗ', 'ㅜ', 'ㅐ', 'ㅔ'가 할당된 키를 더블 클릭하면 중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가 각각 입력된다.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keys arranged as above is as follows. First, when each key is pressed in the initial input state, one of the consonants assigned to each key is input. That is, among two consonants assigned to each key, the consonant described above the key can be input by one click, and the consonant described below the key can be inputted by the double click. Like the seventh key, one consonant is assigned a consonant assigned to the key regardless of the click type. On the other hand, when each key is pressed in the neutral input state, a vowel assigned to each key is input at this time. Then, if you double-click a key assigned with the vowels 'ㅏ', 'ㅓ', 'ㅗ', 'TT', 'ㅔ' and '중', the vowel 'ㅑ', 'ㅕ', 'ㅛ', 'ㅠ' , 'ㅒ' and "ㅖ" are input respectively.

그러나, 이러한 키 패드(30)는 자음과 모음이 한 키에 혼재되어 있으므로, 모음 뒤에 입력되는 자음은 현재 입력되고 있는 음절의 종성인지 아니면 다음 음절의 초성인 지를 구별해 주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입력할 때에는 해당 키를 일정 시간(예컨대 0.3~0.5초) 이상 누르고 있거나, 더블 클릭시 두 번째 클릭을 길게 해야 한다. 또는 띄우기 키(즉, # 키)를 누르면 그 음절을 종료하고 다시 초성 입력 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한 음절의 끝에서는 미리 약속된 방법으로 키를 눌러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더욱이, 키 패드(30)는 자음과 모음의 배열 또한 일관성이 없어서 사용자가 키 배열을 익히는데 어려움이 따른다.However, since the keypad 30 has consonants and vowels mixed in one key, the consonants input after the vowels must distinguish whether the syllable is the final syllable or the first syllable of the next syllable. Therefore, when entering the finality, the corresponding key must be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3 to 0.5 seconds) or a second click must be made long when double-clicking. Or press the release key (ie # key) to end the syllable and return to initial entry. As such, at the end of a syllable, there is the hassle of having to press a key in a promised way. Moreover, the keypad 30 is also inconsistent with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and vowel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learn the key arrange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누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key press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음 키와 모음 키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기억하기 편리한 키 배열을 갖는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a key arrangement in which a user can visually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s of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and which is convenient to stor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음의 초성과 종성을 구분하여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does not need to input the distinction and the finality of consonants.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천지인' 방식의 키 패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1 exemplarily illustrates a keypad of a 'Cheon-in' method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나랏글 2000' 방식의 키 패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of a Naragle 2000 system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way of example;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국내특허공보 2002-9780에 개시된 키 패드를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keypad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9780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4 is an appearance of a portable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shown in FIG. 4;

도 6a 내지 도 6e는 키의 누름 형태에 따라서 짧은 클릭, 더블 클릭, 긴 클릭, 더블 클릭 + 긴 클릭 그리고 긴 클릭 + 더블 클릭으로 구별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6a to 6e show how to distinguish between short clicks, double clicks, long clicks, double clicks + long clicks and long clicks + double clicks depending on the type of key press;

도 7은 키 클릭에 따른 프로세서의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7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procedure of a processor according to a key click; And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판별 단계의 구체적인 제어 수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pecific control procedure of the determining step illustrated in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휴대용 전화기110 : LCD 패널100: mobile phone 110: LCD panel

120 : 키패드130 : 프로세서120: keypad 130: processor

140 : 메모리140: memory

(구성)(Configu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외부에서 입력되는 문자 정보에 따라 디지털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는: 자음군들에 대응하는 자음 키들 그리고 모음군들에 대응하는 모음 키들을 포함하며, 상기 자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자음군에 속한 자음을 입력받고, 상기 모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모음군에 속한 모음을 입력받는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nformation according to externally input character information includes: consonant keys corresponding to consonant groups and vowel keys corresponding to vowel groups A consonant belonging to a consonant group associated with a pressed key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inputting a vowel belonging to a vowel group associated with the pressed key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vowel keys Receiv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자음군들에 속하는 자음들의 한글 코드들과 상기 모음군들에 속하는 모음군들의 한글 코드들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한다.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configured to store Korean codes of consonants belonging to the consonant groups and Korean codes of vowel groups belonging to the vowel group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입력된 자음 및 상기 입력된 모음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nput consonant and the input vowel.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자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자음군에 속한 자음을 입력받고, 상기 모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모음군에 속한 모음을 입력받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receive a consonant belonging to a consonant group associated with a key pressed by distinguishing key press states of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distinguishing the key press states of each of the vowel keys.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vowel belonging to a vowel group related to the binary key.

이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자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한글 코드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한글 코드에 대응하는 한글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In these embodiments, the controller reads out a Hangul code associated with a pressed key from the memory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consonant keys from the memory, and displays a Hangul corresponding to the read Hangul code on the display device. do.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누름 상태들은 클릭, 더블클릭 그리고 긴 클릭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keypress states include clicks, double clicks, and long click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음군들은 일반자음, 경음 및 격음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sonant group includes a normal consonant, a hard sound and a vowel.

이와 같은 구성의 디지털 정보 치리 장치는, 하나의 키에 자음군 또는 모음군을 할당함으로서 휴대폰과 같은 장치를 두 손에 쥐고, 두 개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왼손은 자음을 오른손은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마치 타자를 치듯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6 개의 복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들과 모음들은 클릭, 더블 클릭, 긴 클릭 만으로 입력되므로 키 입력 횟수가 적다. 그러므로, 한글 입력 속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사한 형태의 자음들을 하나의 자음 키에 할당하고, 유사한 형태의 모음들을 하나의 모음 키에 할당함으로서 각 키에 할당된 자소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고, 비록 사용자가 키 배열을 기억하고 있지 못하더라도 직관적으로 키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음의 초성과 종성을 구분하여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키 입력 편리성이 증대된다.The digital information control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olds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n two hands by assigning a consonant group or a vowel group to one key, and using two thumbs, the left hand can input the vowel with the left hand and the consonant. You can type Hangul as if you typed it. In addition, the consonants and vowels other than the six vowels are inputted only by clicking, double-clicking, and long-clicking. Therefore, the Hangul input speed is improved.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remember the phonemes assigned to each key by assigning similar types of consonants to one consonant key and assigning similar types of vowels to one vowel key, even though the user can assign a key arrangement. Even if you do not remember the position of the key can be intuitively determined.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input the consonants and the finality of the consonants, the convenience of key input of the user is increased.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화기(100)는 LCD 패널(110)과 키 패드(120)를포함한다. 키 패드(120)는 숫자 1부터 0까지에 각각 대응하는 숫자 키들과 * 키 그리고 # 키를 포함한다. 또한, 숫자 키들, * 키 그리고 # 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 및 모음들이 각각 할당된다. 특히, 숫자 1, 4, 5, 7, 8, 0 및 *에 대응하는 키들에는 일군의 자음들이 각각 할당되고, 숫자 2, 3, 6, 9 및 #에 대응하는 키들에는 일군의 자음들이 각가 할당된다. 이하 설명에서, 각 키에 할당된 일군의 자음들을 자음군이라 칭하고, 각 키에 할당된 일군의 모음들을 모음군이라 칭한다. 추후 상세히 설명되겠으나 형태가 비슷해서 용이하게 연상할 수 있는 자음들 및 모음들을 하나의 자음군 및 모음군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1번 키, 5번 키, 7 번 키, 8번 키, * 키에는 형태가 유사한 일반 자음/경음/격음이 자음군으로 각각 할당되고, 4번 키 및 0 번키에는 형태가 유사한 자음군이 할당된다. 그러므로, 대표 자음의 위치만 기억하고 있으면 유사한 형태의 경음 및 경음의 위치는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편, 모음의 경우는 각 키마다 일반 모음(예컨대, 'ㅏ')/[j] 발음이 선행되는 모음(예컨대, 'ㅑ')/모음의 뒤쪽에 'ㅣ'가 첨가된 형태의 모음(예컨대, 'ㅐ') 이 하나의 모음군으로 각각 할당된다. 그러므로, 1번의 키 누름으로 하나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자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키에 할당된 대표 모음의 위치만 기억하면 유사한 형태의 나머지 모음들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Figure 4 shows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lephone 100 includes an LCD panel 110 and a keypad 120. The keypad 120 includes numeric keys, * keys, and # key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1 to 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umeric keys, * key and # key are assigned consonants and vowels for Hangul input, respectively. In particular, a group of consonants is assigned to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1, 4, 5, 7, 8, 0, and *, and a group of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2, 3, 6, 9, and #, respectively. d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group of consonants assigned to each key is called a consonant group, and a group of vowels assigned to each key is called a vowel group.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similar in shape and can be easily associated with are assigned to one consonant and vowel groups. For example, keys 1, 5, 7, 7, 8, and * keys are assigned to the consonant group, similar to the common consonant, hom, and consonant, respectively. Is assigned. Therefore, if only the location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is remembered, the similar types of horns and horns can be easily foun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vowels, vowels (eg 'ㅏ') / [j] pronunciation followed by vowels (eg 'ㅑ') / vowels with 'ㅣ' added to the back of each vowel (eg , 'ㅐ') is assigned to one vowel group. Therefore, one vowel can be input by one key press, and as in the case of consonants, it is easy to input the remaining vowels of a similar form only by remembering the position of the representative vowel assigned to each key.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0)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화기(100)는 LCD 패널(110), 키패드(120), 프로세서(130) 그리고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키 패드(120)는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한다. 프로세서(130)는 키 패드(120)로부터 스캔 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스캔 코드로부터 눌러진 키의 종류와 키 누름 형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키의 종류와 키 누름 형태에 대응하는 조합형 한글 코드를 발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이전에 발생된 조합형 한글 코드와 현재 발생된 한글 코드의 조합에 대응하는 완성형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완성형 코드에 대응하는 한글을 LCD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키패드(120)로부터 'ㄴ'과 'ㅏ'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들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ㄴ ㅏ'가 아닌 '나'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해서 LCD 패널(110)에 '나'를 디스플레이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10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lephone 100 includes an LCD panel 110, a keypad 120, a processor 130, and a memory 140. The keypad 120 transmits a scan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to the processor 130. When the scan code is input from the keypad 120,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e type of the pressed key and the type of key press from the input scan code, and the combined Hangul cod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key type and key press form. Occurs. The processor 130 generates a complete code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reviously generated combined Hangul code and the currently generated Hangul code by referring to the memory 140 and displays the Hangu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omplete code. Display on 110. For example, if the scan codes corresponding to 'b' and 'ㅏ' are sequentially input from the keypad 120,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at 'I' is entered instead of 'b' and the LCD panel 110 is determined. Displays 'me' on the screen.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성 및 그것의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각 숫자 키들에 할당되는 자음 및 모음과 각 키에 할당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표 1에 정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again, a configuration of a keypad and an input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ble 1 shows th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each numeric key and how to enter th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each key.

도 4 및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키패드(120)의 각 키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자음들(자음군) 또는 모음들(모음군)이 각각 할당되고, 사용자는 동일한 키에 할당된 자음군 또는 모음군 중 하나를 입력하기 위해서 클릭, 더블 클릭 또는 긴 클릭 가운데 하나의 방식으로 키를 눌러야 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4 and Table 1, each key of the keypad 120 is assigned two or three consonants (consonants) or vowels (collections), respectively, the user is assigned to the same key consonants Or, to enter one of the vowel groups, you must press the key in one of two ways: click, double click, or long click.

예컨대, '현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0번 키 긴 클릭, 6번 키 더블 클릭, 4번 키 클릭, *키 클릭 그리고 3번 키를 클릭하면 된다. 단, 더블 클릭과 긴 클릭을 제외한 클릭은 짧은 클릭을 나타낸다.For example, in order to enter 'sage', the key 0 long click, the key 6 double click, the key 4 click, the * key click and the key 3 are clicked. However, clicks except double clicks and long clicks indicate short clicks.

한편, 복모음 'ㅘ', 'ㅙ', 'ㅝ', 'ㅞ', 'ㅒ' 및 'ㅖ'는 2 개의 모음키들의 조합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6개의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는 표 2에 정리되어 있다.Meanwhile, the double vowels 'ㅘ', 'ㅙ', ',', ',', ',' and 'ㅖ' may be input by a combination of two vowel keys. The key pressing sequence for inputting the six double vowels is summarized in Table 2.

상술한 바와 같이 키의 누름 형태에 따라서 짧은 클릭, 더블 클릭 그리고 긴 클릭으로 구별하는 방식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distinguishing between short clicks, double clicks, and long clicks according to the type of key press is illustrated in FIGS. 6A to 6C.

우선, 도 6a는 짧은 클릭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임의의 시점에서 키가 눌러지고 미리 설정된 시간(T1) 동안 키 누름이 없을 때 프로세서(130)는 짧은 클릭으로 인식한다. 도 6b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T1) 내에 동일한 키가 두 번 연속적으로 눌러질 때 프로세서(130)는 이를 더블 클릭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 6c와 같이, 키가 눌러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길게 지속되면 프로세서(130)는 이를 긴 클릭으로 인식한다. 키 클릭에 따른 프로세서(130)의 제어 수순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First, Figure 6A shows a short click by way of example. The processor 130 recognizes as a short click when a key is pressed at any time and there is no key press for a preset time T1. As illustrated in FIG. 6B, when the same key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within the preset time T1, the processor 130 recognizes this as a double click.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C, when the state in which the key is pressed lasts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the processor 130 recognizes this as a long click. The control procedure of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the key click is shown in FIG. 7.

단계 S200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키 패드(120)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지면, 키 패드(120)는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한다. 단,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는 키가 눌러진 시간동안 연속해서 프로세서(130)로 전달된다. 예컨대, 1번 키가 일정 시간(t) 동안 눌러지면 1번 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는 일정 시간(t) 동안 프로세서(130)로 전달된다.In operation S200, when any one of the keys provided in the keypad 120 is pressed by the user, the keypad 120 transmits a scan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to the processor 130. However, the scan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30 for the time when the key is press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key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 the scan c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t.

단계 S210에서 프로세서(130)는 키 패드(120)로부터 입력된 스캔 코드로부터 눌러진 키의 종류 및 키 누름 형태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키 누름 형태가 짧은 클릭이면 그 제어는 단계 S220으로 진행해서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제 1 조합형 코드를 발생한다. 예컨대, 1번 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ㄱ'에 대응하는 제 1 조합형 코드, 'ㄲ'에 대응하는 제 2 조합형 코드 및 'ㅋ'에 대응하는 제 3 조합형 코드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1번 키를 짧게 눌렀다면 'ㄱ'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고, 'ㄱ'에 대응하는 제 1 조합형 코드가 생성될 것이다.In operation S210,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e type of key pressed and the type of key pressing from the scan code input from the keypad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press form is a short click, then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20 to generate a first combined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For example, when a scan c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is input,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 first combined code corresponding to 'b', a second combined code corresponding to 'ㄲ', and a third combined code corresponding to 'ㅋ'. Will either occur. If the user presses the first key briefly, it is determined that 'a' is input and a first combinational code corresponding to 'a' is generated.

단계 S210의 판별 결과, 키 누름 형태가 더블 클릭이면, 그 제어는 단계 S230으로 진행해서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제 2 조합형 코드를 발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1번 키를 더블 클릭하였다면 'ㄲ'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고, 'ㄲ'에 대응하는 제 2 조합형 코드가 생성된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210 indicates that the key press form is a double click,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30 to generate a second combined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For example, if the user double-clicks the first key, it is determined that 'ㄲ' is input and a second combined code corresponding to 'ㄲ' is generated.

단계 S210의 판별 결과, 키 누름 형태가 긴 클릭이면 그제어는 단계 S240으로 진행해서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제 3 조합형 코드를 발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1번 키를 길게 눌렀다면 'ㅋ'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고, 'ㅋ'에 대응하는 제 3 조합형 코드가 생성된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210 indicates that the key press form is a long click,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40 to generate a third combined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the first key for a long time, it is determined that 'ㅋ' has been input, and a third combination code corresponding to 'ㅋ' is generated.

단계 S250에서, 프로세서(130)는 발생된 조합형 코드를 대응하는 완성형 코드로 변환한다. 이 때 변환되는 완성형 코드는 현재 입력된 자소가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것이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예를 들어, 현재 입력된 'ㄱ'이 초성이면 'ㄱ'에 대응하는 완성형 코드가 생성되나, 현재 입력된 'ㄱ'이 종성이고, 이전에 'ㄱ' 및 'ㅏ'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서 '가'가 형성된 상태이면 '각'에 대응하는 온성형 코드가 생성된다. 앞서 설명한 조합형 한글 코드들 및 완성형 한글 코드들은 모두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다.In step S250, the processor 130 converts the generated combined code into a corresponding complete code. The completed code that is converted at this tim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tly input element is one of initial, neutral, and final. For example, if the current input 'ㄱ' is a consonant, a complete code corresponding to 'ㄱ' is generated, but the current input 'ㄱ' is a finality, and previously 'ㄱ' and 'ㅏ' are sequentially entered, If 'ga' is formed, an on-molding code corresponding to 'angle' is generated. The combined Hangul codes and the complete Hangul codes described above are both stored in the memory 140.

단계 S260에서,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완성형 한글 코드에 대응하는 한글을 LCD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한다.In operation S260, the processor 130 displays the Hangu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omplete Hangul code on the LCD panel 110.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영어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키패드(120)의 1번 키부터 9번 키에는 각각 2개 또는 3개의 영어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각각의 키에 할당된 알파벳들은 한글 입력과 동일하게 클릭, 더블 클릭 또는 긴 클릭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다. 표 3은 각 키에 할당된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을 정리해서 보여준다.The following describes a method of inputting an English alphab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back to FIG. 4, two or three English alphabets are assigned to keys 1 to 9 of the keypad 120, respectively. The alphabets assigned to each key can be entered by clicking, double-clicking or long-clicking the same as the Hangul input. Table 3 shows how to enter the alphabet assigned to each key.

본 발명에 의한 일본어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의 키패드(120)에는 표 4와 같이 히라가나가 각각 할당된다. 예컨대, 1번 키에는 'あ', 'い', 'う' ,'え' 및 'お'가 할당되고, 1번 키의 키 누름 형태에 따라서 1번 키에 할당된 다섯 개의 히라가나들 중 하나가 입력된다. 일본어의 히라가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에 최대 5 개의 히라가나들이 할당되므로 앞서 설명한 한글 및 영어 알파벳 입력 방식과 달리 두 개의 키 누름 방식이 더 요구된다.Japanes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Hiragana is assigned to the keypad 120 of FIG. 4 as shown in Table 4, respectively. For example, key 1 is assigned 'あ', 'い', 'う', 'え', and 'お', and one of five hiragana letters assigned to key 1 according to the key press type of key 1. Is input. In order to input Japanese hiragana, up to five hiragana are assigned to one key, and thus, two key presses are required, unlike the Korean and English alphabet input methods described above.

도 6d 및 도 6e는 키 누름의 다른 형태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6d는 '더블클릭 + 긴클릭'을 보여준다. 즉, 도 6b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T1) 내에 동일한 키를 두 번 누르되, 두 번째 키는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길게 누름으로써 '더블클릭 + 긴클릭'이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서 '더블 클릭 + 긴 클릭'은 키에 할당된 자소들 중 네 번째 자소를 선택하기 위한 키 누름이 된다. 예컨대, 일본어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가 1번 키를 '더블 클릭 + 긴 클릭'하면 'え'가 프로세서(130)로 입력된다.6D and 6E show different forms of key presses. 6D shows 'double click + long click'. That is, as shown in FIG. 6B, the same key is pressed twice within the preset time T1, but the second key is pressed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to input 'double click + long click'. In this embodiment 'double click + long click' is a key press to select the fourth element among the elements assigned to the key. For example, in a Japanese input, when a user "double clicks + long clicks" the first key, "え" is input to the processor 130.

도 6e는 '긴 클릭 + 더블 클릭'을 보여준다. 도 6e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길게 키를 누른 후 미리 설정된 시간(T1) 이내에 동일한 키를 다시 누르면 '긴 클릭 + 더블 클릭'이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서, '긴 클릭 + 더블 클릭'은 키에 할당된 자소들 중 다섯 번째 자소를 선택하기 위한 키 누름이 된다. 예컨대, 일본어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가 1번 키를 '긴 클릭 + 더블 클릭'하면 'お'가 입력된다. 이 때에는, 전술한 3가지의 키 누름 방식을 사용할 때와는 달리, 긴 클릭과 '긴 클릭 + 더블 클릭'을 구별하기 위하여 긴 클릭후 미리 설정된 시간(T1)동안 다른 키 누름이 발생하디 않아야 한다.6e shows 'long click + double click'. Referring to FIG. 6E, when the key is pressed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and the same key is pressed again within the preset time T1, 'long click + double click' is input. In this embodiment, 'long click + double click' is a key press to select the fifth element among the elements assigned to the key. For example, in a Japanese input, when a user presses the 1 key 'long click + double click', 'お' is input. At this time, unlike when using the above three key presses, different key presses must not occur during the preset time T1 after the long click to distinguish between the long click and the 'long click + double click'. .

도 8은 하나의 키에 다섯 개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을 때 도 7에 도시된 판별 단계(S210)에서 키 누름 형태를 판별하는 구체적인 제어 수순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211에서 프로세서(130)는 스캔 코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긴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앞선 설명에서,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는 키가 눌러진 시간동안 연속해서 프로세서(130)로 전달된다고 설명하였다. 판별 결과, 스캔 코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길면 그 제어는 단계 S212로 진행한다.FIG. 8 illustrates a detailed control procedure for determining a key press form in the determination step S210 of FIG. 7 when five phonemes are assigned to one key. Referring to FIG. 8, in step S211,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can code input time is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can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30 continuously for the time the key is press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scan code input time is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2.

단계 S212에서 프로세서(130)는 T1안에 동일한 스캔 코드가 다시 입력되는 지를 판별한다. 만일 T1안에 동일한 스캔 코드가 다시 입력되면 그 제어는 단계S213으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키 누름 형태가 '긴 클릭 + 더블 클릭'인 것으로 판별한다. 만일 T1안에 동일한 스캔 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그 제어는 단계 S212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키 누름 형태가 '긴 클릭'인 것으로 판별한다.In step S212,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ame scan code is input again in T1. If the same scan code is input again in T1,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3 to determine that the currently input key press form is 'long click + double click'. If the same scan code is not entered in T1,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2 to determine that the currently input key press form is 'long click'.

단계 S211의 판별 결과, 스캔 코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길 지 않으면 그 제어는 단계 S215로 진행한다. 단계 S215에서 프로세서(130)는 T1안에 동일한 스캔 코드가 다시 입력되는 지를 판별한다. 만일 T1안에 동일한 스캔 코드가 다시 입력되면 그 제어는 단계 S216으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1, if the scan code input time is not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5. In step S215,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ame scan code is input again in T1. If the same scan code is input again in T1,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6.

단계 S216에서 프로세서(130)는 스캔 코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2) 보다 긴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스캔 코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길면 그 제어는 단계 S217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키 누름 형태가 '더블 클릭 + 긴 클릭'인 것으로 판별한다. 스캔 코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T2)보다 길지 않으면 그 제어는 단계 S218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키 누름 형태가 '더블 클릭'인 것으로 판별한다.In step S216,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can code input time is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scan code input time is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7 to determine that the currently input key press form is 'double click + long click'. If the scan code input time is not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2,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8 to determine that the currently input key press form is 'double click'.

단계 S215의 판별 결과, T1안에 동일한 스캔 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그 제어는 단계 S219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키 누름 형태가 '클릭'인 것으로 판별한다.If the same scan code is not input into T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5,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9 to determine that the currently input key press form is 'click'.

이와 같은 키 누름 형태 판별 과정은 프로세서(130)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된다. 판별 과정이 완료되면 그 제어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220 내지 단계 S240 중 하나로 진행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본어의 히라가나와 같이 하나의 키에 5개의 자소들이 할당된 경우에는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제 4 코드및 제 5 코드를 발생하는 과정들이 더 필요함은 당연하고, 이와 관련된 실시예의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어려움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key press form determination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processor 130. When the determin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rol proceeds to one of steps S220 to S240 shown in FIG. 7.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7, if five phonemes are assigned to one key, such as Japanese hiragana, it is natural that more processes for generating the fourth code and the fifth cod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are necessary.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related thereto are not difficult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배열은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키 누름 횟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더블 클릭을 1회 키 입력으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자음은 1회의 키 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 복모음의 경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비해 키 누름 횟수가 현저하게 적다.As described above, the key arrangement for character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key press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In particular, when a double click is viewed as a single key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consonants can be input by one key press. In addition, in the case of double vowels, as shown in Table 5, the number of key presses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the prior art.

구체적인 예로서 '휴대폰'이라는 글을 입력하는 과정을 본 발명과 종래 기술들을 비교하면 표 6와 같다.As a specific example,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text 'mobile phone' is shown in Table 6 when compar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rior art.

표 6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 입력 방식은 종래 기술들에 비해 키 누름 횟수가 적다. 특히, 천지인 입력 방식에 의하면, 'ㅣ', '·', 및 'ㅡ' 만을 가지고 모음을 입력해야 하므로, 복모음의 경우 키 누름 횟수가 많다. 그리고, 나랏글 2000 입력 방식에 의하면, 경음 또는 격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덧쓰기 기능키와 나란히 기능키를 한 번 더 눌러야 하므로 역시 키 누름 횟수가 많다.As can be seen in the example of Table 6, the key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ewer key presses than the prior art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cheonjiin input method, since the vowel must be input only with 'ㅣ', '·', and 'ㅡ', the number of key presses is large in the case of a double vowe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ragle 2000 input method, in order to input a hard sound or a sound sound, the function key must be pressed once more in parallel with the overwrite function key.

한편, 국내공개공보 제 2000-9780 호는 하나의 키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할당되어 있어서 처음 입력되는 클릭이나 더블 클릭은 자음으로 판단하고, 다음에 입력되는 클릭이나 더블 클릭은 모음으로 판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모음 뒤에 입력되는 자음이 종성인지 아니면 다음 글자의 초성인 지를 판별할 방법이 없어서 이를 알려주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다. 예컨대, '예쁘다'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7번 키 클릭('ㅇ'), 7번 키 길게 더블 클릭('ㅖ'), 5번 키 더블 클릭('ㅃ'), 5번 키 길게 클릭('ㅡ'), 9번 키 클릭('ㄷ') 그리고 6번 키 길게 클릭('ㅏ')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각 음절의 마지막에 오는 모음들은 더블 클릭 대신에 길게 더블 클릭해야 하고, 클릭 대신에 길게 클릭해야 한다. 즉, 국내공개공보 제 2000-9780 호는 음절을 종결시킬 것인 지의 여부에 따라서 클릭, 길게 클릭, 더블 클릭, 길게 더블 클릭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키 입력에 있어서 매우 혼란스럽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음과 모음이 서로 다른 키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혼란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0-9780 assigns a consonant and a vowel to one key, so that the first click or double click is determined to be a consonant, and the next click or double click is determined as a vowel. However, there was no way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onant inputted after the vowel was the last or first letter of the next letter.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pretty', press the seventh key ('ㅇ'), double-click the seventh key ('ㅖ'), double-click the fiveth key ('ㅃ'), long-click the fiveth key (' ㅡ '), 9 key clicks (' ㄷ ') and 6 key long clicks (' ㅏ '). Thus, the vowels at the end of each syllable should be long clicked instead of double clicked, and long clicked instead of clicked. That is, Korean Laid-Open Publication No. 2000-9780 requires user to click, long click, double click, and long double click depending on whether the syllable is to be termina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nsonants and vowels are assigned to different keys, such confusion does not occur at all.

천지인 입력 방식으로 '붉게'를 입력하려면 '붉'을 입력한 후 기능키(방향키)를 눌러서 커서를 다음 위치로 이동시킨 후 '게'를 입력해야 한다. 만일 '붉'을 입력하고 기능키(방향키)를 누르지 않고 '게'를 연이어 누르면 'ㄱ'키가 두 번 눌러진 것으로 인식되어서 '불케'라고 입력된다. 반면, 본 발명은 클릭, 더블 클릭 또는 긴 클릭 중 한 가지의 방식으로 키가 눌러지는 순간 입력될 자음이 결정된다. 따라서, 입력된 종성이 연이은 다음 글자의 초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To input 'red' as the input method, you should input 'red' and then press the function key (direction key) to move the cursor to the next position and then enter 'crab'. If you type 'red' and press 'crab' consecutively without pressing the function key (direction key), 'a' is recognized as being pressed twice, and 'bulke' is enter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to be input is determined the moment the key is pressed in one of a click, double click, or long click manner. Thus, the inputted finality is not affected by the initiality of subsequent letters.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에는 다양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exemplary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Rath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lude all of the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 configurations. Accordingly,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roadly as possible to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similar construction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키에 자음군 또는 모음군을 할당함으로서 휴대폰과 같은 장치를 두 손에 쥐고, 두 개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왼손은 자음을 오른손은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마치 타자를 치듯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6 개의 복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들과 모음들은 클릭, 더블 클릭, 긴 클릭 만으로 입력되므로 키 입력 횟수가 적다. 그러므로, 한글 입력 속도가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ssigning a consonant group or a vowel group to one key,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held in two hands, and the left hand can be consonant using two thumbs, and the right hand can enter a vowel. You can type Hangul like that. In addition, the consonants and vowels other than the six vowels are inputted only by clicking, double-clicking, and long-clicking. Therefore, the Hangul input speed is improved.

더욱이, 본 발명은 유사한 형태의 자음들을 하나의 자음 키에 할당하고, 유사한 형태의 모음들을 하나의 모음 키에 할당함으로서 각 키에 할당된 자소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고, 비록 사용자가 키 배열을 기억하고 있지 못하더라도 직관적으로 키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remember the phonemes assigned to each key by assigning similar types of consonants to one consonant key and assigning similar types of vowels to one vowel key, even though the user can assign a key arrangement. Even if you do not remember the position of the key can be intuitively determined.

그리고, 본 발명은 자음의 초성과 종성을 구분하여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키 입력 편리성이 증대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input the consonants and the finality of the consonants, the convenience of key input of the user is increased.

Claims (10)

외부에서 입력되는 문자 정보에 따라 디지털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In a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externally input character information: 자음군들에 대응하는 자음 키들; 그리고Consonant keys corresponding to consonant groups; And 모음군들에 대응하는 모음 키들을 포함하며;Includes vowel keys corresponding to vowel groups; 상기 자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자음군에 속한 자음을 입력받고, 상기 모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모음군에 속한 모음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Receiving consonants belonging to a consonant group associated with a key pressed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receiving a vowel belonging to a vowel group associated with a pressed key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vowel keys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군들에 속하는 자음들의 한글 코드들과 상기 모음군들에 속하는 모음군들의 한글 코드들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Hangul codes of consonants belonging to the consonant groups and Hangul codes of vowel groups belonging to the vowel group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된 자음 및 상기 입력된 모음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nput consonant and the input vow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자음군에 속한 자음을 입력받고, 상기 모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모음군에 속한 모음을 입력받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 controller for receiving consonants belonging to a consonant group associated with a pressed key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receiving a vowel belonging to a vowel group associated with a pressed key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vowel keys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제어기는,The controller, 상기 자음 키들 각각의 키누름 상태들을 구별하여 눌러진 키와 관련된 한글 코드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한글 코드에 대응하는 한글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reading out a Hangul code associated with a pressed key by distinguishing keypress states of each of the consonant keys from the memory, and displaying a Hangul corresponding to the read Hangul code on the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누름 상태들은 클릭, 더블클릭 그리고 긴 클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said keypress states comprise a click, a double click and a long click.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키누름 상태들은 긴 클릭 + 더블 클릭 그리고 더블 클릭 + 긴 클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And said keypress states further comprise long click + double click and double click + long clic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군들은 일반자음, 경음 및 격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The consonant groups of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normal consonant, a hard sound and a sou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키 들 및 모음 키들의 각각에는 영어의 알파벳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정보 처리 장치.And each English alphabet letter is assigned to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the vowel key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키들 및 모음키들의 각각에는 일본어의 가나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정보 처리 장치.And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the vowel keys is assigned a Kana character in Japanese.
KR1020020065573A 2002-10-25 2002-10-25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KR200400369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573A KR20040036972A (en) 2002-10-25 2002-10-25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573A KR20040036972A (en) 2002-10-25 2002-10-25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972A true KR20040036972A (en) 2004-05-04

Family

ID=3733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573A KR20040036972A (en) 2002-10-25 2002-10-25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697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258A2 (en) * 2007-09-11 2009-03-19 Bong Sook Ahn Digraphic keypad
KR101032538B1 (en) * 2008-01-24 2011-05-09 김순일 Detachable infant chopstic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258A2 (en) * 2007-09-11 2009-03-19 Bong Sook Ahn Digraphic keypad
WO2009035258A3 (en) * 2007-09-11 2009-05-22 Bong Sook Ahn Digraphic keypad
KR101032538B1 (en) * 2008-01-24 2011-05-09 김순일 Detachable infant chopst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432B1 (en) Creation method for characters/word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CA2227904C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US6009444A (en) Text input device and method
JP4695055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on system
JPH1115584A (en) Character input system by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50025267A (en)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400918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yu pinyin having tone
KR1003616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Korean
KR100332830B1 (en) Hangul input and searching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having Hangul memory function
KR20040036972A (en)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KR0154150B1 (en) Inputing method of korean alphabet array i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397509B1 (en)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CN104268131B (en) Method for accelerating the candidate in input in Chinese to select
KR100750634B1 (en) Device for input and output Chinese characters
KR100350781B1 (en) Method for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using jogdial
KR100311892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numbers or characters quickly in compact devices or desktop telephones
KR200318329Y1 (en) The way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 through Numeric Keypad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98038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20100110072A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3008919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WO2003025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KR20040069231A (en) The way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 through Numeric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