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085A -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085A
KR20040028085A KR1020020059178A KR20020059178A KR20040028085A KR 20040028085 A KR20040028085 A KR 20040028085A KR 1020020059178 A KR1020020059178 A KR 1020020059178A KR 20020059178 A KR20020059178 A KR 20020059178A KR 20040028085 A KR20040028085 A KR 2004002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al code
service
web service
asp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634B1 (ko
Inventor
엄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6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AIP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들과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에서 로컬 우편번호 DB를 이용해서 우편번호를 제공할 때 생기는 데이터 불일치 현상, 데이터 중복 현상, 스토리지 낭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수단;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수단; 우편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우편번호 저장 및 검색수단; 및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결과 우편번호 전송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Postal code offer system and the method to use web service}
본 발명은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와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개발자들이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환경에 상관없이 웹서비스 기술을 활용하여 우편번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웹서비스 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정보사회가 제공해 줄 수 있는 무한한 혜택 중 가장 큰 것은 아마도 개인의 세계화일 것이다. 즉,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은 세계를 하나의 전자 문화권으로 통합시켜 세계 어디에서나 결재를 하고 보고를 자유로이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지구촌 구석구석에 있는 정보나 문화에 대하여 속속들이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정보를 얻고자 하는 개인은 이제 과거처럼 도서관이나 서점을 찾아서 해당 정보를 얻기보다는 인터넷에 연결된 자신의 컴퓨터의 웹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인터넷상의 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IT 환경의 발전단계를 살펴보면, 초기 1세대에는 메인프레임 서버가 중앙에서 모든 정보를 집중 관리(메인 프레임 방식)하다가, 2세대에는 컴포넌트 기반의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전이되었다. 최근에는 웹 기반의 개방형 시스템이 e-Business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이를 흔히 웹 사이트 방식 또는 WAS(Web Application Server) 방식이라고 한다.
이러한 IT 환경의 변화에 따라, 웹 상에서 서로 연계되지 않은 각종 웹 애플리케이션들끼리 서로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하자는 개념의 "웹서비스"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웹서비스는 "제2의 인터넷 혁명"으로까지 평가되고 있으며, 향후 본격적인 시장 성숙기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e-Business의 기반으로 웹서비스가 폭넓게 구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대형 소프트웨어 벤더들을 중심으로 웹서비스 관련 인프라 소프트웨어 및 개발 툴 부분에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는 또한 웹서비스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웹서비스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기종 플랫폼에 탑재된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간에 데이터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작업(task)을 자동화할 수 있는 서비스 통합 기술이라 말할 수 있다. 네트워크상에서 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다양한 이기종 플랫폼 환경이 보편화됨에 따라 관심이 고조되는 것이 웹서비스이다. 웹서비스는 별도의 플랫폼에 별도의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들이 표준 기반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상호 운용성을 보장해 준다. 기존의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에도 같은 개념이 존재하지만,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이용한 프레임워크는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나다. 또한, 표준 웹 프로토콜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와 작동함으로써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제반 비용도 현저히 작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웹은 컴퓨터의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된 문서 또는 값이 서버측에서 수행되어 그 리턴값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HTTP로 전달하는 방식에 그쳤지만, 웹서비스가 실현되면 어떠한 기기, 어떠한 프로그램도 SOAP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원격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SOAP을 통해 원격 컴퓨터에 구현된 function를 마치 자신의 function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PDA의 워드 프로세서에 자동 계산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면 웹서비스 디렉토리로부터 필요한 기능의 위치정보 및 사양을 전송받아 해당 서버의 계산 관련 객체를 호출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웹서비스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분산 객체 서비스가 현실로 실행되는 것이다.
현재까지의 웹은 사용자와 프로그램간의 상호 작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에이전트 기술 및 개인화 서비스의 보편화로 인해 프로그램과 프로그램간 자동적인 상호 작용이 많아져 웹서비스 표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바를 간단히 요약하면, 웹서비스란 플랫폼, 구현언어,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방화벽을 통과해 어플리케이션간의 데이터 공유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기술로서, 현재까지의 웹이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기술이라면, 웹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기술로, XML을 기반으로 하는 표준들을 따르므로 플랫폼과 언어에 중립적이다.
즉, 기존 웹 환경은 사용자가 웹을 통해서 요구하면 웹 어플리케이션이 그결과를 웹페이지를 통해 보는 방식인 반면에, 웹서비스 환경은 사용자가 아닌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이 웹을 통해 웹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요청(Request)을 전송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전송해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는 자기가 가지고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새로 개발할 필요없이 기 개발된 웹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AIP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나 ASP 서비스 개발자가 우편번호를 이용하는 방식은, 도 1에서와 같이 우편번호를 이용하는 서버마다 각각의 로컬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DB)를 가지고 각기 다른 우편번호 검색 프로그램을 통해 우편번호를 검색하고, AIP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에 우편번호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경우 각 AIP 어플리케이션 서버마다 자기 우편번호 DB에 맞는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해주는 타입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이보다 좀더 나은 방식으로, 도 2와 같이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AIP 시스템 내에 대표 우편번호 DB를 이용해서 모든 AIP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로컬 우편번호 DB를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며, 각 AIP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각자의 우편번호 검색 프로그램을 통해 우편번호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도 2에 설명한 대표 우편번호 DB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은 AIP 시스템 내의 대표 우편번호 DB의 내용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 두 방식은 로컬 DB 유지에 드는 스토리지 낭비 문제가 있으며, 개별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우편번호 검색이 따로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개발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일부 로컬 시스템의 우편번호 DB의 내용에 변경이 가해지면 우편번호 DB간의 데이터 불일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 및 도 2의 AIP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은 방화벽내에 존재한다. 기존 웹 환경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방화벽 외부에 있는 시스템(본 발명의 ASP 서비스 서버들)의 어플리케이션이 방화벽 내부에 있는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우편번호를 조회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기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서 이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이때, 외부 시스템이 내부 시스템과 반드시 연결이 필요한 경우, 방화벽 내의 시스템의 특정 IP(Internet Protocol)와 특정 포트(Port)를 열어 접속할 수는 있지만, 이 방법은 보안상 위험을 줄 수 있고 특정 외부 시스템과 내부 시스템과의 연결에 이례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이지, 다수의 외부 시스템에 내부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AIP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들과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에서 로컬 우편번호 DB를 이용해서 우편번호를 제공할 때 생기는 데이터 불일치 현상, 데이터 중복 현상, 스토리지 낭비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AIP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들과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에서 로컬 우편번호 DB를 이용해서 우편번호를 제공할 때 생기는 데이터 불일치 현상, 데이터 중복 현상, 스토리지 낭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라 우편번호를 제공하는 방식을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부 42 : 사용자 정보 저장 및 인증부
43 : 우편번호 저장 및 검색부 44 : 결과 우편번호 전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수단;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수단; 우편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우편번호 저장 및 검색수단; 및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결과 우편번호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우편번호 제공 방법에있어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제 1 단계;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및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우편번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제 1 기능;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하는 제 3 기능; 및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 시스템별로 개별 우편번호 검색 프로그램과 로컬 DB 사용으로 발생하는 스토리지 비용 및 프로그램 개발 비용 감소를 위해 인터넷과 인트라넷에 상관없이 서비스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우편번호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AIP 시스템 내에 우편번호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들과 우편번호 정보를 이용하는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에게 신속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우편번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우편번호 정보를 필요로하는 AIP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들과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하면 웹서비스를 통해 우편번호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전달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때, 우편번호 제공 요청과 결과 전송에는 웹서비스 기술인 SOAP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이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ASP 사업자는 방화벽에 상관없이 AIP 내의 우편번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웹서비스 기술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XML 기반의 메시징을 위한 프로토콜), WSDL(Web ServiceDescription Language)(메시지 교환을 위해 필요한 규약 등을 기술해 놓은 도큐먼트),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웹 서비스들을 찾기 위한 일종의 검색페이지) 등 4개의 표준 기술들로 이루어진다. 이 기술들을 이용한 본 발명의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서 ASP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게 된다. 이 SOAP 프로토콜은 HTTP/XML을 사용하여 메소드 호출과 매개변수와 그 결과의 전달 방법을 정의하는 것으로, HTTP(default:80) 포트를 이용하므로 별다른 작업없이 방화벽을 통과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과 도 2의 기존 방식에 단지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며, 도 3과 같이 우편번호 제공을 위해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구현하고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약속된 형식에 맞추어 웹서비스를 호출함으로써 동작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ASP 서비스 서버들이 각각 우편번호 제공 웹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각자의 응용프로그램 내에서 우편번호 제공 웹서비스 사용 방법에 맞게 우편번호 제공 웹서비스를 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HTTP 포트를 이용하므로, 시스템간 연결을 위한 다른 작업은 필요없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요청방식, 결과타입, 전송방법 등)을 제공하기 위한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부(41)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저장 및 인증부(42)와, 전국 우편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조회)하기 위한 우편번호 저장 및 검색부(43)와,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결과 우편번호 전송부(44)를 포함한다.
또한, AIP 내에서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들(45~47)과, AIP 내의 서비스를 사용하며 자체 ASP 서비스에서 우편번호 정보를 필요로 하는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48~5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우편번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A(48)는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부(41)를 통해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을 제공받고, 그 방식에 맞추어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 저장 및 인증부(42)에서 서비스를 요청한 ASP 사업자 A(48)가 AIP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고 인증한다. 그 후, ASP 사업자 A(48)가 요청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우편번호 저장 및 검색부(43)에서 조회하여, 검색된 결과는 결과 우편번호 전송부(44)를 통해 ASP 사업자 A(48)에게 전송된다. 만일, 요청한 지역의 우편번호 정보가 없는 경우는 오류 메시지를 보내준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하는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48~50)가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부(41)에 우편번호 사용방법을 요청하면(501),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부(41)에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48~50)로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요청방식, 결과타입, 전송방법 등)을 전송한다(502).
이후,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을 전송받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48~50)가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우편번호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지역을 담은 우편번호 요청문서를 전송하면(503), 사용자 정보 저장 및 인증부(42)에서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의 정당한 사용자가 맞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 인증을 한다(504). 이때, 올바른 사용자가 아니면 오류메시지를 전송한다(507).
그러나, 정당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우편번호 저장 및 검색부(43)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우편번호 정보(우편번호와 해당 지역명)를 검색하여(505), 검색된 우편번호 정보가 있으면(506) 우편번호 정보를 해당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48~50)로 전송하고(507), 해당 결과가 없으면(506) 오류메시지를 해당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48~50)로 전송한다(507).
한편,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45~47)의 경우에는 우편번호 정보 시스템과 동일 플랫폼내에 있으므로 우편번호 정보 이용시 상기 "501" 단계, "502" 단계, "504" 단계가 생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터넷과 인트라넷 망에 상관없이 어떠한 플랫폼 위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들과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에서 우편번호를 제공할 때 생기는 데이터 불일치 현상, 데이터 중복으로 인한 스토리지 낭비 현상, 추가적인 개발 비용 증가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우편번호 서비스 사용방법 제공수단;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수단;
    우편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우편번호 저장 및 검색수단; 및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결과 우편번호 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은,
    요청방식, 결과타입, 전송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3.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우편번호 제공 방법에 있어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제 1 단계;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및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4.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우편번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에,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들이 우편번호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편번호 웹서비스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제 1 기능;
    우편번호 정보를 요청한 ASP 사업자가 AIP(Application Infrastructure Provider)의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인증된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 혹은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우편번호 웹서비스 사용방법에 맞추어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된 지역에 대한 우편번호를 검색하는 제 3 기능; 및
    우편번호 검색 결과를 메시징 프로토콜(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IP 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혹은 ASP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59178A 2002-09-28 2002-09-28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6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178A KR100566634B1 (ko) 2002-09-28 2002-09-28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178A KR100566634B1 (ko) 2002-09-28 2002-09-28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085A true KR20040028085A (ko) 2004-04-03
KR100566634B1 KR100566634B1 (ko) 2006-03-31

Family

ID=3733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178A KR100566634B1 (ko) 2002-09-28 2002-09-28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6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134A (ja) * 1993-06-30 1995-03-20 Toshiba Corp 住所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郵便番号検索方法
JPH11250043A (ja) * 1998-02-27 1999-09-17 Juki Corp データエントリ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259402A (ja) * 2001-02-27 2002-09-13 Tsubasa System Co Ltd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634B1 (ko) 200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208B2 (en) Creating proxies from service description metadata at runtime
Stal Web services: beyond component-based computing
EP1483671B1 (en) Provisioning aggregated servi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499983B2 (en) Web dispatch service
JP6061936B2 (ja) ロケーションニュートラルソフトウェアの需要増大に伴う展開に対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248182A1 (en) Formatted and/or tunable QoS data publication, subscription, and/or distribution including dynamic network formation
US200201164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among legacy systems using web objects for legacy functions
US20060248181A1 (en) Formatted and/or tunable QOS data publication, subscription, and/or distribution servers and clients
US7319979B2 (en) Dynamically interacting with an internet service using a client-specified communication proxy and protocol
US7523492B2 (en) Secure gateway with proxy service capability servers for service level agreement checking
EP1696633B1 (en) Bidirectional SOAP communication by means of a single HTTP session
US8250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a web services address
KR100566634B1 (ko) 웹서비스를 이용한 우편번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ankowska et al. An architecture for agent-based mobile Supply Chain Event Management
KR100915776B1 (ko) 웹 서비스 중개기를 위한 포트 타입 어그노스틱 프록시지원
KR100977128B1 (ko)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Georgousopoulos et al. Supporting FIPA interoperability for legacy multi-agent systems
JP4334253B2 (ja) データ整合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並びに方法
Hillenbrand et al. Web services and peer-to-peer
Palavra et al. Web services as standard of connecting heterogeneous information systems
Hwang et al. IRTL (information resource transaction layer) middleware design for P2P and open GRID services
Ulmer et al. Enabling web object orientation with mobile devices
Polgar et al. Protocols
Dodani Objects are for Wimps: Real Developers Need SOS
Avram et al. Technologies for E_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