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878A -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878A
KR20040021878A KR1020020053527A KR20020053527A KR20040021878A KR 20040021878 A KR20040021878 A KR 20040021878A KR 1020020053527 A KR1020020053527 A KR 1020020053527A KR 20020053527 A KR20020053527 A KR 20020053527A KR 20040021878 A KR20040021878 A KR 20040021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accident
occurre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1878A/ko
Publication of KR2004002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Abstract

차량의 운행중 사고를 유발시키는 경우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외부의 통신 접속이 있는 경우 기억된 사고 발생 사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접속 요구자에게 무선 통신으로 통지하여 사고 유발후 도주 차량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량의 감가속도에 따른 충격량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충격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되면 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검문소나 주변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 요구가 수신되면 기록된 사고 발생 정보와 차량 등록번호 및 소유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발신유닛을 포함하며, 주행중 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충격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충격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직전 속도와의 속도차가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속도차가 기준속도 이상이면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고 발생을 기록하고, 사고 발생 정보 전송을 위한 대기 모드 진입하여 외부로부터의 통신 접속을 검출하는 과정과, 외부로부터의 통신 접속이 검출되면 사고 발생 정보 및 차량 등록번호 및 소유자의 정보를 통신 접속 요구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INFORMATION PROVID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행중 사고를 유발시키는 경우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외부의 통신 접속이 있는 경우 기억된 사고 발생 사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접속 요구자에게 무선 통신으로 통지하여 사고 유발후 도주 차량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의 통계를 보면 한해 평균 대략 30만 건의 교통 사고가 발생하여 1만명 내외의 사망자와 30만명 내외의 부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발생은 OECD 가입 국가중에서 가장 사고가 많은 나라이며, 경제 수준이나 교육수준에 있어서 우리나라에 비해 크게 앞서지 않는 나라들도 우리나라 보다 평균 4배 내지 5배의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중앙선 침범, 신호위반, 과속 운전, 음주 운전, 졸음 운전 등 안전 운행의 불이행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밖에 피해 당사자 및 가족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고후 도주하는 뺑소니 교통사고는 전체 사고 발생 건수의 대략 10% 내외를 차지하며, 이에 따른 사망자 및 부상자의 수는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뺑소니 사고의 발생에 대하여 목격자가 없는 경우 사고 발생 차량 및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없어 사건 자체가 미처리 사건으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사고 발생후 도주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차량에 정보 발신 유닛을 장착하고 주행중 감가속도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검출될 시 사고의 발생으로 기록하여 외부에서의 신호의 수신이 검출되면 정보 발신 유닛에 기록되어 있는 사고 발생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사고 발생후 도주 차량을 쉽게 검거할 수 있도록 하며, 사고 발생후 도주 의사 없이 신속한 인명구조의 조치를 유도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제공장치의 차량내 장착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제공장치의 상세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정보 제공장치에서 표시부에 대한 상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제공장치에서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제공장치에서 핸드폰과 정보 통신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감가속도에 따른 충격량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충격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되면 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검문소나 주변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 요구가 수신되면 기록된 사고 발생 정보와 차량 등록번호 및 소유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발신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충격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충격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직전 속도와의 속도차가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속도차가 기준속도 이상이면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고 발생을 기록하고, 사고 발생 정보 전송을 위한 대기 모드 진입하여 외부로부터의 통신 접속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외부로부터의 통신 접속이 검출되면 사고 발생 정보 및 차량 등록번호 및 소유자의 정보를 통신 접속 요구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제공장치는 가속도 센서(110)와, 에어백 유닛(120), ECU(130) 및 정보 발신유닛(14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가속도 센서(110)는 에어백 유닛(120)에 설치되어 감가속도에 따라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여 에어백 유닛(120)에 에어백의 전개 제어를 위한 신호로 제공하며, ECU(130)측에 차량에 어떠한 충격이 발생하였는지를 분석 판단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에어백 유닛(120)은 가속도 센서(120)에서 인가되는 충격량에 대한 신호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여 전개 제어를 수행한다.
ECU(130)는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인가되는 충격량에 대한 감가속도의 신호가 에어백의 전개를 요하는 충격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에어백 유닛(120)측에 에어백의 전개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검출되는 가속도 센서(11)의 충격량에 대한 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정보 발신유닛(140)측에 제공한다.
정보 발신 유닛(140)은 ECU(130)로부터 인가되는 급감속에 대한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되면 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며, 검문소나 주변에서 주행되는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 요구가 수신되면 기록된 사고 발생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고 발생의 판단조건은 가속도 센서(110)의 감속도 정보가 대략 50G 이상으로 검출되면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며, 속도 정보도 같이 체크하여 현재 속도와 가속도 센서(110)의 감가속도가 50G 이전의 속도를 비교하여 속도차가 설정된 일정값, 예를들어 30Km/h 이상이면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한다.
이렇게 두가지의 조건을 이용하여 정보 발신유닛은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외부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대하여 정보 전송의 준비 상태로 대기한다.
상기에서 정보 전송의 준비 상태에서는 차량의 정보, 즉 차량의 등록번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외부로부터의 통신 요구가 검출될 시 현재 차량의 정보 및 기록된 정보를 무선 통신 혹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하여 통신을 요구한 검문소 혹은 주변 차량에 전송한다.
상기에서 전송되는 정보에는 차량의 등록번호 이외에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의 정보 발신유닛(140)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ECU(130)를 통해 검출되는 가속도 센서(110)의 감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인식하는 사고 인식부(141)와, 사고 발생이 인식되는 경우 해당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제반적인 동작과 외부로부터 통신 요구가 접속되는 경우 저장된 차량 등록번호 및 차량 소유자의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2)와,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3)와, 수신되는 주변 차량의 정보 이력을 표시하는 표시부(144)와, 주변 차량 및 검문소에서의 통신 요구를 수신하며, 통신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에 메모리부(143)에 저장되어 있는 사고 발생 통지를 위한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가공하여 무선 통신 혹은 블루투스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145)로 구성된다.
상기의 표시부(144)는 첨부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반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다수개의 터치 패널의 버튼이 구비되는데, 터치 패널의 버튼중에서 정보 확인 버튼은 사고 발생을 목격한 차량의 운전자가 이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사고 발생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수신되는 차량 정보 및 소유자의 정보 이력이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LIST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이전에 사고 난 차량과 통신하여 수신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그 리스트의 내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하고, 업 다운(↑↓) 버튼을 통해 다른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정보 소거 버튼을 통해 현재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소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행자 도로에 보행중인 사람이 사고의 발생을 목격하는 경우 자신의 핸드폰을 이용하여 설정된 단축키를 일정시간 이상 구동하여 사고 발생 차량과 무선 통신이 접속되도록 한 다음 사고 발생 차량내의 정보 발신유닛과 통신하여 사고 발생후 도주하는 차량의 등록번호 및 소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동작 설명에서 에어백의 전개 제어 등의 통상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본 발명에 대한 사고 발생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이 주행하는 상태에서 정보 발신 유닛(140)에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충격량이 설정된 일정값, 예를들어 50G 이상으로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01).
상기에서 충격량이 설정된 일정값 이하로 검출되면 초기의 동작으로 리턴하고, 설정된 일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현재의 검출되는 충격량에 대한 속도와 직전 속도간의 차이가 설정된 일정 속도 이상, 예를들어 30Km/h 의 차로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에서 충격량에 대한 속도와 직전 속도간의 차이가 설정된 일정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초기의 동작으로 리턴하고, 속도간의 차이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행중 인사 사고 혹은 주변 차량이나 기타 구조물과의 추돌로 인한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정보 발신 유닛(140)에 사고 발생의 일시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정보 발신 대기의 모드로 진입시킨다(S103).
상기와 같이 정보 발신 유닛(140)이 사고 발생의 일시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정보 발신의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차량이 설정된 거리, 예를들어 10M 이상을 주행한 속도 신호 확인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04).
상기에서 속도 신호의 확인이 검출되면 사고 발생 차량 운전자의 도주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정보의 발신 대기 모드로 진입하여 외부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105).
사이와 같이 차량 정보의 발신 대기 모드에서 사고를 목격한 주변 운행 차량에서의 정보 확인 버튼의 구동에 따라(S106) 블루투스 혹은 무선 통신으로 차량내 정보 발신 유닛간의 통신이 연결되어(S107) 외부의 통신 접속을 대기하고 있는 사고 차량이 외부의 신호 수신을 인식하게 되면(S108), 정보 발신 대기 모드에 있는 차량의 정보 발신 유닛(140)은 자기 차량의 등록번호와 사고 발생 일시 및 차량 소유자의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한 다음 블루투스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 수신을 요구한 차량에 전송한다(S109).
따라서, 사고를 목격한 차량내의 정보 발신유닛의 표시부는 수신된 사고 발생 차량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준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차량간 통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보행자 도로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사고 발생을 목격한 경우에 자신의 핸드폰을 이용하여 설정된 임의의 버튼을 구동하게 되면 첨부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고 발생 차량내의 정보 발신 유닛과 접속되어 사고 발생 차량의 정보가 보행자의 핸드폰에 수신되어 사고 발생 차량의 등록번호 및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수신 표시된다.
또한, 검문소에서 통과하는 차량에 통신 접속을 요구하는 경우 사고 발생 후 도주하는 상태에서 정보의 전송 대기를 유지하는 차량내 정보 발신 유닛은 검문소에 발생되는 통신 접속에 따라 기록된 사고 발생 정보 및 차량 등록번호 및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어 교통 사고후 도주하는 차량을 쉽게 검거한다.
또한, 상기에서 사고 발생으로 판단된 이후에 주행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판단되면 사고 발생 확인을 위한 정보를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변의 차량에게 자동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에 사고를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 시점이 기록된 다음 정보 전송의 대기 상태로 진입하여 주변 차량 혹은 보행자 또는 검문소에서의 통신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기록된 사고 발생 정보와차량 등록번호 및 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전송되어 교통 사고후의 도주 차량 검거에 편리성을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의 전송에 의해 사고후 도주의사를 사전에 배제시켜, 사고 발생에 대한 신속한 구인 구난 활동이 제공되어 귀중인 인명 피해를 최소화시킨다.

Claims (16)

  1. 에어백 유닛이 구비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의 감가속도에 따른 충격량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충격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되면 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검문소나 주변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 요구가 수신되면 기록된 사고 발생 정보와 차량 등록번호 및 소유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발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보 발신유닛은 가속도 센서의 감가속도 설정값 이상이고, 직전 속도와의 차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사고 발생이 판단되면 외부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대하여 정보 전송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메모리수단에 자기 차량에 대한 등록번호와 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사고 발생이 판단될시 해당 시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무선 통신 혹은 블루투스를 통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핸드폰과 통신 접속되어 해당 정보의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감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인식하는 사고 인식부와;
    사고 발생이 인식되는 경우 정보 전송이 대기 모드를 유지하고, 외부와 통신이 접속되는 경우 차량 등록번호 및 차량 소유자의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고 발생 확인을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수신되는 주변 차량의 정보 이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주변 차량 및 검문소에서의 통신 요구를 수신하며, 통신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가공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사고 발생 판단을 위한 기준 감가속도를 50G 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사고 발생 판단을 위한 감가속도와 이전 속도간의 속도차를 30Km/h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발신유닛은 사고 발생 판단후 주행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판단되면 도주 의사로 판단하여 저장된 사고 발생 확인을 위한 정보를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표시부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반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사고 발생 차량의 정보 수신을 위한 정보 확인 버튼과;
    정보 수신된 내역을 확인하는 리스트 버튼과;
    정보 수신 리스트 내역을 스크롤하는 업/다운 버튼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소거를 위한 정보 소거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는 버튼은 터치 패널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장치.
  13. 주행중 감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충격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충격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직전 속도와의 속도차가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속도차가 기준속도 이상이면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고 발생을 기록하고, 사고 발생 정보 전송을 위한 대기 모드 진입하여 외부로부터의 통신 접속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외부로부터의 통신 접속이 검출되면 사고 발생 정보 및 차량 등록번호 및 소유자의 정보를 통신 접속 요구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사고 발생 판단후 정보 전송의 대기 모드에서 차량의 주행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검출되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는 무선 통신 혹은 블루투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제공방법.
KR1020020053527A 2002-09-05 2002-09-05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0021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27A KR20040021878A (ko) 2002-09-05 2002-09-05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27A KR20040021878A (ko) 2002-09-05 2002-09-05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78A true KR20040021878A (ko) 2004-03-11

Family

ID=3732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527A KR20040021878A (ko) 2002-09-05 2002-09-05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18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02B1 (ko) * 2008-11-19 2011-01-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의 충격 이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GB2483124A (en) * 2009-08-25 2012-02-29 Tomtom Belgoum Nv Method of identifying a temporarily located road feature, navigation apparatus, system for identifying a temporarily located road feature, and remote data
US9047495B2 (en) 2012-04-30 2015-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dentifying impact of a traffic incident on a road net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02B1 (ko) * 2008-11-19 2011-01-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의 충격 이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GB2483124A (en) * 2009-08-25 2012-02-29 Tomtom Belgoum Nv Method of identifying a temporarily located road feature, navigation apparatus, system for identifying a temporarily located road feature, and remote data
US8751149B2 (en) 2009-08-25 2014-06-10 Tomtom Belgium N.V. Method of identifying a temporarily located road feature, navigation apparatus, system for identifying a temporarily located road feature, and remote data processing server apparatus
US9047495B2 (en) 2012-04-30 2015-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dentifying impact of a traffic incident on a road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8814B2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CN110114245B (zh) 车辆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2792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US6556903B2 (en) Safety system for school buses
US201101117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ating distracted driving
US201503714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tely Assessing Vehicle Incidents and Dispatching Assistance
KR101882478B1 (ko)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GB2443654A (en) System for detecting and testing drivers who show abnormal driving behaviour.
KR100892973B1 (ko) 차량 단말기에서의 차량 사고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741489B (zh) 一种obu故障检测方法、obu装置及obu故障检测系统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KR102185373B1 (ko) 자동차용 안전 및 비상 신호 표시 시스템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2584581B1 (ko)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040021878A (ko) 차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8188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JP3304128B2 (ja) 自動通報装置
JP3214901B2 (ja) 自動通報装置
JPH11283161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WO2016152834A1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JP6653852B2 (ja) 事故等判断システム、検知装置、携帯型通信端末
EP3606018B1 (en) Mobile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obile device program
JP3298822B2 (ja) 緊急時通報システム用車載端末装置
KR20160133623A (ko) 차량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002989A (zh) 驾驶安全监测方法、车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