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473A -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473A
KR20040020473A KR1020020052081A KR20020052081A KR20040020473A KR 20040020473 A KR20040020473 A KR 20040020473A KR 1020020052081 A KR1020020052081 A KR 1020020052081A KR 20020052081 A KR20020052081 A KR 20020052081A KR 20040020473 A KR20040020473 A KR 20040020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mage data
database
geograph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834B1 (ko
Inventor
유재준
이종훈
주인학
남광우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5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8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과 영상 데이터(image data)를 연계시켜 수치 지도 정보를 현실감 있게 보여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 지리 정보 시스템은 획득된 영상을 공간 지리 정보와 단순히 링크하여 보여주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획득된 영상을 지리 정보에 따라 가공한 영상 정보 및 영상의 부분에 대한 처리, 및 영상 및 부분 영상에 대한 기타 부가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정제된 영상 정보와 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영상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한다. 영상 전처리는 위성, 항공기, 및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 등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부분 영상들로 분리하여 각 부분 영상을 새롭게 가공하고 부분 영상 별로 기타 부가 정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처리에서의 영상 분리는 특정 모양을 가지는 셀(cell) 모양의 부분 영상, 공간 지리 정보를 참고한 부분 영상, 및 영상 내의 객체 정보를 참고한 부분 영상들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한다. 영상에서 영상 객체를 추출하는 경우, 객체 추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터링 및 영상 객체 추출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를 부분 영상들로 분리해서 각 부분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영상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부가 정보들을 쉽게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Description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IMAGE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영상 지리 정보(image geographic information)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과 영상 데이터(image data)를 연계시켜 수치 지도 정보를 현실감 있게 보여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 지리 정보 시스템은 현실감을 더하기 위하여 취득된 동영상 및 정지 영상을 특별한 전처리 없이 지리 정보와 단순하게 연계시켜서 공간 지리 정보와 영상을 상호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만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영상 지리 정보 시스템은 획득된 영상을 공간 지리 정보와 단순히 링크하여 보여주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획득된 영상을 지리 정보에 따라 가공한 영상 정보 및 영상의 부분에 대한 처리, 및 영상 및 부분 영상에 대한 기타 부가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영상 지리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획득된 영상을 부분 영상들로 분리하고, 정확한 영상 분리를 위한 필터링, 객체 추출 등의 전처리를 사용하여 영상 분리의 정확도를 높이며, 전처리된 영상을 특정 목적에 맞도록 디스플레이하고, 기타 부가 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정보를 각기 구축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웍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각각의 실제 영상에 대응하는 각가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1 단계; 정제된 영상 정보, 영상 부분에 대한 개별적인 영상 처리,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제 2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데이터 전처리 정보, 공간 지리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연계시켜 그 연계 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원본, 상기 전처리된 영상 데이터, 상기 공간 지리 정보,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연계 정보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차례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영상 전처리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위성 및 항공기를 이용하여 취득한 영상을 분리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을 이용하여 취득한 영상을 분리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영상 객체 추출을 위한 필터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영상 데이터 및 전처리 된 영상 데이터, 공간 지리 정보 객체, 및 그 연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모델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예를 나타낸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영상 데이터베이스 15 : 공간 지리 데이터베이스
16 :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
17 : 연계 정보 데이터베이스
50 : 공간 지리 정보 객체 51 : 영상 객체
52 : 부가 정보 객체 53 : 전 처리된 영상 객체
60 : 공간 지리 정보 뷰어 61 : 지상 좌표/영상 좌표 변환기
62 : 영상 및 연계 정보 뷰어
63 : 영상 처리기 64 : 부가 정보 뷰어
100 : 클라이언트 200 : 네트웍
300 : 서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영상 전처리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로, 영상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이다.
먼저, 영상 획득 단계(10)에서는 위성, 항공기, 자동차 등에 부착된 카메라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등의 위치 측정 장지 등을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획득 위치, 영상 데이터로부터 지상 좌표를 추출하기 위한 롤(roll), 피치(pitch), 및 요(yaw) 등의 카메라 자세 정보를 획득한다.
영상 전처리 단계(11)에서는 부분 영상에 대한 처리 및 부가 정보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영상 획득 과정에서 얻어진 영상을 분리한다.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방법은 영상을 모양이 일정한 셀들로 나누는 방법, 지리 정보 시스템이 가지는 공간 지리 정보를 참고하여 나누는 방법, 영상 자체에 포함된 객체들의 영상 내에서의 위치를 참고하여 나누는 방법을 사용한다.
영상을 모양이 일정한 셀들로 나누는 방법은, 영상 데이터 혹은 영상이 취득된 장소의 공간 지리 정보와 관계없이 영상을 분리한다. 나누어진 각 부분 영상들이 나타내는 지역은 영상 획득 과정에서 얻어진 영상의 지리 위치 정보와 셀 분리 정보를 참고하여 구한다. 이 방법은 영상이 모두 같은 모양의 부분 영상들로 나누어지므로 영상 분리 정보를 유지하기 쉽고, 영상의 특정 부분을 지정, 처리 하기 쉽다.
도 2a와 도 3a는 각각 위성 및 항공기, 그리고 차량을 이용하여 취득된 영상을 모양이 일정한 셀들로 분리한 예이다.
영상을 공간 지리 정보를 참고하여 나누는 방법은 하천, 도로 등 특정 공간 지리 정보를 참고하여, 실제로 존재하는 공간 지리 객체의 영상 내의 위치에 따라서 영상을 분리한다. 나누어진 각 부분들이 나타내는 지역은 영상 획득 과정에서 얻어진 지리 위치 정보와 해당 지역에 대한 공간 지리 정보를 참고하여 구한다. 이 방법은 영상을 지리 정보를 참고하여 나누게 되므로 공간 지리 정보의 각 부분에 대하여 개별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기타 부가 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다.
도 2b와 도 3b는 위성 및 항공기, 그리고 차량을 이용하여 취득된 영상을 공간 지리 정보를 참고 하여 분리한 예이다.
영상을 영상 내의 객체의 위치를 참고하여 나누는 방법은, 지리 정보를 직접 참고하지 않고 영상 처리 연산을 통하여 영상 내의 객체를 추출하여, 객체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분리한다. 객체 추출 방법은 기존의 템플릿 추출 방법이나 스네이크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나누어진 각 부분들이 나타내는 지역은 영상 획득 과정에서 얻어진 지리 위치 정보와 객체 추출 정보를 참고하여 구한다. 영상 내의 객체의 위치를 참고하여 영상을 분리하는 방법은 영상 처리 연산에 의하여 영상내의 각 객체에 따라 영상을 분리하게 되므로, 지리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얻을 수 없는 지리 정보에 대하여 영상을 분리할 수 있고, 영상의 각 객체별로 세부적으로 개별적인 의미를 부여하며, 기타 부가 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다.
도 2c와 도 3c은 위성 및 항공기, 그리고 차량을 이용하여 취득한 영상을 영상 내의 객체 정보를 참고하여 분리한 예이다.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할 때,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객체의 외곽선들을 추출하거나 영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분석의 용이하게 하는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필터링 처리 방법에는 라플라시안(Laplacian) 방법, 주파수 Enhance 방법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영상의 특정 부분 혹은 특정 데이터 분석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 영상에 대하여 객체 추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라플라시안 필터링을 수행한 예이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 전처리 정보는 연계 정보 추출 및 연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에서 사용된다. 영상 전처리의 부가적인 이점으로써, 영상 정보에서 얻을 수 있는 객체 및 객체의 지리 좌표와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공간 지리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서로의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처리 된 영상 데이터와 공간 지리 정보, 그리고 기타 부가 정보를 연계시키기 위한 연계 정보 추출 단계(12)는 전처리 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위치 등에 대한 부가 정보, 영상 전처리 정보, 공간 지리 정보, 그리고 기타 부가 정보들을 연계시키기 위한 연계 정보를 얻는다. 도 5는 이러한 연계를 위한 각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ER 모델로 나타낸 모델링 도이다. 모델링 도에는 지도 상의 하천, 도로 등을 나타내는 공간 지리 정보 객체(entity)(50), 영상 획득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 객체(51), 영상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전처리된 영상 객체(53), 기타 영상 및 공간 지리 정보와 연계될, 음성, 웹 페이지(Web Page) 등의 부가 정보 객체(52)가 존재하며, 각 객체는 1:N 혹은 M:N의 관계를 가진다. 도 2a, 2b, 2c에서의 각기 확대된 도면 및 도 3a, 3b, 3c에서의 각기 확대된 도면은 분리된 영상 블록과 부가 정보를 연계한 간단한 개념적인 예이다.
연계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단계(13)는 상기 과정들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 데이터 원본 및 전처리된 영상 데이터, 공간 지리 정보, 기타 부가 정보, 그리고 그들의 연계 정보를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한다. 데이터베이스에 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의 스키마는 도 5에서의 모델링 도와 모델링 도 내의 각 객체들의 관계(Relationship)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네트웍(200)이 클라이언트(100)와 서버(3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클라이언트(100)는 공간 지리 정보 뷰어(Viewer)(60), 지상 좌표/영상 좌표 변환기(61), 영상 및 연게 정보 뷰어(62), 영상 처리기(63), 및 부가 정보 뷰어(64)를 구비한다. 서버(30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4), 연계 정보 데이터베이스(15), 공간 지리 데이터베이스(16), 및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7)를 구비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공간 지리 정보 뷰어(60)는 요청에 의해 서버(300)로부터제공되는 공간 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지상 좌표/영상 좌표 변환기(61)는 공간 지리 정보 뷰어(60)에서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영상 및 연계 정보 뷰어(62)의 영상에 디스플레이 해주기 위해 지상 좌표와 영상 좌표를 상호 변환해 준다. 영상 처리기(63)는 시스템 설정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인 영상 변환을 수행한다. 영상 및 연계 정보 뷰어(62)는 요청에 의해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원본 영상 데이터 및 전처리된 부분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 정보 뷰어(64)는 요청에 의해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부가 정보를 해석하고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예를 나타낸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클라이언트(100)가 사용자로부터 서버(300) 내의 데이터베이스 접속 요구를 받을 경우 서버(300) 내의 각 데이터베이스(14, 15, 16, 17)에 네트웍(200)을 통해 연결한다. 이 후,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100) 및 네트웍(200)을 통해 서버(300)에게 요청(S1)하면 클라이언트(100)는 해당 지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간 지리 정보 데이터, 연계 정보 데이터, 그리고 부가 정보 데이터를 각 데이터베이스(14, 15, 16, 17)로부터 네트웍(200)을 통해 가져온다(S2). 영상 데이터베이스(14)에서는 원본 영상 데이터 및 전처리된 부분 영상 데이터, 영상 데이터 전처리 정보, 그리고 각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취득시의 카메라 자세 정보, 취득 일자 등에 대한 정보를 가져온다. 공간 지리 데이터베이스(16)에서는 공간 지리 정보를 가져온다.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17)에서는 영상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연계시킨 부가 정보들을 가져온다. 연계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서는 각 정보들의 연계 정보를 가져온다. 공간 지리 정보 정보는 공간 지리 정보 뷰어(60)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영상 정보는 영상 처리기(63)에 전달되어 시스템 설정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처리 된 후, 영상 뷰어(62)에 넘겨져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영상 데이터의 카메라 자세 정보 및 영상 취득 위치 등은 지상 좌표/영상 좌표 변환기(61)에 넘겨져 지상 좌표와 영상 좌표 사이의 변환에 사용된다. 기타 부가정보는 부가 정보 뷰어(64)에 넘겨져 디스플레이된다(S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영상의 특정 부분에 대하여 개별적인 처리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구체적인 영상 처리를 수행하며, 특수 목적에 맞는 영상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영상의 부분에 대하여 또 다른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문서 정보, Hyper-Map 등의 기타 부가 정보를 쉽게 연계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을 분리하는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른 장점으로써, 획득된 영상에 나타나는 객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부분 영상에 대하여 색인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있으며, 획득된 영상 데이터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영상 정보를 분산 저장 및 병렬 처리 할 수 있는 수단을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지리 정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클라이언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정보를 각기 구축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웍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요청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공간 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지리 정보 뷰어;
    요청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원본 영상 데이터 및 전처리된 부분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및 연계 정보 뷰어;
    상기 공간 지리 정보 뷰어에서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상기 영상 및 연계 정보 뷰어의 영상에 디스플레이 해주기 위해 지상 좌표와 영상 좌표를 상호 변환해 주는 지상 좌표/영상 좌표 변환기;
    시스템 설정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인 영상 변환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기; 및
    요청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부가 정보를 해석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부가 정보 뷰어를 포함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원본 영상 데이터 및 전처리된 부분 영상 데이터, 영상 데이터 전처리 정보, 그리고 각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취득시의 카메라 자세 정보, 취득 일자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
    각 정보들의 연계 정보를 구축하는 연계 정보 데이터베이스;
    공간 지리 정보를 구축하는 공간 지리 데이터베이스; 및
    영상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연계시킨 부가 정보를 구축하는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3. 클라이언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정보를 각기 구축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웍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접속 요구를 받을 경우 상기 서버 내의 각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네트웍을 통해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및 상기 네트웍을 통해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면 상기 클라이언트가 해당 지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간 지리 정보 데이터, 연계 정보 데이터, 그리고 부가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네트웍을 통해 가져오는 제 2 단계;
    상기 공간 지리 정보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 3 단계;
    상기 영상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달되어 시스템 설정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처리 된 후, 디스플레이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각 데이터베이스 중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본 데이터 및 전처리된 부분 영상 데이터, 영상 데이터 전처리 정보, 그리고 각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취득시의 카메라 자세 정보, 취득 일자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각 데이터베이스 중 공간 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간 지리 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각 데이터베이스 중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영상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연계시킨 부가 정보들을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각 데이터베이스 중 연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정보들의 연계 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8. 클라이언트,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정보를 각기 구축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웍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각각의 실제 영상에 대응하는 각가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1 단계;
    정제된 영상 정보, 영상 부분에 대한 개별적인 영상 처리,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제 2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데이터 전처리 정보, 공간 지리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연계시켜 그 연계 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원본, 상기 전처리된 영상 데이터, 상기 공간 지리 정보,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연계 정보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차례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매체는 위성, 항공기, 자동차에 부착된 카메라와 위치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영상을 모양이 일정한 셀들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지리 정보 시스템이 가지는 공간 지리 정보를 참고하여 나누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영상 자체에 포함된 객체들의 영상 내에서의 위치를 참고하여 나누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방법.
KR10-2002-0052081A 2002-08-30 2002-08-30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63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81A KR100463834B1 (ko) 2002-08-30 2002-08-30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81A KR100463834B1 (ko) 2002-08-30 2002-08-30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473A true KR20040020473A (ko) 2004-03-09
KR100463834B1 KR100463834B1 (ko) 2004-12-30

Family

ID=3732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081A KR100463834B1 (ko) 2002-08-30 2002-08-30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8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41B1 (ko) * 2002-09-12 2005-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정보를 이용한 지리정보 구축 및 브라우징 시스템과그 방법
KR100945841B1 (ko) * 2007-09-07 2010-03-05 이봉호 인터넷을 통한 지리정보의 멀티미디어자료 등록, 변경 및재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224734B1 (ko) * 2006-12-31 2013-01-2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치기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90092845A (ko) * 2018-01-31 2019-08-08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3차원 지리 정보 시스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472B1 (ko) 2015-10-16 2017-01-18 삼안산업 주식회사 정전 지그를 이용한 유리병 도장용 적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917A (ja) * 1998-05-29 1999-1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地図を用いた建物データ転送・受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00036552A (ko) * 2000-03-21 2000-07-05 전진우 별도의 플러그 인이 없이 3차원적 입체도시구조물을컴퓨터그래픽으로 작성한 지도와 3차원적 도시시설물의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한 후 두 가지를 상호 조합하여 실제지역상가(상권)를 3차원 데이터 베이스 구조로 가지게하여 지역밀착형 인터넷 컨덴트의 제공과 지역밀착형 전자상거래를 행하기 위한 방법
KR20010094701A (ko) * 2000-04-06 2001-11-01 조영선 동영상 및 정지화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안내시스템
KR20010105634A (ko) * 2000-05-17 2001-11-29 김장태 인터넷상의 지도 정보 서비스방법
KR100325435B1 (ko) * 2000-05-23 2002-02-21 박용선 인공위성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제작방법
KR20020004298A (ko) * 2000-07-04 2002-01-16 김정진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KR20010035392A (ko) * 2001-02-09 2001-05-07 최종엽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리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41B1 (ko) * 2002-09-12 2005-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정보를 이용한 지리정보 구축 및 브라우징 시스템과그 방법
KR101224734B1 (ko) * 2006-12-31 2013-01-2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치기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945841B1 (ko) * 2007-09-07 2010-03-05 이봉호 인터넷을 통한 지리정보의 멀티미디어자료 등록, 변경 및재생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2845A (ko) * 2018-01-31 2019-08-08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3차원 지리 정보 시스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834B1 (ko) 200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55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oint of interest
JP4591353B2 (ja) 文字認識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固定局装置、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US10291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navigation map
WO2006023290A3 (en) Automated georeferencing of digitized map images
WO1999034346A8 (fr) Procede et dispositif servant a traiter des donnees cartographiques numeriques
KR100484941B1 (ko) 영상정보를 이용한 지리정보 구축 및 브라우징 시스템과그 방법
Özcan et al.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smart campus urbanization: MSKU campus prototype
CN111465936B (zh) 确定地图上新道路的系统和方法
KR100463834B1 (ko)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i et al. Urban infrastructure audit: an effective protocol to digitize signalized intersections by mining street view images
CN111915729B (zh) 三维gis信息的仿真展示方法及系统
CN108827326A (zh) 一种基于大数据的导航地图的采集方法及其采集装置
CN116524143A (zh) 一种gis地图构建方法
CN114689063A (zh) 地图建模及导航引导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程序产品
JP2002189412A (ja) 地図作成システム及び地図作成方法
KR20010035392A (ko)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리정보 제공 방법
CN107734383A (zh) 一种在移动视频中融合实时地理信息的方法
CN106709897A (zh) 基于梯度领域的正射影像间最优拼接线寻找方法及系统
Idhoko et al. Development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oad network database for emergency response: A case study of Oyo-Town, Oyo State, Nigeria
CN109542996B (zh) 基于GeoPDF技术的新型移动地图应用服务系统
Arriaga-Varela et al. Automatic georeferencing of heterogeneous historic and illustrated maps
Pedersen et al. Geolocating traffic signs using crowd-sourced imagery
CN111104470A (zh) 一种电子沙盘和应急平台联动的方法和系统
CN111383446A (zh) 电子地图道路信息的制作方法和设备
JPH09197958A (ja) 地図属性推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