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212A -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212A
KR20040020212A KR1020020051734A KR20020051734A KR20040020212A KR 20040020212 A KR20040020212 A KR 20040020212A KR 1020020051734 A KR1020020051734 A KR 1020020051734A KR 20020051734 A KR20020051734 A KR 20020051734A KR 20040020212 A KR20040020212 A KR 2004002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finger
hand
fingers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프랭크 촹
Original Assignee
프랭크 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 촹 filed Critical 프랭크 촹
Priority to KR102002005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212A/en
Publication of KR2004002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21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glove-type keyboard is provided to install half the number of keys on a bottom surface of glove fingers of one hand, and to install other keys on the back of the other hand, so that a user can type fingers of the other hand with the fingers of the one hand by being far from a disk. CONSTITUTION: Two glove bodies(10,12) are formed with plural glove fingers. Plural keys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hand of each glove finger in one of the two glove bodies(10,12). Other plural keys are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each glove finger of the other one of the glove bodies(10,12). By pressing a specific key, a specific functional item is selected. The two glove bodies(10,12) are put on a flat surface. The right hand glove body(10) is put on the left hand of a user such that the fingers can be toward the user. The left hand glove body(12) is put on the right hand of the user such that the fingers can indicate a side far from the user.

Description

장갑형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입력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Armored keyboard and input method using it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system)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보드로 사용되는 키버튼이 설치된 한 쌍의 장갑 및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열 손가락 타이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d an input method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ore specifically, a pair of gloves and a computer equipped with a key button used as a keyboar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or a ten-finger typing method for data input in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컴퓨터,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키보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사용자가 키보드 상의 어떤 키를 누르면, 대응하는 신호가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보내져 대응하는 기능 항목(function item)이 입력된다. 다른 종류의 장치의 키보드들은 다른 크기 및 다른 특징들을 갖고 있어, 서로 다른 기능성 및 다른 레벨의 사용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양한 다용도 키보드들 중에서, 전통적인 QWERTY 키보드('QWERTY'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의 좌상단의 영문자 배열임.)가 사용자들의 습관과 타이핑 실현성 및 타이핑 속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성능이 좋기 때문에 현재 여전히 가장 인기있는 것이다.Keyboards are generally used for data entry i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ular phones, PDAs, and the like. When the user presses any key on the keyboar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sent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o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tem is input. Keyboards of different kinds of devices have different sizes and different features, providing different functionality and different levels of usability. However, among the various versatile keyboards, the traditional QWERTY keyboard ('QWERTY' is the alphabetic arrangement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keyboard currently in use) is still present because of its relatively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user habits, typing realization and typing speed. The most popular one.

그러나, 전통적인 키보드는 딱딱한 구조를 가지며 부피가 커서 책상 위와 같은 평평한 곳에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놓여야 한다. 사용자가 타이핑하기 위해서는 키보드가 놓인 곳에 가까이 갈 것이 요구되고, 키보드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불편하다. 상기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 키보드로서의 데이터 장갑과 들고다닐 수 있는(hand-held) 키보드가 앞에서 언급한 문제들을 피하기 위한 대체 방법을 제공한다.However, traditional keyboards have a rigid structure and are bulky and must be placed on a flat surface such as on a desk. The user is required to get close to where the keyboard is placed to type, and carrying the keyboard is inconvenient.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data gloves as a virtual keyboard and hand-held keyboards provide an alternative way of avoiding the aforementioned problems.

입력을 위해 단지 누름키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장갑형 가상 키보드는 입력항목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손가락 구부림과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미국 특허 No. 6304840에 개시된 시스템은 열 손가락 타이핑(ten-finger-typing)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키보드로서 데이터 장갑을 이용한다. 굽힘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인접하는 지관절 사이의 굽힘각은 키보드의 특정열(row)을 디코딩하는데 사용되고, 각각의 손가락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럼(columns)을 담당한다. 외전/내전 센서(abduction/adduction sensor)는 동일한 손가락에 의해 담당되는 칼럼들(cloumns)을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Instead of using only a press key for input, the armored virtual keyboard detects finger movements, such as finger bends, to decode the entry. U.S. Patent No. The system disclosed in 6304840 utilizes data gloves as a virtual keyboard that enables ten-finger-typing. The bend angle between adjacent joints sensed by the bend sensor is used to decode a particular row of the keyboard, each finger being responsible for one or more columns. Abduction / adduction sensors are used to distinguish the cloumns that are covered by the same finger.

핸드 헬드(hand held) 데이터 입력 시스템은 작은 장치로서, 사용자가 손에 쥐어서 타이핑할 수 있다. 미국 특허 No. 6288709 B1에 개시된 시스템은 손가락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방향성 키들이 있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다.A hand held data entry system is a small device that a user can type by holding in his hand. U.S. Patent No. The system disclosed in 6288709 B1 has a housing that includes a top and a bottom with multidirectional keys used to minimize finger movement.

그러나, 장갑형 가상 키보드 또는 핸드 헬드 키보드로는, 책상을 벗어난 타이핑의 목적은 달성되지만, 데스크탑 위에 그 장치를 위치시키고 타이핑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손안에 다른 물체가 있을 경우에는 타이핑 기능이 심각하게 방해를 받는다.However, with armored virtual keyboards or hand-held keyboards, the purpose of typing off the desk is achieved, but it is not possible to place and type the device on the desktop and the typing function is severely disturbed if there are other objects in the hand.

본 발명의 주목적은 책상에서 떨어져서 "손가락 대 손가락" 식으로 열 손가락 타이핑을 가능하게 하는 장갑형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보드는 책상위에 놓더라도 타이핑을 위한 키보드로서의 기능을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한 손에 PDA나 스타일러스와 같은 다른 물체를 들고도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로 타이핑을 할 수 있다.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armored keyboard that allows ten finger typing in a "finger to finger" manner away from a desk. The armored key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does not interfere with its function as a keyboard for typing even when placed on a desk. The user can also type with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le holding another object such as a PDA or stylus in one hand.

도1은 사용자의 오른손에 착용된 장갑형 키보드의 오른손 장갑 몸체의 손등면상의 키배열의 평면도임.1 is a plan view of a key arrangement on the back of the hand of the right hand glove body of a glove-type keyboard worn on the user's right hand.

도2는 사용자의 왼손에 착용된 장갑형 키보드의 왼손 장갑 몸체의 바닥면상의 키배열의 평면도임.Figure 2 is a plan view of a key arrangem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eft hand glove body of a glove-type keyboard worn on the user's left hand.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대 손가락" 타이핑 방법에 있어서의 글자 'd'의 입력을 위한 타이핑 손짓의 동작도임.Figure 3 is an operation of the typing gesture for the input of the letter 'd' in the "finger to finger" typ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타이핑 준비를 위해 데스크탑 상에 놓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평면도임.4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ced on a desktop in preparation for typing;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Drawings>

10 오른손 장갑 몸체,12 왼손 장갑 몸체10 Right Hand Glove Body, 12 Left Hand Glove Body

20 키버튼102 오른손 장갑 손가락20 KEY BUTTON 102 Right Hand Gloves Finger

122 왼손 장갑 손가락122 Left Hand Gloves Fingers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보드는 정보 시스템의 입력장치로서, 각각 다섯개의 장갑 손가락을 갖는 두 개의 장갑 몸체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장갑 손가락에는 다수의 누름키들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의 양손에 착용된 키보드 장갑에 의한 키 입력 방법은 각 손의 다섯 손가락을 이용하여 다른 손에 낀 장갑 손가락에 설치된 키를 치는 것이다. 각 손으로 다른 손 위를 타이핑하는데 있어서, 일부의 키들은 한 손의 각 장갑 손가락의 기저부(손가락이 손바닥에 붙어있는 부위를 의미함. 이하 동일함.) 및 중앙부 지골(proximal and middle phalanxes)의 손바닥면에 설치되고, 나머지 키들은 다른 손의 손등면에 설치된다. 특정 손가락에 의해 눌러져야 하는 키들은 다른 손의 장갑 손가락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왼손의 약지 손가락에 의해 눌러지는 'w', 's' 및 'x'키들은 오른손 장갑의 약지 손가락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키 및 키보드 배열에 의해, 사용자는 양손의 각 다섯 손가락을 이용하여 다른 손위의 키들을 누름으로써 책상에서 떨어져서 열손가락으로 타이핑을 할 수 있다.The armored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device of an information system, and is composed of two armored bodies each having five armored fingers, and each armored finger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pressing keys. The key input method by the keyboard gloves worn on both hands of the user is to use the five fingers of each hand to hit the keys installed on the fingers of the other hand. With each hand typing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keys are located at the base of each glove finger of the hand (where the finger is attached to the palm of the hand, the same below) and of the proximal and middle phalanxes. It is installed on the palm of the hand and the remaining keys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hand of the other hand. The keys that must be pressed by a particular finger are installed in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glove finger of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w', 's' and 'x' keys pressed by the ring finger of the left hand are placed on the ring finger of the right hand glove. This key and keyboard arrangement allows the user to type with ten fingers away from the desk by pressing the keys on the other hand using each of the five fingers of both hands.

상기한 장치와 협조식 타이핑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제한된 조건하에서 효율적이고도 인간환경공학적으로 데이터를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cooperative typing method, a user can enter data into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fficiently and ergonomically under limited condi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결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Other objects,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보드는 오른손 장갑 몸체(10)와 왼손 장갑 몸체(12)로 구성된다. 사용자의 오른손에 착용된 오른손 장갑 몸체(10)의 손등면이 도1에 도시되어 있고, 왼손에 착용된 왼손 장갑 몸체(12)의 손바닥면이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다섯 개의 장갑 손가락들(102, 122)이 사용자의 각 손에 맞도록 각각의 장갑 몸체에 포함된다. 도1 및 도2 상에서, 장갑 몸체 상에 표시된 각각의 기호는 키버튼(20)을 나타내는데, 하나의 키버튼을 누름으로써 기능 항목(각 기호 또는 기능)을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입력한다. 다수의 키버튼들(20)이 오른손 장갑 몸체의 각 장갑 손가락의 손등면에 설치되는 반면에, 다른 키버튼들(20)은 왼손 장갑 몸체의 각 장갑 손가락의 손바닥면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armored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ight hand glove body 10 and a left hand glove body 12. The back of the hand of the right hand glove body 10 worn on the user's right hand is shown in FIG. 1, and the palm side of the left hand glove body 12 worn on the left hand is shown in FIG. 2. Five glove fingers 102 and 122 are included in each glove body to fit each hand of the user. 1 and 2, each symbol displayed on the glove body represents a key button 20, which inputs a function item (each symbol or function) in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by pressing one key button. A plurality of keybuttons 20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hand of each glove finger of the right hand glove body, while the other keybuttons 20 are installed on the palm side of each glove finger of the left hand glove body.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갑 손가락 상의 키들의 배열은 전통적인 QWERTY 키보드에 있어서의 타이핑과 매우 유사한 타이핑 방법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되어 전통적인 키보드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사용으로의 전환에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전통적인 QWERTY 키보드 상에서의 기본 손위치에 있어서의 항목 입력을 위한 키들(대부분 알파벳 문자)은 오른손 장갑 손가락의 손등면의 중앙부 지골과 왼손 장갑 몸체의 손바닥면의 기저부 지골에 설치된다. 전통적인 QWERTY 키보드 상에서 손가락들을 횡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타이핑해야 하는 키들은 각 지골에 하나의 키열을 추가하여 두 개의 키열이 각 지골에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숫자키와 기능키들은 왼손 장갑 몸체의 바닥면의 각 손가락(엄지는 제외됨)의 중앙부 지골과 오른손 장갑 몸체의 손등면의 기저부 지골상에 설치된다. Ctrl,Alt 및 스페이스 바(space bar) 키들은 오른손 장갑 엄지의 지골의 손등면에 설치된다. 커서 이동 및 스크린 롤링용 키들은 외손 장갑 엄지의 손바닥면에 배열된다.The arrangement of keys on the glove finger in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enable a typing method that is very similar to the typing on a traditional QWERTY keyboard, so that those who used the traditional keyboard had problems with switching to keyboard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not. Keys for entry of items in the basic hand position on a traditional QWERTY keyboard (mostly alphabetic characters) are placed in the central phalanx of the back of the hand of the right hand glove and the base phalanx of the palm of the left hand glove. On traditional QWERTY keyboards, keys that need to be typed by moving fingers laterally are installed so that two key rows are formed in each phalanx by adding one key string to each phalanx. Numeric and function keys are placed on the central phalanx of each finger (except thumb) of the bottom of the left hand glove body and on the base phalanx of the back of the hand of the right glove body. The Ctrl, Alt and space bar keys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phalanx of the thumb of the right hand glove. Keys for cursor movement and screen rolling are arranged on the palm side of the external armor thumb.

상기한 바와 같은 키 배열을 갖는 장갑형 키보드는 "손가락 대 손가락" 식으로 열 손가락 타이핑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입력을 위해 손에 착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키(20)에 각 손가락 끝을 위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장갑형 키보드 상에서의 타이핑을 위한 준비는 키들이 손위에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전통적인 키보드 상에서의 타이핑을 위한 그것과 같다. 컴퓨터로 한 기능 항목을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오른손 손가락으로 왼손의 대응하는 손가락 지골의 손바닥면에 설치된 키를 누르거나, 왼손 손가락으로 오른손의 대응하는 손가락의 지골의 손등면 위에 설치된 키를 누르면 된다. 하나의 동작예가 도3에 도시되어 있는데, 문자 'd'를 입력하기 위하여 왼손의 가운데 손가락이 오른손의 가운데 손가락의 중앙 지골의 중간열에 위치한 키를 누르고 있다. 문자 'e' 및 '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손가락으로 각각 'd'와 동일한 지골의 상위열 및 하위열에 있는 키를 누르면 된다. 다른 항목들의 입력을 위한 행동도 전통적인 키보드 상에서의 그것과 유사하다.A glove-like keyboard having a key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can be worn on the hand for data entry to enable ten finger typing in a "finger to finger" fashion. Preparation for typing on a glove-like keyboard made by placing each fingertip on the corresponding key 20 is the same as for typing on a traditional keyboard except that the keys are at hand. In order to input a function item with a computer, the user presses a key provided on the palm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inger phalanx of the left hand with his right finger or presses a key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halanx of the corresponding finger of the right hand with his left finger. One example of operation is shown in Fig. 3, in which the middle finger of the left hand is pressing a key located in the middle row of the middle phalanx of the middle finger of the right hand to input the letter 'd'. In order to input the letters 'e' and 'c', the same finger presses the keys in the upper row and the lower row of the same phalanx as 'd', respectively. The behavior for entering other items is similar to that on a traditional keyboard.

오른손 몸체의 손바닥면은 어떠한 기능키들도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갑 몸체의 키들은 손가락의 손등면으로 노출된 채, 사용자는 오른손에 PDA 또는 포인터와 같은 물체를 잡을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보드에 의한 타이핑 동작은 여전히 인간환경공학적으로 적용가능하다.Since the palm surface of the right hand body is not provided with any function keys, the keys of the glove body are exposed to the back of the hand of the finger, and the user can hold an object such as a PDA or a pointer in the right hand. In such a situation, the typing operation by the armored key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till ergonomically applicable.

사용자가 손에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항상 안락하거나 편안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는 장갑형 키보드를 손에 착용하지 않은 채 이용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갑 몸체(10, 12)를 책상과 같은 평평한 면에 올려놓는데, 오른손 장갑 몸체(10)는 손가락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사용자의 왼손 쪽에 놓고, 또한 왼손 장갑 몸체(12)는 손가락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가리키도록 사용자의 오른손 쪽에 놓는다. 이러한 배열로,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보드는 타이핑을 위하여 책상 위와 같은 평평한 면에 놓일 수 있다.It will not always be comfortable or comfortable for the user to wear gloves on his hands. In such cases, the armored keyboard can be used without wearing it on the hand. As shown in Fig. 4, the two glove bodies 10 and 12 are placed on a flat surface such as a desk. The right hand glove body 10 is placed on the user's left hand side with the finger facing the user, and also the left hand glove body ( 12) place the finger on the right hand side of the user to point away from the user. In this arrangement, the armored key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placed on a flat surface such as on a desk for typing.

본 발명의 많은 특징과 장점이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서 발명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개시되었지만, 이러한 개시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모양, 크기 및 구성요소의 배열에 있어서의 구체적 사항은 첨부한 청구항에서 표현된 용어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의해 지시되는 정도까지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While many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invention, these disclosur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specific in shape, size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The matter may be modified with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o the extent indicated by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s represent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보드 및 입력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전통적인 키보드와는 달리 책상으로부터 떨어져서 타이핑 할 수 있고, 또한 한 손에 물건을 쥔채로도 타이핑 할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장갑 착용이 불편한 때에는 책상 위에 올려 놓고도 타이핑 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rmored keyboard and th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keybo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keyboard that can be typed away from the desk, and can also be typed while holding an object in one hand. Of course, when wearing gloves is inconvenient, it is also possible to type on a desk.

Claims (4)

다수의 장갑 손가락들이 형성된 두 개의 장갑 몸체,Two armored bodies with multiple armored fingers, 상기 두 개의 장갑 몸체 중 하나의 각 장갑 손가락의 손등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키와, 다른 장갑 몸체의 각 장갑 손가락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른 다수의 키를 포함하여, 특정 키를 누름으로써 특정 기능 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위한 장갑형 키보드.A specific function by pressing a particular key,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installed on the back of each glove finger of one of the two glove bodies, and a plurality of other key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glove finger of the other glove body An armored keyboard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herein an item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알파벳 문자 키들은 상기 두 개의 장갑 몸체 중 하나의 장갑 손가락들의 중앙 지골의 손등면과 다른 장갑 몸체의 장갑 손가락들의 기저부 지골의 손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위한 장갑형 키보드.Alphabetic characters keys ar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iddle phalanx of the glove fingers of one of the two glove body and the palm side of the base phalanx of the glove fingers of the other glove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숫자키와 기능키는 상기 두 개의 장갑 몸체 중 하나의 장갑 손가락들의 기저부 지골의 손등면과 다른 장갑 몸체의 장갑 손가락들의 중앙부 지골의 손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위한 장갑형 키보드.The numeric and function keys are armored keyboards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ase of the base phalanx of one of the two glove bodies and the palm of the central phalanx of the glove fingers of the other glove body. . 장갑 손가락들 상에 설치된 기능 입력키를 구비한 장갑 키보드를 착용하는 단계,Wearing a glove keyboard with a function input key installed on the glove fingers, 사용자가 제1손가락을 이용하여 제2 장갑 손가락의 지골의 손등면에 설치된 키를 누르고, 제2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장갑 손가락의 지골의 손바닥면에 설치된 키를 누름으로써 한 손의 제1손가락과 이에 대응하는 다른 손의 제2손가락으로 기능 입력키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위한 입력 방법.The user presses a key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halanx of the second glove finger by using the first finger, and presses the key installed on the palm surface of the phalanx of the first glove finger using the second finger, thereby the first finger of one hand And operating a function input key with a second finger of the other hand corresponding thereto.
KR1020020051734A 2002-08-30 2002-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KR200400202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734A KR20040020212A (en) 2002-08-30 2002-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734A KR20040020212A (en) 2002-08-30 2002-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212A true KR20040020212A (en) 2004-03-09

Family

ID=3732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734A KR20040020212A (en) 2002-08-30 2002-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212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828U (en) * 1987-07-04 1989-01-20
JPH10307663A (en) * 1997-05-07 1998-11-17 Hosiden Corp Glove type input device
JP2000330692A (en) * 1999-05-20 2000-11-30 Takashi Noguchi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JP2000339080A (en) * 1999-05-31 2000-12-08 Alps Electric Co Ltd Keyboard device
US6288709B1 (en) * 1997-09-22 2001-09-11 Alphagrip, Inc. Hand held data entry system
US6304840B1 (en) * 1998-06-30 2001-10-16 U.S. Philips Corporation Fingerless glove for interacting with data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828U (en) * 1987-07-04 1989-01-20
JPH10307663A (en) * 1997-05-07 1998-11-17 Hosiden Corp Glove type input device
US6288709B1 (en) * 1997-09-22 2001-09-11 Alphagrip, Inc. Hand held data entry system
US6304840B1 (en) * 1998-06-30 2001-10-16 U.S. Philips Corporation Fingerless glove for interacting with data processing system
JP2000330692A (en) * 1999-05-20 2000-11-30 Takashi Noguchi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JP2000339080A (en) * 1999-05-31 2000-12-08 Alps Electric Co Ltd Keyboar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08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board independent touch typing
Nagendran et al. Input Assistive Keyboard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Survey
US20080136679A1 (en) Using sequential taps to enter text
US8810536B2 (en) Tablet computer input device
US20060279532A1 (en) Data input device controlled by motions of hands and fingers
US20090289893A1 (en) Finger appliance for data entry in electronic devices
WO2007129663A1 (en) Input device using sensors mounted on finger tips
EP13946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US7903088B2 (en) Computer keyboard with pointer control
US20080205960A1 (en) Keyboard layout for one-handed touch-typing
GB2421218A (en) Computer input device
US20100207887A1 (en) One-handed computer interface device
KR200400202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JPH10293640A (en) Portable computer
KR20090076180A (en) Pointing equip possess mouse
AU20023008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RU2321050C2 (en) Keyboard
JP3208387B2 (en) Keyboard and computer
WO2011034330A2 (en) Thimble-type command input apparatus
JP2567194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758702B1 (en) Input device for wearable and mobile information appliances
KR200262391Y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20030227445A1 (en) Easy keyboard (e-keyboard)
CN1392465A (en) Finger alternative typewriting device and method
Newman et al. Paradiddle: An Exploration of a One-Handed Tap-Based Text Entry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