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657A -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657A
KR20040019657A KR1020020051266A KR20020051266A KR20040019657A KR 20040019657 A KR20040019657 A KR 20040019657A KR 1020020051266 A KR1020020051266 A KR 1020020051266A KR 20020051266 A KR20020051266 A KR 20020051266A KR 20040019657 A KR20040019657 A KR 20040019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location
gps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91643B1 (en
Inventor
엄봉수
이준우
나동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643B1/en
Publication of KR2004001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64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complementing location determin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is provided to quickly convert a location mode into an A-GPS(Global Positioning System) mode using a wireless network if location determination fails, thereby continuously receiving a location-based service. CONSTITU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120) build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navigation data from a satellite(110) and calculating a location and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120). If location determination fai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120)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verting into an A-GPS mode using a wireless network. A base station transmitter(130) receives a location confirm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120), or delivers a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signal to the terminal(120). A base station controller(140) receives the request signal, and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120). An MSC(150) has a control function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A measurement server(160) overall controls and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120), and calcul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Complementary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ireless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보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범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이불량한 경우 GPS 방식의 위치 파악 모드(Mode)를 무선망을 이용하는 A-GPS(Assisted GPS) 방식으로 신속하게 전환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보완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mplementing the position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More specifically, when the position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poor, the A-GPS using the wireless network is the GPS-based positioning m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switching to an assisted GPS scheme to compensate for position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으로 상징되는 인터넷 통신 서비스가 각광을 받기 시작한 이후, 통신 서비스는 이미 사회, 경제, 정치 등 모든 측면에서 인류의 삶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인터넷이 불가능한 생활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인터넷은 생활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 초고속 통신망 등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Since the Internet communication service, which is symbolized by the World Wide Web, has been in the spotlight, communication service has already made a big difference in human life in all aspects of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It is hard to imagine life without the Internet, and the Internet is a part of life.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use of various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in order to use a variety of communication services in a better environmen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는 전송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입력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벗어나면 더 이상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므로 고정된 위치에서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the Internet using a computer have advantages in that the transmission speed is high and data input is convenient. However, when the communication service is no longer available, communication services cannot be used anymore. It has a disadvantage to use.

그래서 최근에는 공간을 초월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많은 기업들이 무선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망(Wireless Network)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과 기술을 말한다. 휴대폰 관련 기술의 발달과 휴대폰 보급율의 비약적인 증가는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켰다.Therefore, in recent years, many companies are spurring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called wireless Internet to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the Internet beyond the space. Wireless Internet refers to an environment and technology that enables users to use Internet services through a wireless network while the user is on the move.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related technologies and the rapid increase in mobile phone penetration have further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this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한편, 휴대폰이나 피디에이(PDA)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인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치에 따른 이동 통신 요금의 차등화,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location-based services, among a variety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PDA), in particular, has been in the spotlight due to its wide availability and convenience. Lo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clude requests for rescue, response to crime report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neighboring areas, differential pricing of mobile communications by location, traffic information, vehicle navigation and logistics control, location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and situations such a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이러한,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GPS를 이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In order to use the lo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 it is essential to know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ly, as a method of identifying a loc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method using GPS is typical.

GPS는 고도 약 20,000 킬로미터 상공에서 지구 궤도를 도는 24개의 GPS 위성에 의해 전세계 어느 곳이든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GPS는 1.5 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고, 지상에는 컨트롤 스테이션(Control Station)이라는 조정 센터가 있어 GPS 위성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고 동기화시키는 일을 하며, 사용자는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파악한다.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삼각측량법이 사용된다. 삼각측량을 위해서는 3개의 위성이 필요하며, 여기에 시간 오차를 위한 관측용 위성 한 개를 포함하여 총 4개의 GPS 위성이 필요하다.GPS is a system that can be located anywhere in the world by 24 GPS satellites orbiting the earth at an altitude of about 20,000 kilometers. GPS uses radio waves in the 1.5 GHz band, and on the ground there is a coordination center called Control Station, which collects and synchroniz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GPS satellites. do. In general, triangulation is used as a method of positioning using a GPS system. Three satellites are required for triangulation, which requires a total of four GPS satellites, including one observational satellite for time erro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GPS에서는 3개의 위성 각각의 위치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위성과 GPS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위를 한다. 위성에서 GPS 수신기까지의 거리는 위성에서 시각이 송출되므로 전파가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시각과 시계를 내장하고 있는 GPS 수신기가 수신하는 시각의 차이에서 전파 전달 시간을 알 수 있고, 전파 전달 시간에 광속의 곱하면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In more detail, since GPS already knows the position of each of the three satellites, the GPS is positio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GPS receiver. Since the distance from the satellite to the GPS receiver is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the propagation time can be know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radio wave is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and the time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with the built-in clock.The propagation time is multiplied by the speed of light. To calculate the distance.

한편, GPS는 누구든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이용자수에 제한이 없고,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측위가 가능하고, 비교적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GPS is freely available to anyone,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users,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inuous positioning in real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relatively accurate position measurement is possible.

하지만, 다중 경로와 가시위성의 부족으로 인해 도심에서의 위치 결정 능력이 제한받고, 터널이나 건물 지하에서와 같이 위성이 보이지 않는 곳(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곳)에서는 측위가 거의 불가능하고, 수신기에서 본 위성의 배치에 따라 측위 상태에 큰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PS 수신기가 최초에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실제적인 시간인 TTFF(Time To First Fix)가 대략 몇 분에서 십분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여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의 서비스 이용자에게 큰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lack of multipath and visibility, the ability to locate in the city center is limited, positioning is almost impossible in places where satellites are not visible (such as out of radio waves), such as in tunnels or underground buildings, and at receivers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error occurs in the positioning stat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atellite. In addition, the time to first fix (TTFF), which is the actual time required for the GPS receiver to determine its location in the first place, sometimes takes about several minutes to ten minutes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great inconvenienc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이 불량한 경우 GPS 방식의 위치 파악 모드를 무선망을 이용하는 A-GPS 방식으로 신속하게 전환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보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ensates the position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y quickly switching the GPS positioning mode to the A-GPS method using the wireless network when the position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GPS is po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방식을 보조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결정하는 A-GPS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of A-GP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y assisting a GPS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GPS 방식에서 A-GPS 방식으로 자동으로 변경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보완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from a GPS method to an A-GPS method to compensate for position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위치확인 위성 120 : 무선 통신 단말기110: positioning satellite 120: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30 : 기지국 전송기 140 : 기지국 제어기130: base station transmitter 140: base station controller

150 : 이동 교환국 160 : 측위 서버150: mobile switching center 160: positioning serv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망에서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GPS 방식을 통해 위치를 결정하되, 기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위치 결정이 실패하거나 불량한 경우위치 결정 방식이 A-GPS 방식으로 자동으로 변환되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A-GPS 방식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무선 기지국과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무선망 및 상기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도값 및 경도값을 계산하고, 상기 위도값 및 상기 경도값을 다른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시스템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ing a lo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the location is determined by a GPS method, the location determination fails or ba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is cas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in which a positioning method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an A-GPS method, and receives a lo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calcul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A-GPS metho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base station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and calculat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vert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into other coordinate values. Wireless communication stage using 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ing server It provides a complementary system of positioning of the grou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호 시도 처리 및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무선망, 상기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좌표 변환을 수행하는 측위 서버가 연결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최초로 시도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위치 결정이 성공하는지를 체크하되, 상기 위치 결정이 실패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A-GPS 방식으로 위치 결정 모드(Mode)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망과 상기 측위 서버를 통해 위치 결정을 요청하여 상기 측위 서버로부터 연산된 지리 좌표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GPS 방식으로 상기 위치 결정이 성공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되, 상기 위치 결정이 성공하면 상기 위치 결정 모드를 상기 A-GPS 방식에서 상기 GPS 방식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보완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wireless Internet, a wireless network for identifying call attempt processing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ing for receiving coordinate information by performing the coordinate conversion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network. A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in which a server is connected, the method comprising: first attempting to determine a location by using a GPS metho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within a preset period. Check whether it succeeds, but if the location determination fai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converts a location determination mode to the A-GPS metho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location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positioning server. Requesting and receiving a geographic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the positioning server And continuously checking whether the location determination is successful by the GPS method, and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e from the A-GPS method to the GPS method when the location determination is successful. Provided is a complementary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방식을 보조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결정하는 A-GPS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of A-GP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y assisting a GPS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GPS의 시스템은 위치확인 위성(110), 무선 통신 단말기(120), 기지국 전송기(BTS : Base Transceiver Station)(130),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40),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50) 및 측위 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ystem of the A-G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sitioning satellite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130,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 140),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50, and a positioning server 160.

위치확인 위성(110)은 GPS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위성이다. GPS에서 위치확인 위성(110)은 위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 데이터를 무선 통신 단말기(120)에게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모두 24개의 위성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21개가 항법에 사용되며 3개의 위성은 예비용으로 배치된다.The positioning satellite 110 is a satellite used to loc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 GPS. In GPS, the positioning satellite 110 is composed of 24 satellites which continuously transmit the navigation data necessary for position calcul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rough a carrier wave, of which 21 are used for navigation. Three satellites are reserved for reserve.

이러한 위치확인 위성의 배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3차원 위치 및 무선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시계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지구 전역에서 최소한 4개 이상의 위성이 항상 보이도록 특수하게 설계된 것이다. 각각의 위치확인 위성에서 송신되는 항법 데이터는 각 위치확인 위성의 번호에 따라 특수하게 설계된 PRN 코드(Pseudo Random Noise)를 포함한다. 즉, 코드 다중 분할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으로 항법 데이터가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므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는 각 위치확인 위성에서 전송한 항법 데이터를 명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of these positioning satellites is specially designed such that at least four satellites are always visible throughout the earth to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rror of the clock embed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navigation data transmitted from each positioning satellite includes a PRN code (Pseudo Random Noise) specially desig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each positioning satellite. That is, since the navig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clearly receive the navigation data transmitted from each positioning satellite.

무선 통신 단말기(120)는 위치확인 위성(110)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및 속도를 계산하는 GPS 수신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는 GPS 모듈(Module)을 내장한 피디에이(PDA)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a cellular phone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which is equipped with a GPS receiver (not shown) that receives navigation data from the positioning satellite 110 and calculates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lso includes a PDA having a built-in GPS module.

GPS 수신기에 연결되는 GPS 안테나(AT)는 자체에 내장된 알고리즘(Althorism)을 이용하여 위치확인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추적하며, 하나의 위성 신호만 추적하면 그 위치확인 위성으로부터 다른 위치확인 위성들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GPS antenna (AT) connected to the GPS receiver tracks satellit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ing satellites using its built-in algorithm, and when only one satellite signal is tracked, the other positioning satellites from the positioning satellites. Their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한편, 무선 통신 단말기(120)는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결정이 실패하거나 불량한 경우에는 무선망을 이용하는 A-GPS 방식으로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결정이 실패하는 경우는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최초로 결정하는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120)가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최초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TTFF의 수행 작업에 걸리는 기간이 기설정된 기간 내에 완료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간은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clude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switch the mode to the A-GPS method using a wireless network when the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the GPS method fails or poor. Here, the case where the positioning by using the GPS method fails mainly occurs when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first determined. That is, in most cases, the time perio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to perform the task of performing the TTFF to determine its location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use the lo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not completed within the preset period. Here,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be preset and input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또한, GPS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결정이 불량한 경우란 초당 결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의 거리가 설정한도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초당 위치가 수백 미터 내지는 수 킬로미터 단위로 차이가 나는 경우는 위치 결정이 불량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설정한도는 실제 서비스 테스트 등을 거쳐 적절한 값을 얻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position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using the GPS method is poor refers to a case in which a difference occurs when the distance of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determined per second exceeds the set limit. That is, when the position per secon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differs in units of hundreds of meters or kilometer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sitioning is poor. Here, it would be desirable to obtain an appropriate value through the actual service test or the like.

기지국 전송기(130)는 무선 통신 단말기(120)로부터의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망으로부터 계산된 위치 정보 신호를 무선 통신 단말기(120)로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30 receives a lo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or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signal calcula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기지국 제어기(140)는 기지국 전송기(130)로부터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계산한다.The base station controller 140 receives the lo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30 and calculates a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이동 교환국(150)은 무선 기지국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에 설치된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mobile switching center 150 has a control function for enabling wireless base stations to operate efficiently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with an exchange installed in a public telephone network.

측위 서버(160)는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전반적인 관제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GPS 방식이나 무선망을 이용하는 A-GPS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를 계산한다.The positioning server 160 performs overall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GPS method or the A-GPS method using a wireless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GPS 방식에서 A-GPS 방식으로 자동으로 변경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결정을 보완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from a GPS method to an A-GPS method to compensate for position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한다(S200).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lo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 requests a specific lo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S200).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요청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무선 통신 단말기(120)는 내장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치확인 위성(110)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여 위치 결정을 하는 GPS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 결정을 시도한다(S202).When data relating to a request for a lo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input from a us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receives a navigation data from the positioning satellite 110 using a built-in GPS receiver to determine its location using a GPS method. Attempt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202).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제어부는 기설정된 기간 내에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결정이 완료되는지를 체크한다(S204).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checks whether the position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S204).

단계 S204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위치 결정이 완료되면 무선 통신 단말기(102)는 계속하여 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면서 해당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단계 S204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위치 결정이 완료되지 않으면, 무선 통신 단말기(102)는 기지국 전송기(130), 기지국 제어기(140) 및 이동 교환국(150)으로 구성되는 무선망과 측위 서버(160)를 통해 위치 파악을 요청한다(S206). 즉, 단계 S204부터가 무선망을 이용하는 A-GPS가 시작되는 단계이다.When the location determination is completed within the preset period in step S204,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2 can continue to use the location-based services while determining the location using the GPS method. Otherwise, if the positioning is not completed within the preset period in step S204,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2 is a wireless network and the positioning server consisting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30,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40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150 ( In step S206, a location determination request is made. That is, step S204 is a step in which A-GPS using a wireless network is started.

측위 서버(160)는 무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경도와 위도 좌표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경도와 위도 좌표값을 무선망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208).The positioning server 16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calculates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 values,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 value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In step S208.

한편, 무선 통신 단말기(120)는 단계 S206부터 단계 S208 동안에도 위치확인 위성(110)을 통해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파악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기(12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파악이 가능한지를 체크하게 된다(S210).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ntinues to perform the positioning operation using the GPS method through the positioning satellite 110 during step S206 to step S208. Therefo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ntinues to check wheth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using the GPS method even while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S210).

단계 S210에서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파악이 안되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A-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그렇치 않고,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는 A-GPS 방식의 이용을 종료하고 GPS 방식으로 전환하여 위치를 결정하면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다(S212).If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using the GPS method in step S210 to continue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A-GPS method. Otherwise, wh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using the GPS method,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used while determining the location by ending the use of the A-GPS method and switching to the GPS method (S212).

한편, 무선 통신 단말기(120)는 최초에 GPS 방식을 이용하거나 A-GPS 방식을 이용하던 중에 GPS 방식으로 전환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위치 결정이 불량한 경우가 발생하는지를 계속해서 체크한다(S214).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ntinuously checks whether a poor location determination occurs even when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s by switching to the GPS method while using the GPS method or the A-GPS method initially (S214). ).

단계 S214에서 GPS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결정이 양호한 경우에는 계속해서 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하고, 위치 결정이 불량한 경우가 발생하면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A-GPS로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결정한다.If the positioning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using the GPS method is good in step S214, the positioning is continued by using the GPS method. If the positioning is poo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6 and the mode is A-GPS. Automatically switch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at all description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GPS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이 곤란한 경우 무선망을 이용하는 A-GPS 모드로 자동으로 위치 결정 방법이 변경되어 위치 결정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GPS method, the positioning method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A-GPS mode using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positioning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따라서,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위치 결정의 실패나 불량의 경우에도 바로 A-GPS 방식을 통해 끊김 없이 안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a user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an provide a stable location-based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through the A-GPS method even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failure in determining a location using a GPS method. You will be provided.

Claims (10)

무선망에서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A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ing a location based wireless internet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GPS 방식을 통해 위치를 결정하되, 기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위치 결정이 실패하거나 불량한 경우 위치 결정 방식이 A-GPS 방식으로 자동으로 변환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etermines a location using a GPS method, but automatically converts the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to an A-GPS method when the location determination fails or is po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A-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A-GPS 방식의 측위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기지국과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무선망; 및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base station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receiving a location request signal using the A-GPS scheme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data for positioning in the A-GPS scheme; And 상기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도값 및 경도값을 계산하는 측위 서버Positioning server for receiving the data from the wireless network and calculating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시스템.Complementary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폰이나, GPS 모듈을 내착한 피디에이(PD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시스템.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complementary system for positio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phone with a built-in GPS receiver, or a PDA (PDA) incorporating a GPS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A-GPS 방식으로 변환되면 상기 위치 결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망으로 자동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시스템.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request signal to the wireless network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verted to the A-GPS scheme. GPS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호 시도를 처리하는 무선망, 상기 무선망으로부터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측위 서버가 연결된 무선망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using a GPS service, a wireless network for processing call attempt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network in which a positioning server receiving location data from the wireless network and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최초로 시도하는 단계;(a)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irst attempting to determine a location using a GPS method; (b)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위치 결정이 성공하는지를 체크하되, 상기 위치 결정이 실패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A-GPS 방식으로 위치 결정 모드(Mode)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b)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location determination succeed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if the location determination fai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converting a location determination mode in an A-GPS manner; (c)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망과 상기 측위 서버를 통해 위치 결정을 요청하여 상기 측위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 및(c)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location determination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location server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server to use location based service; And (d)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GPS 방식으로 상기 위치 결정이 성공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되, 상기 위치 결정이 성공하면 상기 위치 결정 모드를 상기 A-GPS 방식에서 상기 GPS 방식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ously checking whether the location determination is successful by the GPS method, and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e from the A-GPS method to the GPS method when the location determination is successful.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Complement method of position determin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The process of claim 4, wherein in step (b) 상기 기설정된 기간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최초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TTFF(Time To First F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The preset period is a complementary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time to first fix (TTFF) required to determine its position for the first tim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기설정된 기간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제조시에 미리 설정되어 입력되거나 추후 설정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The preset time period is a preset method of inputting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complementary method for position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t la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The process of claim 4, wherein in step (c)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의 경도 좌표값과 위도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longitude coordinate value and a latitude coordinate value of a point at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GPS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상기 위치 결정이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 결정 모드를 상기 GPS 방식에서 상기 A-GPS 방식으로 자동으로 다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converts 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e from the GPS method to the A-GPS method automatically when the location determination corresponds to a preset condition while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GPS method. Complement method of position determin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위치 결정이 기설정된 기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기 GPS 방식으로 결정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의 편차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The preset condition is a state in which the location determination is not ma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the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d by the GPS method exceeds a predetermined criterion. Complementary method of positioning.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편차는 초당 파악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두 지점간의 거리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의 보완 방법.And the deviation is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ed per second.
KR10-2002-0051266A 2002-08-28 2002-08-28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KR100491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266A KR100491643B1 (en) 2002-08-28 2002-08-28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266A KR100491643B1 (en) 2002-08-28 2002-08-28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657A true KR20040019657A (en) 2004-03-06
KR100491643B1 KR100491643B1 (en) 2005-05-27

Family

ID=3732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266A KR100491643B1 (en) 2002-08-28 2002-08-28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64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269B1 (en) * 2005-10-13 2006-11-23 (주)래디안트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position measurement by self learning algorithm
KR100701773B1 (en) * 2005-12-01 2007-03-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the location determination of a mobile phone having GPS function
KR100711318B1 (en) * 2005-08-16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mobile phone having gps module withi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27812B1 (en) * 2006-11-21 2008-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ystem and a-gps system with location based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015661B1 (en) * 2004-03-10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8209B2 (en) * 1993-11-29 1999-06-21 郵政大臣 Mobile terminal device and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3572161B2 (en) * 1997-01-30 2004-09-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Man location system and current position estimation method
JP3498791B2 (en) * 2000-10-12 2004-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DGPS correction data calculation method
KR20020053223A (en) * 2000-12-27 2002-07-05 윤종용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search window to measure position of cellular phone in network-assisted gps system
KR100421804B1 (en) * 2001-08-13 2004-03-12 지규인 Moment navigation value prosseing devic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intermidiate frequency signal in non-synchronizing network and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61B1 (en) * 2004-03-10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KR100711318B1 (en) * 2005-08-16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mobile phone having gps module withi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48269B1 (en) * 2005-10-13 2006-11-23 (주)래디안트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position measurement by self learning algorithm
WO2007043752A1 (en) * 2005-10-13 2007-04-19 Radiant Technologie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position measurement by self learning algorithm
KR100701773B1 (en) * 2005-12-01 2007-03-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the location determination of a mobile phone having GPS function
KR100827812B1 (en) * 2006-11-21 2008-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ystem and a-gps system with location based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643B1 (en)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6975B (en) Mobile honeycomb identification database for reinforced GPS property
EP1073913B1 (e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ugment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EP2045613B1 (en) Computing geographical location of a mobile receiver using network measurement reports
EP1206152B1 (en) Positioning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positioning function
US7218275B2 (en) T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use with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capable of optimiz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adjusting maximum antenna range
US6597988B1 (en) Network assisted pseudolite acquisition for enhanced GPS navigation
KR100723680B1 (en) Method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 In/Out Building An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Using The Same
KR20030045109A (en) Gps satellite signal acquisitio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025306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receiver
MXPA0000899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wireless cdma transceiver.
EP1668382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wireless computer network in position determining technology
JP2004254292A (en)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location-based service
KR1004916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39;s Location Decision by Using Wireless Network
KR100777816B1 (en) Mehod, System and Server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unc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etermining Location
KR1006262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by Mobile Station Based Global Positioning System
KR100514635B1 (en) Test Apparatus for Use with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Capable of Optimiz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Adjusting Maximum Antenna Ran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251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Neighbor List Update Message for Location Based Service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System
KR1010967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Service of Sleepiness Driving Based on Location
KR20120006833A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bile position with gps and sensor
KR100682281B1 (en) Ms-based gps terminal for precisely measuring the location of it by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levels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it and method thereof
KR101855378B1 (en) Method for positioning using heteroge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uq et al. A Telematics Application for Stolen Vehicle Recovery Using On-Device Position Fix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