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694A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694A
KR20040011694A KR1020020044757A KR20020044757A KR20040011694A KR 20040011694 A KR20040011694 A KR 20040011694A KR 1020020044757 A KR1020020044757 A KR 1020020044757A KR 20020044757 A KR20020044757 A KR 20020044757A KR 20040011694 A KR20040011694 A KR 2004001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or
sgsn
wireless
network
gg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92076B1 (en
Inventor
김성
이상연
박종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076B1/en
Publication of KR2004001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0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in a WCDMA system is provided to measure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and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each node in the SGSN(Service GPRS Support Node) and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of the packet core network. CONSTITUTION: A system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20) in a WCDMA system comprises a wireless terminal/wireless network simulator(302), a GGSN simulator(304), an Internet simulator(306), and an SGSN simulator(308). The wireless terminal/wireless network simulator(302) and the GGSN simulator(304) are connected to the SGSN(100) of the packet core network(20), and the Internet simulator(306) and the SGSN simulator(308) are connected to the GGSN(200) of the packet core network(20). The performance of the SGSN(100) is measur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wireless network simulator(302) and the GGSN simulator(304). The performance of the GGSN(200) is measured through the Internet simulator(306) and the SGSN simulator(308).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20) composed of the SGSN(100) and the GGSN(200) are measur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wireless network simulator(302) and the Internet simulator(306).

Description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트래픽 용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performance and traffic capacity of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performance of a packet core network in a WCDMA system, which is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선 통신망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점차 대용량화되고 있으며, 용량이 큰 데이터를 에러 없이 고속으로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WCDMA 시스템은 유럽 중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3세대 통신 시스템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data to be transmitte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gradually increasing in volume, and there is a need to transmit large data at high speed without error. The WCDMA system developed according to these demands is a third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f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speed in a European-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CDMA 시스템으로 대표되는 제3세대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고화질 화상 서비스, 빠른 데이터 전송율 등 많은 기존 시스템과의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대한민국, 유럽, 일본, 미국 그리고 중국 등의 많은 기관들이 3GPP(3'rd Generation Project Group)을 구성하여 기술 규격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The third generation system, represented by WCDMA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is differentiated from many existing systems such as high-definition image service and fast data transfer rate. Many institutions such as Korea, Europe, Japan, USA and China They are developing 3GPP (3'rd Generation Project Group) to develop technical specifications.

도 1은 WCDMA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WCDMA system.

도시된 것과 같이, WCDMA 시스템의 핵심망인 패킷 코아망(20)은 무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10)와 접속되고, 인터넷(30)을 통해 부가 서비스망(40)과 접속된다. 또한, 패킷 코아망(20)은 SGSN(Service GPRS support Node,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노드, 100)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서비스 관문 노드. 200)를 구비하며, 로밍망(50) 등의 타망과 접속된다.SGSN(100)은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환기와 유사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무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거나 무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SGSN(100)은 패킷 라우팅 및 전달,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과금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the packet core network 20, which is a core network of the WCDMA system,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additional service network 40 through the Internet 30. In addition, the packet core network 20 includes a service GPRS support node (SGSN) 100 and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200, and a roaming network 50. The SGSN 100 provides a data service processing function similar to an exchange for providing a voice service, and transmits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or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 It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ng. To this end, the SGSN 100 performs functions such as packet routing and forwarding, mobility management, logical link management, authentication and charging management.

SGSN(100)의 관리 영역 내에 포함되는 가입자들에 대한 위치정보, 프로파일 등은 SGSN(10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GGSN(200)은 인접된 인터넷(30)과 접속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SGSN(100)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대상 패킷 데이터망으로 전송하거나, 인터넷(30)과 같은 외부 패킷데이터망으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SGSN(100)으로 전송한다.Location information, profiles, and the like for subscribers included in the management area of the SGSN 100 are stored in a database in the SGSN 100. The GGSN 200 provides a function capable of accessing an adjacent Internet 30, and converts a protocol of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SGSN 100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packet data network, or an external packet such as the Internet 30. The packet transmitted from the data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SGSN 100.

SGSN(100)과 GGSN(200)에 의해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고속,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비동기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단순한 문자 형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벗어나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SGSN 100 and the GGSN 200 enable high-speed and high-quality Internet services to mobile subscribers, and provide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to mobile subscribers from simple text-type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s. It can be provided.

그런데 현재에는 이러한 WCDMA 시스템의 핵심망인 SGSN(100)과 GGSN(200)의 성능, 트래픽 용량, 속도 등을 측정하는 장비가 개발되어져 있지 않으며,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SGSN(100)과 GGSN(200)의 성능 측정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t present, equipment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traffic capacity, and speed of the SGSN 100 and the GGSN 200, which are the core networks of the WCDMA system, has not been developed, and in order to provide better service to the mobile subscribers, the SGSN (100) has been developed. ) And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of the GGSN (200)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WCDMA 시스템의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패킷 코아망을 구성하는 SGSN과 GGSN의 각 노드별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is a packet in a WCDMA system capable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of a WCDMA system, and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each node of SGSN and GGSN constituting the packet core network. The technical challenge is to provide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s.

도 1은 WCDMA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WCDMA system;

도 2는 WCDMA 시스템에 본 발명에 위한 패킷 코아망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that the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CDMA system;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of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중 GGSN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GGSN simulator of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중 인터넷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rnet simulator in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2;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중 SGSN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GSN simulator of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도 7은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GGSN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패킷 코아망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us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a GGSN simulator.

도 8은 인터넷 시뮬레이터와 SGSN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패킷 코아망 성능 및용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using an internet simulator and an SGSN simulator;

도 9는 무선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인터넷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패킷 코아망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us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an internet simulat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무선 단말기20 : 패킷 코아망10: wireless terminal 20: packet core network

30 : 인터넷40 : 부가서비스망30: Internet 40: additional service network

50 : 로밍망100 : SGSN50: roaming network 100: SGSN

200 : GGSN300 : 성능 측정 시스템200: GGSN300: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302 :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4 : GGSN 시뮬레이터306 : 인터넷 시뮬레이터304: GGSN Simulator 306: Internet Simulator

308 : SGSN 시뮬레이터310 :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08: SGSN simulator 310: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1 :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2 : 신호처리부311: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2: signal processing unit

313 : 트래픽 처리부314 : 사용자 인터페이스313: traffic processing unit 314: user interface

316 :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7 : 데이터베이스316: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7: database

318 :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20 : 무선 데이터 변환부318: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20: wireless data conversion unit

322 : 데이터 라우팅부324 : 제1 사용자평면 터널링 생성부322: data routing unit 324: first user plane tunneling generation unit

330 : 신호 처리부332 : 트래픽 처리부330: signal processing unit 332: traffic processing unit

334 : G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34: G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36 : 제1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338 : 제1 데이터 전송부336: first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ion unit 338: first data transmission unit

340 : 데이터베이스341 :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0: Database 341: Network Data Transceiver

342 : 제2 사용자 평면 터널링 처리부342: second user plane tunneling processing unit

344 : 제2 데이터 전송부350 :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4: second data transmitter 350: network data transceiver

352 : 제3 데이터 전송부354 : 통신망 인터페이스352: third data transmission unit 354: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360 : 신호 처리부362 : 트래픽 처리부360: signal processor 362: traffic processor

364 : S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4: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66 : 제2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368 : 제4 데이터 전송부366: second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ion unit 368: fourth data transmission unit

370 : 데이터베이스371 :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70: database 371: wireless data transceiver

372 : 제3 사용자평면 터널링 생성부372: third user plane tunneling generation unit

374 : 제5 데이터 전송부374: fifth data transmission uni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WCDMA 시스템에서, 무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패킷망과 접속되는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패킷 코아망은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노드(SGSN) 및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 노드(GGSN)를 구비하며, 상기 SGSN과 접속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패킷 코아망으로 다수의 가상 무선 단말기 등록 및 데이터 서비스 정보 생성을 요구하며, 상기 패킷 코아망과 송수신하는 신호 및 트래픽에 따라 상기 패킷 코아망 또는 상기 SGSN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상기 SGSN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SGSN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하고 세션을 생성하며, 상기 활성화 요구에 따라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능력을 측정하고, 상기 세션을 통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의해 상기 SGSN의 트래픽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GGSN 시뮬레이터; 상기 GGSN과 접속되며, 상기 패킷 코아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의해 상기 패킷 코아망 또는 상기 G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인터넷 시뮬레이터; 및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와 상기 GGSN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GGSN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활성화할 것을 요구하고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G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고,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 양에 따라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SGSN 시뮬레이터;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ystem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via a wireless network,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network via the Internet in a WCDMA system, the packet core The network includes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node (SGSN) and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gateway node (GGSN), and is connected to the SGSN, and registers a plurality of virtual wireless terminals and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packet core network under user control.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hat requires generation and measures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or the SGSN according to signals and traffic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packet core network;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hrough the SGSN, activates data service information and creates a session according to the SGSN request, measures the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SGSN according to the activation request, and establishes the session. G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traffic capacity of the SGSN by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via; An internet simulator connected to the GGSN and measuring a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or the GGSN by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hrough the packet core network; And a sig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simulator through the GGSN, requesting to activate a data service with the GGSN, receiving a response to the data service activation from the GGSN, and 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GGSN. S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WCDMA 시스템에서 무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패킷망과 접속되며, 패킷 코아망은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노드(SGSN) 및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 노드(GGSN)를 구비하는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 GGSN 시뮬레이터, 인터넷 시뮬레이터 및 SGSN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가 온(ON) 상태로 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가 상기 SGSN으로 다수의 무선 단말기를 등록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SGSN의 단말 요구 허락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SGSN으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SGSN이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GGSN으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SGSN의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 요구에 따라 상기 GGSN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SGSN으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GSN이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무선 자원 할당 응답 신호를 상기 SGSN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SGSN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로 데이터 서비스 생성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생성된 세션의 개수만큼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세션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 간에 트래픽이 전송됨에 따라 상기 S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a WCDMA system,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the packet core network is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node (SGSN) and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gateway node (GGSN) A metho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in a system hav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 GGSN simulator, an internet simulator, and an S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As the network simulator is turned on, requesting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o register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with the SGSN; 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i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ccording to the terminal request permission signal of the SGSN for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Requesting the SGSN to activat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GGSN by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as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requests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to generate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SGSN. ;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activating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GGSN to the SGSN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 SGSN's data service information activation request; Transmitting a radio resource allocation response signal to the SGSN i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s the SGSN requests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by the number of sessions generated by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a data service generation request from the SGSN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measuring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as traffic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the internet simulator in the generated sess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WCDMA 시스템에 본 발명에 위한 패킷 코아망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CDMA system.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패킷 코아망 성능 측정 시스템(300)은 패킷 코아망(20)의 SGSN(100) 측에 접속되는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 및 GGSN 시뮬레이터(304), 패킷 코아망(20)의 GGSN(200) 측에 접속되는 인터넷 시뮬레이터(306) 및 SGSN 시뮬레이터(308)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 및 GGSN 시뮬레이터(304)에 의해 SGSN(100)의 성능을 측정하고, 인터넷 시뮬레이터(306) 및 SGSN 시뮬레이터(308)에 의해 GGSN(200)의 성능을 측정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 및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에 의해 SGSN(100)과 GGSN(200)으로 구성되는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As shown, the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a GGSN simulator 304 and a packet core connected to the SGSN 100 side of the packet core network 20. Internet simulator 306 and SGSN simulator 308 connected to the GGSN 200 side of the network 20,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simulator 302 and the GGSN simulator 304 of the SGSN 100 The performance is measur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GGSN 200 is measured by the Internet simulator 306 and the SGSN simulator 308. In addition,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composed of the SGSN 100 and the GGSN 200 may be measured by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the internet simulator 306.

무선 단말기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하면, 먼저 패킷망에 무선 단말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패킷망에 등록을 하게 되면 SGSN(100)은 홈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가져와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등록 요구에 응답한다. 이후, 무선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데이터 활성화 요구를 하며, 이에 따라 GGSN(200)과 SGSN(100)에서 데이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망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When the power of the wireless terminal is turned on, the process of first registering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packet network is performed. Upon registration in the packet network, the SGSN 100 obtains subscriber information from a home location register (not shown), performs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responds to a registration request. Thereafter, the wireless terminal makes a data activation request in order to receive the data service. Accordingly, the GGSN 200 and the SGSN 100 generate data service related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network allocates radio resources for the data service.

이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에 의해 무선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패킷의 경로가 생성되고 인터넷과 같은 외부 패킷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ata service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 path of a packet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by the user is generated an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n external packet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mo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s shown in FIG. 2.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는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10) 및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를 구비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 데이터베이스(318)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18)를 포함하고,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는 무선 데이터 변환부(320), 데이터 라우팅부(322) 및 제1 사용자 평면 터널링 생성부(324)를 포함한다.As show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and a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1.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includes a user interface 314,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6, database 318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18,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1 is a wireless data The converter 320, a data routing unit 322, and a first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324 are included.

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는 패킷 코아망(30)의 관점에서 볼 때 다수의 무선 단말기와, 다수의 기지국 및 무선망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망으로 동작한다. 즉,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는 다수의 무선 단말기 및 무선망의 역할을 수행하여, 다수의 무선 단말기가 생성할 수 있는 다량의 신호를 SGSN(100)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SGSN(100)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장치이다.This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operates as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a wireless network controll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acket core network 30. That is,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performs a rol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nd a wireless network, transmits a large amount of signal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to the SGSN 100 and receives a response thereto. To measure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100.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션부(302)는 신호처리와 데이터 전송의 관점으로도 구분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도면부호(312)가 신호 처리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313)가 트래픽 처리부를 나타낸다. 신호 처리부(312)는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10)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행하는 단말기 등록, 해제,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비활성화 등의 과정을 처리하고, 트래픽 처리부(313)는 실제 데이터 즉, 트래픽을 송수신한다.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02 may also be divided into the aspects of signal processing and data transmission. In FIG. 3, reference numeral 312 denotes a signal processor and reference numeral 313 denotes a traffic processor. The signal processor 312 processes a process of registering, releasing, and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data service of the terminal performed by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for data service, and the traffic processor 313 transmits and receives actual data, that is, traffic. .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이동성 관리 처리부(316)를 통해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로 전송하고,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에서 입력되는 명령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GMM/SM(GPRS Mobility Management/Session Management) 레벨의 명령들을 명령라인 상에서 처리하고, 이를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에 전달해 주며,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시나리오 파일로 읽어 들여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 현재 GMM/SM의 상태를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를 통해서 알아내고,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에게 각 명령의 세부 파라미터들의 값을 설정해 줄 수 있는 방법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user interface 314 transmits a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1 through the mobility management processor 316, and displays the command input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or 316 on the monitor. That is, the GMM / SM (GPRS Mobility Management / Session Management) level commands are processed on the command lin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and are transferred to the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6, and the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6 It reads the transmitted signal into the scenario file and processes it. In addition, the present state of the GMM / SM is found through the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6, and the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6 also provides a method for setting the value of the detailed parameters of each command.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는 사용자의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로부터 전달받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14)에서 제공한 세부 파라미터값 설정 방법에 따라 세부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의 무선 데이터 변환부(32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이는 다수의 무선 단말기처럼 동작하며 신호처리 기능만을 수행한다.The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6 receives a user's command from the user interface 314, sets detailed parameters according to the detailed parameter value setting method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314, and sets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1. It serves to send to the wireless data conversion unit 320. In practice, it operates like many wireless terminals and performs only signal processing functions.

무선 데이터 변환부(320)는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을 이용하는데, RANAP은 호의 처리에 관계되는 신호 프로토콜로서,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10)와 통신하여 무선 단말기의 GMM 신호 및 SM 신호를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316)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라우팅부(322)를 통해 SGSN(100)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SGSN(100)으로부터 GMM 신호와 SM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10)로 전달한다.The wireless data converter 320 uses 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which is a signal protocol related to call processing. The wireless data converter 320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to transmit the GMM signal and the SM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It is received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316 to be transmitted to the SGSN 100 through the data routing unit 322. In addition, the GMM signal and the SM signal are received from the SGSN 100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한편, 트래픽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18)로부터 UDP/IP(User Datagram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하여 제1 사용자평면 터널링 생성부(324)로 전송된다. 제1 사용자 평면 터널링 생성부(324)는 GTP-U(GPRS tunneling Protocol-User Plan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트래픽을 GTP 터널을 통해 SGSN(100)으로 전송한다. GTP-U는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와 SGSN(100)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평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SGSN(100)은 전송받은 데이터를 해당 터널에 연결되어 있는 새로운 터널을 통해 GGSN(200)으로 전송하여 데이터가 외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선 데이터 변환부(320)로 RANAP 프로토콜에 의해 터널이 생성되도록 하며, 이때 사용자가 사용할 IP 어드레스, GTP 터널의 송수신 방향이 함께 생성된다.Meanwhile, traffic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318 to the first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324 by UDP / IP (User Datagram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he first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324 transmits user traffic to the SGSN 100 through a GTP tunnel using a GPRS tunneling protocol-user plane (GTP-U) protocol. GTP-U is a protocol used for the user plane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simulator 302 and the SGSN 100 interface. The SGSN 100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GGSN 200 through a new tunnel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unnel. )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tunnel is generated by the RANAP protocol to the wireless data conversion unit 320, and at this time, an IP address to be used by the user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direction of the GTP tunnel are generated together.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중 GGSN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GGSN simulator amo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s shown in FIG. 2.

도시된 것과 같이, GGSN 시뮬레이터(304)는 신호 처리부(330), 트래픽 처리부(332) 및 데이터베이스(340)로 구성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330)는 G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34), 제1 제어 평면 터널링 생성부(336) 및 제1 데이터 전송부(338)를 구비하며, 트래픽 처리부(332)는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 제2 사용자평면 터널링 생성부(342) 및 제2 데이터 전송부(344)를 구비한다.As shown, the GGSN simulator 304 includes a signal processor 330, a traffic processor 332, and a database 340.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330 may include a G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34, a first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336, and a first data transmitter 338, and the traffic processor 332 may include a network data transmitter / receiver ( 341, a second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342, and a second data transmitter 344.

GGSN 시뮬레이터는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와 함께 SGSN(100)의 신호 처리 성능과 패킷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SGSN(100)의 관점에서는 GGSN(200)처럼 동작한다. 즉, SGSN(100)과 연동하여 SGSN(100)이 전달하는 신호를 처리하고, 신호에 따라 터널을 설정하여 SGSN(100)과 트래픽을 송수신하여SGSN(100)의 신호 처리 성능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것이다.The GGSN simulator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and packet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100 together with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operates like the GGSN 200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GSN 100. 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and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100 is processed by processing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GSN 100 in conjunction with the SGSN 100, and establishing a tunnel according to the signal to transmit and receive traffic with the SGSN 100. To measure.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G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34)는 SGSN(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1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336)로 전송하고 SGSN(100)과 송수신한 신호 처리량에 따라 SGSN(100)의 성능을 측정한다. 제1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336)는 G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34)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고 생성된 트래픽 관련 정보를 GTP-C(GPRS tunneling Protocol-Control Plane) 프로토콜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한다. 제1 데이터 전송부(338)는 GGSN 시뮬레이터(304)에서 생성된 시그널을 SGSN(100) 또는 외부 패킷망으로 전송한다.In more detail, the G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34 transmits data transmitted from the SGSN 100 to the first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ion unit 336 and according to the signal throughput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GSN 100 according to the SGSN 100. Measure the performance. The first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336 process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34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raffic related information to the database 340 through the GPRS tunneling protocol-control plane (GTP-C) protocol. Save it. The first data transmitter 338 transmi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GGSN simulator 304 to the SGSN 100 or an external packet network.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는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18)에서 송신한 데이터로서, 실제 환경에서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고,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는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18)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로서, 실제 환경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링크 데이터이다.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에서의 송수신 데이터에 따라 SGSN(100)의 트래픽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4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a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340. The data received by the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41 is data transmitt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18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simulates uplink data transmitted by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network in a real environment. The data transmitted by the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41 is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18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In a real environment, the downlink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network is used. Data. Traffic capacity of the SGSN 100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from the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41.

한편,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에서 생성된 트래픽은 제2 사용자 평면 터널링 생성부(342)에서 생성한 터널 및 제2 데이터 전송부(344)를 통해 SGSN(100)또는 외부 패킷망으로 전송된다.Meanwhile, the traffic generated by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41 is transmitted to the SGSN 100 or the external packet network through the tunnel generated by the second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342 and the second data transmitter 344.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 중 인터넷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nternet simulator in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인터넷 시뮬레이터(306)는 후술할 SGSN 시뮬레이터(308)와 함께 GGSN(200)의 패킷 처리 용량을 측정하거나,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와 함께 패킷 코아망(20)의 성능 및 패킷 처리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 및 제3 데이터 전송부(352)를 구비한다.The internet simulator 306 measures the packet processing capacity of the GGSN 200 with the SGSN simulator 30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the performance and packet processing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20 with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s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it comprises a network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50 and the third data transmission unit 352.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는 제3 데이터 전송부(352)를 통해 UDP/IP에 의하여 GGSN(200)과 데이터를 송수하는 부분으로,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GGSN(200)에서 송신한 데이터고,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는 GGSN(20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로서,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에서의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패킷 코아망(20) 또는 GGSN(100)의 트래픽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GGSN 200 by UDP / IP through the third data transmission unit 352. The data received by the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50 is a GGSN 200. Data transmitted by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50 is data received by the GGSN 200, and is a packet core network 20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50. Or the traffic capacity of the GGSN 100 may be measured.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성능 측정 시스템 중 SGSN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GSN simulator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shown in FIG. 2.

SGSN 시뮬레이터(308)는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와 함께 GGSN(200)의 성능 및 패킷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GGSN(200)과 연동하여 GGSN(200)과 송수신하는 신호를 처리하고, 신호에 따라 터널을 설정하여 GGSN(200)과 트래픽을 송수신하여 GGSN(200)의 신호처리 성능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며, 신호 처리부(360), 트래픽 처리부(362) 및 데이터베이스(370)를 구비한다.The SGSN simulator 308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packet processing capacity of the GGSN 200 together with the Internet simulator 306. The SGSN simulator 308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GGSN 200 in conjunction with the GGSN 200, A tunnel is set up accordingly to transmit and receive traffic to and from the GGSN 200 to measur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and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GGSN 200, and includes a signal processor 360, a traffic processor 362, and a database 370.

여기에서, 신호 처리부(360)는 S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4), 제2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366) 및 제4 데이터 전송부(368)를 구비하고, 트래픽 처리부(362)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71), 제3 사용자평면 터널링 생성부(372) 및 제5 데이터 전송부(374)를 구비한다.Here, the signal processor 360 includes an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64, a second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366, and a fourth data transmitter 368, and the traffic processor 362 includes a wireless data transceiver. 371, a third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372, and a fifth data transmitter 374.

S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4)는 GGSN(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SGSN 시뮬레이터(308)에서 GGSN(200)으로 송신할 신호는 S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4)의 명령에 의해 제2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366)에서 처리된다. SGSN 시뮬레이터(364)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GGSN(200)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한다. 제2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366)는 S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4)로부터 전송된 신호로부터 생성된 트래픽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70)에 저장한다.The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64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GSN 200, and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SGSN simulator 308 to the GGSN 200 is controlled by the command of the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64 in the second control plane.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tunneling generator 366.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GGSN 200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SGSN simulator 364. The second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366 stores the traffic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64 in the database 370.

데이터베이스(370)에 저장된 트래픽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71)에서 제3 사용자평면 터널링 생성부(372) 및 제5 데이터 생성부(374)를 통해 GTP-U 프로토콜 및 UDP/IP 프로토콜에 의해 인터넷 시뮬레이터(306) 또는 GGSN(200)으로 전송된다.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71)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의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로, 실제 환경에서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링크 데이터이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71)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는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의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로, 실제 환경에서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송신하는 업링크 데이터이다.The traffic stored in the database 370 is controlled by the GTP-U protocol and the UDP / IP protocol through the third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372 and the fifth data generator 374 in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371. 306 or GGSN 200. The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71 is data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50 of the internet simulator 306, which is downlink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network in a real environment. The data transmitted by the 371 is data received by the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50 of the Internet simulator 306 and is uplink data transmitted by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network in a real environment.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는 GGSN 시뮬레이터(304)와 함께 패킷 코아망 중 SGSN(100)의 성능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거나,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와 함께 패킷 코아망(20)의 성능과 용량을 측정한다. 또한, SGSN 시뮬레이터(308)는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와 함께 패킷 코아망의 GGSN(200)의 성능과 용량을 측정하며, 구체적인 측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uch,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measures the performance and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100 in the packet core network together with the GGSN simulator 304, or the packet core network 20 together with the internet simulator 306. Measure performance and capacity. In addition, the SGSN simulator 308 measures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GGSN 200 of the packet core network together with the internet simulator 306.

도 7은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GGSN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패킷 코아망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SGSN의 신호 처리 성능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us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a GGSN simulator, and illustrates a method of 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and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SGSN.

먼저,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가 온(ON) 상태로 됨에 따라,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0)는 다수의 단말기로 동작하여 SGSN(100)으로 다수의 무선 단말기를 등록할 것을 요구(Attach Request)하고(S101), SGSN(100)은 다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홈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후 무선 단말기 등록을 허락(Attach Accept)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102). 여기에서, 측정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 개수 및 등록 속도를 지정할 수 있고,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는 SGSN(100)의 단말기 등록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First, as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is turned on,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0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operates as a plurality of terminals to the SGSN 100. After requesting to register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ttach Request) (S101), SGSN 100 allows the wireless terminal registration after performing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us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er for the plurality of terminals ( Attach Accept) is repeated (S102). Here, the measurer may designate the number of wireless terminals and the registration speed using the user interface 314, and the user interface 314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simulator 302 may perform the terminal registration capability of the SGSN 100. It can be measured.

이후,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10)에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구(PDP Context Activation Request)하면(S103), SGSN(100)은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할 것을GGSN 시뮬레이터(304)로 요구(Create PDP Context Request)한다(S104). 이에 따라 GGSN 시뮬레이터(304)에서 데이터 서비스 정보 생성 요구에 대한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신호를 SGSN(100)으로 전송함에 따라(S105), SGSN(100)과 GGSN 시뮬레이터(304)에 IP 주소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성되고 세션이 생성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 요구 및 응답 과정은 지정된 등록 속도로 단말기의 개수 만큼 반복 수행한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GGSN 시뮬레이터(304)는 SGSN(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 요구 신호의 개수 및 수신 시간에 따라 SGSN(100)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한다.Thereafter, if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requests to generate data service information (PDP Context Activation Request) (S103), the SGSN 100 may activate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Request to the GGSN simulator 304 (Create PDP Context Request) (S104). Accordingly, as the GGSN simulator 304 transmits a Create PDP Context Response signal to the SGSN 100 (S105), the IP address and the SGSN 100 and the GGSN simulator 304 are transmitted. The same data service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session is created. Here,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activation request and response process is repeated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terminals at a specified registration rate.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GGSN simulator 304 measures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100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ime of data service activation request signals received from the SGSN 100.

이후, SGSN(100)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구(RAB Assignment Request)하면(S106)하면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에서 무선 자원 할당 응답(RAB Assignment Response 신호를 SGSN(100)으로 전송한다(S107). 다음에, SGSN(100)에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가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 요구에 대한 응답(PDP Context Activation Response)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S108) SGSN(100)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SGSN 100 requests to allocate a radio resource to the radio network simulation unit 311 of the radio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RAB Assignment Request) (S106), the radio network simulation unit 311 In step S107, the radio terminal / wireless simulator 302 responds to the data service activation request in the SGSN 100 (PDP Context Activation). Response) As the signal is received (S108),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100 can be measured.

이와 같이 SGSN(100)이 활성화되고 난 후에는 이상의 과정을 성공한 세션에 대해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와 GGSN 시뮬레이터(304) 간에 트래픽이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S109). 트래픽 용량은 측정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통해 트래픽을 보낼 세션의 개수, 패킷의 길이, 패킷의 개수, 패킷 전송율을 지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무선망시뮬레이션부(310)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18)와 GGSN 시뮬레이터(304)의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에서 SGSN(100)의 패킷 처리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After the SGSN 100 is activated as described above, traffic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the GGSN simulator 304 for the session having succeeded in the above process (S109). The traffic capacity can be measured by specifying the number of sessions, packet length, number of packets, and packet transmission rate through which the sender sends traffic through the user interface 314. The wireless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0 can be measured.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41 of the transceiver 318 and the GGSN simulator 304 may measure the packet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100.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는 SGSN(100)의 관점에서 다수의 무선 단말기와 무선망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SGSN(100)은 모든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등록 및 데이터 서비스 생성 과정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신호의 송수신 속도에 따른 SGSN(100)의 신호 처리 성능은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310)에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와 GGSN 시뮬레이터(304)의 G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34)에서 측정된다.Since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is regarded as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nd wireless ne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GSN 100, the SGSN 100 must perform registration and data service generation processes for all wireless terminals. .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100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peed of the signal is the user interface 314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the GGSN simulator user of the GGSN simulator 304 Measured at interface 334.

또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와 GGSN 시뮬레이터(304) 간에 SGSN(100)을 경유하여 송수신되는 트래픽 처리 용량은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18)와 GGSN 시뮬레이터(304)의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41)에서 측정된다.In addition,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the GGSN simulator 304 via the SGSN 100 may includ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18 and the GGSN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It is measured by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41 of the simulator 304.

도 8은 인터넷 시뮬레이터와 SGSN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패킷 코아망 성능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GGSN의 신호 처리 성능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using an internet simulator and an SGSN simulator, and illustrates a method of 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and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a GGSN.

SGSN 시뮬레이터(308)는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할 것을 GGSN(200)으로 요구(Create PDP Context Request)한다(S201). 이에 따라 GGSN(200)에서 데이터 서비스 정보 생성 요구에 대한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신호를 SGSN 시뮬레이터(308)로 전송함에 따라(S202), 이러한 과정은 측정자가 SGSN 시뮬레이터(308)의 S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4)를 이용하여 지정해 놓은 횟수와 속도에 따라 반복 수행되며, 이 과정을 통해 GGSN(200)의 세션 설정 과정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SGSN simulator 308 requests (Create PDP Context Request) to GGSN 200 to activate data service information (S201). Accordingly, as the GGSN 200 transmits a response to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generation request (Create PDP Context Response) signal to the SGSN simulator 308 (S202), the process is performed by the measurer of the SGSN simulator user of the SGSN simulator 308. It is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number and speed using the interface 364,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performance of performing the session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GGSN 200 can be measured.

이후, 단계(S201) 및 단계(S202)에 의해 성공한 세션에 대해서 트래픽이 전송되게 된다(S203). 트래픽은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와 SGSN 시뮬레이터(308) 사이에 송수신되며, 측정자가 SGSN 시뮬레이터(308)의 SGSN 시뮬레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4)를 통해 세션의 개수, 패킷의 길이, 패킷의 개수, 패킷의 전송 속도를 지정할 수 있다. 트래픽 처리 용량은 SGSN 시뮬레이터(308)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71) 및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의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에서 측정한다.Subsequently, traffic is transmitted for the successful session by step S201 and step S202 (S203). Traffic is sent and received between the internet simulator 306 and the SGSN simulator 308, and the measurer transmits the number of sessions, the length of the packet, the number of packets, and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through the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364 of the SGSN simulator 308. You can specify the speed.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is measured by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371 of the SGSN simulator 308 and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50 of the Internet simulator 306.

도 9는 무선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인터넷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패킷 코아망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패킷 코아망의 신호 처리 성능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packet core network performance and capacity us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an internet simulator, and illustrates a method of 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and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먼저,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가 온(ON) 상태로 됨에 따라,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0)는 다수의 단말기로 동작하여 SGSN(100)으로 다수의 무선 단말기를 등록할 것을 요구(Attach Request)하고(S301), SGSN(100)은 다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홈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후 무선 단말기 등록을 허락(Attach Accept)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302). 여기에서, 측정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개수 및 등록 속도를 지정할 수 있고, SGSN(100)으로부터 단말기 등록 허락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SGSN의 단말기 등록 수행 능력을 측정할수 있다.First, as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is turned on,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0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operates as a plurality of terminals to the SGSN 100. After requesting to register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ttach Request) (S301), SGSN 100 allows the wireless terminal registration after performing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us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er for the plurality of terminals ( Attach Accept) is repeated (S302). Here, the measurer may designate the number and registration speed of the wireless terminal using the user interface 314, and measure the terminal registration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SGSN by receiving the terminal registration permission signal from the SGSN 100.

이후,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 단말기 시뮬레션부(310)에서 SGSN(100)으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구(PDP Context Activation Request)하면(S303), SGSN(100)은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할 것을 GGSN(200)으로 요구(Create PDP Context Request)한다(S304). 이에 따라 GGSN(200)에서 데이터 서비스 정보 생성 요구에 대한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신호를 SGSN(100)으로 전송함에 따라(S305), SGSN(100)과 GGSN(200)에 IP 주소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성되고 세션이 생성된다. 여기에서, 데이터서비스 정보 활성화 요구 및 응답 과정은 다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반복 수행한다. 또한, 측정자는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개수와 데이터 서비스 정보 생성 요구 속도를 지정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310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requests to generat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SGSN 100 (PDP Context Activation Request) (S303), the SGSN 100 A request is made to the GGSN 200 to activate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Create PDP Context Request) (S304). Accordingly, as the GGSN 200 transmits a Create PDP Context Response signal to the SGSN 100 (S305), data such as an IP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SGSN 100 and the GGSN 200. Service-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session is created. Here,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activation request and response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ddition, the measurer may designate the number of wireless terminals and a request rate for generating data service information using the user interface 314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이후, SGSN(100)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구(RAB Assignment Request)하면(S306)함에 따라 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1)에서 무선 자원 할당 응답(RAB Assignment Response 신호를 SGSN(100)으로 전송한다(S307). 다음에,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가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 요구에 대한 응답(PDP Context Activation Response) 신호를 SGSN(100)로부터 수신함에 따라(S308),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4)에서 패킷 코아망(20)의 활성화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SGSN 100 requests to allocate a radio resource to the radio network simulation unit 311 of the radio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RAB Assignment Request) (S306), the radio network simulation unit 311 is performed. In step S307,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response signal (RAB Assignment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SGSN 100. The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sends a PDP Context Activation Response signal to the data service activation request. As received from the SGSN 100 (S308), the user interface 304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can measure the capability to perform activation of the packet core network 20.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SGSN(100)의 단말기 등록 수행 능력, 패킷 코아망(20)의 활성화 수행 능력과 같은 신호 처리 성은은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2)에서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gnal processing properties such as the ability to perform terminal registration of the SGSN 100 and the ability to perform activation of the packet core network 20 may be measured by the user interface 312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Can be.

이상의 과정을 통해 SGSN(100)이 활성화되고 난 후에는 이상의 과정을 성공한 세션에 대해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302)와 인터넷 시뮬레이터(306) 간에 트래픽이 송수신되게 된다(S309). 트래픽 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통해 트래픽을 보낼 세션의 개수, 패킷의 길이, 패킷의 개수, 패킷 전송율을 지정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션부(310)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18)와 인터넷 시뮬레이터(306)의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350)에서 패킷 코아망(20)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After the SGSN 100 is activ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raffic i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302 and the internet simulator 306 with respect to the session in which the above process is successful (S309). In order to measure the traffic capacity, the measurer may designate the number of sessions, packet length, number of packets, and packet transmission rate through the user interface 314. The wireless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310 may be specified.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350 of the transceiver 318 and the network simulator 306 may measure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2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 GGSN 시뮬레이터, SGSN 시뮬레이터 및 인터넷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WCDMA 시스템의 패킷 코아망 전체의 신호처리 성능과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패킷 코아망을 구성하는 SGSN과 GGSN의 각 노드별 신호처리 능력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and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entire packet core network of the WCDMA system can be measured using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he GGSN simulator, the SGSN simulator, and the Internet simulator.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and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each node of SGSN and GGSN constituting packet core network can be measured.

Claims (12)

WCDMA 시스템에서, 무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패킷망과 접속되는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패킷 코아망은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노드(SGSN) 및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 노드(GGSN)를 구비하며,In a WCDMA system, a system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packet core network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network via the Internet, the packet core network comprising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node (SGSN) and It has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gateway node (GGSN), 상기 SGSN과 접속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패킷 코아망으로 다수의 가상 무선 단말기 등록 및 데이터 서비스 정보 생성을 요구하고, 상기 패킷 코아망과 송수신하는 신호 및 트래픽에 따라 상기 패킷 코아망 또는 상기 SGSN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It is connected to the SGSN, requests a plurality of virtual wireless terminal registration and the generation of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packet core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he packet core network or the SGSN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and traffic to and from the packet core network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system;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상기 SGSN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SGSN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하고 세션을 생성하며, 상기 활성화 요구에 따라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능력을 측정하고, 상기 세션을 통해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의해 상기 SGSN의 트래픽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GGSN 시뮬레이터;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hrough the SGSN, activates data service information and creates a session according to the SGSN request, measures the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SGSN according to the activation request, and establishes the session. G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traffic capacity of the SGSN by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via; 상기 GGSN과 접속되며, 상기 패킷 코아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의해 상기 패킷 코아망 또는 상기 G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인터넷 시뮬레이터; 및An internet simulator connected to the GGSN and measuring a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or the GGSN by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hrough the packet core network; And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와 상기 GGSN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GGSN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활성화할 것을 요구하고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G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고,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 양에 따라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SGSN 시뮬레이터;Connected to the Internet simulator and the GGSN, requesting to activate a data service with the GGSN, receiving a response to the data service activation from the GGSN, 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GGS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Internet simulator. S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를 구비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having 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가상 무선 단말기로 동작하는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 및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may include a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operating as a plurality of virtual wireless terminals under a user's control; And 상기 다수의 가상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패킷 코아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패킷 코아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로 전송하는 무선망 시뮬레이션부;A wireless network convert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virtual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s into a network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packet core network, conver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packet core network into a wireless data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A simulation unit; 를 구비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having a.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는 데이터베이스;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database;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거나 상기 무선망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or display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무선망 시뮬레이션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망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성 관리 및 처리부; 및A mobility management an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to the user interface; And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무선 데이터를 상기 무선망 시뮬레이션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망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A wireless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wireless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or stor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in the database; 를 구비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처리 시스템.Performance and capacity processing system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having a.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망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에 의해 변환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변환부;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unit comprises: a wireless dat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by a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RANAP) protocol; 상기 무선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패킷 코아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라우팅부; 및A data rou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wireless data conversion unit to the packet core network; And 상기 무선 단말기 시뮬레이션부로부터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하여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를 GTP-U(GPRS tunneling Protocol-User Plan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패킷 코아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1 사용자평면 터널링 생성부;First user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simulation unit by UDP / IP (User Datagram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o the packet core network using a GPRS tunneling Protocol-User Plane (GTP-U) protocol A planar tunneling generator; 를 구비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having 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GGSN 시뮬레이터는 상기 SGSN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신호 처리부, 상기 SGSN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트래픽 처리부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며,The GGSN simulator includes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GSN, a traffic processor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GSN, and a database.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SGSN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SGSN과 송수신한 신호 처리량에 따라 상기 SGSN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GGSN시뮬레이터 사용자인터페이스;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a GGSN simulator user interface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GSN, and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GSN according to the signal processing amount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GSN; 상기 GGSN시뮬레이터 사용자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트래픽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GTP-C(GPRS tunneling Protocol-Control Plane)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트래픽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제1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상기 제1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를 통해 상기 SGSN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전송부;를 구비하며,A first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for generating traffic related information from data transmitted from the GGSN simulator user interface and storing the traffic related information in the database through a GPRS tunneling protocol-control plane (GTP-C) protocol; And a first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a first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to the outside or transmitting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SGSN through the first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상기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의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S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 및The traffic processor may include a network data transceiver configured to measure uplink data and downlink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o measure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And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생성된 트래픽을 제2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사용자 평면 터널링 생성부;A second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configured to transmit the traffic generated by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to the outside through a second data transmitter; 를 구비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having 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는 상기 GGSN과 데이터를 송수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의해 상기 패킷 코아망 또는 GGSN의 트래픽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 및The Internet simulator includes a network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GGSN, and measuring the traffic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or GGSN based on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와 제3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UDP/IP에 의하여 통신하는 제3 데이터 전송부;A third data transmitter communicating with UDP / IP through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and a third data transmitter; 를 구비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having 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SGSN 시뮬레이터는 상기 GGSN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상기 GGSN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트래픽 처리부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며,The SGSN simulator includes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GSN, a traffic processor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GGSN, and a database.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GGSN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GGSN과 송수신한 신호 처리량에 따라 상기 GGSN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SGSN시뮬레이터 사용자인터페이스;The signal processor includes: an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GGSN and measuring performance of the GGSN according to the signal throughput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GGSN; 상기 SGSN시뮬레이터 사용자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트래픽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GTP-C(GPRS tunneling Protocol-Control Plane)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트래픽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제2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A second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for generating traffic related information from data transmitted from the SGSN simulator user interface and storing the traffic related information in the database through a GPRS tunneling protocol-control plane (GTP-C) protocol; 상기 제2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평면 터널링 생성부를 통해 상기 GGSN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4 데이터 전송부;를 구비하며,And a fourth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to the outside or transmitting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GGSN through the second control plane tunneling generator. 상기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의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G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 및The traffic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networ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measuring the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GGSN by simulating uplink data and downlink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생성된 트래픽을 제5 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3 사용자 평면 터널링 생성부;A third user plane tunneling generator configured to transmit the traffic generated by the network data transceiver to the outside through a fifth data transmitter; 를 구비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시스템.Performance and capacity measurement system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having a. WCDMA 시스템에서 무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패킷망과 접속되며, 패킷 코아망은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노드(SGSN) 및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 노드(GGSN)를 구비하는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 GGSN 시뮬레이터, 인터넷 시뮬레이터 및 SGSN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SGSN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으로서,In a WCDMA system,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the packet core network includes a packet core network having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node (SGSN) and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gateway node (GGSN). A method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SGSN in a system hav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 GGSN simulator, an internet simulator, and an S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system,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가 온(ON) 상태로 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가 상기 SGSN으로 다수의 무선 단말기를 등록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Requesting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o register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with the SGSN as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is turned on; 상기 다수의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SGSN의 단말 요구 허락 신호에 따라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according to the terminal request permission signal of the SGSN for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SGSN으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SGSN이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GGSN 시뮬레이터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Requesting the SGSN to activat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GGSN simulator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as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is requested by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 상기 SGSN의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 요구에 따라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SGSN으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according to the SGSN data service information activ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activation to the SGSN by the number of wireless terminals; 상기 SGSN이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무선 자원 할당 응답 신호를 상기 SGSN으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radio resource allocation response signal to the SGSN i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s the SGSN requests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상기 SGSN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로 데이터 서비스 생성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생성된 세션의 개수만큼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및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by the number of sessions generated by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a data service generation request from the SGSN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상기 생성된 세션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상기 GGSN 시뮬레이터 간에 트래픽이 전송됨에 따라 상기 S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as traffic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the GGSN simulator in the generated session; 를 포함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comprising a.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무선 단말기 등록을 요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무선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 무선 단말기 개수 및 등록 속도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And specifying the number of wireless terminals and a registration speed in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simulator before performing the step of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CDMA 시스템에서 무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패킷망과 접속되며, 패킷 코아망은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노드(SGSN) 및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 노드(GGSN)를 구비하는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 GGSN 시뮬레이터, 인터넷 시뮬레이터 및 SGSN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GGSN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으로서,In a WCDMA system,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the packet core network includes a packet core network having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node (SGSN) and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gateway node (GGSN). A metho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GGSN in a system hav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 GGSN simulator, an internet simulator, and an S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상기 SGSN 시뮬레이터가 지정된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Requesting, by the SGSN simulator, to activat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Internet simulator by the number of designated wireless terminals; 상기 SGSN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 요구에 따라 상기 G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GGSN으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여 세션이 생성되는 단계;Measuring a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GGSN according to a data service information activation request of the SGSN simulator and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activation of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GGSN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wireless terminals; 상기 생성된 세션으로 트래픽이 전송됨에 따라, 상기 S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traffic throughput of the SGSN as traffic is transmitted to the generated session; 를 포함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comprising a. WCDMA 시스템에서 무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패킷망과 접속되며, 패킷 코아망은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노드(SGSN) 및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 노드(GGSN)를 구비하는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 GGSN 시뮬레이터, 인터넷 시뮬레이터 및 SGSN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으로서,In a WCDMA system,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the packet core network includes a packet core network having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node (SGSN) and an asynchronous network data service gateway node (GGSN). A metho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a system having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 GGSN simulator, an internet simulator, and an SGSN simulator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system,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가 온(ON) 상태로 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가 상기 SGSN으로 다수의 무선 단말기를 등록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Requesting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to register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with the SGSN as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is turned on; 상기 다수의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SGSN의 단말 요구 허락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i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ccording to the terminal request permission signal of the SGSN for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SGSN으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SGSN이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GGSN으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활성화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Requesting the SGSN to activat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GGSN by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as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requests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to generate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to the SGSN. ; 상기 SGSN의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 요구에 따라 상기 GGSN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개수만큼 상기 SGSN으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정보 활성화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activating the data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GGSN to the SGSN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 SGSN's data service information activation request; 상기 SGSN이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서 무선 자원 할당 응답 신호를 상기 SGSN으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radio resource allocation response signal to the SGSN i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s the SGSN requests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상기 SGSN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로 데이터 서비스 생성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생성된 세션의 개수만큼 상기 SGSN의 신호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및Measuring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GSN by the number of sessions generated by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a data service generation request from the SGSN to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상기 생성된 세션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와 상기 인터넷 시뮬레이터 간에 트래픽이 전송됨에 따라 상기 SGSN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traffic processing capacity of the SGSN as traffic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 wireless network simulator and the internet simulator in the generated session; 를 포함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acket core network in the WCDMA system comprising a. 제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무선 단말기 등록을 요구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무선단말기/무선망 시뮬레이터에 무선 단말기 개수 및 등록 속도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 방법.And specifying the number of wireless terminals and a registration speed in a wireless terminal / wireless simulator before performing the step of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KR10-2002-0044757A 2002-07-29 2002-07-29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KR100492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757A KR100492076B1 (en) 2002-07-29 2002-07-29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757A KR100492076B1 (en) 2002-07-29 2002-07-29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94A true KR20040011694A (en) 2004-02-11
KR100492076B1 KR100492076B1 (en) 2005-06-02

Family

ID=3731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757A KR100492076B1 (en) 2002-07-29 2002-07-29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0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345B1 (en) * 2004-06-17 2006-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y Using HSDPA Dedicated FA for Use in WCDMA Network
KR100747696B1 (en) * 2005-10-24 2007-08-08 주식회사 영 Core Net Simulator to support interaction tests between the RNCs in 3G Mobile Telecommun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670B1 (en) * 2011-05-19 2018-06-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Traffic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2450B1 (en) * 1998-06-16 2001-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ellular network traffic simulator (cents)
KR100311312B1 (en) * 1999-06-03 2001-10-17 박원배 Method for testing set up of multimedia call in radio network controller for broadband wireless mobile station
KR100729460B1 (en) * 2000-11-21 2007-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testing a quality of Uu interface in IMT-2000 communication system
JP3656245B2 (en) * 2000-12-11 2005-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detour route resolu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detour route resolution program
SE0004837D0 (en) * 2000-12-20 2000-12-2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mean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345B1 (en) * 2004-06-17 2006-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y Using HSDPA Dedicated FA for Use in WCDMA Network
KR100747696B1 (en) * 2005-10-24 2007-08-08 주식회사 영 Core Net Simulator to support interaction tests between the RNCs in 3G Mobile Tele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2076B1 (en)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6206B (en) Inter-system handoff using circuit switched bearers for 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s
CN105393605B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its communication means
CN104584679B (en) The total position of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and access node and local gateway
CN109673026B (en) Data forwar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20511083A (en)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and device, SMF, UPF, UE, PCF and AN
KR20070006539A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differential systems
CN110505714B (en) Multi-link communication method, equipment and terminal
JP20055319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P packets between a radio network controller of a mobile radio network and other devices
WO2009100628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based on lte/sae system
CN100473188C (en) Voice calling handling method using dynamic home agency technology at whole IP framework
CN114302426B (en)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controlling service quality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159391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04531B1 (en) Mobile Packet Data Servic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63644A (en) User equipment and enodeb comprising protocol architecture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for setting up device-to-device bearer thereof
US200401054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rmant control in the packet data service network
WO201700869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multi-channel rout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CN107277882A (en) A kind of data routing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CN103843445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US7403782B2 (en)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2917386B (en) Device and method for consistency protocol verification of interfaces S1 of LTE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network
KR1004920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Packet Core Network in WCDMA System
KR20030025019A (en) system for verifying packet call processing of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CN115175117A (en) Data redundancy transmission method under multi-access and related equipment thereof
WO2018098762A9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apparatus
US20080311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Radiomobile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