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987A -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987A
KR20040008987A KR1020020042757A KR20020042757A KR20040008987A KR 20040008987 A KR20040008987 A KR 20040008987A KR 1020020042757 A KR1020020042757 A KR 1020020042757A KR 20020042757 A KR20020042757 A KR 20020042757A KR 20040008987 A KR20040008987 A KR 20040008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ource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성
조영호
이상철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2004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8987A/en
Publication of KR2004000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98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supplying a bell soun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eceiving signal is provided to output signal music instead of a bell sound generated whenever a call is made on a cellular phone, and to simply change the signal music at any time, thereby implementing user convenience. CONSTITUTION: A terminal connector(100)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gnizes a receiving signal requesting to set a telephone call. When the receiving signal is recognized, a controller(110) decodes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and reproduces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 sound source output unit(120) outputs a reproduced sound source as a receiving sound. A sound source data input unit(130) receives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from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storage including a PC. A storage(140) stores the received sound source data.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음원 재생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온 것을 알리는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ound source reprod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o provide a ringtone for notifying that a call is com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왔을 때 이를 알리는 방법은 단말기가 진동하게 하거나 소정의 벨소리를 재생하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이렇게 재생되는 벨소리는 단음의 음원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요즈음 이와 같은 벨소리로 단음이 아니라 16 폴리(poly), 32 폴리, 40 폴리 등의 화음을 낼 수 있는이동통신 단말기가 시중에 출시되고 있으며, 이를 선호하는 사용자가 많은 실정이다.A method of notifying when a call is recei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uses a method of causing the terminal to vibrate or playing a predetermined ring tone. The ringtones played in this way were mostly single sound sources. Nowada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producing chords such as 16 poly, 32 poly, 40 poly, etc. instead of a single tone are being released on the market, and many users prefer them.

단음의 벨소리보다는 MP3 파일이나 MIDI 음원을 재생하는 화음을 제공하는 벨소리를 재생할 수 있는 단말기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듣기 좋은 벨소리를 통해 전화가 온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using a terminal that can play a ringtone that provides a chord for playing an MP3 file or a MIDI sound source rather than a single ringtone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call comes through a ringtone that is easy to hear.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단음의 벨소리만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상당히 많은 수량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단말기의 음원 제공 부분만을 교체하기는 번거로우며, 비용도 많이 든다. 따라서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를 새로 구입하기 전에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음의 벨소리만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화음을 재생하는 벨소리를 들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only a single ringtone of a conventionally used number is used in a considerable quantity, it is cumbersome to replace only the sound source providing portion of each terminal, it is expensive. Therefore, before a new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ewly purcha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hear a ringtone for playing a chord whil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only a ringtone of a single tone currently us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하여 MP3나 MIDI의 음원을 벨소리로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벨소리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ingtone providing device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of MP3 or MIDI by connec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ingtone whi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it is; It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ringtone as an incoming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가 이동통신단말기 및 음원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at the device for providing a ringtone as an incoming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for providing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어 착신음으로 소정의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는 단말기연결부; 상기 단말기연결부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착신신호가 인식되면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착신음으로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devic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ringtone as a ringing t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s the telephone call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incoming signal request; A control unit which decodes and reproduces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when an incoming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source reproduced by the control unit as a ring tone.

이때에 상기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음원 저장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음원데이타입력부; 및 상기 음원데이타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재생될 음원들이나 재생될 음원들의 순서 및 음원 재생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음원선택부; 및 재생되는 음원의 명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apparatus may include a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from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storage means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received through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ound sourc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or a sequence of sound sources to be reproduced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time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name of a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o the user, wherein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power to operate the device from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단말기연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의 일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연결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 신호가 수신될 때에 출력하는 벨소리가 재생되는 것을 막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상기 단말기연결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받는 온 후크(on hook) 신호를 인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후크 신호가 인식되면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rminal connection unit transmits a part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recognizes an incoming signal for requesting a telephone cal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to prevent the ring tone output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so that the r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utput, and decoding and playing the sound source data Preferably,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recognizes an on-hook signal that a user receives a call in response to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ler reproduces sound source data when the on-hook signal is recognized. It is desirable to stop doing so.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ringtone as an incoming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어 착신음으로 소정의 벨소리를 제공하는 이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는 단말기연결부(100), 단말기연결부(100)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어부(110) 및 제어부(10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착신음으로 출력하는 음원출력부(120)를 포함한다.The device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ringtone as a ring tone,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gnizing an incoming signal for requesting a telephone cal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incoming signal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the sound source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reproduced by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00 to the user as a ring tone to decode and play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It includes an output unit 120.

또한 이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음원 저장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음원데이타입력부(130) 및 음원데이타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0), 재생될 음원들이나 재생될 음원들의 순서 및 음원 재생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음원선택부(150), 재생되는 음원의 명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vice is a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data received through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130 and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120 that can receive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from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storage means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 The sound source selection unit 150 in which the order of the sound sources to be reproduced or the sound sources to be reproduced and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time ar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160 displaying the name of the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o the user.

그 외에도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17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wer input unit 170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ng the device, and receiving power for operating the device from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에서는 도 1의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과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components of FIG. 1 will be described.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되는 전원 공급 수단인 배터리 외에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는 단자가 포함되어 있다. 휴대폰 경우에는 휴대폰 단말기 하단 부분에 이런 단자가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단말기연결부(100)는 이와 같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연결부(100)는 휴대폰의 이어폰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동통신단말기로 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면 다른 어떤 부분에라도 연결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or separately supplying power for operating the terminal, in addition to a battery that is a power supply means attach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such a terminal is usually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such a terminal. Alternatively,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part of the mobile phone, and may be connected to any other part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that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단말기연결부(100)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면, 이는 제어부(110)로 전달된다. 이때에 제어부(110)에서는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으로 재생한다.When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recognizes the incom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decodes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and reproduces the ringing ton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음원 데이터의 형식, 예를 들면 MP3 형식 혹은 MIDI 형식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코딩하는 코덱(CODEC)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DAC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음원 데이터의 형식이 정해지면 그에 대응하는 코덱을 구현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같은 프로세서를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110 should have a codec function for encoding the source data in the form of sound source data, for example, MP3 format or MIDI format. It should also include a DAC that converts digital data into analog data that can be heard by the user. Once the format of the sound source data is determined, it is easy to implement a codec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codec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controller 110 may be implemented using a processor such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음원출력부(120)에는 제어부(110)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착신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나 스피커 단자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소리 증폭을 위한 앰프가 포함될 수도 있다.The sound source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n earphone terminal or a speaker terminal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reproduced by the controller 110 as a ring tone. In addition, an amplifier for sound amplification may be includ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로 전화가 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해 MP3와 같은 음원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착신음으로 출력되게 된다.When the phone come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ound source data such as MP3 is output to the user as a ring tone through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에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착신음이 같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이를 위해 단말기연결부(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의 일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며, 단말기연결부(100)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 신호가 수신될 때에 출력하는 벨소리가 재생되는 것을 막는 신호를 단말기연결부(10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여 착신음으로 출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may not be desirable to output the ringing tone uniq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is end,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transmits a part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recognizes an incoming signal for requesting a telephone cal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a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to prevent the r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being reproduced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Then, it is preferable to decode and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to output the ring tone.

그리고 사용자가 착신음을 듣고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여 온 호크(on hook) 상태가 되면 전화를 받는 상태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출력되는 발신 음악은 더 이상 출력되지 않아도 된다. 이를 위해 단말기연결부(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받는 온 후크 신호를 인식하며, 제어부(110)는 상기 온 후크 신호가 인식되면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en the user is in the on-hook (on hook) state by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listen to the ring tone to make a telephone call, the outgoing music output from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output any more. To this end,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recognizes an on-hook signal that a user receives a call in response to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ler 110 stops reproducing sound source data when the on-hook signal is recognized. It is preferable.

상기와 같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여러 개를 사용할 수도 있고, 교체할 수 있는 것이 사용상에 있어서의 편이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원데이타입력부(130)를 통해 외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송된 음원 데이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필요할 때에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A plurality of sound source data to be reproduc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y the user's selection, and the replacement of the sound source data can increase convenience in use. To this end, the sound source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130. The transmitted sound sourc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so that it can be retrieved and used when necessary.

음원데이타입력부(130)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선으로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서 음원데이타입력부(130)는 RS-232C 인터페이스, USB(Universal Serial Bus) 혹은 IEEE1394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IR 인터페이스,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인터페이스들은 이미 공개된 기술들이며, 상용화된 기능 모듈들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며, 구현 방법에 따라 어떤 것을 사용해도 본 발명의 요지는 유지된다.How to implement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130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ceive data by wire,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130 may provide an interface such as an RS-232C interface, a universal serial bus (USB), or an IEEE1394. Through this, sound source data stored in a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may be transmitted. To receive data wirelessly, a short-range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an IR interface and Bluetooth may be used. The above interfaces are already disclosed technologie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commercially available functional module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implementation method.

저장부(140)는 음원 데이터가 기록되고 변경되는 장소이므로 EEPROM, Flash 메모리와 같은 재기록 가능한 기억 소자를 이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Since the storage unit 140 is a place where the sound source data is recorded and changed,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mplemented using a rewritable memory device such as an EEPROM or a Flash memory.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저장된 여러 개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착신 신호음으로 사용될 음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혹은 차례대로 재생될 순서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음원이 재생되는 시간도 설정할 수 있으면 사용상의 편이성이 대폭 향상된다. 이를 위한 것이 음원선택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60)이다.The user can select the sound source data to be used as the incoming call sound from amo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s described above, or select the order to be reproduced in sequence, and the ease of use can be greatly improved if the time when the sound source is reproduced can also be set. For this purpose, the sound source selection unit 150 and the display unit 16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표시되는 음원 데이터의 이름, 재생 시간 등을 볼 수 있으며, 음원선택부(150)를 통해 그 중에서 재생될 음원들이나 재생될 음원들의 순서 및 음원 재생 시간 등을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may view the name, the playback time, and the like of the sound source data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60, and select the sound sources to be played, the order of the sound sources to be played, the sound source playback time, and the like, from the sound source selector 150. Can be.

음원선택부(150)는 음원간의 이동이나 재생 시간 선택을 위한 키패드, 음원 선택키패드 등을 포함하여 최소한의 키패드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60)는 소형의 LCD 모니터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현재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동작 중이라는 것도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이런 프로그램은 제어부(110)와 같은 프로세서 기능이 있는 수단을 이용해서 실행시킬 수 있다.The sound source selec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nimum number of keypads, including a keypad for moving between sound sources or selecting a playback time, a sound source selection keypad,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60 may be implemented using a small LCD monitor, and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at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Providing such an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provides the above functions. Such a program can be executed using a means having a processor function, such as the controller 110.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종의 MP3 플레이어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 may be used as a kind of MP3 player.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소형의 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170)를 더 포함한다.Power supply is required to operat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would be possible to use small batteries for this purpose.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wer input unit 170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power for operating the device from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원입력부(170)는 단말기연결부(100)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해당 단자에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인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도 1의 장치에 공급한다. 만일 음원데이타입력부(130)를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장치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거한 후에 컴퓨터의 USB 인터페이스 단자와 연결하여 음원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에 USB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전원입력부(170)는 음원데이타입력부(130)에 포함된 USB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을 받아 장치를 동작하게 할 수 있다.The power input unit 170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in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0 and receives power from a DC power source, which is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pplies it to the apparatus of FIG. 1. If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130 is implemented to include a USB interface, the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mo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terminal of the computer to receive sound source data. In this case, since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USB, the power input unit 170 may operate the device by receiving power input through the USB terminal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130.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200)가 이동통신단말기(210) 및 음원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220)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을 취하면서 소형화되는 벨소리 제공 장치(200)를 이동통신단말기인 휴대폰에 장착하면 전화가 걸려 올 때마다 발생되는 벨소리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공하는 신호 음악이 출력될 것이다. 또한 이 음악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간편하게 교체될 수 있으며, 재생되는 음원이 순서를 정해주면 전화가 걸려올 때마다 발생하는 벨소리도 계속 바뀌게 되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환경이 대폭 개선될 수 있게 된다.2 illustrates an apparatus 200 for providing a ringtone as an incoming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a computer 220 for providing sound source data. In this manner, when the ringer providing device 200 is downsized to a mobile phone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gnal music provided by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utput instead of the ringtone generated whenever a call is made. In addition, this music can be easily replaced at any time as needed, and if the order of playing music is ordered, the ringtones that occur every time an incoming call is also changed so that the environment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can be greatly improved. do.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Examples included in the above description are introduc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examples do not limi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not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어 착신음으로 소정의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는 단말기연결부, 단말기연결부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착신음으로출력하는 음원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인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 올 때마다 발생되는 벨소리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공하는 신호 음악이 출력되며, 이 음악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간편하게 교체될 수 있으며, 재생되는 음원이 순서를 정해주면 전화가 걸려올 때마다 발생하는 벨소리도 계속 바뀌게 되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환경이 대폭 개선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ringtone as a ring tone,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rminal for recognizing an incoming signal for requesting a telephone cal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incoming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ognized in the connection unit,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coding and reproducing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reproduc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user, a mobile phone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ringtones that are generated each time a call comes in, the signal music provided by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and this music can be easily replaced at any time as needed. The ringtones that occur every time you change will also change. The environment using the terminal can be greatly improved.

Claims (6)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어 착신음으로 소정의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a predetermined ringtone as a ring ton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는 단말기연결부;A terminal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rminal connecting unit recognizing an incoming signal for requesting a telephone cal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단말기연결부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which decodes and reproduces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when an incoming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And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착신음으로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source reproduced by the controller to the user as a ring to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음원 저장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음원데이타입력부; 및A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predetermined sound source data from predetermined sound source storage means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And 상기 음원데이타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received through the sound source data input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재생될 음원들이나 재생될 음원들의 순서 및 음원 재생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음원선택부; 및A sound sourc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sound sources to be reproduced or a sequence of sound sources to be reproduced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time by a user; And 재생되는 음원의 명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a ringtone as an incoming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name of the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o the us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말기연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의 일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며,The terminal connection unit transmits a part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단말기연결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 신호가 수신될 때에 출력하는 벨소리가 재생되는 것을 막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When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recognizes an incoming signal for requesting a telephone cal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with a signal that prevents the ring tone output when the incoming communication signal is received. Apparatus for providing a ringtone as an incoming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event the ring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putted, and to decode and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말기연결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받는 온 후크(on hook) 신호를 인식하며,The terminal connection unit recognizes an on hook signal that a user receives a call in response to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후크 신호가 인식되면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The control unit provides a ringtone as an incoming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stop playing the sound source data when the on-hook signal is recogniz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 신호로 벨소리를 제공하는 장치.And a power input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wer input unit being supplied with power for operating the device from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20042757A 2002-07-20 2002-07-20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KR200400089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757A KR20040008987A (en) 2002-07-20 2002-07-20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757A KR20040008987A (en) 2002-07-20 2002-07-20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987A true KR20040008987A (en) 2004-01-31

Family

ID=3731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757A KR20040008987A (en) 2002-07-20 2002-07-20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89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4310A1 (en) * 2004-05-27 2006-01-12 Kyung-Nam Jang The r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863A (en) * 1989-08-09 1991-03-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JPH0369162A (en) * 1989-08-08 1991-03-25 Nec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2001237915A (en) * 2000-02-21 2001-08-31 Tomohiro Watanabe Announcement sound generation unit and accessory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10096732A (en) * 2000-04-14 2001-11-08 이봉순 Apparatus for originating a signal based on a received signal of a cellular phone
KR20020037561A (en) * 2000-11-14 2002-05-22 이치훈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162A (en) * 1989-08-08 1991-03-25 Nec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H0368863A (en) * 1989-08-09 1991-03-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JP2001237915A (en) * 2000-02-21 2001-08-31 Tomohiro Watanabe Announcement sound generation unit and accessory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10096732A (en) * 2000-04-14 2001-11-08 이봉순 Apparatus for originating a signal based on a received signal of a cellular phone
KR20020037561A (en) * 2000-11-14 2002-05-22 이치훈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4310A1 (en) * 2004-05-27 2006-01-12 Kyung-Nam Jang The r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19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user-selected alert patterns
CN100469091C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and sound outputting method
US201000690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064626A (en) Portable telephone
WO2000045567A1 (en) Telephone and telephone system
KR20020080557A (en) portable audio player hav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communication by using the same
JP3575368B2 (en) Mobile phone
KR20040008987A (en)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KR101114155B1 (en) Bell service method using mp3 music of mobile phone
KR100554005B1 (en) Portable melody editor for mobile terminal
KR200172848Y1 (en) Device that has hands free, voice recording and etc functions adapted with handset of telephone.
JP5082809B2 (en) Hands-free device
KR100708817B1 (en) Accompaniment apparatus for hand held terminal
KR200337937Y1 (en) Telephone having various calling sound signal
JP2007013876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KR200242886Y1 (en) Phone auxiliary unit for bell change
KR200299971Y1 (en) Phone Bell Accessory Connected to Mobile Phone
JP2002164969A (en) Device with ringer melody transfer function to mobile phone and transfer method
KR200404526Y1 (en)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KR200347947Y1 (en) system for generating sound of the bell using a record process
KR200347084Y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1 poly bell sound using MIDI audio source
KR100631526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audio process method
KR20030076041A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audio device with a function of hands-free
KR100606097B1 (en) Voice recording and replay method of mobile phone
JP2001345884A (en) Incoming tone reproducing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