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615Y1 -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충전기. - Google Patents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615Y1
KR200392615Y1 KR20-2005-0015571U KR20050015571U KR200392615Y1 KR 200392615 Y1 KR200392615 Y1 KR 200392615Y1 KR 20050015571 U KR20050015571 U KR 20050015571U KR 200392615 Y1 KR200392615 Y1 KR 200392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phone
charger
specific patter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훈
김영애
Original Assignee
김영애
심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애, 심상훈 filed Critical 김영애
Priority to KR20-2005-0015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615Y1/ko
Priority to PCT/KR2006/001725 priority patent/WO2007001115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충전기는 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장착되는 TA본체와 휴대폰에 안착되는 충전커넥터와 상기 TA본체와 충전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커넥터의 일측면에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등이 구비되며, 상기 충전표시등은 매립되고 매립된 상기 충전표시등의 상부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는 특정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특정문양은 문자, 로고, 시아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충전기의 충전커넥터에 특정문양으로 충전 상태를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충전상태는 상품의 상표나 기업의 시아이(CI) 등으로 이루어져서, 반복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되므로 광고효과가 증대된다.

Description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 충전기.{MOBILE PHONE BATTERY WHICH INDICATES THE CHARGING STATE ACCORDING TO THE REDIATION STATUS OF THE BATTERY }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 본체에 형성되는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서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배터리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고,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가 소모되어 충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휴대폰 배터리는 충전용 거치대에 장착하여 충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대를 사용하여서 휴대폰을 충전하는 충전기는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다. 즉 여행시에도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충전을 하여야 하는데 상기 거치대를 이용한 충전기는 부피가 커서 여행시 휴대하는데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행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여행용 충전기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여행용 충전기는 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함께 TA본체가 형성되고, TA본체에 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는 휴대폰의 리셉터클에 삽입시켜 연결하는 충전 커넥터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표시등이 상기 TA본체에 설치되거나, 종류에 따라서는 충전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TA본체에 충전등이 표시되는 충전기는 표시등이 TA본체가 삽입되는 콘센트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확인하기가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충전등이 눈에 잘 띠는 부위에 장착되지 못하고, 사각지대에 위치하게 되어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충전이 완료되기 전에 충전동작을 해제시켜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시키지 못한다게 되고, 충전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상태를 장시간 방치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경우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 커넥터에 장착된 충전등은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상기 충전등은 충전상태만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만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행용 휴대폰 충전기에 장착되는 충전표시등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충전표시 기능만이 있었던 충전표시등에 새로운 기능이 부가될 수 있도록 하는 여행용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 충전기는 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장착되는 TA본체와 휴대폰에 안착되는 충전커넥터와 상기 TA본체와 충전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커넥터의 일측면에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등이 구비되며, 상기 충전표시등은 매립되고 매립된 상기 충전표시등의 상부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는 특정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특정문양은 문자, 로고, 시아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충전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TA본체(20), 케이블(30), 충전커넥터(40) 및 특정문양(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TA본체(20)는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교류전기(AC)를 직류전기(DC)로 바꾸어 주는 정류장치로 전방부에는 전원의 콘세트와 연결시킬 수 있는 플러그(21)가 장착되어서 교류전기를 받아들일 수 있고, 받아들인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변화하여서 케이블(3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케이블(30)의 단부에는 충전커넥터(4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충전커넥터(40)는 휴대폰의 하단부에 장착된 리셉터클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커넥터(40)에는 반투명의 재질에 의하여 특정문양(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특정문양(50)은 상품의 상표일 수도 있고, 기업의 상호나 로고, 시아이(CI) 등으로 문양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특정문양(50)의 하부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등(60)이 장착되어 있다.(도 2참조)
상기 충전표시등(60)은 충전 전류차이를 감지하여서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게 된다. 충전시 3.6V~4.095V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3.6V~4.95V시에는 블루칼라의 빛을 발하고, 4.96V 이상 시에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녹색 빛을 발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빛의 색상에 의하여 충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의 한 가지로서 광통신 분야에서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갈륨, 비소, 인 등이 사용된다. 적정가로 신뢰성이 높고 변조가 용이하며 동작이 안정되어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상기 충전표시등(60)의 상부에는 특정문양(50)이 안착되어 있어서, 상기 충전표시등(60)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고,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충전표시등(60)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반투명의 색상, 즉 회색으로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충전표시등(60)이 온(ON)된 상태에서 충전중일 때에는 불루칼라의 색상을 띠게 되고, 블루 빛은 반투명의 상기 특정문양(500을 통과하여서 빛을 발하게 된다. 그리고 충전이 완료되어서 녹색의 빛을 발산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문양(50)도 녹색의 빛이 투과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커넥터에 특정문양으로 충전 상태를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충전상태는 상품의 상표나 기업의 시아이(CI) 등으로 이루어져서, 반복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되므로 광고효과가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 충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충전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a와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휴대폰 충전기, 20: TA본체,
21: 플러그, 30: 케이블,
40: 충전 커넥터, 50: 특정문양
60: 충전표시등

Claims (3)

  1. 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장착되는 TA본체와 휴대폰에 안착되는 충전커넥터와 상기 TA본체와 충전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커넥터의 일측면에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등이 장착되는 여행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표시등은 매립되고, 매립된 상기 충전표시등의 상부에는 반투명의 재질로 특정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문양은 문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문양은 로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 충전기.
KR20-2005-0015571U 2005-06-01 2005-06-01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충전기. KR200392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71U KR200392615Y1 (ko) 2005-06-01 2005-06-01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충전기.
PCT/KR2006/001725 WO2007001115A1 (en) 2005-06-01 2006-05-09 Mobile phone battery which indicates the chargng state according to the rediation status of th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71U KR200392615Y1 (ko) 2005-06-01 2005-06-01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615Y1 true KR200392615Y1 (ko) 2005-08-18

Family

ID=3759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71U KR200392615Y1 (ko) 2005-06-01 2005-06-01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충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92615Y1 (ko)
WO (1) WO20070011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84A1 (ko) * 2012-08-01 2014-02-06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KR200487880Y1 (ko) 2017-12-27 2018-11-15 박주석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잭의 삽입위치 표시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0656A (ja) 2005-06-30 2009-01-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ディオ信号をエンコーディング及びデコ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装置とその方法
WO2007004828A2 (en) 2005-06-30 2007-01-1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CN102761018A (zh) * 2012-07-31 2012-10-31 今皓光电(昆山)有限公司 平板电脑充电用连接线
EP3234620B8 (en) 2014-12-16 2019-06-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active logo indicative of remaining power from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0580B3 (en) * 1998-11-26 1999-09-23 Shih, Hung Ming Improved device of a micro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JP2002354709A (ja) * 2001-05-21 2002-12-06 Tsunashima Shinpei 携帯電話機充電装置
JP2003273976A (ja) * 2002-03-18 2003-09-26 Topland:Kk 携帯電話機内蔵電池への充電方法および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KR20050100544A (ko) *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국제자산관리 전동차 내에 설치되는 핸드폰용 배터리 급속충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84A1 (ko) * 2012-08-01 2014-02-06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KR101370934B1 (ko) * 2012-08-01 2014-03-10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KR200487880Y1 (ko) 2017-12-27 2018-11-15 박주석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잭의 삽입위치 표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1115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2615Y1 (ko) 특정문양의 발광상태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휴대폰충전기.
US20160063904A1 (en) Illuminated support mount for vehicle flag
US20180067384A1 (en) Led project light has multiple functions
JP3773944B1 (ja) 緊急・災害時対策用携帯型着脱式マルチ動作機器セット
KR101691428B1 (ko) 비상 점멸이 가능한 휴대형 led 랜턴
KR200432784Y1 (ko) Led램프를 겸비한 휴대용 제논 탐조등
KR200461556Y1 (ko) 광섬유 발광수단을 구비한 가방
CN21060113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手提灯
CN202195405U (zh) 设有开关的图钉灯
WO2010130153A1 (zh) 一种自备充电结构的电池
CN201084360Y (zh) 汽车来车警示暨紧急救援装置
CN204494272U (zh) 采用led柔性灯带的应急灯具
KR101529882B1 (ko) Led 조명장치
CN207334327U (zh) 一种双头照明的系统及双头手电筒
KR20080002385U (ko) 경광등이 구비된 휴대용 랜턴
KR200400511Y1 (ko) 이엘 명찰
CN204240229U (zh) 一种便携式野营灯
CN201946842U (zh) 一种led发光插头
CN218720746U (zh) 一种可无线供电的手提灯
CN218565356U (zh) 一种应急灯及其控制电路
EP1146282A2 (en) Led lamp diffusing a multicolor light
KR200473884Y1 (ko) 엘이디 랜턴
CN212056774U (zh) 一种led灯丝灯
CN200989532Y (zh) 探照灯的面板显示装置
CN211628632U (zh) 具有自主发光的贴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913

Effective date: 200805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