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701Y1 -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 Google Patents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701Y1
KR200391701Y1 KR20050012801U KR20050012801U KR200391701Y1 KR 200391701 Y1 KR200391701 Y1 KR 200391701Y1 KR 20050012801 U KR20050012801 U KR 20050012801U KR 20050012801 U KR20050012801 U KR 20050012801U KR 200391701 Y1 KR200391701 Y1 KR 200391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layer
management entity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28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알란 제랄드 칼톤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050012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70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701Y1/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는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스테이션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및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을 포함한다.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은 상기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및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와 통신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과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한다.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은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 및 핸드오버 정책 기능과 통신한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스테이션이 핸드오버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medium independen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tation and an access point. The station includes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a first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A first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econd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and a handover policy function. The second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and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determines whether the station executes handover.

Description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본 고안은 대체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무선망 타입들 사이의 매체 독립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를 구현하기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different wireless network types.

전형 모바일 시스템은 2개의 동작 모드, 즉 유휴 모드(idle mode)와 접속 모드(connected mode)를 가진다. 유휴 모드에서 스테이션(STA) 특성은, 사용자 서비스 없음(즉, 진행중인 호출이나 트랜잭션이 없음); 페이징 채널의 모니터링; 가용 서비스 요청 채널들; 수신기의 100%가 무선 환경의 다운링크 측정에 이용가능; 백그라운드 조정; 및 스케쥴링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AP) 및/또는 기술 재선택(technology reselection)을 포함한다. 접속 모드에서, STA 특성은, 활성의 사용자 서비스(예를 들어, 호출이 진행중); 핸드오버 가능; 측정에 대한 제한된 수신기 가용성(사용자 서비스가 우선권을 가지기 때문); 및 완전 조정되고 스케쥴링된 AP 및/또는 기술 핸드오버를 포함한다.A typical mobile system has two modes of operation, an idle mode and a connected mode. In idle mode, the station (STA) characteristic is: no user service (ie, no ongoing calls or transactions); Monitoring of paging channels; Available service request channels; 100% of the receiver is available for downlink measurements in a wireless environment; Background adjustment; And unscheduled access point (AP) and / or technology reselection. In the connected mode, the STA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ctive user service (eg, call in progress); Handover possible; Limited receiver availability for measurements (because user service has priority); And fully coordinated and scheduled AP and / or technology handover.

유휴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예를 들어, 전원 기동시), STA는 요청된 사용자 서비스에 대한 최적의 AP와 가용 기술을 결정하기 위해 선택을 수행해야만 한다.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STA는 인접한 AP들 및 상이한 기술들을 갖는 AP들을 지속적으로 검사한다. "보다 나은" AP의 결정시에, STA는 새로운 AP로 전이(즉, "재선택"을 수행)할 것이다.Prior to entering idle mode (eg, upon power up), the STA must make a selection to determine the best AP and available technology for the requested user service. While in the idle mode, the STA constantly checks for adjacent APs and APs with different technologies. Upon determining a "better" AP, the STA will transition to the new AP (ie, perform a "reselection").

접속 모드에 있는 동안, 핸드오버는,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는 AP로의 전환을 포함하여, 한 AP로부터, "보다 나은" 서비스을 제공하는 또 다른 AP로의 전이시에 발생한다. 이상적인 경우, 핸드오버는 활성인 사용자 서비스에 대한 주목할만한 인터럽트없이 발생한다.While in the connected mode, handover occurs on a transition from one AP to another that provides a "better" service, including the transition to an AP using a different technology. Ideally, handovers occur without noticeable interrupts to active user services.

한 목표는, 상이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타입들 사이 또는 WLAN과 셀룰러 시스템 사이에서와 같은, 상이한 무선망 타입들간의 씸리스 핸드오버(즉, STA의 이동성을 허용하는 것)를 달성하는 것이다. 현재의 기술은 이러한 타입의 핸드오버를 제공하지 않는다.One goal is to achieve seamless handover (ie, to allow STA mobility) between differen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ypes or between different wireless network types, such as between WLAN and cellular systems. . Current technology does not provide this type of handover.

도 1은 기존의 셀룰러 이동성 모델(100)의 다이어그램으로서, 이동성 문제(issue)에 대한 중앙형 무선 자원 관리(RRM) 접근법을 도시하고 있다. 셀룰러 STA(102)(예를 들어, 2G 이동국 또는 3G 사용자 장비)는 복수의 AP들(104)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AP들(104)은 GSM 기반의 스테이션 및 FDD/CDMA 노드 B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P들(104)은 무선망(106)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Handover Policy Function; HPF)(108)은 STA(102)가 이리저리 이동할 때 STA(102)의 핸드오버를 AP들(104) 사이로 핸드오버하는데 사용된다. HPF(108)는 중앙에 위치하며(예를 들어, 2G 기반의 스테이션 제어기(BSC) 또는 3G 무선망 제어기(RNC)에서) 네트워크(110)(예를 들어 스위치 또는 서버)에 접속된다.1 is a diagram of an existing cellular mobility model 100, illustrating a central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approach to mobility issues. The cellular STA 102 (eg, 2G mobile station or 3G user equipment) moves freely between the plurality of APs 104. The APs 104 may include a GSM based station and an FDD / CDMA Node B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APs 1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wireless network 106.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HPF) 108 is used to handover the handover of the STA 102 between the APs 104 as the STA 102 moves around. The HPF 108 is centrally located (eg, in a 2G based station controller (BSC) or 3G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110 (eg a switch or server).

HPF(108)는 STA(102)가 상이한 AP들(104) 주변을 이동할 때 조정을 제공한다. STA(102)는 측정을 HPF(108)에 전송하며, HPF(108)는, 핸드오버 및 STA(102)가 어느 AP(104)에 놓일지에 관해 최종 결정을 내린다.The HPF 108 provides coordination as the STA 102 moves around different APs 104. The STA 102 sends a measurement to the HPF 108, which makes a final decision as to which handover and to which AP 104 the STA 102 will be placed.

모델(100)에서, 반-정적 주파수 할당이 각각의 AP(104)에 대해 이루어지고 약간의 무선 계획이 요구된다. 유휴 모드에서, 인트라테크(intra-technology)(예를 들어, GSM 대 GSM) 및 인터테크(inter-technology)(예를 들어, GSM 대 FDD/WCDMA) AP 선택/재선택 결정이 STA(102)에서 이루어지고, HPF(108)에 의해 방송되는 (네트워크 110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원된다. 접속 모드에서, AP 핸드오버 결정은 HPF(108)에서 이루어지고, L3 시그널링을 통해 HPF(108)에 전송되는 STA(102)에 이루어지는 측정에 의해 지원된다.In model 100, semi-static frequency allocation is made for each AP 104 and some radio planning is required. In idle mode, intra-technology (eg GSM vs GSM) and inter-technology (eg GSM vs FDD / WCDMA) AP selection / reselection decisions are performed by the STA 102. And is supported by system information (from network 110) broadcast by HPF 108. In connected mode, AP handover decisions are made at the HPF 108 and supported by measurements made at the STA 102 sent to the HPF 108 via L3 signaling.

도 2는 기존의 WLAN 이동성 모델(200)의 다이어그램으로서, 이동성 문제에 대한 분산형 RRM 접근법을 도시하고 있다. 802×STA(202)는, 802.11a 및 802.16 AP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복수의 AP들(204)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한다. AP들(204)은 무선망(206)을 통해 네트워크(208)(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또는 라우터)와 통신한다.2 is a diagram of an existing WLAN mobility model 200, illustrating a distributed RRM approach to the mobility problem. The 802 × STA 202 is free to move between the plurality of APs 204,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802.11a and 802.16 APs. The APs 204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208 (eg, gateway or router) via the wireless network 206.

모델(200)에서, 동적 주파수 할당이 각각의 AP(204)에 대해 이루어지고 무선 계획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동성 모델(200)에서 지원되는 유일한 핸드오버 유형은 인트라-테크(예를 들어, 802.11a 대 802.11a) 유휴 모드 핸드오버이다. 여기서 AP 선택/재선택 결정은 STA(202)에서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핸드오버 타입들(인트라테크의 유휴 모드, 및 접속 모드)은 이동 모델(200)에서 지원되지 않는다.In model 200, dynamic frequency allocation is made for each AP 204 and no radio planning is required. The only handover type supported in the mobility model 200 is intra-tech (eg 802.11a vs. 802.11a) idle mode handover. Here, the AP selection / reselection decision is made autonomously at the STA 202. Other handover types (intra-tech idle mode and connected mode) are not supported in the mobile model 200.

이러한 분산형 RRM 접근법에서, AP들(204)은 어느 곳이든 배치가능하며 이들은 스스로를 동적으로 관리한다. RRM이 수행되어지는 중앙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키텍쳐 내의 어떠한 요소도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다.In this distributed RRM approach, APs 204 can be deployed anywhere and they manage themselves dynamically. There is no central point where RRM is performed. Thus, no element in the architecture performs a handover.

도 3은 셀룰러 및 WLAN 네트워크 타입들에 대한 기존의 모바일 시스템 아키텍쳐의 다이어그램이다. GPRS(2G) STA(300)은 물리층(302), 데이터 링크층(304), 및 네트워크층(306)을 포함한다. 데이터 링크층(304)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부분층(310)과 무선 링크 제어(RLC) 부분층(312)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층(306)은 GSM 무선 자원(RR) 관리자(314), 이동성 관리(MM) 프로토콜 관리자(316), 및 인터넷 프로토콜(IP)/컨버전스 관리자(318)을 포함한다.3 is a diagram of an existing mobile system architecture for cellular and WLAN network types. GPRS (2G) STA 300 includes a physical layer 302, a data link layer 304, and a network layer 306. The data link layer 304 includes a medium access control (MAC) sublayer 310 and a radio link control (RLC) sublayer 312. Network layer 306 includes GSM radio resource (RR) manager 314, mobility management (MM) protocol manager 316, and internet protocol (IP) / convergence manager 318.

3GPP(3G) STA(320)는 물리층(322), 데이터 링크층(324), 및 네트워크층(326)을 포함한다. 데이터 링크층(324)은 MAC 부분층(350) 및 논리 링크(LLC) 부분층(352)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층(346)은 모바일 IP 관리자(354) 및 IP/컨버전스 관리자(356)를 포함한다.The 3GPP (3G) STA 320 includes a physical layer 322, a data link layer 324, and a network layer 326. The data link layer 324 includes a MAC sublayer 350 and a logical link (LLC) sublayer 352. Network layer 346 includes mobile IP manager 354 and IP / convergence manager 356.

RR 관리자/제어기(314, 334)는 순간 무선 링크를 관리하며, 무선 링크에 관한 정보 모두를 처리한다. MM 프로토콜(316, 336, 354)는 STA가 시스템 주변을 이동할 때 등록 및 위치 갱신과 같은 네트워크 차원의 문제들, 즉, 호출 그 자체의 외부 문제들)을 처리한다.The RR managers / controllers 314 and 334 manage the instantaneous radio link and process all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radio link. The MM protocol 316, 336, 354 handles network-wide issues such as registration and location updates as the STA moves around the system, ie external issues of the call itself.

현재의 WLAN 시스템은 제한된 이동성 능력만을 제공한다. 인트라-테크(예를 들어, 802.11 대 802.11) 및 인터-테크(예를 들어, 802.11 대 802.16) 사용자 전이는, 전형적인 전 이동성 시스템(예를 들어, GSM)에서의 핸드오버 동작과는 달리, 재선택 동작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는 "결정전 단선(break before make)" 를 사용하여 지원된다. 이 문제는 WLAN 기술들의 성장을 제한하는데, 이것은 이러한 접근법이 음성 및 비디오 스트리밍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의 지원에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Current WLAN systems provide only limited mobility capabilities. Intra-tech (e.g., 802.11 vs. 802.11) and inter-tech (e.g., 802.11 vs. 802.16) user transitions, unlike handover operation in a typical full mobility system (e.g. GSM), Supported using "break before make"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 selection operation. This problem limits the growth of WLAN technologies because this approach is not satisfactory for supporting real-time services such as voice and video streaming.

본 고안은 인트라-테크 및 인터-테크 전이 시나리오 양자 모두에 대한 전 이동성 해결책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책이며, 실시간 및 비실시간 양자 모두의 요건을 만족한다. 본 고안은 물리적 구현에 거의 제약을 주지 않는 장치-부지(device-agnostic) 핸드오버 정책 기능이다. 본 고안은 WLAN 대 유선 LAN 전이 뿐만 아니라 WLAN 대 WLAN 전이를 지원하며, 전형적인 모바일 셀룰러 시스템(예를 들어, GSM)에 통합될 수 있어, 전 이동성 WLAN/셀룰러 해결책의 구현을 허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for implementing a full mobility solution for both intra-tech and inter-tech transition scenarios, and meets the requirements of both real-time and non-real-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agnostic handover policy function that places little limitation on the physical implementa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WLAN to WLAN transition as well as WLAN to wired LAN transition and can be integrated into a typical mobile cellular system (eg GSM), allowing implementation of a full mobility WLAN / cellular solu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스테이션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관리 정보 베이스, 및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한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및 관리 정보 베이스로부터 측정 및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핸드오버의 실행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A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at on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sublayer management entity,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and a handover policy function.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may receive measurement and system information from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may autonomousl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handover.

시스템은,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한다. 스테이션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및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 층을 포함한다. MIH 층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및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와 통신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MIH 층과 통신하며 스테이션이 핸드오버를 실해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한다.The system implements medium independen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station and an access point. The station includes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layer. The MIH lay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The access point includes a handover policy func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MIH lay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station should perform a handover.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테이션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한 방법은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시작된다. 시스템 측정 및 정보가 스테이션으로부터 핸드오버 정책 기능에 제공된다. 핸드오버의 실행 여부에 관한 결정은 상기 시스템 측정 및 정보에 기초한다.One method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at a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gins by providing a handover policy function. System measurements and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from the station. The decision as to whether or not to perform handover is based on the system measurements and informa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의 구현을 위한 한 방법은, 스테이션에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 층을 제공하고 액세스 포인트에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시작된다. 스테이션 측정은 MIH 층을 경유해 스테이션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스테이션이 핸드오버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핸드오버는 MIH 층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제어된다.One method for implementing medium independen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gins by providing a medium independent handover (MIH) layer to a station and providing a handover policy function to an access point. Station measurements are sent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via the MIH layer.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determines whether the station executes handover. Handover is controlled through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MIH layer.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스테이션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관리 정보 베이스, 및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한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및 관리 정보 베이스로부터 측정 및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핸드오버의 실행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A station for implementing medium independen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and a handover policy function.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may receive measurement and system information from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may autonomousl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handover.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스테이션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집적 회로는,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관리 정보 베이스, 및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한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및 관리 정보 베이스로부터 측정 및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핸드오버의 실행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An integrated circuit for implementing medium independent handover at on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and a handover policy function.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may receive measurement and system information from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may autonomousl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handover.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이 스테이션은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및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층을 포함한다.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층은 상기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및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와 통신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과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한다.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은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 및 핸드오버 정책 기능과 통신한다.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스테이션이 핸드오버를 실행해야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A system for implementing medium independen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tation and an access point. The station includes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a first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A first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the media access control sublayer management entity.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econd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and a handover policy function. The second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and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determines whether the station should execute a handover.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예로서 주어지는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가능하다.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given by way of example,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용어 "스테이션"(STA)은 무선 전송/수신 유닛, 사용자 장비, 고정 또는 모바일 사용자 유닛, 페이저,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다른 장치 타입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용어 "액세스 포인트"(AP)는 기지국, 노드 B, 싸이트 제어기,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다른 인터페이싱 장치 타입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rm "station" (STA)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unit, a user equipment, a fixed or mobile user unit, a pager, or any other device type operating in a wireless environment. The term "access point" (AP) hereinafter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base station, a Node B, a site controller, or any other type of interfacing device operating in a wireless environment.

도 4는 WLAN에서 이동성 아키텍쳐의 다이어그램으로서 셀룰러 네트워크 타입들과 비교를 도시하고 있다. GPRS STA(300) 및 3GPP STA(320)는 도 3과 연계하여 앞서 기술한 STA들과 동일하다. 802.xx STA(400)는 물리층(402), 데이터 링크층(404), 및 네트워크층(406)을 포함한다. 데이터 링크층(404)은 MAC 부분층(410)과 LLC 부분층(412)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층(406)은 매체 독립 핸드오버층(414), 모바일 IP 관리자(416), 및 IP/컨버전스 관리자(418)를 포함한다. 논의의 나머지 부분들은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층(414)과 이 층이 이동성 모델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해 집중될 것이다. MIH 층(414)은 GSM RR(314) 및 3G RRC(334)와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한다.4 shows a comparison with cellular network types as a diagram of a mobility architecture in a WLAN. GPRS STA 300 and 3GPP STA 320 are the same as the ST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FIG. The 802.xx STA 400 includes a physical layer 402, a data link layer 404, and a network layer 406. The data link layer 404 includes a MAC sublayer 410 and an LLC sublayer 412. The network layer 406 includes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layer 414, a mobile IP manager 416, and an IP / convergence manager 418. The remainder of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the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layer 414 and how it works in the mobility model. The MIH layer 414 performs similar functions as the GSM RR 314 and the 3G RRC 334.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WLAN 이동성 모델(500)의 다이어그램으로서, 2개의 기본적인 HPF 옵션, 즉, 분산형 및 중앙형을 도시한다. 이들 옵션들은 이동성 모델들에 의해 앞서 설명되지 않은 상황들, 즉, 인터-테크 핸드오버의 유휴 모드, 및 접속 모드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5 is a diagram of a WLAN mobility model 5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wo basic HPF options, distributed and centralized. These options relate to situations not described above by the mobility models, i.e., idle mode of inter-tech handover, and connected mode handover.

802.x STA(502)는, 802.11a 및 802.16 AP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AP들(504)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 AP들(504)은 무선망(506)을 통해 네트워크(508)(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또는 라우터)과 통신한다.The 802.x STA 502 moves freely between the plurality of APs 504,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802.11a and 802.16 APs. These APs 504 communicate with a network 508 (eg, a gateway or router) via the wireless network 506.

모델(500)은 STA(502)에서 분산형 HPF(510)와 네트워크(508)에서 중앙형 HPF(520)를 구현할 수 있다.Model 500 may implement distributed HPF 510 in STA 502 and central HPF 520 in network 508.

분산형 HPF 설정에서, STA는 선택, 재선택, 및 핸드오버 결정을 자율적으로 한다. 이것은 유휴 모드, 인터-테크 선택/재선택 및 양자 모두의 접속 모드 핸드오버 타입들을 포함한다.In a distributed HPF setup, the STA autonomously makes selection, reselection, and handover decisions. This includes idle mode, inter-tech select / reselect and both connected mode handover types.

중앙형 HPF 설정에서, 시스템측에 놓인 HPF는 선택 및 재선택 프로세스들을 보조하며, STA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의해 지원되는 핸드오버 결정을 내린다. 이 정보는 본 고안의 시그널링 메카니즘(즉, MIH 층)을 통해 STA로부터 HPF로 전달된다. 이것은 유휴 모드, 인터-테크 선택/재선택 및 양자모두의 접속 모드 핸드오버 타입들을 포함한다.In a central HPF setup, the HPF placed on the system side assists the selection and reselection processes and makes handover decisions suppor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TA. This information is conveyed from the STA to the HPF via the signal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e, MIH layer). This includes both idle mode, inter-tech select / reselect and connected mode handover types.

도 6은 본 고안의 분산형 HPF를 이용하는 STA(600)에 대한 기능적 아키텍쳐의 블럭도이다. STA(600)는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ME)(602) 및 MAC 부분층(ME)(604)을 포함한다. HPF(606)는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ME)(602) 및 MAC 부분층(ME)(604)과 통신한다. 로컬 관리 정보 베이스(608)는 핸드오버 결정의 내릴시에 HPF(606)에 의해 액세스된 정보를 저장한다. 물리 부분층(ME)(602)은 물리층 컨버전스 프로시져(PLCP) 부분층(610)과, 물리 매체 의존(PMD) 부분층(612)을 포함한다. MAC 부분층(ME)(604)은 MAC 부분층(614)을 포함한다.6 is a block diagram of a functional architecture for a STA 600 using distributed HPF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 600 includes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ME) 602 and a MAC sublayer (ME) 604. The HPF 606 communicates with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ME) 602 and a MAC sublayer (ME) 604. The local management information base 608 stores the information accessed by the HPF 606 upon making a handover decision. Physical sublayer (ME) 602 includes a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LCP) sublayer 610 and a physical medium dependent (PMD) sublayer 612. MAC sublayer (ME) 604 includes MAC sublayer 614.

재선택 및 핸드오버 결정은 STA(600)에 의해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 HPF(606)는, MAC 부분층(ME)(604) 및 물리 부분층(ME)(602)로부터의 측정 및 다른 이벤트(전형적으로는, 핸드오버 결정시에 사용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HPF(606)는 이 정보를 처리하며 핸드오버를 수행할지의 여부에 관해 자율적 결정을 내린다.Reselection and handover decisions are made autonomously by the STA 600. The HPF 606 receives measurements from the MAC sublayer (ME) 604 and the physical sublayer (ME) 602 and other events (typically information used in handover decisions). The HPF 606 processes this information and makes an autonomous decision as to whether to perform a handover.

이것은 제한된 핸드오버 해결책이며, 재선택 프로시져의 확장판 정도이며, 전형적인 모바일 시스템에서와 같은 경우에 특징화된다. 주로 "단선 후 결정(break then make)" 전략의 사용으로 인해, 이것은 충분하지만, 차선책이다. 이 전략과 더불어, STA가 그 무선 링크가 열화되고 있음을 알게 될 때, STA는 현재의 링크를 깨드리거나, 새로운 링크가 설정되기 이전에 그 링크가 고장난다. 핸드오버를 완료하기 위한 자원 가용성은 보장되지 않으며, 새로운 AP가 핸드오버를 수용할 자원이 부족하여 호출 절단(dropped call)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호출 절단의 가능성은 비실시간 서비스에 대해서는 적절한 해결책이지만, 음성 통신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 대해서는 수용불가능한 해결책이다. 나아가, 이것은 확장성이 부족한 해결책이다. 동일한 이유로 인해, 즉, 더 많은 STA들이 시스템에 추가됨에 따라, 퍼포먼스는 열화될 것이다.This is a limited handover solution, an extension of the reselection procedure, and is characterized in such cases as in a typical mobile system. Primarily due to the use of a "break then make" strategy, this is sufficient, but the next best thing. In addition to this strategy, when the STA finds that the radio link is deteriorating, the STA breaks the current link or fails the link before a new link is established. Resource availability to complete the handover is not guaranteed, and the new AP may lack resources to accommodate the handover and lead to dropped calls. The possibility of call truncation is an appropriate solution for non-real-time services, but an unacceptable solution for real-time services such as voice communications. Furthermore, this is a poorly scalable solution. For the same reason, that is, as more STAs are added to the system, performance will degrade.

도 7은 중앙형 HPF를 이용하는 STA(700)에 대한 기능적 아키텍쳐의 다이어그램이다. STA(700)은 물리층(ME)(702)과 MAC 부분층(ME)(704)을 포함한다.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 층(706)은, 물리층(ME)(702)과 MAC 부분층(ME)(704) 양자 모두와 통신한다. MIH 층(706)은 시스템측의 MIH 층(708)과 통신한다. MIH 층(708)은 시스템 HPF(710)와 통신한다. 물리 부분층(ME)(702)는 PLCP 부분층(712) 및 PMD 부분층(714)을 포함한다. MAC 부분층(ME)(704)은 MAC 부분층(716)을 포함한다.7 is a diagram of a functional architecture for a STA 700 using a central HPF. The STA 700 includes a physical layer (ME) 702 and a MAC sublayer (ME) 704. The medium independent handover (MIH) layer 706 communicates with both the physical layer (ME) 702 and the MAC sublayer (ME) 704. The MIH layer 70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IH layer 708 on the system side. The MIH layer 708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HPF 710. Physical sublayer (ME) 702 includes a PLCP sublayer 712 and a PMD sublayer 714. MAC sublayer (ME) 704 includes MAC sublayer 716.

MIH 층(706) 및 시스템 HPF(710)는 MIH 층(708)을 통해 통신한다. MIH 층(706)은 HPF(710)에 측정을 전송하며 HPF(710)는 시스템 정보를 MIH 층(706)에 전송한다. 재선택 및 핸드오버 결정은 이러한 정보의 교환에 기초하여 MIH 층(706)과 HPF(710) 사이에서 조정된다. MIH 층(706), MIH 층(708) 양자 모두와, HPF(710)의 이러한 사용은 셀룰러 시스템 타입의 핸드오버와 유사하다.MIH layer 706 and system HPF 710 communicate via MIH layer 708. MIH layer 706 sends measurements to HPF 710 and HPF 710 sends system information to MIH layer 706. Reselection and handover decisions are coordinated between the MIH layer 706 and the HPF 710 based on this exchange of information. This use of both the MIH layer 706, the MIH layer 708, and the HPF 710 is similar to a cellular system type handover.

재선택 및 핸드오버 결정은 HPF(710)에 의해 조정되며 MIH 층들(706, 708)을 통해 수신된 시스템 시그널링과 특정 보고에 의해 지원된다. 이것은 핸드오버를 완료하기 위해 자원 가용성을 보장하는, 결정후 단선(make then break) 전략을 사용하는 중앙형 결정으로 인해 신속하고도 최적인 핸드오버 해결책이다. 이것은비실시간 서비스에 대해 충분한 해결책이며, 실시간 서비스에 대해 수용가능하나 해결책이고, 용이하게 확장가능하므로, 전 이동성 해결책을 제공한다.Reselection and handover decisions are coordinated by the HPF 710 and supported by system signaling and specific reporting received via the MIH layers 706, 708. This is a fast and optimal handover solution due to the centralized decision using a make then break strategy that ensures resource availability to complete the handover. This is a sufficient solution for non-real-time services, an acceptable but solution for real-time services, and easily scalable, thus providing a full mobility solution.

전 이동성 해결책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 프로토콜(예를 들어, MM 모바일 IP과, SIP 등)과 자원 제어 프로토콜(예를 들어, RRC 또는 MIH 층) 양자 모두가 필요하다. 이동 프로토콜은, 발견, 등록, 터널링, 종료(또는 페이징), 네트워크 레벨(2개 스위치들 사이)의 핸드오버, 및 보안과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자원 제어 프로토콜은, 시스템 정보, 종료(또는 페이징), 셀 선택/재선택, 설정, 릴리스, 측정 보고, 전력 제어, 및 무선 레벨(2개 무선기들 사이의) 핸드오버와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전 이동겅 해결책을 지원하기 위해 양쪽 레벨들에서 제공되는 핸드오버 지원이 필요하다.To support a full mobility solution, both a mobile protocol (eg MM Mobile IP and SIP, etc.) and a resource control protocol (eg RRC or MIH layer) are needed. The mobile protocol supports functions such as discovery, registration, tunneling, termination (or paging), handover at the network level (between two switches), and security. The resource control protocol supports functions such as system information, termination (or paging), cell selection / reselection, setup, release, measurement reporting, power control, and radio level (between two radios) handover. There is a need for handover support provided at both levels to support the full mobility solution.

네트워크측 상에서, MIH 층(708) 및 HPF(710)은 AP, 서버, 데이타베이스, 또는 라우터와 같은 임의의 중앙형 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MIH 층(708)과 HPF(710)은 AP 또는 AP 제어기에 위치한다. MIH 층(708) 및 HPF(710)는 별도의 논리 실체들이다. MIH 층(708)은 상태 머신으로서 역할하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HPF(710)에 전달한다. HPF(71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내린다.On the network side, the MIH layer 708 and HPF 710 may be located in any centralized entity such as an AP, server, database, or rout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IH layer 708 and HPF 710 are located in an AP or AP controller. MIH layer 708 and HPF 710 are separate logical entities. The MIH layer 708 acts as a state machine, collects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passes it to the HPF 710. The HPF 710 makes a handover decis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본 고안이 WLAN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실시예들의 원리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중앙형 HPF 아키텍쳐는, 무선 장치를 유선 시스템에 접속시킬 때의 핸드오버 정책과 같은, 무선-대-유선 네트워킹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이 예는 802.11-가능형 햅탑을 사용하여 그 랩탑을 도킹시키고 랩탑 도킹 스테이션으로의 이더넷 접속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사용하는 것일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WLAN,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re applicable to any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central HPF architecture can be extended to support wireless-to-wired networking scenarios, such as handover policies when connecting wireless devices to wired systems. This example would be to use a handover to dock an laptop using an 802.11-capable laptop and take advantage of an Ethernet connection to a laptop docking station.

도 6 및 7에 도시된 요소들이 별도의 요소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요소들은 주문형 집적 회로(ASCI)와 같은 하나의 집적 회로(IC), 다중 IC들, 이상 컴포넌트들, 또는 이산 요소들과 IC(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떤 구현에서는, 실시예들의 기능과 본 고안의 특징들이 이상 컴포넌트(들)/IC(들)로 나타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전체적으로 디스에이블되거나 비활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elements shown in FIGS. 6 and 7 are shown as separate elements, these elements may be combined with one integrated circuit (IC), multiple ICs, abnormal components, or discrete elements, such a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CI).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IC (s). In some implementations, the functionality of the embodiments and the features of the subject innovation may appear as anomalous component (s) / IC (s) and may be partially or wholly disabled or inactive.

본 고안의 특징들 및 요소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양호한 실시예들에서 기술되어 있지만, 각각의 특징 및 요소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요소없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features and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specific combinations, each feature and element may be used alone or in various combinations without other features and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간 및 비실시간 양자 모두의 요건을 만족하며, 인트라-테크 및 인터-테크 전이 시나리오 양자 모두에 대한 전 이동성 해결책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물리적 구현에 거의 제약을 주지 않는 장치-부지(device-agnostic) 핸드오버 정책 기능으로서, WLAN 대 유선 LAN 전이 뿐만 아니라 WLAN 대 WLAN 전이를 지원하며, 전형적인 모바일 셀룰러 시스템(예를 들어, GSM)에 통합될 수 있어, 전 이동성 WLAN/셀룰러 해결책의 구현을 허용한다.I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both real-time and non-real-time, and provides a solution for implementing a full mobility solution for both intra-tech and inter-tech transition scenario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agnostic handover policy function that imposes almost no limitations on physical implementation, and supports WLAN to WLAN transitions as well as WLAN to wired LAN transitions. , GSM), allowing implementation of a full mobility WLAN / cellular solution.

도 1은 기존의 셀룰러 이동성 모델(mobility model)의 다이어그램.1 is a diagram of an existing cellular mobility model.

도 2는 기존의 WLAN 이동성 모델의 다이어그램.2 is a diagram of an existing WLAN mobility model.

도 3은 셀룰러 및 WLAM 네트워크 타입에 대한 기존의 모바일 시스템 아키텍쳐의 다이어그램.3 is a diagram of an existing mobile system architecture for cellular and WLAM network types.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WLAN에서의 이동성 아키텍쳐의 다이어그램으로서 셀룰러 네트워크 타입과의 비교를 도시하는 도면.4 illustrates a comparison with cellular network type as a diagram of a mobility architecture in a W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WLAN 이동성 모델의 다이어그램.5 is a diagram of a WLAN mobilit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분산형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STA 아키텍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STA architecture for implementing the distributed handover polic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중앙형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STA 아키텍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STA architecture for implementing the central handover polic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스테이션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집적 회로에 있어서,An integrated circuit for implementing medium independent handover at a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A media access control sublayer management entity; 관리 정보 베이스; 및Management information base; And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상기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 및 상기 관리 정보 베이스로부터 측정과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핸드오버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인, 집적 회로.A handover policy function, wherein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may receive measurement and system information from the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the media access control sublayer management entity,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base; And the function is capable of autonomous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a handover.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medium independent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와,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와, 상기 물리 부분층 관리 실체 및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층 관리 실체와 통신하는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을 포함하는 스테이션;A station including a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a first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in communication with the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nd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management entity; 상기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과 통신하는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과, 상기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과 통신하며 상기 스테이션이 핸드오버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정책 기능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 second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and a handover policy func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tation performs a handover. Access point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은 상기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에 스테이션 측정을 전송하며, 상기 핸드오버 정책 기능은 핸드오버 결정을 내릴시에 상기 스테이션 측정을 사용하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sends a station measurement to the second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and the handover policy function uses the station measurement in making a handover decisio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은 상기 제1 매체 독립 핸드오버 층에게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는 핸드오버의 실행시에 상기 스테이션을 보조하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3.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sends system information to the first medium independent handover layer, wherein the system information assists the station in executing handover. Device.
KR20050012801U 2004-05-07 2005-05-06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KR2003917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2801U KR200391701Y1 (en) 2004-05-07 2005-05-06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69,015 2004-05-07
US11/091,159 2005-03-28
KR20050012801U KR200391701Y1 (en) 2004-05-07 2005-05-06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47A Division KR101137362B1 (en) 2004-05-07 2005-05-06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701Y1 true KR200391701Y1 (en) 2005-08-08

Family

ID=4369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2801U KR200391701Y1 (en) 2004-05-07 2005-05-06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70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319B1 (en) 2005-11-10 2010-09-3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ing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protoc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319B1 (en) 2005-11-10 2010-09-3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ing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protoc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3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JP2007536805A5 (en)
JP2012075158A5 (en)
JP5941171B2 (en) Handover related measurement report for E-UTRAN
JP6351457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3GPP wireless LAN interworking signaling
JP46695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lecting an access point
US8170548B2 (en) User equipment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9804672B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2016180213A1 (en) Ap group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nb
WO2012163152A1 (en)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and equipment based on priority
WO2014177003A1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165215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ccess technology networks
DK3025552T3 (en) PROCEDURE FOR IMPROVED ACCESS SELECTION FOR A USER EQUIPMENT IN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FOR IMPROVED ACCESS SELECTION FOR A USER EQUIPMENT
KR200391701Y1 (en)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8548461B2 (en) Device roaming in hybrid Wi-Fi/wireline and multi-AP networks
CN107155189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super cell
EP4354965A1 (en) A method of managing handover between cell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6823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ssage overload in media independent handover
Anand et al. Unified protocol stack architecture for 4G mobile terminals to support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CN2862543Y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latform and integrated circuit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7

EXTG Extinguishment